KR200422428Y1 - 오존발생소자 - Google Patents

오존발생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428Y1
KR200422428Y1 KR2020060011397U KR20060011397U KR200422428Y1 KR 200422428 Y1 KR200422428 Y1 KR 200422428Y1 KR 2020060011397 U KR2020060011397 U KR 2020060011397U KR 20060011397 U KR20060011397 U KR 20060011397U KR 200422428 Y1 KR200422428 Y1 KR 200422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electrode
dielectric
high voltage
ozon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협
Original Assignee
정동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협 filed Critical 정동협
Priority to KR2020060011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4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4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C01B13/115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circuits producing the electrical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10Dischargers used for production of ozone
    • C01B2201/12Plate-type dischar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0Electrodes used for obtaining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30Dielectrics used in the electrical dischargers
    • C01B2201/3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dielectr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의 전원 인가에 따라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소자에 있어서, 소정 두께를 가지며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유전체(23); 상기 유전체(23)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평판 형상의 서스판 전극(22); 상기 유전체(23)의 타측면에 부착되며, 세선(24)을 격자형으로 직조하여 형성시킨 평판상의 격자형 고압전극(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일측면에 부착되는 격자형의 고압전극에 교류의 고저압을 인가하고 코로나방전을 일으켜 산소와의 접촉량을 증대시키고, 타측면에 부착되는 서스(SUS)판의 면적을 넓게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켜 오존발생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오존발생장치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하도록하여 전극에 집진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세척시켜 영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존발생소자,

Description

오존발생소자{ELEMENT FOR PRODUCING OZONE}
도 1은 종래의 오존발생소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오존발생소자가 오존발생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존발생소자의 격자형 고압전극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존발생소자의 서스판 전극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존발생소자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오존이 발생현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존발생소자가 오존발생장치에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본 고안은 오존발생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면에 부착되는 격자형의 고압전극에 교류의 고저압을 인가하고 코로나방전을 일으켜 산소와의 접촉량을 증대시키고, 타측면에 부착되는 서스(SUS)판의 면적을 넓게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켜 오존발생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오존발생장치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하도록하여 전극에 집진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세척시켜 영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오존발생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존발생장치에 사용되는 오존발생소자(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오존발생소자(10)가 두개의 유전체(11,11)사이의 내부에 하나의 내부 격자형 전극(12)을 협지시키고 유전체의 외측에 외부 격자형 전극(13)이 배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의 오존발생소자(1)는 한쌍의 유전체(11,11)사이에 협지된 내부 격자형 전극(12)은 공기와 접하는 공간이 거의 없으므로 공기의 접촉량이 대단히 적어 오존발생효율이 감소되고 코로나방전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오존발생소자(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존발생장치에 복잡하게 장착되어 있어서,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오존발생장치로부터 해당 오존발생소자(10)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오존발생소자(10)는 내부 세척을 위해서 먼저, 오존발생소자를 고정하고 있는 클립(14)을 풀고, 외부 격자형 전극(13)을 해체시키는 등 복잡한 과정을 거처 역시 복잡하게 얽힌 격자 구조의 전극들(12, 13)을 분리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오존발생장치에 사용되는 오존발생소자의 일측면은 격자구조의 망을 형성시켜 고전압이 인가될 때 산소와 전기 에너지가 충돌하여 다량의 오존이 생성되도록 하며, 타측면은 넓은 서스판으로 형성시켜 산소와 전기 에너지가 충돌할 때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오존발생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오존발생소자에 집진되는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오존발생장치로부터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한 오존발생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존발생소자는 외부의 전원 인가에 따라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소자에 있어서, 소정 두께를 가지며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유전체(23); 상기 유전체(23)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평판 형상의 서스판 전극(22); 상기 유전체(23)의 타측면에 부착되며, 세선(24)을 격자형으로 직조하여 형성시킨 평판상의 격자형 고압전극(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체(23), 서스판 전극(22) 및 격자형 고압전극(21)은 면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체(23), 서스판 전극(22), 및 격자형 고압전극(21)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서 오존발생장치에 형성된 판 스프링(25)에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은 일측면에 부착되는 격자형의 고압전극에 교류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코로나방전을 일으켜 산소와의 접촉량을 증대시키고, 타측면에 부착되는 서스(SUS)판의 면적을 넓게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켜 오존발생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오존발생장치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하도록하여 전극에 집진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세척시켜 영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오존발생소자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존발생소자의 격자형 고압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존발생소자의 서스판 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존발생소자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오존이 발생현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존발생소자가 오존발생장치에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오존발생소자는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격자형 고압전극(21), 서스판 전극(22), 및 상기 격자형 고압전극(21)과 서스판 전극(22) 사이에 협지되는 유전체(23)로 구성된다.
상기 격자형 고압전극(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직경 0.5mm인 원형 세선(24)이 행 간격과 열 간격이 각각 2.8mm의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직조된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80mm인 정사각형 구조이다.
상기 격자형 고압전극(21)을 구성하는 원형 세선(24)은 0.1mm 내지 1.0mm의 직경을 갖는 것이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그보다 더 굵거나 얇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서스판 전극(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두께가 0.3mm인 얇고 넓은 플레이트구조로서, 공기 접촉에 따른 냉각 효과가 탁월하여 코로나 방전의 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오존의 생성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유전체(23)는 두께가 1.1mm이고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108mm로서, 상기 격자형 고압전극(21)과 상기 서스판 전극(22)에 사이에 협지되어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소자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오존발생소자는 상기 격자형 고압전극(21)과 상기 서스판 전극(22)의 말단 부분에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시켜 상기 유전체(23)의 양측에 접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격자형 고압전극(21), 서스판 전극(22) 및 유전체(23)들은 면접착되어, 이들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좁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존발생소자(20)는 격자형 고압전극(21), 서스판 전극(22) 및 유전체(23)들 사이의 이격공간이 좁을수록 교류의 고압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코로나 방전이 활발하게 일어나 과도한 교류의 고전압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충분한 오존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상기 오존발생소자(20)의 격자형 고압전극(21)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양(+)의 교류전압을 인가받게 되고, 접지로서의 역할 을 하는 서스판(22)은 음(-)의 교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격자형 고압전극(21)과 상기 서스판 전극(22) 사이에 방전이 일으키게 된다.
상기 코로나 방전을 통해 발생 되는 전기적 에너지는 공기 중의 산소분자를 산소원자로 분리하고,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서 분리된 해당 산소원자는 분리되지않은 다른 산소 분자와 결합하여 오존 분자를 생성시키게 된다.
전술한 코로나 방전을 통해 발생한 전기적 에너지와 산소분자가 충돌하여 산소분자를 산소원자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열에 약한 오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해당 열을 냉각시켜주기 위해서는 냉각장치 역할을 하는 서스판(22)의 표면적을 얇고 넓게 해주어 냉각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서스판 전극(22)은 그 단면적이 얇고 넓을수록 외부의 찬 공기와 접촉이 많아 냉각효과가 뛰어나다.
이때, 상기 유전체(23), 서스판 전극(22), 및 격자형 고압전극(21)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서 오존발생장치에 형성된 판 스프링(25)에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존발생소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존발생장치에 형성된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판 스프링(25) 사이로 삽입되어 쉽게 장착되며, 또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가벼운 힘만으로 상기 판 스프링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오존발생장치를 오랜 기간 사용하면, 오존발생장치에 장착된 상기 오존발생소자의 전극에 이물질이 집진되고 이에 따라 오존 발생량이 줄어들어 그 효율이 떨 어지게 된다.
따라서, 오존발생장치로부터 오존발생소자의 용이한 장착 및 탈착은 해당 오존발생소자의 편리한 세척을 가능하게 하여 항상 정상적인 오존 발생효율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오존발생소자의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영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존발생소자는 서스판 전극, 격자형 고압전극 및 유전체가 밀착 부착되어 과도한 교류의 고전압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다량의 오존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얇고 넓은 서스판 전극으로 인해 전기에너지와 산소분자의 충돌시 발생하는 열의 냉각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오존발생장치로부터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집진되는 이물질의 제거 또한 용이하고, 그로 인해 영구사용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외부의 전원 인가에 따라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소자에 있어서,
    소정 두께를 가지며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유전체(23);
    상기 유전체(23)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평판 형상의 서스판 전극(22); 및
    상기 유전체(23)의 타측면에 부착되며, 세선(24)을 격자형으로 직조하여 형성시킨 평판상의 격자형 고압전극(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23), 서스판 전극(22) 및 격자형 고압전극(21)은 면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소자.
  3.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23), 서스판 전극(22), 및 격자형 고압전극(21)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서 오존발생장치에 형성된 판 스프링(25)에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소자.
KR2020060011397U 2006-04-27 2006-04-27 오존발생소자 KR200422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97U KR200422428Y1 (ko) 2006-04-27 2006-04-27 오존발생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97U KR200422428Y1 (ko) 2006-04-27 2006-04-27 오존발생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428Y1 true KR200422428Y1 (ko) 2006-07-26

Family

ID=4177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397U KR200422428Y1 (ko) 2006-04-27 2006-04-27 오존발생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4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8733B2 (en) Ion generation device, method for producing ion generating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US8357288B2 (en) Deioniz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25848B1 (ko) 전기집진장치
US10910186B2 (en) Ion generation device with brush-like discharge electrodes
CN110190520B (zh) 一种纳米水离子发生装置
US7163572B1 (en) Air purifier
CN107649291B (zh) 除尘组件及具有其的空气处理设备
KR200422428Y1 (ko) 오존발생소자
KR101796046B1 (ko) 전기집진장치
WO2017212688A1 (ja) 荷電装置、電気集塵機、換気装置及び空気清浄機
CN107684977A (zh) 一种电净化结构及包含其的空气净化装置
JP2010022999A (ja) 電気集塵用荷電装置
CN104607319A (zh) 放电针安装结构和空气净化装置
JPS62102844A (ja) 電気集塵機
JP5240706B2 (ja) バー型イオン発生器及び除電器
KR102442000B1 (ko) 필름 타입의 집진판 제조방법 및 필름 타입의 집진판
KR102127839B1 (ko) 집진 필터
JP2012096127A (ja) 電気集塵装置
CN111569619B (zh) 电净化结构、电净化组件、空气净化装置
JP2010234187A (ja) エアクリーナ
JP5267182B2 (ja) 電気集じん機
GB2612670A (en) Air purifier and cleaning method therefor
KR102002127B1 (ko) 소형 공기정화기용 전기집진유닛과 이를 이용한 소형 공기정화기
KR200312736Y1 (ko) 전기집진기용 조립식 이온아이저
WO2018127212A1 (zh) 一种集电极带导油槽的静电式电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