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476Y1 -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 Google Patents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476Y1
KR200421476Y1 KR2020060009824U KR20060009824U KR200421476Y1 KR 200421476 Y1 KR200421476 Y1 KR 200421476Y1 KR 2020060009824 U KR2020060009824 U KR 2020060009824U KR 20060009824 U KR20060009824 U KR 20060009824U KR 200421476 Y1 KR200421476 Y1 KR 200421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caster
elastic member
groove
stee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수
장병택
Original Assignee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9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4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는 판형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내부에 수직하향으로 수납하되 탄성부재의 상.하부가 외부로 부분 노출되도록 하는 메인조향축과, 상기 메인조향축을 조향수단에 관통되게 결합시킨 다음 외부로 노출시킨 탄성부재의 상부와 결합시키면서 조향수단에 고정되는 비틀림커버와, 상기 조향수단에 결합된 메인조향축을 경사부에 관통시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한다.
보드, 방향성 캐스터, 탄성부재, 탄성력, 원위치, 복귀

Description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Original location return system of direction whee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장착한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장착한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저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장착한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장착한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설치한 보드의 전진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설치한 보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드 11 : 간섭방지홈
16 : 미끄럼방지커버 17 : 회전방지수단
17a: 내입홈 17b : 돌출블럭
17c: 삽입블럭 17d: 끼움홈
20 : 경사부 21 : 고정공
22 : 고정단턱 30 : 캐스터수단
31 : 브라켓 32 : 스토퍼
40 : 조향수단 41 : 결합공
42 : 결합홈 43 : 결합단턱
44 : 회전방지홈 45 : 각도조절홈
200 : 복귀장치 210 : 탄성부재
220 : 메인조향축 221 : 고정축
221a: 고정홀 221b: 플랜지
221c : 숫나사 222 : 받침블럭
222a : 베어링 223 : 회전방지블럭
223a : 끼움홈 230 : 비틀림커버
231 : 끼움홈 232 : 고정돌기
333 : 회전방지턱 240 : 고정수단
241 : 고정부재 243 : 체결부재
본 고안의 방향성 캐스터 원위치 복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드에 결합되는 조향수단의 내부에 판형의 탄성부재를 통하여 롤링되는 보드의 전진방향과 동일한 위치로 캐스터수단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드의 전진속도 및 운전상태를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 캐스터 원위치 복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케이트보드는 운전자의 한쪽 발을 바퀴가 부착된 보드에 지지한 다음 진행 방향으로 다른 쪽 발을 지면에서 밀어 추진력을 부여하고 가속이 붙은 상태에서 두 발을 보드의 상면에 올린 상태에서 앞발과 뒷발의 위치점을 상호 역방향으로 번갈아 교차시켜 스케이트보드가 파형적 동선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스케이트보드에서 운전자 스스로 지면을 발로 굴러 인위적인 추진력을 발생시켜 전진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스케이트보드의 전진력에 한계가 있어 운동에 대한 흥미성을 떨어뜨렸으며, 캐스터의 독립적 조향 회전이 불가능하여 조향능력이 떨어져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 들어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운전자가 발로 지면을 구르지 않고 보드를 반복적으로 비틀림 운동시켜 전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보드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보드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2003-25663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앞보드(10)와 뒷보드(20)를 이격상태로 고정시키는 연결요소를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보드(10,20)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레이트(11,21)의 저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방향성 캐스터(13,2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요소는 비틀림 또는 굽힙 탄성복원 할 수 있도록 탄성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케이스트보드는 운전자가 앞보드(10)상의 발을 진행방향의 오른쪽으로 기울이면 앞보드(10)의 방향성 캐스터(13)의 롤러아암(35)은 그 반대방향인 왼쪽으로 돌아가게 되고 롤러(36)는 오른쪽을 향하여 구르게 됨으로써 오른쪽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반대로 운전자가 뒷보드(20)상의 발을 진행방향의 오른쪽으로 기울이면 뒷보드(20)의 방향성 캐스터(23)의 롤러아암(25)은 반대방향인 왼쪽으로 돌아가고 롤러(26)은 오른쪽을 향하여 구르게 되며 뒷보드(20)가 오른쪽 회전을 하는 결과 전체적으로 왼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두 경우를 바탕으로 앞보드(10)는 진행방향의 오른쪽으로 기울이고 뒷보드(20)는 왼쪽으로 기울이면 전체적으로 작은 반경의 오른쪽 회전이 이루어져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는 분리된 앞보드(10)와 뒷보드92009에 단수개로 캐스터(13,23)를 각각 장착시킴에 따라 연결요소를 통하여 앞보드(10)와 뒷보드(20)의 비틀림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보드의 균형을 잡기가 어려워 스케이트보드를 타기가 까다롭고, 장시간의 숙련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초보자의 경우 쉽게 흥미감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보드의 운행이 시작 또는 끝나는 시점에서는 운행속도가 "0"에 가까워 보드의 평형감과 균형감을 유지하기가 더욱 곤란하여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유발 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앞보드(10)에 단수개의 캐스터(13,23)를 장착하고 뒷보드(2009에 한쌍의 캐스터를 대응되게 장착한 경우 보드의 안전성은 보장 받을 수 있으나, 독립적으로 장착된 한 쌍의 캐스터(13,23)의 지지력에 의해 뒷보드(20)에 비틀림을 발생시킬 수 없어 보드의 전진력을 발생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보드의 운행 중 뒷 보드(20)에 비틀림을 무리하게 부여하여 기울일 때 시소현상에 의해 한 쌍의 캐스터 중 하중을 부담하는 캐스터의 반대 방향 캐스터가 지며에서 뜨게 되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즉, 운전자가 보드(10,20)의 전진을 위하여 보드(10,20)를 한쪽 방향으로 기울일 때 보드(10,20)의 하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캐스터(13)에 무게 중심이 한 쪽 방향의 캐스터(13)에만 집중되면서 시소현상으로 반대방향의 캐스터(13)가 지면에서 뜨게 됨에 따라 보드(10,20)의 균형성 및 평형성을 잃게 하여 보드(10,20)가 쉽게 전복되어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보드가 전복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는 스케이트보드의 회전반경을 크게 하여 운전할 수밖에 없어 스케이트보드의 스피드와 순간적 조향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리형 보드의 연결수단에 비틀림력을 발생시키는 판 스프링을 개재시킴에 따라 두 보드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경우에 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보드의 진행성 및 속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판스프링의 적용에 따라 분리형 보드에만 적용 가능함에 따라서 스케이트보드의 다양한 종류에 따라 적용되는 범위가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보드의 롤링시 방향성 캐스터가 보드의 진행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여 보드의 전진속도 및 운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드의 조향수단과 보드의 결합부분에 판형의 탄성부재를 내설하여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의 결합부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결합구조를 단순화시켜 보드의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향수단에 각도조절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각도조절홈에 의해 가이드되는 스토퍼를 캐스터수단에 설치하여 한 쌍의 방향성 캐스터의 조향 각도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한 보드의 운전상황을 보장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는 보드의 하부면에 형성시킨 경사부에 자유회전이 가능한 한 쌍의 캐스터수단를 장착한 조향수단을 결합하고 미끄럼방지커버를 상면에 장착한 보드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방향성 캐스터에 있어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내부에 수직하향으로 수납하되 탄성부재의 상.하부가 외부로 부분 노출되도록 하는 메인조향축과,
상기 메인조향축을 조향수단에 관통되게 결합시킨 다음 외부로 노출시킨 탄성부재의 하부와 결합시키면서 조향수단에 고정되는 비틀림커버와,
상기 경사부에 관통된 메인조향축을 보드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메인조향축은 내부에 탄성부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중앙에 고정홀을 관통시키고 외주연 상부에는 플랜지를 형성하며 외주연에 숫나사를 형성시킨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외주연에 결합되면서 플랜지 하단에 밀착되도록 하되 내부에 베어링을 장착하여 고정축에서 원활하게 회전운동 되는 받침블럭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미끄럼방지커버는 상면에 다수개의 돌출돌기를 형성시키고 하부면에 회전방지수단을 형성시켜 탄성부재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내입홈을 형성시킨 돌출블럭을 미끄럼방지커버의 하부면에 돌 출되게 형성시켜 내입홈에 끼움홈을 형성시킨 삽입블럭을 결합하고 탄성부재의 상부를 끼움홈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회전방지수단은 고정축의 상단으로 관통된 고정홀에 회전방지블럭을 삽입하여 고정하여 고정축 상단 외부로 부분 노출시킨 탄성부재의 상부를 회전방지블럭의 하단부에 형성시킨 끼움홈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조향수단의 중앙에 메인조향축이 관통되도록 결합공을 형성시키면서 결합공과 연통되어 메인조향축의 받침블럭을 수납하는 결합홈을 형성시키고 조향수단의 하단부에는 결합홈과 동심원으로 결합단턱을 형성시키되 결합단턱의 내주연에는 회전방지홈을 형성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비틀림커버는 하부가 개구된 덮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부면 중앙에 끼움홈을 형성시킨 고정돌기를 돌출되게 형성시켜 메인조향축 상부로 부분 노출시킨 탄성부재를 끼움홈에 결합시키고 비틀림커버의 외주연에는 회전방지턱을 형성시켜 조향수단의 결합단턱과 회전방지홈에 결합하여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수단은 메인조향축의 숫나사에 다각형의 고정부재를 체결하여 받침블럭을 메인조향축에 일체로 고정시켜 보드의 경사부에 형성시킨 고정공의 입구 단부에 형성시키고 고정부재와 동일한 각형의 고정단턱에 고정부재를 결합시키고 보드의 고정공에 관통되는 메인조향축의 숫나사에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보드의 경사부에 조향수단을 결합한 메인조향축을 일체로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쌍의 캐스터수단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수단의 고정공과 동심원으로 각도조절홈을 형성시키고 고정공에 결합되는 캐스터수단의 브라켓 상단부에 돌출시킨 스토퍼를 각도조절홈에 내입하여 조향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캐스터수단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드의 하부면에는 경사부에 장착되어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조향수단의 양끝부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간섭방지홈을 조향수단의 회동운동 동선과 동일한 호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장착한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장착한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저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장착한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장착한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원 위치 복귀장치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설치한 보드의 전진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설치한 보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원장치는 보드(10)의 하부면에 형성시킨 경사부(20)에 자유회전이 가능한 한 쌍의 캐스터수단(30)를 장착한 조향수단(40)을 결합하고 미끄럼방지커버(16)를 상면에 장착한 보드(10)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방향성 캐스터에 있어서,
판형의 탄성부재(210)와, 상기 탄성부재(210)를 내부에 수직하향으로 수납하되 탄성부재(210)의 상.하부가 외부로 부분 노출되도록 하는 메인조향축(220)과, 상기 메인조향축(220)을 조향수단(40)에 관통되게 결합시킨 다음 외부로 노출시킨 탄성부재(210)의 하부와 결합시키면서 조향수단(40)에 고정되는 비틀림커버(230)와, 상기 경사부(20)에 관통된 메인조향축(220)을 보드(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40)으로 구성한다.
상기 탄성부재(210)는 직사각형태의 판형으로 제작되고 비틀림력의 세기에 따라서 단수개로 장착되거나 두께가 얇은 판형의 탄성부재(210)를 복수개로 중첩되게 장착시켜 탄성부재(210)의 비틀림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틀림커버(230)는 메인조향축(220)을 조향수단(40)에 관통되게 결합시킨 다음 외부로 노출시킨 탄성부재(210)의 상부와 결합시키면서 조향수단(40)에 고정되도록 한다.
더욱이, 비틀림커버(230)는 하부가 개구된 덮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부면 중앙에 끼움홈(231)을 형성시킨 고정돌기(232)를 돌출되게 형성시켜 메인조향축(220) 하부로 부분 노출시킨 탄성부재(210)를 끼움홈(231)에 결합시키고 비틀림커버(230)의 외주연에는 회전방지턱(233)을 형성시켜 조향수단(40)의 결합단턱(43)과 회전방지홈(44)에 결합하여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수단(240)은 조향수단(40)에 결합된 메인조향축(220)을 경사부(20)에 관통시켜 고정시킨다.
이때, 조향수단(40)의 중앙에 메인조향축(220)이 관통되도록 결합공(41)을 형성시키면서 결합공(41)과 연통되어 메인조향축(220)의 받침블럭(222)을 수납하는 결합홈(42)을 형성시키고 조향수단(40)의 하단부에는 결합홈(42)과 동심원으로 결합단턱(43)을 형성시키되 결합단턱(43)의 내주연에는 회전방지홈(44)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나아가, 고정수단(240)은 메인조향축(220)의 숫나사(221c)에 다각형의 고정부재(241)를 체결하여 받침블럭(222)을 메인조향축(220)에 일체로 고정시켜 보드(10)의 경사부(20)에 형성시킨 고정공(21)의 입구 단부에 형성시키고 고정부재(241)와 동일한 각형의 고정단턱(22)에 고정부재(241)를 결합시키고 보드(10)의 고정공(21)에 관통되는 메인조향축(220)의 숫나사(221c)에 체결부재(243)를 체결하여 보드(10)의 경사부(20)에 조향수단(40)을 결합한 메인조향축(220)을 일체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메인조향축(220)은 탄성부재(210)를 내부에 수직으로 수납하되 탄성부재(210)의 상.하부가 외부로 부분 노출되도록 한다.
특히, 메인조향축(220)은 내부에 탄성부재(21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중앙에 고정홀(221a)을 관통시키고 외주연 상부에는 플랜지(221b)를 형성하며 외주연에 숫나사(221c)를 형성시킨 고정축(221)과, 상기 고정축(221)의 외주연에 결합되면서 플랜지(221b) 하단에 밀착되도록 하되 내부에 베어링(222a)을 장착하여 고정축(221)에서 원활하게 회전운동 되는 받침블럭(22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미끄럼방지커버(16)는 하부면에 회전방지수단(17)을 형성시켜 탄성부재(210)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회전방지수단(17)은 내입홈(17a)을 형성시킨 돌출블럭(17b)을 미끄럼방지커버(16)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형성시켜 내입홈(17a)에 끼움홈(17d)을 형성시킨 삽입블럭(17c)을 결합하고 탄성부재(210)의 상부를 끼움홈(17d)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방지수단(17)의 다른 실시예는 고정축(221)의 상단으로 관통된 고정홀(221a)에 회전방지블럭(223)을 삽입하여 고정하여 고정축(221) 상단 외부로 부분 노출시킨 탄성부재(210)의 상부를 회전방지블럭(223)의 하단부에 형성시킨 끼움홈(223a)에 결합되도록 한다.
더불어, 한 쌍의 캐스터수단(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수단(40)의 고정공과 동심원으로 각도조절홈(45)을 형성시키고 고정공(21)에 결합되는 캐스터수단(30)의 브라켓(31) 상단부에 돌출시킨 스토퍼(32)를 각도조절홈(45)에 내입하여 조향수단(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캐스터수단(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드(10)의 하부면에는 경사부(20)에 장착되어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조향수단(40)의 양끝부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간섭방지홈(11)을 조향수단(40)의 회동운동 동선과 동일한 호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보드(10)는 전방보드 후방보드로 구비되고 전방보드에는 단수개의 캐스터수단(30)을 설치하고 후방보드에는 조향부재(40)에 한 쌍의 캐스터수단(30)을 설치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의 적용예는 다양한 산업상 이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여기서 설명하는 작용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레포츠용 스케이트보드에 적용하여 그 작용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를 설치한 보드의 전진 작동 상태는 다음과 같다.
보드(10)의 하부면에 전진용 캐스터수단(30)를 설치하고 보드(10)에 인위적으로 보드(10)의 롤링을 (R)측 방향으로 가하여 보드를 (R)측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메인조향축(220)을 중심으로 (R)방향의 캐스터수단(30)이 지지점이 되면서 (L)방향 캐스터수단(30)이 전진한다.
여기서, (L)방향의 캐스터수단(30)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10)의 경사부(20)에 결합시킨 조향수단(40)에 의해 일정한 조향 각도로 지면에 밀착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최초의 위치에서 분력 F2(F2 cos.ß)이 사선 방향으로 발생하면서 보드(10)를 F2 방향으로 전진시키게 된다.
동시에, 보드(10)의 전방에 장착된 캐스터수단(30)은 분력 F1(F1 cos.α)이 사선방향으로 발생하면서 보드(10)를 F1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이후, (R)방향으로 편향되었던 하중 또는 힘을 보드(10)의 중심 선상으로 이동치시켜 보드(10)의 균형감을 되찾으면 기존의 가속도에 의해 등속 직선운동으로 보드(10)는 전방으로 계속 전진하게 된다.
연속적으로 보드(10)를 다시 (L)방향의 캐스터수단(30)에 무게 또는 힘의 중심을 편향시키면 보드(10)는 (L)축으로 기울어지면서 메인조향축(40)을 중심으로 (L)방향의 캐스터수단(30)이 전진상태의 지지점이 되고, (R)방향의 캐스터(30)는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결합된 조향수단(30)의 각도에 의해 (L)방향의 캐스터(30)가 지면에 밀착한 생태를 유지하면서 보드(10)를 전진시킨다.
이와 같이, (R) 또는 (L)방향으로의 무게중심 또는 힘의 변위를 신속하게 진행하여 보드(10)의 운동방향이 보드(10)의 빠른 롤링에 의해 피치가 짧은 파형적 동선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운동하는 보드(10)에 있어서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는 반복적으로 기울어지는 조향수단(40) 및 캐스터수단(30)이 보다 탄력적으로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여 보드(10)의 반복적인 롤링 상태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드(10)의 전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보드(10)를 한쪽 방향으로 롤링시키면 조향수단(40)이 한쪽 방향으로 각 도가 기울어지면서 (R) 또는 (L) 방향 캐스터수단(30) 중 어느 하나의 캐스터수단(30)이 지지점이 되면서 반대쪽 캐스터수단(3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보드(10)의 롤링에 의해 미끄럼방지커버(16)의 회전방지수단(17)인 삽입블럭(17c)의 끼움홈(17d)에 고정된 탄성부재(210) 상부와 조향부재(40)에 고정되어 연동하는 비틀림커버(242)의 끼움홈(223a)에 결합된 탄성부재(210)의 하부는 상호 반대 반향으로 비틀어지면서 비틀림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틀림탄성력이 발생되면 보드(10)의 롤링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된 조향수단(40) 및 캐스터수단(30)은 탄성부재(210)의 복원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보드(10)의 전진방향과 캐스터수단(30)이 동일선상이 되도록 최초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더불어 회전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210)의 하부는 비틀림 커버(242)의 끼움홈(223a)에 결합되고 탄성부재(210)의 상부는 고정축의 고정홀(221a)에 결합시킨 회전방지블럭(223)의 끼움홈(223a)에 결합되어 보드(10)의 롤링에 의해 탄성부재(21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비틀어 비틀림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원장치는 보드의 롤링시 방향성 캐스터가 보드의 진행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여 보드의 전진속도 및 운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원장치는 보드의 조향수단과 보드의 결합부분에 판형의 탄성부재를 내설하여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의 결합부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결합구조를 단순화시켜 보드의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원장치는 한 쌍의 방향성 캐스터의 조향 각도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한 보드의 운전상황을 보장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9)

  1. 보드의 하부면에 형성시킨 경사부에 자유회전이 가능한 한 쌍의 캐스터수단를 장착한 조향수단을 결합하고 미끄럼방지커버를 상면에 장착한 보드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방향성 캐스터에 있어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내부에 수직하향으로 수납하되 탄성부재의 상.하부가 외부로 부분 노출되도록 하는 메인조향축과,
    상기 메인조향축을 조향수단에 관통되게 결합시킨 다음 외부로 노출시킨 탄성부재의 하부와 결합시키면서 조향수단에 고정되는 비틀림커버와,
    상기 경사부에 관통된 메인조향축을 보드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조향축은,
    내부에 탄성부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중앙에 고정홀을 관통시키고 외주연 상부에는 플랜지를 형성하며 외주연에 숫나사를 형성시킨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외주연에 결합되면서 플랜지 하단에 밀착되도록 하되 내부에 베어링을 장착하여 고정축에서 원활하게 회전운동 되는 받침블럭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커버는 상면에 다수개의 돌출돌기를 형성시키고 하부면에 회전방지수단을 형성시켜 탄성부재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내입홈을 형성시킨 돌출블럭을 미끄럼방지커버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형성시켜 내입홈에 끼움홈을 형성시킨 삽입블럭을 결합하고 탄성부재의 상부를 끼움홈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고정축의 상단으로 관통된 고정홀에 회전방지블럭을 삽입하여 고정하여 고정축 상단 외부로 부분 노출시킨 탄성부재의 상부를 회전방지블럭의 하단부에 형성시킨 끼움홈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수단의 중앙에 메인조향축이 관통되도록 결합공을 형성시키면서 결 합공과 연통되어 메인조향축의 받침블럭을 수납하는 결합홈을 형성시키고 조향수단의 하단부에는 결합홈과 동심원으로 결합단턱을 형성시키되 결합단턱의 내주연에는 회전방지홈을 형성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커버는 하부가 개구된 덮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부면 중앙에 끼움홈을 형성시킨 고정돌기를 돌출되게 형성시켜 메인조향축 상부로 부분 노출시킨 탄성부재를 끼움홈에 결합시키고 비틀림커버의 외주연에는 회전방지턱을 형성시켜 조향수단의 결합단턱과 회전방지홈에 결합하여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메인조향축의 숫나사에 다각형의 고정부재를 체결하여 받침블럭을 메인조향축에 일체로 고정시켜 보드의 경사부에 형성시킨 고정공의 입구 단부에 형성시키고 고정부재와 동일한 각형의 고정단턱에 고정부재를 결합시키고 보드의 고정공에 관통되는 메인조향축의 숫나사에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보드의 경사부에 조향수단을 결합한 메인조향축을 일체로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캐스터수단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수단의 고정공과 동심원으로 각도조절홈을 형성시키고 고정공에 결합되는 캐스터수단의 브라켓 상단부에 돌출시킨 스토퍼를 각도조절홈에 내입하여 조향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캐스터수단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의 하부면에는 경사부에 장착되어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조향수단의 양끝부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간섭방지홈을 조향수단의 회동운동 동선과 동일한 호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KR2020060009824U 2006-04-12 2006-04-12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KR200421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824U KR200421476Y1 (ko) 2006-04-12 2006-04-12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824U KR200421476Y1 (ko) 2006-04-12 2006-04-12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476Y1 true KR200421476Y1 (ko) 2006-07-13

Family

ID=4177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824U KR200421476Y1 (ko) 2006-04-12 2006-04-12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4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2427B1 (ko)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보드
KR100859413B1 (ko) 스케이트 보드
CA2833757C (en) Climbing vibration-driven robot
US8915506B2 (en) Inline skateboard with differentiated wheels
US8366560B2 (en)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a rotating shaft and a rotating member, and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0371540Y1 (ko) 스케이트보드
WO2011118590A1 (ja) スケートボード
CN108945235B (zh) 一种电动平衡车
KR200421476Y1 (ko) 방향성 캐스터의 원위치 복귀장치
WO2007102645A1 (en) Skate board
KR101086914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KR100883343B1 (ko)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갖춘 보드
US7216878B2 (en) Steering column retainers for children&#39;s ride-on vehicles
KR200420320Y1 (ko) 캐스터를 구비한 스케이트보드
KR20060082830A (ko) 스케이트보드
KR101170127B1 (ko) 스케이트보드
KR100737378B1 (ko) 스노보드 바인딩 장치
KR200380850Y1 (ko) 트라이씨클
KR100539412B1 (ko) 캐스터 스케이트
KR20060081095A (ko)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KR200420911Y1 (ko) 방향성 캐스터 및 그 방향성 캐스터가 구비된 스케이트 보드
KR102349847B1 (ko)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KR20130024290A (ko) 스케이트 보드의 캐스터 조립체
KR20080031087A (ko) 자력을 통하여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보드
KR20090084507A (ko) 방향전환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