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632Y1 - Traction devic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Traction device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632Y1
KR200421632Y1 KR2020060011109U KR20060011109U KR200421632Y1 KR 200421632 Y1 KR200421632 Y1 KR 200421632Y1 KR 2020060011109 U KR2020060011109 U KR 2020060011109U KR 20060011109 U KR20060011109 U KR 20060011109U KR 200421632 Y1 KR200421632 Y1 KR 200421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ist
stator
elevator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10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엘텍
Priority to KR2020060011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63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63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권상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ist applied to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본 고안은 권상기의 주요 보수 부품인 활차, 회전센서, 브레이크, 결선에 대해 보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권상기 전면에서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권상기의 슬림화 실현을 위해 고밀도 정렬권선이 가능하도록 고정자 코어를 분리하여 분할코어 형태로 권선하는 동시에 다시 조합 체결을 가능하게 한 일체형 보조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또 슬림화 실현을 위해 베어링의 내륜 지지를 위한 개선된 베어링 체결구조를 구비하여 권상기 조립과 관련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2개의 브레이크를 일체식으로 조합하여 권상기 본체의 상부 수납공간 내에 설치하는 새로운 브레이크 설치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권상기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고, 견인로프와의 간섭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으며, 권상기의 상부 또는 하부 설치 위치에 따라 권상기를 거꾸로 돌려 설치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등 권상기 설치와 관련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권상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allow for repair at the front of the hoist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pulleys, rotation sensors, brakes, and wirings, which are the main repair parts of the hoist, and to provide high-density alignment winding for the slimmer of the hoist. It is equipped with an integrated auxiliary fixing device that separates and windings in the form of a split core, and enables combined fastening again, and has an improved bearing fastening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for slimming. In addition, the new brake mounting structure for integrally combining the two brakes and installing them in the upper storage space of the hoisting body can reduce the overall volume of the hoisting machine and completely eliminate interference with the towing rope.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upper or lowe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oist By providing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etc. so that you can improve the workability associated with the hoist installation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installing a traction machine turning upside down.

엘리베이터, 권상기, 슬림화, 보수성, 회전센서, 분할코어, 브레이크 Elevator, hoist, slimmer, water repellency, rotation sensor, split core, brake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권상기{Traction device for elevator}Elevator device for elevator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levator hoisting machine

도 2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에서 센서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or installation structure in the elevator ho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4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에서 브레이크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rake installation structure in the elevator ho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에서 분할코어의 조립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ssembly of the split core in the elevator ho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에서 분할코어의 조립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assembly of the split core in the elevator ho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에서 상부에 설치되는 권상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hoist installed on top in the elevator ho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에서 하부에 설치되는 권상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hoist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ho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고정자 11 : 코어10: stator 11: core

12a,12b : 베어링 13 : 컬러12a, 12b: bearing 13: color

14 : 회전자 15 : 영구자석14: rotor 15: permanent magnet

16 : 활차 17 : 로프16: pulley 17: rope

18 : 브라켓 19 : 회전센서18: bracket 19: rotation sensor

20 : 브레이크 21 : 커버 20: brake 21: cover

22 : 센서 안착홈 23 : 센서 브라켓22: sensor seating groove 23: sensor bracket

24 : 돌출턱 25 : 축24: protruding jaw 25: axis

26 : 홀 27 : 보조 브라켓26: hole 27: auxiliary bracket

28 : 코어 브라켓 29a,29b : 내외측 브라켓28: core bracket 29a, 29b: inner and outer bracket

30 : 요부 31 : 브레이크 브라켓30: main part 31: brake bracket

32 : 단자박스32: terminal box

본 고안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권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보수가 가능한 센서 설치구조, 설치가 용이한 콤팩트한 어셈블리 형태의 분할코어, 견인로프와의 간섭을 배제한 브레이크 설치구조 등을 포함하는 권상기를 제공함으로써, 권상기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고 권상기의 설치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ist applied to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nd more particularly, a sensor installation structure capable of front maintenance, a split core of a compact assembly typ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a brake installation structure that eliminates interference with a towing rope. By providing a hoist including a, it can implement a slimming of the hoist and relates to an elevator hoist that can improve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hoist.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권상기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로에는 엘리베이터 카가 권상로프에 연결되어 승객이나 화물을 수직방향으로 운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In general, the elevator is provided with a hoist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forming the hoistway, the elevator car is connected to the hoist rope has a structure that can carry passengers or cargo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렇게 건물 내에서 상층 또는 하층으로의 신속한 이동을 위하여 운행되고 있는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의 내부로 승강로의 소정 위치에 권상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권상기의 활차(Sheave)에 권취된 로프를 이동시킴에 따라 로프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카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작동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elevator, which is operated for rapid movement to the upper or lower floor in the building, is connected to the rope by moving the rope wound on the pulley of the hoist with the hoist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oistway inside the machine room. It consists of an operation that can move the elevator car in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권상기는 권상로프를 걸고 활차를 회전시켜 엘리베이터 카를 구동시켜주는 장치로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엘리베이터 카를 권상로프에 매달아 상하운동을 하도록 감아주는 활차, 엘리베이터 카의 운전 및 정지시 활차의 회전을 정지시켜주거나 정지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브레이크 등으로 구성된다. Here, the hoist is a device for driving an elevator car by hanging the hoisting rope and rotating the pulley, a drive means for providing rotational force, a pulley for suspending the elevator car to the hoisting rope for vertical movement, and a pulley for driving and stopping the elevator car. It is composed of a brake to stop the rotation of or to maintain the stopped state.

이러한 권상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구동수단은 엘리베이터 카의 기동, 가속, 주행, 감속, 착상 및 정지 등의 일련의 운동이 제어되어야 한다. In order to drive an elevator equipped with such a hoist, first, the driving means must control a series of movements such as starting, accelerating, driving, decelerating, stopping and stopping the elevator car by a command of the control unit.

한편, 기존에는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켜주는 장치인 권상기를 건물 상층에 마련한 기계실에 설치하고 보수공간으로 활용하였으나, 최근 건축주 입장에서는 건축비 절감과 사용자 입장에서는 에너지 절감이라는 차원에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많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ast, the hoisting machine, which is a device for elevating elevator cars, was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located in the upper floor of the building and used as a maintenance space. The trend is being applied.

이에 따라, 권상기를 소형화, 슬림화하여 기계실을 없애는 대신에 엘리베이터 카를 움직이는 승강로상에 권상기를 설치하고, 에너지 절감 차원에서 고효율을 갖는 동기전동방식의 권상기가 채택되고 있다. As a result, instead of minimizing and slimming the hoist to eliminate the machine room, a hoist of a synchronous electric drive system is adopted in which a hoist is installed on a hoistway that moves an elevator car and has high efficiency in terms of energy saving.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levator hoisting machin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슬림형 동기전동방식의 권상기는 크게 전동기, 브레이크, 활차, 회전센서 등으로 구분되며, 전동기는 고정자 부분과 회전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hoist of a synchronous electric motor is classified into an electric motor, a brake, a pulley, a rotation sensor, and the like, and an electric motor is divided into a stator part and a rotor part.

도면부호 10은 지지수단의 역할을 하는 고정자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상에 설치가 용이한 형태의 프레임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랙에 부착 고정된다. Reference numeral 10 is a stator that serves as a support means, consisting of a frame structure of the form that is easy to install on the hoistway of the elevator, it is fixed to the elevator structure installation rack.

이러한 고정자(10)는 프레임 구조물이 갖는 강성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양중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내측의 축 형상의 구조물에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을 통해 회전자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stator 10 is capable of receiving a heavy load of the elevator by using the rigidity of the frame structure, and serves to support the rotor through a bearing mounted on the inner axial structure.

또한, 도면부호 11은 고정자에 부착된 코어로서, 고정자(10)의 가장자리 내주면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여자시 회전자와 상호 기전력을 의한 회전토크를 발생시켜 회전자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core attached to the stator, which is loc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dge of the stator 10, and generates power to rotate the rotor by mutual electromotive force when the rotor is excited.

또한, 도면부호 12a 및 12b는 회전을 유도하는 베어링으로서, 엘리베이터에 가해지는 하중을 받고, 외륜은 회전자의 내경에 부착하여 회전하며, 내륜은 고정자 내부의 축에 장착되어 있어 회전지지를 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s 12a and 12b are bearings for inducing rotation, and are subjected to a load applied to an elevator, and the outer ring is attach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rotor to rotate, and the inner ring is mounted on the shaft inside the stator to support rotation. Do it.

여기서, 하중의 집중을 분산하기 위하여 2개의 베어링 사이에 컬러(13)를 끼워 넣어 안정적으로 하중에 대한 지지를 하도록 되어 있다. Here, in order to distribute the concentration of the load, the collar 13 is sandwiched between two bearings to stably support the load.

도면부호 14는 회전을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회전자로서, 활차에 가해지는 로프하중, 즉 엘리베이터의 양중하중을 이겨내며, 회전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Reference numeral 14 is a rotor for performing a role of rotation, and overcomes the rope load applied to the pulley, that is, the heavy load of the elevator, and serves to raise and lower the elevator car through the rotation.

이러한 회전자(14)의 내경은 베어링(12a)의 외륜과 접촉되어 베어링에 의해 회전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되고, 외경에는 코어(11)와 대치되는 영구자석(15)이 구비되어 있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rotor 14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12a to receive a rotation guide by the bearing, the outer diameter is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15 opposed to the core 11.

이에 따라, 코어(11)와 영구자석(15)이 서로 대치되는 원주상에서 일정간격의 에어갭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서 인가시 상호 전자력에 의한 토크가 발생되어 회전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since the core 11 and the permanent magnet 15 are arranged with air gaps of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circumference opposite to each other, torque due to mutual electromagnetic force is generated when applied, and rotation can occur.

또한, 상기 회전자(14)의 전면 일단에는 활차(16)가 삽입되어 있어서 활차(16)에 가해지는 엘리베이터 양중하중을 받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a pulley 16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otor 14 to receive an elevator heavy load applied to the pulley 16.

상기 활차(16)는 회전자 일단에 삽입되어 회전운동을 직접 안내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외경에는 로프를 견착할 수 있도록 V 또는 U자 형태의 홈이 원주상에 여러 개가 가공되어 있다. The pulley 16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rotor to directly guide the rotational movement, and the outer diameter has a plurality of V- or U-shaped grooves are machined on the circumference to adhere the rope.

이에 따라, 활차(16)의 홈에 로프가 안착되어 회전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로프가 움직여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을 양중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rope is seated and rotated in the groove of the pulley 16, whereby the rope is moved by the frictional force to lift the load on the elevator car.

즉, 회전자(14)의 회전을 엘리베이터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며, 엘리베이터의 양중하중을 회전자(14)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at is, the rotation of the rotor 14 is converted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elevator, and serves to transfer the heavy load of the elevator to the rotor (14).

도면부호 18은 회전자(14)의 회전을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12a)의 외륜을 축방향으로 밀착시켜 이탈을 방지시켜주는 브라켓을 나타낸다. Reference numeral 18 denotes a bracket that closes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12a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rotor 14 in the axial direction to prevent the detachment.

또한, 상기 브라켓(18)의 중앙에는 축이 돌출되어 있고 이렇게 돌출된 축은 고정자 축의 관통홀을 통해 뒷쪽까지 연장되어 있다. In addition, a shaft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bracket 18, and the protruding shaft extends to the rear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tator shaft.

도면부호 19는 회전센서로서, 브라켓(18)의 축에 삽입되어 축의 회전, 즉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Reference numeral 19 is a rotation sensor, which is inserted into the shaft of the bracket 18 serves to detect the rotation of the shaft, that is, the rotation position.

상기 회전센서(19)의 감광디스크는 회전자(14)와 함께 회전하며, 센서 몸체는 고정자(10)에 고정된다. The photosensitive disk of the rotation sensor 19 rotates with the rotor 14, and the sensor body is fixed to the stator 10.

도면부호 20은 내확장형 브레이크로서, 고정자(10)의 내측 돌출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자(14)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해 브레이크 외경을 확장시키고 여기에 마찰패드가 부착되어 있어 회전자(14)에 밀착시킴으로써 제동이 이루어진다.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n extension type brake, which is fixed to the inner protrusion of the stator 10, expands the outer diameter of the brake to brake the rotation of the rotor 14, and attaches a friction pad to the rotor 14. Braking is achieved by close contact with

도면부호 21은 브레이크와 회전센서의 보수를 위한 커버이다. Reference numeral 21 is a cover for repair of the brake and the rotation sensor.

이와 같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권상기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상에 설치됨으로 인해 설치 및 보수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게 된다. As such, 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the hoisting machine is placed on an elevator hoistway, and thus,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space is restricted.

즉, 엘리베이터 승강로상에 권상기를 설치하는 방향에 따라, 다시 말해 활차의 장착부위가 어느 쪽을 향하고 있느냐에 따라 회전센서의 보수나 교체 작업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That i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ist is installed on the elevator hoistway, that is, in which direction the mounting part of the pulley is directed, i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rotation sensor.

예를 들면, 활차가 엘리베이터 카쪽을 향하고 있을 때 회전센서의 위치가 반대쪽에 있기 때문에 강제로 엘리베이터 카를 고정시키고, 로프를 해체시킨 상태에서만 회전센서의 교체 및 보수 작업이 가능하며, 결국 이렇게 엘리베이터 카를 고정시키고 로프를 해체하는 작업 등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For example, when the pulley faces the elevator car,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sensor is on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elevator car is forcibly fixed and the rotation sensor can be replaced and repaired only when the rope is dismantled. And dismantling ropes can be very cumbersome and time consuming.

또한, 권상기를 승강로상에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권상기의 상하부 위치에 따 른 방향설정 등 그 설치작업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hoist is installed on the hoistway, it is a reality that the hoisting machine greatly influences the installation work such as setting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hoist.

따라서, 권상기의 슬림화 및 소형화 관점에서 승강로 사이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능한 권상기의 축방향 길이를 축소화하고, 회전센서의 용이한 교체 및 보수 작업을 위한 구조 개선 등이 필요하다.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slimming and miniaturization of the hois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xial length of the hoist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between the hoists and improve the workability, and to improve the structure for easy replacement and maintenance of the rotation sensor. .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권상기의 주요 보수 부품인 활차, 회전센서, 브레이크, 결선에 대해 보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권상기 전면에서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point, and its purpose is to enable repair at the front of the hoist to facilitate repair for the pulley, rotation sensor, brake, and wiring which are main repair parts of the hois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권상기의 슬림화 실현을 위해 고밀도 정렬권선이 가능하도록 고정자 코어를 분리하여 분할코어 형태로 권선하는 동시에 다시 조합 체결을 가능하게 한 일체형 보조 고정장치를 제공하고, 또 슬림화 실현을 위해 베어링의 내륜 지지를 위한 개선된 베어링 체결구조를 제공하여 권상기 조립과 관련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ne-piece auxiliary fixing device that separates the stator core to enable high-density alignment winding to realize the slimming of the hoisting machine, winding it in the form of a split core, and allowing combination fastening again. It is to provide an improved bearing fastening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to improve the workability associated with the hoist assembly.

또한, 본 고안은 2개의 브레이크를 일체식으로 조합하여 권상기 본체의 상부 수납공간 내에 설치하는 새로운 브레이크 설치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권상기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고, 견인로프와의 간섭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으며, 권상기의 상부 또는 하부 설치 위치에 따라 권상기를 거꾸로 돌려 설치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등 권상기 설치와 관련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brake installation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two brakes integrally and installed in the upper receiving space of the hoisting body,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volume of the hoisting machine and completely eliminating interference with the towing rop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pper or lowe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oist, there is another object to improve the workability associated with the hoist installation, such as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turning the hoisting machine upside dow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코어를 갖는 동시에 회전자의 지지를 위한 고정자와, 상기 코어와 대치되는 영구자석을 가지면서 베어링을 통해 고정자상에 지지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상에 장착되어 로프를 움직여주는 활차와, 상기 베어링의 지지를 위한 브라켓과, 상기 회전자의 회전 감지를 위한 회전센서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센서는 고정자의 중공축 선단부에 형성되는 센서 안착홈 내에 수납되면서 센서 브라켓에 의해 고정자의 중공축 선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은 안쪽면의 돌출턱을 통해 베어링의 외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축을 통해 회전센서와 조합되면서 회전자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을 분리함에 따라 권상기 전면에서 회전센서의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tator for supporting the rotor at the same time having a core, a rotor supported on the stator through a bearing while having a permanent magnet opposed to the core and is mounted on the rotor In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comprising a pulley for moving a rope, a bracket for supporting the bearing, a rotation sensor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rotor, and a brake for rotating braking of the rotor, the rotation sensor includes a stator. It is stored in the sensor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hollow shaft tip of the fixed to the hollow shaft front end surface of the stator by the sensor bracket, the bracket prevents the departure of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through the protruding jaw of the inner surface while at the same time the rotation sensor It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otor while being combined with, the rotation sensor in front of the hoist as the bracket is separated It characterized in that a repair is to be.

또한, 상기 브라켓에는 센서 브라켓을 체결하고 있는 볼트를 용이하게 풀기 위한 다수 개의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for easily loosening the bolts that fasten the sensor bracket.

또한, 상기 브라켓의 내측으로는 고정자의 중공축 선단면에 고정되면서 베어링의 내륜을 지지하는 보조 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bracket for supporting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while being fixed to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hollow shaft of the stator.

또한, 상기 보조 브라켓은 얇은 캡형상으로 이루어져 볼트 체결구조로 고정자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bracket is made of a thin cap sha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stator side by a bolt fastening structure.

또한, 상기 코어는 코어 브라켓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원형상의 분할코어 조합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코어 브라켓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2개의 내외측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re is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split core combination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core bracke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re bracket and is supported by two inner and outer brackets positioned between the core brackets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브레이크는 고정자의 프레임 상부에 마련되는 요부 내에 배치되면서 고정자의 프레임상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권상기의 상하부 설치위치와 관계없이 로프와의 간섭이 배제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rake is disposed in a reces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of the stator and is supported by a brake bracket fixed on the frame of the stator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rope can be excluded regardless of the upper and lower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hoist.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브레이크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단자박스는 브레이크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고정자의 프레임 전면에 고정되어 권상기 전면에서 결선 관련한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erminal box for providing power to the brake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ke, respectively,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frame of the st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related maintenance from the front of the hoisting machine is possib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에서 센서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여기서는 권상기 전면에서 회전센서의 보수를 가능하게 해주는 구조를 보여준다. 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nsor installation structure in the elevator ho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shows a structure that enables the repair of the rotation sensor in the front of the hoist.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자(10)는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승강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10)의 전면에는 회전자(14)와 활차(16)가 동심원상으로 차례로 배치되며, 이때의 회전자(14)는 고정자(10)가 갖는 축상에 2개의 베어링(12a),(12b)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활차(16)는 회전자(14)와 일체식으로 조립되어 회전자(14)와 함께 회전하면서 로프를 움직여줄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stator 10 in the form of a frame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hoistway of the elevator structure, the rotor 14 and the pulley 16 in the front of the stator 10 is concentric circles The rotor 14 is rotatably coupled via two bearings 12a, 12b on the shaft of the stator 10, and the pulley 16 is rotated. It is assembled integrally with) and can move the rope while rotating with the rotor (14).

여기서, 상기 회전자(14)의 구동방식은 코어와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Here, the driving method of the rotor 14 may adopt a method using a core and a permanent magnet.

특히, 상기 고정자(10)의 축은 중공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의 중공축 선단부 내측으로는 센서 안착홈(22)이 조성되어 이곳에 회전센서(19)를 삽입 장착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shaft of the stator 10 is made of a hollow shaft, the sensor seating groove 22 is formed inside the hollow shaft tip portio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rotation sensor 19 therein.

이렇게 고정자(10)에 있는 센서 안착홈(22) 내에 회전센서(19)를 장착함에 따라 고정자(10)의 가장 앞쪽, 즉 승강로쪽에 회전센서(19)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Thus, by mounting the rotation sensor 19 in the sensor seating groove 22 in the stator 10,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rotation sensor 19 in the front of the stator 10, that is, the hoistway.

상기 회전센서(19)는 중공형태로 되어 있으며, 내경에 회전감지센서를 부착한 부시와 후술하는 센서 브라켓(23)을 장착한 고정 몸체로 구성된다.The rotation sensor 19 is of a hollow shape, and consists of a bush to which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is attached to the inner diameter and a fixed body to which the sensor bracket 23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상기 부시의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브라켓(18)의 축(25)을 끼울 수 있게 되고, 이때의 결합부위에는 키가 박혀 있어 회전자(14)의 회전시 브라켓(18)과 부시는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The shaft 25 of the bracket 18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into the bush, and the coupling portion at this time is embedded with a key so that the bracket 18 and the bush can be rotated together when the rotor 14 is rotated. It becomes possible.

이러한 회전센서(19)는 고정 몸체에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센서 브라켓(23)을 이용하여 고정자(10)의 중공축 선단면에 체결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권상기 전면에서 센서 브라켓(23)을 체결하고 있는 볼트를 풀면 곧바로 회전센서를 분리한 후 보수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The rotation sensor 19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hollow shaft of the stator 10 by using at least two sensor brackets 23 mounted on the fixed body, accordingly the sensor bracket ( 23) If you loosen the bolt that fastens, you can remove the rotation sensor and take repairs.

또한, 상기 브라켓(18)은 대략 원판형태의 몸체를 갖고 있으며, 그 안쪽면에는 중심부에 축(25)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약간 들어온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는 돌출턱(24)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In addition, the bracket 18 has a substantially disc-shaped body, the inner surface of the shaft (25) extending at a constant length at the center and at the same time slightly protru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position slightly entered inward from the edge ( 24) is formed in the form.

이러한 브라켓(18)은 회전자(14)의 전면 중심부에 체결 고정되며, 안쪽에 있는 돌출턱(24)을 이용하여 회전자(14)와 고정자(10) 간에 개재되어 있는 베어링(12a),(12b)의 외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bracket 18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ront center of the rotor 14, the bearing 12a,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rotor 14 and the stator 10 by using the protruding jaw 24 in the inside (( 12b)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outer ring.

즉, 베어링(12a),(12b)이 중공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at is, the bearing 12a, 12b serves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hollow shaft.

또한, 브라켓(18)의 축(25)은 회전센서(19)측에 관통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haft 25 of the bracket 18 is coupled through the rotation sensor 19 side.

이에 따라, 회전자(14)가 회전하면 브라켓(18) 및 회전센서(19)의 부시가 함께 회전되고, 결국 회전센서(19)는 회전자(14)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rotor 14 rotates, the bracket 18 and the bush of the rotation sensor 19 rotate together, and the rotation sensor 19 can detect the rotation of the rotor 14.

특히, 상기 브라켓(18)에는 중심부의 두께를 관통하는 다수 개의 홀(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홀(26)을 통해 그 안쪽으로 위치되는 회전센서(19)의 체결부위에 대한 볼트 해체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bracket 18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26 penetrating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the bolt dismantled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rotation sensor 19 located inward through the hole 26 at this time You can work on it.

또한, 브라켓(18)의 내측에는 고정자(10)의 중공축 선단면에 고정되는 얇은 캡형상의 보조 브라켓(27)이 위치되고, 이때의 보조 브라켓(27)에 의해 베어링(12a),(12b)의 내륜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Further, inside the bracket 18, a thin cap-shaped auxiliary bracket 27 fixed to the hollow shaft tip surface of the stator 10 is positioned, and the bearings 12a and 12b are supported by the auxiliary bracket 27 at this time. The inner ring of the can be supported.

이에 따라, 상기 베어링(12a),(12b)은 2개의 브라켓에 의해 그 내륜과 외륜이 지지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결국 고정자(10)와 회전자(14) 간의 결속관계가 한층 견고해질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inner and outer rings of the bearings 12a and 12b are supported by two brackets, so that the bearings 12a and 12b can be more firmly mounted, and thus, the bi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or 10 and the rotor 14 can be maintained. Can be further strengthened.

특히, 상기 보조 브라켓(27)은 기존과 같이 많은 나사산을 필요로 하는 너트 체결방식이 아닌 볼트 체결구조로 고정자(10)측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권상기의 축방향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결국 권상기를 좀 더 슬림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auxiliary bracket 27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stator 10 side by a bolt fastening structure rather than a nut fastening method that requires a large number of threads as before, thereby reducing the axial length of the hoisting machine. An effect can be obtained, and eventually, there is an advantage of making the hoist thinner.

따라서, 회전센서의 보수를 위한 작업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브라켓(18)의 홀(26)을 통해 센서 브라켓(23)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를 풀면, 회전센서(19)를 고정자(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계속해서 회전자(14)상의 브라켓(18)을 분리 후 제거하면, 회전센서(19)를 밖으로 떼어낼 수 있으므로, 권상기 전면에서 회전센서의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looking at the operation sequence for the repair of the rotation sensor, first loosen the bolt fastened to the sensor bracket 23 through the hole 26 of the bracket 18, the rotation sensor 19 is separated from the stator 10 If the bracket 18 on the rotor 14 is detached and then removed, the rotation sensor 19 can be detached out, so that the maintenance work of the rotation sensor can be easily performed at the front of the hoisting machine. .

도 4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에서 브레이크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여기서는 고정자에 마련한 요부에 브레이크를 설치함에 따라 권상기의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브레이크 구동을 위한 결선부를 권상기 전면에서 보수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rake installation structure in the elevator ho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by installing the brake in the recess provided in the stator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limmer of the hoisting machine, and to repair the connection part for driving the brake from the front of the hoist. Show the structur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자(10)의 프레임 상부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요부(30)가 마련되고, 이곳에 브레이크(20)가 위치됨으로써, 브레이크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게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recess 30 has a recessed shap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of the stator 10, and the brake 20 is located therein, so that a separate space for the brake is not required.

즉, 상기 브레이크(20)는 고정자(10)에서부터 회전자(14)를 거쳐 활차(16)로 이어지는 축방향 길이에 대하여 중첩되는 그 윗쪽에 위치됨으로써, 브레이크 설치로 인해 축방향의 길이가 전혀 연장되지 않게 되고, 결국 권상기의 슬림화에 일조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brake 20 is located above it overlapping with respect to the axial length leading from the stator 10 to the pulley 16 via the rotor 14, thereby extending the axial length at all due to the brake installa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ontributes to the slimming of the hoisting machine.

이러한 브레이크(20)는 요부(30)를 가로질러 배치되면서 고정자(10)의 프레임측에 체결 고정되는 브레이크 브라켓(31)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brake 20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on the brake bracket 31 fastened and fixed to the frame side of the stator 10 while being disposed across the recess portion 30.

또한, 상기 브레이크(20)는 회전자 디스크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정지 상태 를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서, 하나의 브라켓상에 설치되는 동시에 2개의 독립적으로 개별 작동하는 브레이크를 조합한 콤팩트한 형태의 이중 브레이크로 이루어져 있다. In addition, the brake 20 stops or maintains the rotation of the rotor disk, and is a compact double brake that is installed on one bracket and combines two independently operated brakes. Consists of

이렇게 상기 브레이크(20)가 고정자(10)에 마련되어 있는 요부(30)에 콤팩트한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권상기의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되고, 로프(17)의 통과가 수월하여 권상기 설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Thus, as the brake 20 is installed in the recess 30 provided in the stator 10 in a compact structure, the overall size of the hoisting machine can be reduced, and the passage of the rope 17 is facilitated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in installing the hoisting machine. It becomes possible.

예를 들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권상기의 경우 승강로 상부, 하부 설치위치에 따라 권상기를 거꾸로 돌려 설치하는 불편함을 배제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hois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clude the inconvenience of turning the hoisting machine upside down according to the upper and lower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hoistway.

이를 위하여, 권상기의 상부, 즉 고정자(10)의 상부 요부(30)에 있는 브레이크 브라켓(31)상에 2개의 브레이크 조합형태의 콤팩트한 이중 브레이크를 배치함으로써, 권상기를 승강로 하부에 설치하는 경우 로프(17)의 방향이 위로 향하게 되어도 간섭을 배제할 수 있고, 또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에 로프(17)의 방향이 아래를 향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로프(17)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To this end, by placing a compact double brake in the form of two brake combinations on the brake bracket 31 at the upper part of the hoist, i.e., the upper recess 30 of the stator 10, the rope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Interference can be eliminated even if the direction of (17) is upward, and the direction of the rope 17 is directed downward when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even when interference with the rope 17 can be excluded.

또한, 본 고안의 권상기는 브레이크 구동을 위한 결선부를 전면에서 보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hois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repairing the connection portion for the brake drive from the front.

이를 위하여, 고정자(10)의 프레임 전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모터 동력선 결선 및 리미트 스위치 결선을 위한 단자박스(32)가 배치되고, 이때의 단자박스(32)의 내부에는 결선단자대가 구비된다. To this end, terminal boxes 32 for motor power line connection and limit switch connection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front of the stator 10, and a connection terminal block is provided inside the terminal box 32 at this time.

상기 모터 동력선은 좌측과 우측의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고, 브레이크 동력선은 하부의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다. The motor power line is drawn out through the left and right outlets, and the brake power line is drawn in through the lower inlets.

따라서, 결선과 관련한 보수시 좌우측 단자박스의 커버를 체결하고 있는 볼트를 전면에서 풀면, 결선 관련 보수가 권상기 전면에서 가능하다. Therefore, if the bolts that fasten the cover of the left and right terminal box during the repair related to the wiring from the front, the connection related repair is possible from the front of the hoist.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에서 분할코어의 조립 전/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여기서는 고정자측에 결합되는 코어를 분할형태로 구성하고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지지시켜주는 예를 보여준다. Figure 6 an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assembly of the split core in the elevator hois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shows an example of configuring the core coupled to the stator side in a split form and using a separate bracket to support it. .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1)는 원형상의 분할코어 조합형태를 이루면서 코어 브라켓(28)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이렇게 조합된 분할코어는 2개의 브라켓, 즉 코어 브라켓(28)을 사이에 두고 체결 결합되면서 고정자(10)측에 고정되는 내측 브라켓(29a)과 외측 브라켓(29b)에 의해 지지된다.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core 11 is arranged along the edge of the core bracket 28, forming a circular split core combination, and the combined split cores are divided into two brackets, namely core brackets. (28) is supported by the inner bracket (29a) and the outer bracket (29b) fixed to the stator 10 side while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이때, 코어 브라켓(28)과, 내측 브라켓(29a) 및 외측 브라켓(29b)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ore bracket 28, the inner bracket (29a) and the outer bracket (29b) is more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precision.

이와 같이, 고밀도 정렬 권선이 가능하도록 고정자측에 장착되는 코어를 분리하여 분할코어 상태에서 권선하고, 이를 다시 브라켓을 이용하여 조합 체결함으로써, 권상기의 슬림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by separating the core mounted on the stator side to enable high-density alignment winding, winding in a split core state, and combining it again using a bracket, slimming of the hoisting machine can be realized.

이를 위하여, 코어 브라켓(28)을 갖는 분할코어를 각각 정렬권선하여 원형상의 분할코어의 조합형태로 구성하고, 이를 고정 및 유지하기 위해 원형의 내측 브라켓(29a)과 외측 브라켓(29b)을 코어 브라켓(28)과 함께 체결 조립함으로써, 콤팩트한 일체형의 분할코어 세트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the divided cores having the core brackets 28 are aligned and wound to form a combination of circular divided cores, and the circular inner bracket 29a and the outer bracket 29b are core brackets for fixing and retaining them. By fastening and assembling together with (28), it is possible to complete a compact integral split core set.

이때, 코어 브라켓(28)과, 내측 브라켓(29a) 및 외측 브라켓(29b)을 일체형 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At this time, the core bracket 28, the inner bracket (29a) and the outer bracket (29b) can be formed integrally as described above.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에서 상부/하부에 설치되는 권상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hoist installed in the upper /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ho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권상기는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승강로상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데, 이때 상부와 하부의 그 위치에 관계없이 정상적인 자세, 즉 브레이크가 윗쪽으로 가도록 바로 세워진 자세로 설치해도 로프와의 간섭(특히 브레이크와 관련된 간섭)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권상기 설치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7 and 8, the hoist is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n the hoistway of the elevator structure, respectively, in this normal posture, that is, the upright position so that the brakes go upward regardless of th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 installation can also eliminate interference with the rope (especially brake-related interference), which makes the hoist installation work faster and easier.

즉, 상부 및 하부의 설치위치에 따라 권상기를 거꾸러 돌려 설치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That is, the inconvenience of installing by turning the hoisting machine upside dow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op and bottom can be eliminated.

또한, 회전센서나 결선부가 모두 권상기 전면쪽으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권상기 전면에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권상기의 설치작업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보수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both the rotation sensor and the wiring portion are located toward the front of the hoisting machine, maintenance work can be performed from the front of the hoisting machine, and thus, the overall maintenance work as well as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hoisting machine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권상기에서 주요 보수 부품인 회전센서와 각종 결선을 권상기 전면에서 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활차와 브레이크의 보수 방향과 동일하게 하여 보수성을 향상시켰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otation sensor and various wirings, which are the main repair parts, to be repaired at the front of the hoist in the hoist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thereby improving the repairability in the same way as the conventional pulley and brake. .

또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권상기에서 가장 핵심요소인 슬림화 실현을 위하여 콤팩트한 고정자 조립을 위해 일체형 보조 고정브라켓으로 정렬 권선된 분할코어를 조합함으로써, 분할코어의 조합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조립성 및 정밀도를 향상시켰고, 새롭게 개선한 베어링 체결구조를 통하여 축방향 길이를 줄여 슬림화 달성에 기여하였다.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split cores can be made smoothly by combining the split cores that are aligned and wound by an integrated auxiliary fixing bracket for the compact stator assembly to realize the slimming, which is the most essential element in the hoist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nd improved precision, and the newly improved bearing fastening structure reduces the axial length and contributes to the slimming.

또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좁은 공간에서 설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구조와 고정자 하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승강로 상하부 어느 위치에서도 권상기를 뒤집지 않고 정 위치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브레이크 브라켓 형상과 고정자 수납구조에 의한 수납공간 확보로 권상기 콤팩트화를 구현하였다. In addition, by improving the brake structure and the lower part of the stator in order to improve the installation in the narrow space of the elevator system without the machine room,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the correct position without turning the hoist in any position above and below the hoistway, the shape of the brake bracket and stator Compacting the hoisting machine by securing the storage space by the storage structure.

Claims (7)

코어(11)를 갖는 동시에 회전자(14)의 지지를 위한 고정자(10)와, 상기 코어(11)와 대치되는 영구자석(15)을 가지면서 베어링(12a),(12b)을 통해 고정자(10)상에 지지되는 회전자(14)와, 상기 회전자(14)상에 장착되어 로프(17)를 움직여주는 활차(16)와, 상기 베어링(12a),(12b)의 지지를 위한 브라켓(18)과, 상기 회전자(14)의 회전 감지를 위한 회전센서(19)와, 상기 회전자(19)의 회전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2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에 있어서,The stator 10 has a core 11 and a stator 10 for supporting the rotor 14, and a permanent magnet 15 opposed to the core 11, through the bearings 12a and 12b. 10, a rotor 14 supported on the rotor 14, a pulley 16 mounted on the rotor 14 to move the rope 17, and a bracket for supporting the bearings 12a and 12b. In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comprising a 18, a rotation sensor 19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rotor 14, and a brake 20 for rotating braking of the rotor 19, 상기 회전센서(19)는 고정자(10)의 중공축 선단부에 형성되는 센서 안착홈(22) 내에 수납되면서 센서 브라켓(23)에 의해 고정자(10)의 중공축 선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18)은 안쪽면의 돌출턱(24)을 통해 베어링(12a),(12b)의 외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축(25)을 통해 회전센서(19)와 조합되면서 회전자(14)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을 분리함에 따라 권상기 전면에서 회전센서의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The rotation sensor 19 is fixed to the hollow shaft front end surface of the stator 10 by the sensor bracket 23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ensor seating groove 22 formed in the hollow shaft front end of the stator 10. 18 prevents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s 12a, 12b through the protruding jaw 24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otor 14, while being combined with the rotation sensor 19 through the shaft 25, the front of the rotor 14 Is coupled to, the elevator hoister, characterized in that to enable the repair of the rotation sensor in front of the hoisting machine by removing the bra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8)에는 센서 브라켓(23)을 체결하고 있는 볼트를 용이하게 풀기 위한 다수 개의 홀(2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bracket (18)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26) for easily releasing the bolts fastening the sensor bracket (2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8)의 내측으로는 고정자(10)의 중공축 선단면에 고정되면서 베어링(12a),(12b)의 내륜을 지지하는 보조 브라켓(2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According to claim 1 or 2, Inside the bracket 18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bracket (27) for supporting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12a, 12b) while being fixed to the hollow shaft front end surface of the stator (10) Elevator traction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라켓(27)은 얇은 캡형상으로 이루어져 볼트 체결구조로 고정자(10)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auxiliary bracket (27) has a thin cap shape and is fixed to the stator (10) side by a bolt fastening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11)는 코어 브라켓(28)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원형상의 분할코어 조합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 브라켓(28)과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코어 브라켓(28)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2개의 내외측 브라켓(29a),(29b)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2. The core bracket of claim 1, wherein the core 11 is formed of a circular split core combination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core bracket 28,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re bracket 28.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which is supported by two inner and outer brackets (29a) and (29b) positioned with each other therebetwe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20)는 고정자(10)의 프레임 상부에 마련되는 요부(30) 내에 배치되면서 고정자(10)의 프레임상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브라켓(31)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권상기의 상하부 설치위치와 관계없이 로프와의 간섭이 배제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rake 20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brake bracket 31 is fixed in the frame of the stator 10 is disposed in the recess 3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of the stator 10 Elevator hois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ference with the rope can be excluded regardless of the upper and lowe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ois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20)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단자박스(31)는 브레이크(20)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고정자(10)의 프레임 전면에 고정되어 권상기 전면에서 결선 관련한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2. The terminal box 31 for providing power to the brake 20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frame of the stator 10 while being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ke 20. Elevator hois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60011109U 2006-04-25 2006-04-25 Traction device for elevator KR20042163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109U KR200421632Y1 (en) 2006-04-25 2006-04-25 Traction device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109U KR200421632Y1 (en) 2006-04-25 2006-04-25 Traction device for elev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246A Division KR20070105150A (en) 2006-04-25 2006-04-25 Traction device for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632Y1 true KR200421632Y1 (en) 2006-07-14

Family

ID=4177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109U KR200421632Y1 (en) 2006-04-25 2006-04-25 Traction device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63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518B1 (en) * 2014-09-30 2015-03-19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 Elevator including standby electricity gen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518B1 (en) * 2014-09-30 2015-03-19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 Elevator including standby electricity gen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9596B (en) Lift and lift drive machinery
CN102471028A (en) Elevator machine with external rotor and motor within traction sheave
CN108689283B (en) Traction machine and elevator
KR100784923B1 (en) Traction device for elevator
WO2005080251A1 (en) Elevator hoist
KR20070105150A (en) Traction device for elevator
JP2004338915A (en) Hoisting machine for elevator
JP4476809B2 (en) Elevator drive device
KR200421632Y1 (en) Traction device for elevator
JP5048802B2 (en) Thin hoisting machine for elevator and elevator device
JP2010143661A (en) Hoisting machine for elevator, and driving motor therefor
WO2005080818A1 (en) Brake device and hoist for elevator
CN100369798C (en) Thin hoist for elevator
JP2013040033A (en) Hoisting machine for elevator
WO2005068338A1 (en) Elevator hoist
WO2005049472A3 (en) Elevator suspension arrangement
JP2005247514A (en) Hoisting machine for elevator
JP7261320B2 (en) Hoist and elevator
KR20040019493A (en) Slimming type traction machine
JP4312553B2 (en) Traction elevator hoisting machine
KR100343982B1 (en) Traction machine for elevator
KR100571537B1 (en) Elevator hoist
KR100451316B1 (en) Slimming type traction machine
JP4522181B2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KR100790654B1 (en) Elevator ho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