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127Y1 -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 Google Patents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127Y1
KR200421127Y1 KR2020060011089U KR20060011089U KR200421127Y1 KR 200421127 Y1 KR200421127 Y1 KR 200421127Y1 KR 2020060011089 U KR2020060011089 U KR 2020060011089U KR 20060011089 U KR20060011089 U KR 20060011089U KR 200421127 Y1 KR200421127 Y1 KR 2004211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tray
space
drip
wat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학범
Original Assignee
송학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학범 filed Critical 송학범
Priority to KR2020060011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1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1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 본체 내에 저면의 배수공과 연통(連通)된 물받이를 내장시킴으로써 화분토의 배수 및 통기성이 우수하고 식물의 물주기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화분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각에 바퀴를 부착하여 그 운반이 보다 용이한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분은 수용공간이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 내의 하부에 안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공간부로 공급된 물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공을 갖는 판상의 물받이 덮개와, 상기 물받이 덮개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복수개의 배출공을 통해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공간을 갖는 물받이 본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받이 본체의 외곽지지부의 일측 상부에는 일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물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넘치는 경우 배출되도록 하는 물받이 배출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화분, 물받이, 내장, 배수공, 지지각, 바퀴, 통기성(通氣性)

Description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Flowerpot}
도 1은 종래의 화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의 물받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內藏)된 화분
10: 화분 본체 11: 지지각
20: 공간부 30: 물받이
31: 물받이 덮개 32: 물받이 본체
33: 물 저장공간 34: 외곽 지지부
35: 돌출 지지부 36: 물받이 배출홈
37: 배출공 40: 배수공
본 고안은 물받이가 내장(內藏)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 본체 내에 저면의 배수공과 연통(連通)된 물받이를 내장시킴으로써 화분토의 배수 및 통기성이 우수하고 식물의 물주기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화분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각에 바퀴를 부착하여 그 운반이 보다 용이한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와 산업이 발달하면서 산림이나 녹지는 줄어들고 대신에 인구증가에 따른 주거공간이 늘어나서, 제한된 공간 내에서 자연을 접할 수 있는 화분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로 인해 사용되는 종래의 화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토를 담고 식물을 심을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공간부(11')와 상기 공간부(11')의 바닥면에 물의 배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12')을 형성하고, 그 저면 바닥에는 받침대(13')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분(10')은 그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공(12')이 받침대(13')나 토양 등의 바닥으로 인해 막히는 경우 화분토의 배수 및 통기성이 떨어져 식물의 뿌리가 썩게 되거나, 또는 식물이 각종 질병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종래의 화분(10')에 물을 주는 경우, 일부는 화분토에 스며들어 식물에 공급되며 나머지의 물은 배수공(12')을 통하여 외부로 바로 배출되는 데, 배수공(1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물이 중력에 의해 화분(10')으로부터 쉽게 배출(排出) 되므로, 화분(10')에 물을 주는 횟수가 잦게 되어 물이 낭비되고 식물 관리자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되고, 식물은 필요한 만큼의 물을 충분하게 흡수하지 못하여 성장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아울러, 중량이 무거운 대형의 화분의 경우에는 크고 무거워서 수작업으로 운반하기 어려워 대형 화분의 운반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대한 노력을 경주한 결과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분 본체 내에 물받이를 안착하여 내장시킴으로써 화분토의 배수 및 통기성이 우수한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급된 물의 일정량을 화분 본체 내에 저장하여 식물성장에 필요한 신선한 수분을 항상 공급할 수는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에 의하면, 수용공간이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 내의 하부에 안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공 간부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공간부로 공급된 물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공을 갖는 판상의 물받이 덮개와, 상기 물받이 덮개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복수개의 배출공을 통해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공간을 갖는 물받이 본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받이 본체는, 지지벽 형태로서 상기 물받이 덮개를 하부 외곽에서 지지하는 외곽지지부와, 상기 외곽 지지부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물 저장공간과, 상기 물 저장공간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판상의 물받이 덮개를 하부 중앙에서 지지하는 복수개의 돌출 지지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받이 본체의 외곽지지부의 일측 상부에는 일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물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넘치는 경우 배출되도록 하는 물받이 배출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받이 배출홈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상기 공간부와 상기 물받이 사이의 틈을 통해 흘러나가서 그 하측에 있는 상기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간부의 저부 가장자리는 복수개의 바퀴 달린 지지각이 대칭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의 물받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100)은 대략 팔각통상 형태의 화분 본체(10)와, 화분 본체(10)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공간부(20)와, 공간부(20) 내의 하부에 안착되어 형성되며 공간부(20)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물받이(30)와, 물받이(3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공간부(20)의 저면에 형성된 큰 배수공(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화분(100)의 재질로는 강도가 큰 금속성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일정 범위 내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재질이라면 플라스틱이나 강화 유리 등의 재질도 가능하며,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도시된 예에서는 화분(100)의 본체(10)의 형상이 팔각통상이나 원통형, 사각통형이나 마름모형 등일 수 있으며,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공간부(20)는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화분토(花盆土)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그 형태도 팔각 통상의 화분 본체(10)와 부합되게 팔각 통상으로 형성되며, 상술한 화분 본체(10)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진다. 상기 배수공(40)은 공간부(20)로 공급된 물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공간부(20)의 저면에 큰 홀(hole)(화분 본체(10) 저부의 대략 2/3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공간부(20)로 공급된 물은 후술하는 바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물받이(30)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물받이(30)의 배출홈(36) 및 배수공(40)을 통해 지면 바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배수공(40)은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물의 외부 배출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어 물받이(30)에 일시 저장되는 물을 신선하게 유지하는 통기성(通氣性)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팔각 통상의 화분 본체(10)의 저부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개의 바퀴 달린 지지각(11)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화분(100)을 지지함과 동시에 중량이 무거운 화분의 경우 바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바퀴를 접이식으로 형성하여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퀴만을 접어서 지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각(11)의 형성에 의해 배수공(4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화분 바닥 외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지게 된다.
상기한 물받이(30)는 공간부(20)로 공급된 물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공(37)을 갖는 팔각 판상의 물받이 덮개(31)와, 물받이 덮개(31)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복수개의 배출공(37)을 통해 공급된 물이 일시 저장되는 물 저장공간(33)을 갖는 팔각통상의 물받이 본체(3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물받이(30)의 재질도 화분 본체(10)와 동일하게 강도가 큰 금속성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일정 범위 내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재질이라면 플라스틱이나 강화 유리 등의 재질도 가능하며,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도시된 예에서는 물받이(30)의 형상이 화분 본체(10) 형상과 동일하게 팔각형태를 하고 있으나, 원통형, 사각통형이나 마름모형 등일 수 있으며,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물받이 본체(32)는 지지벽 형태로서, 물받이 덮개(31)를 하부 외곽에서 대략 수평 지지하는 외곽지지부(34)와, 외곽 지지부(34)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물 저장공간(33)과, 물 저장공간(33)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판상의 물받이 덮개(31)를 하부 중앙에서 지지하는 복수개의 돌출 지지부(3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물받이 본체(32)는 외곽지지부(34)의 일측 상부에 일부 절개되어 형성되며, 물 저장공간(33)에 저장된 물이 넘치는 경우 배출되도록 하는 물받이 배출홈(36)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물받이 배출홈(36)의 형성에 의해, 공간부(20)로 공급된 물은 물받이 덮개(31)의 복수개의 배출공(37)을 통해 물받이(30)의 물 저장공간(33)에 모여서 일시 저장되었다가 물 저장공간(33)의 수용량을 초과하여 넘치는 경우에 물받이(30)의 배출홈(36)을 통해 배출되고 화분 본체(10)의 공간부(20)와 물받이(30) 사이의 틈(도면 번호 미부여)을 통해 흘러나가서 그 하측에 있는 배수공(40)을 통해 외부 지면 바닥으로 배출되어 진다.
상기한 물받이 본체(32)의 물 저장공간(33)에는 공급된 물이 바로 외부로 배출되어 낭비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저장됨으로 물받이(30) 상의 화분토에서 물을 흡수하여 상시(常時) 식물의 뿌리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 라, 식물의 뿌리부분이 물받이(30)의 덮개(31)에 의해 물받이(30)의 물 저장공간(33)과는 접촉되지 않고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물받이(30)의 배출홈(36) 및 공간부(20)를 통해 넘치는 물이 항상 외부로 배출되어 짐과 동시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공간부(20)를 통해 물받이(30)의 물 저장공간(33)에 유입될 수 있음으로 우수한 배수성과 통기성으로 인해 식물의 뿌리가 썩지 않으면서 식물 성장에 필요한 신선한 수분을 항상 공급받을 수 있어 식물 성장을 보다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복수개의 돌출 지지부(35)는 물 저장공간(33)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팔각 판상의 물받이 덮개(31)를 하부 중앙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돌출 지지부(35)가 상호 대향하여 상호 90도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 지지부(35)의 개수는 4개 미만 또는 5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으며, 안정적으로 물받이 덮개(31)를 지지할 수 있다면 그 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100)의 팔각통형 화분 본체(10)의 외측면에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식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외부를 다양한 형태로 색상 처리하거나, 그림, 글씨, 음각, 양각, 도형 등의 무늬를 넣어서 아름다운 문양미를 발현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분(100)은 물받이(30)를 화분(100)의 공간부에 매립시켜 안착함으로써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식물 성장에 필요한 신선한 수분을 항상 공급할 수 있어 식물 성장을 보다 촉진할 수 있 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100)에 식물이 식수된 상태에서 물을 주게 되면 여분의 물이 물받이(30)의 덮개(31)의 복수개의 배출공(37)을 통해 아래로 흘러내려서 물받이(30)의 물 저장공간(33)에 일정량이 저장되고, 아울러 역으로 화분(100)의 본체(10) 저부의 배수공(40)을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됨으로 이렇게 저장 중인 신선한 물은 화분토가 건조해지게 되는 경우에 화분토로 흡수되어 식물의 뿌리로 일정하게 공급한다. 따라서, 식물이 양호하게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물 저장공간(33)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물받이(30)의 배출홈(36) 및 화분 본체(10)의 배수공(40)을 통해 넘치는 물이 외부로 원할하게 배출되어 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에 따르면, 화분 본체 내에 저면의 배수공과 연통(連通)된 물받이를 내장시킴으로써 화분토의 배수 및 통기성이 우수하여 식물이 양호하게 성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량의 신선한 물을 계속 저장하면서 화분토에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최적의 수분 조건을 유지시켜서 식물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화분 본체의 저부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개의 바퀴 달린 지지각을 대칭되게 형성하고 있어 안정적으로 화분을 지지함과 동시에 대형의 화분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체예를 들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임을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수용공간이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 내의 하부에 안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공간부로 공급된 물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공을 갖는 판상의 물받이 덮개와,
    상기 물받이 덮개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복수개의 배출공을 통해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공간을 갖는 물받이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본체는,
    지지벽 형태로서 상기 물받이 덮개를 하부 외곽에서 지지하는 외곽지지부와,
    상기 외곽 지지부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물 저장공간과,
    상기 물 저장공간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 덮개를 하부 중앙에서 지지하는 복수개의 돌출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본체의 외곽지지부의 일측 상부에는 일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물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넘치는 경우 배출되도록 하는 물받이 배출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배출홈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상기 공간부와 상기 물받이 사이의 틈을 통해 흘러나가서 그 하측에 있는 상기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저부 가장자리는 복수개의 바퀴 달린 지지각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형상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KR2020060011089U 2006-04-25 2006-04-25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KR200421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089U KR200421127Y1 (ko) 2006-04-25 2006-04-25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089U KR200421127Y1 (ko) 2006-04-25 2006-04-25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127Y1 true KR200421127Y1 (ko) 2006-07-07

Family

ID=41769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089U KR200421127Y1 (ko) 2006-04-25 2006-04-25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1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6444B2 (ja) 植物の栽培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成形体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KR101291237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US20020017058A1 (en) Lower feed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maintaining function
US20050166455A1 (en) Plant pot
CN206423214U (zh) 自动供水透气式花盆
KR200214155Y1 (ko) 화분
KR100419903B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KR20180078992A (ko) 식물재배용 화분
KR200421127Y1 (ko)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CN208029597U (zh) 组合式花盆结构
KR200367512Y1 (ko)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KR20200086831A (ko) 자동 관수 화분
KR20210079656A (ko) 분리형 화분
KR200496880Y1 (ko)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101099546B1 (ko)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CN214338886U (zh) 一种新型花盆
JPH08256604A (ja) 植木鉢
KR200470194Y1 (ko) 이중 화분
KR20110087721A (ko) 거리 경관용 화분
KR20170003332U (ko) 포트 꽂이 화분
KR200220766Y1 (ko) 자동급수화분
KR200266511Y1 (ko) 콩나물 재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