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164Y1 - 다기능 램프 - Google Patents

다기능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164Y1
KR200422164Y1 KR2020060012612U KR20060012612U KR200422164Y1 KR 200422164 Y1 KR200422164 Y1 KR 200422164Y1 KR 2020060012612 U KR2020060012612 U KR 2020060012612U KR 20060012612 U KR20060012612 U KR 20060012612U KR 200422164 Y1 KR200422164 Y1 KR 200422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ain body
sound source
light sourc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호
Original Assignee
정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호 filed Critical 정창호
Priority to KR2020060012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1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램프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의 빛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광원부(20)와; 상기 본체(10)내부에 설치되며 음악, 웃음을 포함하는 음원이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소리 중 선택된 음악 또는 웃음을 발생시키는 음원부(3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의 색상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음원부(30)의 음원을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40)와; 빛이 투과되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와 결합되며 말단이 상기 광원에 인접하여 상기 광원의 빛을 내부로 통과시키면서 산란시켜 발광하게 되는 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램프를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기분에 따라 적절한 색상과 음향과 향을 선택하여 기분전환이 가능하므로 정신적인 안정을 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램프 조명 음향 향기 정서 안정

Description

다기능 램프{Multi Function Lamp}
도1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램프의 사시도
도2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램프의 단면도
도3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0 : 본체 20 :광원부
30 : 음원부 40 : 제어부
50 : 커버 60 : 향기발생칩
본 고안은 다기능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본체 내부에 다수 색상을 내는 광원을 설치하고 상기 광원의 빛을 빛이 투과되는 커버에 조사하여 커버 전체에서 빛이 나도록 하며 상기 빛과 함께 음향과 향이 발생하도록 한 다기능 램프에 관한 것이다.
조명은 색상이나 밝기 등에 따라 인간의 정서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면 붉은 색의 등일 경우 보는 사람의 감정을 흥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붉은 색의 등을 빈혈이나 무활력 상태의 사람에게 비춰주면 활력을 찾아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여 감정 상태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을 사용하여 기분전환을 이루도록 하여 정신적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치료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조명을 이용한 기분전환을 하는 경우에는 빛의 색상에 따라 별개의 조명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보관이나 관리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명을 이용한 기분전환의 경우 단순히 조명만을 사용하므로 효과가 그리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명의 색상과 음향과 향을 자신의 기분이나 건강상태에 따라 변경할 수 있어 정서적으로 안정을 찾을 수 있는 다기능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의 빛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광원부(20)와; 상기 본체(10)내부에 설치되며 음악, 웃음을 포함하는 음원이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소리 중 선택된 음악 또는 웃음을 발생시키는 음원부(3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의 색상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음원부(30)의 음원을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40)와; 빛이 투과되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와 결합되며 말단이 상기 광원에 인접하여 상기 광원의 빛을 내부로 통과시키면서 산란시켜 발광하게 되는 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램프를 그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50)는 적어도 두개 이상이 구비되어 겹쳐지도록 구성되며 표면에 문자 또는 문양이 새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향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향을 선택하여 발생시키는 향기발생칩(60)이 더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바퀴(70)가 부설되고 상기 바퀴(70)에 모터가 연결되어 상기 본체(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램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기능 램프는 크게 본체(10)와 광원부(20)와 음원부(30)와 제어부(40)와 커버(50)와 향기발생칩(60)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본체(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후술하게될 광원부(20)와 음원부(30) 제어부(40)와 향기발생칩(60)등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광원부(20)와 음원부(30) 그리고 향기발생칩(60)등을 제어하기위한 스위치가 부설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의 색상, 음악 또는 음향 그리고 향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바퀴(70)가 부설된다. 상기 바퀴(70)는 모터(도시안됨)에 결합되어 있어 다기능 램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퀴(70) 중 하나는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기능 램프가 장애물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장애물을 피해가거나 반 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바퀴(70)의 구조는 장난감 자동차등에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광원부(20)는 본체(10) 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일측으로 빛을 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원부(20)에 LED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상기 LED가 크기와 전력소모가 적으며 수명이 길고 다양한 색상의 빛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LED는 다수의 색상을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녹,청색의 LED를 다수개 본체(10)에 배치하고 상기 LED들을 조합하여 황색이나 자주색의 빛이 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LED를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LED를 사용하는 대신 형광등이나 백열전구등을 사용하고 전면에 색상을 가지는 투명판을 부설하여 다양한 색을 내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광원부(20)는 후술하게될 커버(50)의 형상에 따라 커버(50)와 본체(10)의 결합부분에 LED가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음원부(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음원부(30)는 다수의 음악이나 음향(예를 들면 웃음소리, 박수소리등)가 저장되어 필요시 저장된 음악이나음향중 일부를 선택하여 별도로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피커는 커버(5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본체(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음악이나 음향을 저장한 후 외부의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10)에 부설되어 있는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LED와 음원부(3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붉은 색 등을 켜도록 스위치를 선택하면 상기 LED들 중 붉은 색만이 점등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붉은 색에 어울리는 음악을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하게될 향기발생칩(60)에도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특정한 향이 발생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조명의 색상을 선택하면 음악과 향이 모두 선택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각각을 별도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커버(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50)는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50)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을 이루게 되며 일측 말단에는 반구형으로 막혀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50)의 개방된 측은 상기 본체(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개방된 측에는 상기 광원부(20)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광원부(20)에서 나오는 빛이 커버(50)내측으로 들어오도록 구성된다. 이에따라 상기 빛이 커버(50) 내측을 따라 이동하면서 외부로 산란되어 커버(50)전체가 빛을 발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커버(50)를 내외의 이중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하나의 커버(50)만을 사용하거나 두개이상의 커버(50)를 계속 겹쳐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커버(50)의 형상을 원통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본체(10)에 부설된 광원부(20)의 형상에 따라 다각형이나 별모양의 기둥등으로 제작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커버(50)의 표면에는 문양이나 글자등이 새겨져 있어 조명의 빛과 함께 상기 문양이나 글자가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향기발생칩(6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향기발생칩(60)은 다수개의 향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향을 선택하여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향기발생칩(60)이 본체(10)의 중앙측에 설치된 경우 향기가 커버(50)의 외측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커버(50)에 관통공을 하나이상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상기와 같이 향기를 발생시키는 향기 발생칩에 관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216118호 "향 발생 칩"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램프이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원판형상의 본체(10)내부에 이중의 원형으로 LED를 설치하고 내부에 음원이 저장되어 있는 칩과 향기발생칩(60)을 함께 설치하게된다. 또한 일측에 스피커를 장착하여 상기 음원이 저장되어 있는 칩에서 발생한 음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 커버(50)를 결합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원통형상의 일측을 반구형으로 구성한 커버(50)를 크기를 달리하여 두개 구비하고 겹쳐 설치하고 있다. 상기 커버(50)는 상기 LED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어 LED의 빛이 모두 커버(50)로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스위치가 부설되어 있어 적 녹 청 황 자주색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조명의 색상과 상기 조명의 색상에 맞는 음악과 향기를 선택 하도록 구성된다.
빈혈,노쇠,무활력 상태인 사람은 상기 스위치 중 붉은 색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다기능 램프의 제어부(40)는 LED중 적색의 LED 만이 점등되도록 하고 상기 붉은 색에 어울리는 향기인 라벤다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향기발생칩(6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붉은 색에 어울리는 음악인 차이코프스키나 베토벤의 음악을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음악대신 밝은 웃음을 출력하여 기분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황색의 조명은 로즈마리 또는 바베인 향이 배출되며 음악으로는 드보르작의 신세계교향곡등을 출력하여 피로회복과 고독한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녹색의 조명은 로즈마리 또는 바베인 향이 배출되도록 하며 음악으로는 훔멜의 피아노 3중주1번2악장등을 출력하여 피로회복이나 해독작용을 하도록 한다.
청색의 조명은 로즈마리 또는 바베인 향이 배출되도록 하며 음악으로는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17번등을 출력하여 눈의 피로회복이나 신경 피로회복을 돕도록 한다.
자주색의 조명은 센트죤스위트나 바베인 향이 배출되도록 하며 음악으로는 클라브생 모음곡등을 출력하여 저혈압, 월경불순, 우울증, 노이로제등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부착된 바퀴(7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다기능 램프가 이동하게 되므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다기능 램프를 보면서 동적감상을 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정적감상을 병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 내부에는 리모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부설하고 상기 리모콘의 신호에 따라 바퀴(7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다기능 램프의 이동방향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다기능 램프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체의 일측에 건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전원선을 연장하여 교류나 직류전원을 입력받아 작동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장치에 다수의 색상의 빛을 낼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 스피커와 음향칩을 내장하여 상기 빛의 색상에 따라 음악을 선택하여 들려줌과 동시에 향을 발생시켜 기분전환과 눈의 피로회복 및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의 빛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광원부(20)와;
    상기 본체(10)내부에 설치되며 음악, 웃음을 포함하는 음원이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소리 중 선택된 음악 또는 웃음을 발생시키는 음원부(3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의 색상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음원부(30)의 음원을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40)와;
    빛이 투과되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와 결합되며 말단이 상기 광원에 인접하여 상기 광원의 빛을 내부로 통과시키면서 산란시켜 발광하게 되는 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0)는 적어도 두개 이상이 구비되어 겹쳐지도록 구성되며 표면에 문자 또는 문양이 새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향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40)의 제 어신호에 따라 상기 향을 선택하여 발생시키는 향기발생칩(60)이 더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바퀴(70)가 부설되고 상기 바퀴(70)에 모터가 연결되어 상기 본체(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램프.
KR2020060012612U 2006-05-11 2006-05-11 다기능 램프 KR200422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612U KR200422164Y1 (ko) 2006-05-11 2006-05-11 다기능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612U KR200422164Y1 (ko) 2006-05-11 2006-05-11 다기능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164Y1 true KR200422164Y1 (ko) 2006-07-24

Family

ID=4177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612U KR200422164Y1 (ko) 2006-05-11 2006-05-11 다기능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1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087097A (ja) 発光ダイオード・スイッチ素子ならびにアレイ
CN103649618A (zh) 发光装置
US20080143966A1 (en) Image Projecting Device
US8477986B1 (en) Audience participation gloves
US20060221593A1 (en) Integrated illumination for marketing process and apparatus
US20170118822A1 (en) Illuminated foil balloon with lights synchronized to music
KR200422164Y1 (ko) 다기능 램프
JP3196251U (ja) 装飾機能を備えた履物
US11207610B2 (en) Amusement device with writing/drawing surface
US20120140600A1 (en) Table lamp with alarm clock
CN110840608B (zh) 电动牙刷与电动牙刷的控制方法
KR100910339B1 (ko) 교육 및 유희 기능이 포함된 다기능 테라피 장치
JP2004007308A (ja) スピーカ
TWM530006U (zh) 用於演唱會的燈光裝置
JP3002202U (ja) 液体照明装置
KR101207068B1 (ko) 음향 재생 기능을 가진 액세서리 연등
JP2005348778A (ja) 光,音,香りの洗面化粧台
JPH0975437A (ja) 芳香器
JP3187784U (ja) 電気式治療器
JP2008264434A (ja) 癒し空間形成装置
JP4499402B2 (ja) 美容機器
JP3068238U (ja) 照明器具
CN204114782U (zh) 一种发光体及一种发光玩具
KR200420531Y1 (ko) 노래방 분위기 연출장치
KR200371869Y1 (ko) 발광 봉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