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674Y1 - 단자함 - Google Patents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674Y1
KR200421674Y1 KR2020060012086U KR20060012086U KR200421674Y1 KR 200421674 Y1 KR200421674 Y1 KR 200421674Y1 KR 2020060012086 U KR2020060012086 U KR 2020060012086U KR 20060012086 U KR20060012086 U KR 20060012086U KR 200421674 Y1 KR200421674 Y1 KR 200421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terminal
terminals
wall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2020060012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6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6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단자함에 여러 개의 단자들을 통합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전선 작업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개구된 전면만이 노출되게 벽체에 매립되는 단자함 본체의 그 개구면에 다수개의 분할 벽들을 설치하여 단자 설치 공들을 형성하고, 그 단자 설치 공들을 따라서 전선을 구획 인출하여 혼선 없이 단자를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때문에 하나의 단자함에 여러 개의 단자들을 서로 영향 없이 통합 설치하게 함으로써 단자의 설치가 용이하고 전선 작업이 용이하게 한 것이다.
단자, 단자함, 전화선, 전선

Description

단자함{TERMINAL BOX}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 도,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단자함 110- 단자함 본체
120a, 120b- 단자 설치 공 121- 분할 벽
200- 단자
본 고안은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함의 개방된 부위를 다수 개로 분할하여 그 하나의 단자함에 전선, 인터넷 전용선, 전화선, 안테나선 등의 단자들을 혼선 없이 통합 설치할 수 있게 한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이라고 하면, 단독주택,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
이러한 단자함을 벽체에 매설하기 위해서는 기 준비된 단자함의 개구부를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이어서 뚜껑을 설치한 후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에 의해 단자함이 매입된 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벽체에 매립 설치된 단자함의 개구에는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공을 갖는 브라켓을 설치하게 된다. 이 브라켓의 설치 공을 통해 단자를 고정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단자함은 하나의 단자함에 한가지 종류의 단자만을 설치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하나의 단자함에 서로 상이한 단자들을 설치할 경우에는 그 단자들과 연결되는 예를 들어 전기선과 전화선과 같은 전선들이 혼재되어 각각의 전류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침으로써 혼선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종류의 단자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그 단자의 종류만큼 여러 개의 단자함을 설치해야 하는 설치 작업상의 불편함으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또한 전선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각 단자들을 하나의 단자함에 여러 개의 단자들을 통합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전선 작업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단자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단자함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 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있어서, 내부에 전면만을 개구한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그 개구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벽체에 매립 설치되며, 그 상하면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락하여 상기 전선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인입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이 설치된 단자함 본체; 및 상기 단자함 본체의 개구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다수 개로 설치되는 분할 벽들에 의해서 구획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인입되는 전선들을 서로 혼선이 되지 않게 구분 인출하여 단자를 통합 설치할 수 있게 한 단자 설치 공들을 포함하고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함 본체의 상하면에는 그 단자함 본체를 상기 철근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 돌기들이 다수 열을 지으면서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 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단자함(100)은 건물의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철근에 고정된 채로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과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 단자, 전화기 단자, 인터넷 단자, 스위치 단자, 텔레비젼 단자와 같은 여러 개의 단자(200)들을 통합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자함(100)은 단자함 본체(110)와 단자 설치 공(120a, 120b)들로 대 별(大別)된다.
단자함 본체(110)는 상기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들과 전선들을 수용하기 위한 전면부(120)가 개방된 수용공간(111)을 내부에 형성하고 측벽으로는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113)들을 갖는 사각 형상의 박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공간(111)은 상기 전선 인입구(113)를 통해 인입되는 전선을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개방된 전면부(120)을 통해서 설치되는 두 개 이상의 상기 단자(200)들을 수용하여 상기 전선과 상기 단자(2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전선 인입구(113)들은 상기 단자함 본체(110)의 측벽에 다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벽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을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안내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단자함 본체(110)의 상하에 형성된 측벽 외측으로는 다수개의 텐션을 갖는 고정 돌기(101)들이 다수 열을 지으면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열을 지으면서 돌출된 상기 고정 돌기(101)들은 그 열들 사이에 상기 철근(1)을 끼워 상기 단자함 본체(110)를 고정하는데, 상기 철근(1)이 설치상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단자함 본체(110)가 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단자함 본체(110)에 대한 상기 철근(1)이 고정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서 3열 이상을 지으면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 돌기(101)들이 2열 이상을 이루는 것은 상기 철근(1)의 위치 변동에 따른 오차를 바로 잡기 위함이다. 즉, 상기 철근(1)의 위치가 다소 벌어 져 있더라도 상기 단자함(100)은 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단자함(100)은 철근 콘크리트벽체의 철근(1)들에 고정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 작업으로 원하는 위치의 벽면에 본 고안의 단자함(10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111)의 개방된 전면부(120)는 다수개의 분할 벽(121)들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단자 설치 공(120a, 120b)들로 분할된다.
본 고안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상기 단자 설치 공(120a, 120b)들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단자 설치 공(120a, 120b)들에의 내벽에는 다수개의 나사 공(122)들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 공(122)들에 대응되게 상기 단자(200)들에는 볼트 구멍(미도시)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나사 공(122)들과 상기 볼트 구멍(미도시)들이 서로 맞대어져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단자(200)들이 상기 단자 설치 공(120a, 120b)들에 탈착되게 설치되게 된다.
상기 분할 벽(121)들은 상기 단자 설치 공(120a, 120b)들에 여러 종류의 상기 단자(200)들이 다수 개로 설치되어도 각 단자(200)들에 연결되는 전선들이 혼재되지 않도록 각각의 상기 단자 설치 공(120a, 120b)들을 분할하는 벽을 형성하여 각각의 다른 종류의 상기 단자(200)들이 혼선 또는 합선되지 않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자함(100)에 여러 종류의 상기 단자(200)들이 다수 개로 설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단자(200)들의 설치가 용이하고 여러 종류의 상기 단자(200)들을 설치하기 위해 다수의 단자함(100)들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단자함(100)의 설치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자재 소요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여러 종류의 단자들을 하나의 단자함에서 통합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전선 작업이 편리하도록 하여 실용성과 편리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있어서,
    내부에 전면만을 개구한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그 개구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벽체에 매립 설치되며, 그 상하면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락하여 상기 전선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인입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이 설치된 단자함 본체; 및
    상기 단자함 본체의 개구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다수 개로 설치되는 분할 벽들에 의해서 구획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인입되는 전선들을 서로 혼선이 되지 않게 구분 인출하여 단자를 통합 설치할 수 있게 한 단자 설치 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본체의 상하면에는 그 단자함 본체를 상기 철근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 돌기들이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KR2020060012086U 2006-05-04 2006-05-04 단자함 KR200421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086U KR200421674Y1 (ko) 2006-05-04 2006-05-04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086U KR200421674Y1 (ko) 2006-05-04 2006-05-04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674Y1 true KR200421674Y1 (ko) 2006-07-19

Family

ID=4177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086U KR200421674Y1 (ko) 2006-05-04 2006-05-04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6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8061B1 (en) Recessed electrical box
US10312675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US8748744B2 (en) Electrical box extender assembly
JP6767919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200421674Y1 (ko) 단자함
KR100833876B1 (ko)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EP1961093B1 (en) Ceiling box
KR200255166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200387576Y1 (ko) 단자함
KR100715952B1 (ko) 단자함
KR200401184Y1 (ko) 단자함
JP2004048942A (ja) 多目的配線配管構造材
KR200449000Y1 (ko)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KR200334688Y1 (ko) 천장 매입형 배선함
KR100827605B1 (ko) 건축물 바닥 전기 배선덕트 구조
KR200440703Y1 (ko) 계량기박스 조립체
KR200396739Y1 (ko) 간격유지봉이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KR200392723Y1 (ko) 단자함
KR200274275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377095Y1 (ko) 천장등 고정용 매입형 전선함
KR200386982Y1 (ko) 단자함
KR960002699Y1 (ko) 내.외장 겸용의 분전함체
KR200273537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345877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