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145Y1 - 곡물냉장고 - Google Patents

곡물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145Y1
KR200421145Y1 KR2020060011414U KR20060011414U KR200421145Y1 KR 200421145 Y1 KR200421145 Y1 KR 200421145Y1 KR 2020060011414 U KR2020060011414 U KR 2020060011414U KR 20060011414 U KR20060011414 U KR 20060011414U KR 200421145 Y1 KR200421145 Y1 KR 200421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unit
cooling duct
doo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자
홍영채
Original Assignee
홍경자
홍영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경자, 홍영채 filed Critical 홍경자
Priority to KR2020060011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1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쌀 또는 잡곡 따위의 곡물를 담아 냉장보관하는 곡물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곡물(C)이 저장되는 저장실(11) 및 이 저장실(11)의 하부에 연결되어 곡물(C)을 배출시키는 호퍼(18)가 구비된 캐비닛(10), 상기 저장실(11)을 개폐시키도록 캐비닛(10)에 설치되는 도어(20), 상기 호퍼(18)를 개폐시키면서 일정량의 곡물(C)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50), 상기 저장실(11)에 연결되는 흡기구(31) 및 냉기를 저장실(11)로 분사시키도록 분사노즐(34)이 구비된 냉각덕트(30), 상기 흡기구(31)를 통해 저장실(11)의 공기를 강제로 흡기하도록 냉각덕트(30)에 설치되는 송풍팬(32), 상기 송풍팬(32)으로 흡기된 외기를 냉각시키도록 냉각덕트(30)에 설치되는 열전소자(33), 상기 송풍팬(32) 및 열전소자(3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CM)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곡물를 신선하게 보관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며, 생활공간 내에서 작은 부피를 차지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곡물, 캐비닛, 냉각덕트, 열전소자, 제어모듈

Description

곡물냉장고{A REFRIGERATOR FOR GRAIN}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측단면도.
도 4a, 4b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배출수단을 나타낸 정단면도 및 작동도.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어모듈을 나타낸 블럭도.
도 6a, 6b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배출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작동도.
도 7a, 7b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배출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작동도.
도 8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캐비닛 11 : 저장실
11a : 쌀저장실 11b : 잡곡저장실
18 : 호퍼 18a : 배출구
20 : 도어 30 : 냉각덕트
31 : 흡기구 32 : 송풍팬
33 : 열전소자 34 : 분사노즐
35 : 냉각핀 36 : 방열핀
37 : 방열팬 50 : 배출수단
51 : 회전배출도어 51a : 회전축
52 : 스텝모터 54 : 슬라이딩 배출도어
55 : 리드스크류 56 : 구동모터
58 : 볼스크류도어 59 : 스크류모터
60 : 팬구동부 70 : 전원공급부
80 : 모터구동부 90 : 입력부
100 : 감지부 110 : 표시부
120 : 신호음발생부 C : 곡물
CM : 제어모듈 CS : 제어부
본 고안은 쌀 또는 잡곡 따위의 곡물를 담아 냉장보관하는 곡물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를 신선하게 보관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며, 냉장보관시 생활공간 내에서 작은 부피를 차지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곡물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쌀통은 쌀 또는 잡곡 따위의 곡물를 저장하면서 적절한 분량만큼 덜어내어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쌀통에 저장되는 쌀은 상온에서 15일 정도 지나면서 누렇게 산화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수분이 빠져 맛과 영양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여름에는 쌀벌레가 쉽게 생겨 군내가 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온상태 및 습기가 적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다양한 냉각수단을 쌀통에 적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각수단으로, 냉매가 냉매라인 상에 구비된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를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쌀통에 저장된 쌀을 냉각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냉각수단은 그 부피가 비대하여 쌀통의 전체적인 부피를 크게 형성하며, 이에 따라 생활공간 내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며, 냉매가 냉매라인을 순환하는 과정에서 소음을 유발시킴에 따라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없었으며, 각 구성부품의 사용에 따라 전력소비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냉각수단은 고가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져 수요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곡물를 신선하게 보관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며, 냉장보관시 생활공간 내에서 작은 부피를 차지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곡물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실 및 이 저장실의 하부에 연결되어 곡물을 배출시키는 호퍼가 구비된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도록 캐비닛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호퍼를 개폐시키면서 일정량의 곡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과, 상기 저장실에 연결되는 흡기구 및 냉기를 저장실로 분사시키도록 분사노즐이 구비된 냉각덕트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저장실의 공기를 강제로 흡기하도록 냉각덕트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으로 흡기된 공기를 냉각시키도록 냉각덕트에 설치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송풍팬 및 열전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냉각덕트는 적절한 길이를 갖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며, 이같이 분할된 냉각덕트에도 분사노즐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분할된 냉각덕트의 일단부를 따라 형성된 결합돌기에 끼움결합되도록, 이 결합돌기에 연접하는 냉각덕트의 타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분사노즐은 냉기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곡물이 냉각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냉각덕트는 저장실을 쌀저장실 및 잡곡저장실로 구획하도록 캐비닛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고안은 저장실의 하부에 연결되어 저장된 곡물을 배출시키는 호 퍼와, 상기 호퍼를 개폐시키면서 일정량의 곡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으로 배출되는 곡물을 받아 인출하도록 캐비닛에 설치되는 곡물인출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출수단은 호퍼의 배출구에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량의 곡물을 담아 배출시키는 회전배출도어와, 상기 회전배출도어를 개폐시키도록 회전축에 연결된 스텝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수단은 호퍼의 배출구 양측에 구비된 수평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배출도어와, 상기 슬라이딩 배출도어를 개폐시키도록 그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배출도어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키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동시키도록 모터축으로 연결된 구동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수단은 호퍼의 배출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량의 곡물을 다아 배출시키도록 이홈을 갖는 볼스크류도어와, 상기 볼스크류도어를 개폐시키도록 모터축으로 연결된 스크류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 열전소자, 스텝모터, 구동모터, 스크류모터는 제어모듈(CM)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러한 제어모듈은,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팬구동부와, 상기 열전소자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스텝모터와 구동모터 및 스크류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각 구성부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C)이 저장되는 저장실(11)과 호퍼(18)가 구비된 캐비닛(10) 및 도어(20)와, 상기 호퍼(18)를 개폐시키는 배출수단(50)과, 흡기구(31) 및 분사노즐(34)이 구비된 냉각덕트(30)와, 상기 캐비닛(10)의 저장실(11) 공기를 강제흡기하는 송풍팬(32)과, 상기 송풍팬(32)으로 흡기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전소자(33)와, 상기 송풍팬(32) 및 열전소자(33)를 제어하는 제어모듈(CM)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닛(10)은 대략 육면체로 형성되어 본 고안의 골조를 이루는 것으로, 이러한 캐비닛(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패널(13) 및 외측패널(14)과, 상기 내·외측패널(13)(14)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재(15)로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캐비닛(10)에는 상부가 개방된 저장실(11)이 구비되어 곡물(C)이 저장되는데, 이 저장실(11)은 쌀과 잡곡이 각각 저장되는 쌀저장실(11a) 및 잡곡저장실(11b)이 좌우로 구획되어 형성되며, 쌀저장실(11a)과 잡곡저장실(11b)은 캐비닛(10)의 상부에 힌지(21)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도어(20)에 의해 개폐가 단속된다.
이같은, 쌀저장실(11a)과 잡곡저장실(11b)의 상부에는 냉각덕트(30)의 흡기구(31)에 연결되도록 상호 연통되는 연결공(17)이 천공되어, 쌀저장실(11a) 및 잡 곡저장실(11b)의 상층부공기 즉, 열전달에 따른 대류현상에 의해 하층부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운 상층부공기를 흡기하게 된다. 또한, 쌀저장실(11a)과 잡곡저장실(11b)에는 후술하는 감지부(100)의 제1·제2·제3 광센서(101)(102)(103)가 곡물(C)의 저장량을 대·중·소로 감지하도록 적절한 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된다.
아울러, 캐비닛(10)의 전면 양측에는 후술하는 표시부(110)의 제1·제2·제3 LED(111)(112)(113)가 구비되어, 쌀저장실(11a)과 잡곡저장실(11b)에 저장된 곡물(C)의 잔량에 따라 대·중·소로 현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일측에는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90)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제어부(CS)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쌀저장실(11a)과 잡곡저장실(11b) 사이에는 냉각덕트(30)가 설치되는데, 이 냉각덕트(30)의 상부에는 쌀저장실(11a) 및 잡곡저장실(11b)의 연결공(17)에 연결되도록 흡기구(31)가 구비되고, 냉각덕트(30)의 일면은 캐비닛(10)의 후면에 연결되도록 캐비닛(10)에 수직으로 내장된다.
이러한, 냉각덕트(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저장실(11a)과 잡곡저장실(11b)을 구획하도록 캐비닛(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냉각덕트(3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저장실(11a)과 잡곡저장실(11b)의 공기를 흡기구(31)로 강제흡기하도록 송풍팬(32)이 설치되며, 이 송풍팬(32)으로 흡기된 공기는 열전소자(33)에 의해 냉각되는데, 이러한 열전소자(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덕트(30)에 내장되도록 캐비닛(10)의 후면 내측패널(1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덕트(30)에는 열전소자(33)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쌀저장실(11a) 및 잡곡저장실(11b)로 강하게 분사시키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34)이 일체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분사노즐(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저장실(11)에 저장된 곡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열전소자(33)는 냉각부(33a)와 발열부(33b)가 구비되어 송풍팬(32)으로 강제흡기된 공기를 펠티에효과에 의해 냉각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열전소자(33)의 냉각부(33a)는 냉각덕트(30)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이 냉각부(33a)의 표면에는 냉각핀(35)이 장착되어 흡기된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열전소자(33)의 발열부(33b)는 캐비닛(10)의 후면 단열재(15)의 외측패널(14)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이 발열부(33b)의 표면에는 열전도체(38) 및 방열핀(36)이 차례로 장착되며, 이 방열핀(36)에서 방열된 열에너지를 발산시키도록 캐비닛(10)의 후면 외측패널(14)에는 방열팬(37)이 설치된다. 아울러, 캐비닛(10)의 후면 외측패널(14)에는 방열팬(37)과 방열핀(36)을 내장하도록 커버(4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커버(40)에는 다수개의 발산공(41)이 천공되어 방열팬(37)으로 발산된 열에너지를 외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송풍팬(32)에 의해 냉각덕트(30)로 강제흡기된 공기가 열전소자(33)의 냉각부(33a) 및 냉각핀(35)을 지나면서 냉각되어 분사노즐(34)을 통해 쌀저장실(11a) 및 잡곡저장실(11b)로 냉기를 강하게 분사한다. 상대적으로, 열전소자(33)의 발열부(33b)에서 발열된 열에너지는 열전도체(38)를 지나 방열핀(36)을 통해 방열되는데, 이때 방열핀(36)은 방열팬(37)에 의해 열에너지를 발산시켜 커버(40)의 발산공(4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된 쌀저장실(11a) 및 잡곡저장실(11b) 각각의 하부에는 저장된 곡물을 배출시키도록 호퍼(18)가 구비되고, 캐비닛(10)의 하부에는 호퍼(18)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을 받아 사용자가 슬라이딩 인출가능하도록 곡물인출통(19)이 다단으로 설치된다.
상기 호퍼(18)로 배출되는 곡물(C)은 배출수단(50)에 의해 일정한 분량이 배출되는데, 이러한 배출수단(50)은 호퍼(18)의 배출구(18a)에 회전축(51a)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한 분량의 곡물(C)을 담아 배출시키는 회전배출도어(51)와, 상기 회전배출도어(51)를 개폐시키도록 회전축(51a)에 연결된 스텝모터(52)로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배출도어(51)는 호퍼(18)의 배출구(18a)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회전축(51a)과, 이 회전축(51a)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도어(51b)로 구성되며, 회전배출도어(51)의 회전축(51a)은 스텝모터(52)의 모터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스텝모터(52)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51a)이 회전되어 회전배출도어(51)를 회전시키면서, 회전배출도어(51)의 회전도어(51b) 사이에 담겨진 일정한 분량의 곡물(C)이 곡물인출통(19)으로 배출된다.
한편, 송풍팬(32)과 방열팬(37)과 열전소자(33) 및 스텝모터(52)는 제어모듈(CM)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러한 제어모듈(CM)은 송풍팬(32) 및 방열팬(37)을 구동시키는 팬구동부(60)와, 열전소자(33)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와, 스 텝모터(52)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80)와, 각 구성부(60)(70)(80)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90)와, 입력부(9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각 구성부(60)(70)(8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S)로 구성된다.
상기 팬구동부(60)는 송풍팬(32) 및 방열팬(3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CS)의 제어신호에 따라 송풍팬(32) 및 방열팬(37)을 동시에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70)는 열전소자(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전소자가 작용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원공급부(70)는 제어부(CS)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상기 모터구동부(80)는 스텝모터(52)를 구동시키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CS)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데, 이러한 모터구동부(80)는 제어부(CS)의 제어에 따라 호퍼(18)에서 배출되는 곡물(C)의 분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CS)는 팬구동부(60)와 전원공급부(70) 및 모터구동부(8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입력부(9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 구성부(60)(70)(80)의 구동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입력부(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제어부(CS)에서는 각 구성부(60)(70)(80)를 제어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모듈(CM)은 저장실(11)에 저장된 곡물(C)의 저장량을 대·중·소로 감지하는 감지부(100)와,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곡물(C)의 저장량을 대·중·소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10)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CS)는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표시부(110)에서 곡물(C)의 저장 량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100)는 곡물(C)의 저장량을 대·중·소로 감지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저장실(11a)과 잡곡저장실(11b)의 양측에 적절한 수직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제2·제3 광센서(101)(102)(103)로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감지부(100)는 곡물(C)의 저장량을 대·중·소로 감지하도록 쌀저장실(11a)과 잡곡저장실(11b)의 일측에 적절한 수직간격으로 설치되어, 곡물(C)의 중량으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리미트스위치(도시생략)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S)에는 감지부(10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음발생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저장실(11)에 저장된 곡물(C)의 소량을 알리는 감지부(100)의 제3 광센서(103)의 감지에 따라, 감지부(10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어부(CS)에서 제어하여 신호음발생부(120)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쌀은 쌀저장실(11a)에 저장하고 잡곡은 잡곡저장실(11b)에 저장하여 도어(20)를 닫은 상태에서, 열전소자(33)와 송풍팬(32) 및 방열팬(37)이 구동되도록 사용자가 입력부(90)를 통해 구동신호를 입력하면, 입력부(90)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제어부(CS)에서 판단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전원공급부(70) 및 팬구동부(60)로 출력하고, 이에 따라 전원공급부(70)에서는 열전소자(33)로 전류를 공급하며, 팬구동부(60)에서는 송풍팬(32) 및 방열팬(37)을 구동시키게 된다.
다음, 송풍팬(32)의 구동에 따라 저장실(11)의 상층부공기가 냉각덕트(30)로 강제흡기되고, 이 강제흡기된 공기는 전열소자(33)의 냉각부(33a) 및 냉각핀(35)을 지나면서 냉각되어 분사노즐(34)을 통해 쌀저장실(11a) 및 잡곡저장실(11b)로 냉기를 강하게 분사하며, 이에 따라 저장실(11)에 저장된 곡물(C)은 냉장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곡물인출통(19)에 일정한 분량의 곡물(C)을 담아 인출하도록 사용자가 입력부(90)를 통해 구동신호를 입력하면, 이 입력부(90)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제어부(CS)에서 판단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80)로 출력하고, 이에 따라 스텝모터(52)가 구동되어 회전배출도어(51)가 회전축(51a)으로 회전하면서 저장실(11)에 저장된 곡물을 호퍼(18)의 배출구(18a)를 통해 곡물인출통(19)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곡물인출통(19)으로 배출되는 곡물(C)은 회전배출도어(51)의 회전도어(51b) 사이에 담겨진 일정한 분량이 배출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배출수단(50)으로 저장실(11)에 저장된 곡물(C)이 배출되면서, 각 저장실(11a)(11b)의 곡물량이 감소되는 것을 감지부(10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CS)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이 감지부(10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제어부(CS)에서 표시부(110)의 제1·제2·제3 LED(111)(112)(113)를 통해 곡물량을 현시하게 된다.
이때, 저장실(11)에 저장된 곡물(C)의 소량을 감지하는 감지부(100)의 제3 광센서(103)가 감지되면, 이 감지부(1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초로 제어부(CS)에서 신호음발생부(120)로 신호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신호음발생부(120)에서 사 용자에게 곡물(C)이 소량이라는 신호음을 울리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 곡물냉장고는 저장실(10)을 저온상태로 유지하여 쌀 및 잡곡을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 곡물냉장고는 부피를 줄여 경량화할 수 있는 동시에, 냉장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켜 항상 쾌적한 상태로 곡물을 냉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6a, 6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배출수단(5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작동도로서, 이러한 배출수단(50)은 호퍼(18)의 배출구(18a) 양측에 구비된 수평레일(5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배출도어(54)와, 이 슬라이딩 배출도어(54)를 개폐시키도록 그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배출도어(54)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키는 리드스크류(55)와, 이 리드스크류(55)를 구동시키도록 모터축으로 연결된 구동모터(56)로 구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배출도어(54)의 하부에는 리드스크류(55)에 나사조립되도록 너트(54a)가 구비되고, 슬라이딩 배출도어(54)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호퍼(18)의 배출구(18a) 일측에는 작동공(18b)이 천공되며, 리드스크류(55)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6)는 호퍼(18) 및 캐비닛(10)에 지지된다.
따라서, 구동모터(56)의 구동에 따라 리드스크류(55)가 회동하면, 이 리드스크류(55)의 회동에 따라 너트(54a)가 캐비닛(10)의 전후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배출도어(54)가 수평레일(57)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호퍼(18)의 배출구(18a)를 개폐시키게 된다.
여기서, 구동모터(56)는 모터구동부(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부(90)를 통하여 구동신호를 입력하면, 이같이 입력되는 구동신호를 제어부(CS)에서 판단하여 모터구동부(80)로 출력하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56)가 구동된다.
다른 한편, 첨부된 도 7a, 7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배출수단(5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작동도로서, 이러한 배출수단(50)은 호퍼(18)의 배출구(18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량의 곡물을 담아 배출시키도록 적절한 이홈(58a)을 갖는 볼스크류도어(58)와, 상기 볼스크류도어(58)를 개폐시키도록 모터축(59a)으로 연결된 스크류모터(59)로 구성된다.
상기 볼스크류도어(58)는 호퍼(18)의 배출구(18a)를 개폐시키도록 적절한 외경으로 이루어지면서, 호퍼(18)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C)이 담기도록 이홈(58a)이 적절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볼스크류도어(58)를 회동시키는 스크류모터(59)는 호퍼(18) 및 캐비닛(10)에 지지된다.
따라서, 스크류모터(59)의 구동에 따라 볼스크류도어(58)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이홈(58a)에 담긴 쌀 및 잡곡이 볼스크류도어(58)의 회동에 따라 곡물인출통(19)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모터(59)는 모터구동부(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부(90)를 통해 구동신호를 입력하면, 이같이 입력되는 구동신호를 제어부(CS)에서 판단하여 모터구동부(80)로 출력하고, 이에 따라 스크류모터(59)가 구동된다.
또 다른 한편, 첨부된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냉각덕트(30)는 적절한 길이를 갖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결합수단(39)으로 결합되며, 분리된 각각의 냉각덕트(30)에는 분사노즐(34)이 구비된다. 따라서, 쌀저장실(11a) 및 잡곡저장실(11b)에 냉기를 고르게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39)은 분할된 냉각덕트(30)의 일단부에 결합돌기(39a)를 형성하고, 이 결합돌기(39a)에 끼움결합되도록 상호 연접하는 냉각덕트(30)의 타단부에 결합홈(39b)을 형성하여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쌀 또는 잡곡 따위를 저장하는 저장실의 하층부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운 상층부공기를 냉각덕트로 강제흡기하고, 이 강제흡기된 공기를 냉각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강하게 분사함에 따라 저장실의 냉기가 전체적으로 강제순환되므로, 이에 따라 저장실의 냉장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냉장효율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 곡물냉장고는, 냉장보관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켜 사용자에게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공간 내에서 부피를 작게 차지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 곡물냉장고는 일정량의 곡물을 자동으로 편리하게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맞는 분량의 곡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장된 곡물량에 따라 분사노즐의 개수를 다양히 조절하여 곡물를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 곡물냉장고는 저장실에 저장된 곡물량을 사용자에게 시각 또는 청각을 통해 알려줌에 따라, 사용자가 곡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종래의 곡물를 냉장보관하는 것에 비해, 저가의 구성부품으로 구성되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수요자에게 구입부담감을 덜어줄 수 있는 동시에, 경량으로 형성하여 본 고안 곡물냉장고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곡물(C)이 저장되는 저장실(11) 및 이 저장실(11)의 하부에 연결되어 곡물(C)을 배출시키는 호퍼(18)가 구비된 캐비닛(10),
    상기 저장실(11)을 개폐시키도록 캐비닛(10)에 설치되는 도어(20),
    상기 호퍼(18)를 개폐시키면서 일정량의 곡물(C)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50),
    상기 저장실(11)에 연결되는 흡기구(31) 및 냉기를 저장실(11)로 분사시키도록 분사노즐(34)이 구비된 냉각덕트(30),
    상기 흡기구(31)를 통해 저장실(11)의 공기를 강제로 흡기하도록 냉각덕트(30)에 설치되는 송풍팬(32),
    상기 송풍팬(32)으로 흡기된 공기를 냉각시키도록 냉각덕트(30)에 내장되는 열전소자(33),
    상기 송풍팬(32) 및 열전소자(3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CM),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10)은 배출수단(50)으로 배출되는 곡물(C)을 받아 인출하도록 설치되는 곡물인출통(1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덕트(30)는, 저장실(11)을 쌀저장실(11a) 및 잡곡저장실(11b)로 구획하도록 캐비닛(10)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CM)은, 상기 송풍팬(32)을 구동시키는 팬구동부(60)와, 상기 열전소자(33)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와, 상기 팬구동부(60) 및 전원공급부(70)로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90)와, 상기 입력부(9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팬구동부(60) 및 전원공급부(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CM)은,
    상기 저장실(11)에 저장된 곡물(C)의 저장량을 대·중·소로 감지하는 감지부(100)와,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곡물(C)의 저장량을 대·중·소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CS)는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표시부(110)에서 곡물(C)의 저장량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CS)에는,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음발생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50)은, 상기 호퍼(18)의 배출구(18a)에 회전축(51a)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량의 곡물(C)을 담아 배출시키는 회전배출도어(51)와, 상기 회전배출도어(51)를 개폐시키도록 회전축(51a)에 연결된 스텝모터(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CM)은, 상기 송풍팬(32)을 구동시키는 팬구동부(60)와, 상기 열전소자(33)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와, 스텝모터(52)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80)와, 상기 각 구성부(60)(70)(80)로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90)와, 상기 입력부(9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각 구성부(60)(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50)은, 상기 호퍼(18)의 배출구(18a) 양측에 구비된 수평레 일(5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배출도어(54)와, 상기 슬라이딩 배출도어(54)를 개폐시키도록 그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배출도어(54)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키는 리드스크류(55)와, 상기 리드스크류(55)를 회동시키도록 모터축(56a)으로 연결된 구동모터(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CM)은, 상기 송풍팬(32)을 구동시키는 팬구동부(60)와, 상기 열전소자(33)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와, 구동모터(56)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80)와, 상기 각 구성부(60)(70)(80)로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90)와, 상기 입력부(9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각 구성부(60)(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50)은, 상기 호퍼(18)의 배출구(18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량의 곡물(C)을 담아 배출시키도록 이홈(58a)을 갖는 볼스크류도어(58)와, 상기 볼스크류도어(58)를 개폐시키도록 모터축(59a)으로 연결된 스크류모터(5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CM)은, 상기 송풍팬(32)을 구동시키는 팬구동부(60)와, 상기 열전소자(33)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와, 스크류모터(59)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80)와, 상기 각 구성부(60)(70)(80)로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90)와, 상기 입력부(9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각 구성부(60)(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34)은, 분사되는 냉기의 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덕트(30)는 적절한 길이를 갖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결합수단(39)으로 결합되며, 분할된 냉각덕트(30)에는 분사노즐(34)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39)은, 분할된 냉각덕트(30)의 일단부를 따라 형성된 결합돌기(39a)에 끼움결합되도록, 상호 연접하는 냉각덕트(30)의 타단부를 따라 결합 홈(39b)이 형성되어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KR2020060011414U 2006-04-27 2006-04-27 곡물냉장고 KR200421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414U KR200421145Y1 (ko) 2006-04-27 2006-04-27 곡물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414U KR200421145Y1 (ko) 2006-04-27 2006-04-27 곡물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145Y1 true KR200421145Y1 (ko) 2006-07-07

Family

ID=4176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414U KR200421145Y1 (ko) 2006-04-27 2006-04-27 곡물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1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866A (ko) * 2020-04-07 2021-10-15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즈 불린 쌀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866A (ko) * 2020-04-07 2021-10-15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즈 불린 쌀 공급장치
KR102407853B1 (ko) * 2020-04-07 2022-06-15 (주)유니팩시스템즈 불린 쌀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6885B2 (en) Apparatus for storing food
US8196427B2 (en) Apparatus for storing f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043938B2 (ja) 冷気循環装置を有する冷蔵庫及び冷気循環の制御方法
JP3066636B2 (ja) エアカーテン生成装置を有する冷蔵庫
WO2015043418A1 (zh) 遮蔽装置及包括该遮蔽装置的冰箱
JP3730619B2 (ja) 冷蔵庫の冷気供給装置
JP2004301493A (ja) 冷蔵庫の温度制御方法
WO2017071322A1 (zh) 冰箱间室及具有其冰箱
WO2015027885A1 (zh) 冰箱
KR100693192B1 (ko) 김치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WO2019129244A1 (zh) 冰箱的散热控制方法与冰箱
WO2018103652A1 (zh) 冰箱
CN106679269B (zh) 冰箱
JP2006275297A (ja) 冷蔵庫
KR20070074209A (ko) 냉장고
JP2004061093A (ja) 集中冷却装置とその装置を具備した冷蔵庫
KR100780008B1 (ko) 냉장고의 급속냉동장치
KR200421145Y1 (ko) 곡물냉장고
US20090113921A1 (en) Apparatus for storing f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425897B (zh) 冰箱
KR20120071054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TWI701415B (zh) 冰箱
US20200224956A1 (en) Refrigerator
US20200224955A1 (en) Refrigerator
WO2022057590A1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