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364Y1 -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 - Google Patents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364Y1
KR200420364Y1 KR2020060008956U KR20060008956U KR200420364Y1 KR 200420364 Y1 KR200420364 Y1 KR 200420364Y1 KR 2020060008956 U KR2020060008956 U KR 2020060008956U KR 20060008956 U KR20060008956 U KR 20060008956U KR 200420364 Y1 KR200420364 Y1 KR 200420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diameter
protective cap
wing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용
Original Assignee
홍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용 filed Critical 홍승용
Priority to KR2020060008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3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3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파이프의 내경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파이프를 내려놓은 상태에서 결합할 수 있고, 적재된 파이프가 휠 염려가 없으면서도 내경이 다른 파이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한쪽에 파이프의 외경과 일치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플랜지부로부터 돌설된 몸체에는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하는 두 개의 날개부중 플랜지쪽의 날개부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는 파이프로 끼워지는 쪽에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몸체의 바닥면까지 요입구멍부를 형성하여서 된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파이프, 보호캡

Description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omitted}
도 1은 종래의 캡이 설치된 파이프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캡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캡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캡을 파이프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이프 21 : 플랜지부
22 : 몸체 23,24 : 날개부
25 : 바닥면 26 : 요입구멍부
본 고안의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에 관한 것으로 길이가 긴 파이프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공급되며 사용되기 전까지는 실외에 쌓아둔 상태로 보관하게 되는데 노출된 파이프의 양쪽으로 이물질이 들어가게 됨으로써 파이프를 사용하기 전에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파 이프 내부가 부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끝이 막혀있고 다른쪽에는 파이프(c)의 외경에 끼워지는 끼움부(b)를 갖는 캡(a)을 이용하여 파이프(a)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이 된 종래의 캡(a)은 파이프(c)를 외부를 덮어주는 상태로 끼워지기 때문에 무거운 파이프(c)를 한 손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캡(c)을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적재시 파이프(c)와 캡(a)의 외경 차이만큼 파이프(c)가 처침에 의해 휘게 되며, 파이프(c)를 들어올릴 때 노출된 캡(a)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파이프의 내경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파이프를 내려놓은 상태에서 결합할 수 있고, 적재된 파이프가 휠 염려가 없으면서도 내경이 다른 파이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한쪽에 파이프의 외경과 일치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플랜지부로부터 돌설된 몸체에는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하는 두 개의 날개부중 플랜지쪽의 날개부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는 파이프로 끼워지는 쪽에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몸체의 바닥면까지 요입구멍부를 형성하여서 된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에 파이프(10)의 외경과 일치하는 플랜지부(21)가 형성되고, 플랜지부(21)로부터 돌설된 몸체(22)에는 파이프(10)의 내경에 대응하는 두 개의 날개부(23)(24)중 플랜지(10)쪽의 날개부(23) 직경이 날개부(24)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23)(24)는 파이프(10)로 끼워지는 쪽에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3a)(24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1)로부터 몸체(22)의 바닥면(25)까지 요입구멍부(26)를 형성하여서 된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이가 긴 금속재 파이프는 외경이 동일한 경우에도 소재의 두께(T)에 따라 내경이 달라지며, 본원출원인은 본 고안을 안출함에 있어서 종래 보호캡이 갖는 문제점과 함께 한 가지 규격의 보호캡으로 내경이 다른 파이프에 사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고심하였다.
그 결과 날개부(23)(24)가 파이프(1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외측 경사면(23a)(24a)을 형성하고 플랜지(10) 쪽에 가까운 날개부(23)의 직경을 다른 날개부(24)의 직경보다 크게 하면 한 가지 규격의 보호캡으로 내경이 다른 파이프에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고안을 완성할 수 있었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보호캡은 날개부(23)(24)를 갖는 몸체(22)가 파이프(10)의 내경에 끼워지고, 플랜지부(21)는 파이프(10)의 외경과 일치하기 때문에 파이프(10)를 들어올리지 않고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을 파이프(10) 양측에 설치할 수 있다.
파이프(10)에 몸체(22)를 끼울때 상기 요입구멍부(26)는 날개부(23)(24)에 신축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보호캡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보호캡 제작에 소요되는 자재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해주며, 날개부(23)(24)는 외측 경사면(23a)(24a)에 의해 외측으로 갈 수록 얇아지게 됨으로써 파이프(10)로 보호캡이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파이프(10)의 내경이 플랜지(21)쪽의 날개부(23)보다 작은 경우에도 날개부(23)는 경사면(23)에 의해 젖혀지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어 한 가지 규격의 보호캡으로 내경이 다른 파이프에 사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파이프(10)에 몸체(22)가 끼워지게 보호캡을 결합한 상태에서는 몸체(22)가 파이프(10)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운반시 보호캡이 손상될 염려가 없다.
또한 보호캡이 결합된 파이프(1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하더라도 플랜지(21)가 파이프(10) 외경과 동일하기 때문에 처침에 의해 휘는 현상이 발생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파이프(10)를 사용하기 위해 보호캡을 제거할 경우에는 플랜지부(21)를 손으로 쥐고 눌러주면 몸체(22)와 함께 날개부(23)(24)가 변경됨으로써 공기가 파이프(10) 내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보호캡이 파이프로부터 쉽게 빠지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보호캡과는 달리 파이프를 내려 놓은 상태에서 설치되며, 파이프를 적재하였을 때 처침에 의해 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파이프 운반시 손상될 염려가 없으면서도 소재 두께에 따라 내경이 다른 파이프에 한 가지 규격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한쪽에 파이프(10)의 외경과 일치하는 플랜지부(21)가 형성되고, 플랜지부(21)로부터 돌설된 몸체(22)에는 파이프(10)의 내경에 대응하는 두 개의 날개부(23)(24)중 플랜지(10)쪽의 날개부(23) 직경이 다른 날개부(24)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23)(24)는 파이프(10)로 끼워지는 쪽에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3a)(24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1)로부터 몸체(22)의 바닥면(25)까지 요입구멍부(26)를 형성하여서 된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
KR2020060008956U 2006-04-05 2006-04-05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 KR200420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956U KR200420364Y1 (ko) 2006-04-05 2006-04-05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956U KR200420364Y1 (ko) 2006-04-05 2006-04-05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364Y1 true KR200420364Y1 (ko) 2006-07-03

Family

ID=4176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956U KR200420364Y1 (ko) 2006-04-05 2006-04-05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3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290A (ko) 2016-11-10 2018-05-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보호캡 및 배관보호캡의 장착지그
KR20190001422U (ko) 2017-12-05 2019-06-14 김정관 봉제용 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290A (ko) 2016-11-10 2018-05-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보호캡 및 배관보호캡의 장착지그
KR20190001422U (ko) 2017-12-05 2019-06-14 김정관 봉제용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45493A (zh) 包括开口螺纹保护件和可接合封闭盖的螺纹保护组件
US20070207010A1 (en) Split nut with magnetic coupling
US20090008400A1 (en) Closure Assembly for Container
JP4914435B2 (ja) パレットコンテナ用の識別プレート
US20100209178A1 (en) Coupler for corrugated pipe
ES2521678T3 (es) Protector para unión roscada para tubo
US8858042B2 (en) Detachment-resistant shell of light bulb
KR200420364Y1 (ko) 파이프의 내경에 결합되는 보호캡
JP2020509312A5 (ko)
PT1637814E (pt) Aba com caixa de conduta
CA2586877A1 (en) Gas cap and components therefor
KR101231873B1 (ko) 너트 풀림 방지 장치
JP2010194394A (ja) 管内面塗装の乾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管体保護用のキャップ
US7195566B2 (en) Grip of sports equipment
US6802698B2 (en) Port cover for protecting not only a port of a compressor but also a pipe fixing portion thereof
US20110139801A1 (en) Cap device of a gas cylinder valve
JP5084653B2 (ja) ドレンプラグ
JP6010415B2 (ja) 管端キャップの装着構造
US1165427A (en) Protector for pipes or conduit units.
JP6045838B2 (ja) 配管体
CN107207144A (zh) 用于供液体用的运输和储存容器的托盘状的底架
US20080105683A1 (en) Cap for detachably covering outlet opening of fuel gas valve
JP6172963B2 (ja) 保護キャップ
JP5749601B2 (ja) プラグ型管端保護具
JP4668018B2 (ja) サドル分水栓用防食スリーブ付き防塵キャップとサドル分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