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201Y1 -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 - Google Patents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201Y1
KR200420201Y1 KR2020060006008U KR20060006008U KR200420201Y1 KR 200420201 Y1 KR200420201 Y1 KR 200420201Y1 KR 2020060006008 U KR2020060006008 U KR 2020060006008U KR 20060006008 U KR20060006008 U KR 20060006008U KR 200420201 Y1 KR200420201 Y1 KR 200420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computer
user
arm
fit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래
Original Assignee
김규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래 filed Critical 김규래
Priority to KR2020060006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2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2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Abstract

손목이 없는 장애자들도 손쉽게 마우스 조작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컴퓨터의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마우스 장치에서, 상부면 전방에는 정보 입력 버튼들이 형성되고, 컴퓨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팔이 내부로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끼움 수단; 및 상기 끼움 수단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 들을 포함하여 상기 끼움 수단과 사용자의 팔이 밀착되도록 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손목이 없는 장애자들도 팔 전체를 이용하여 쉽게 마우스 조작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손목이 없는 장애자들도 컴퓨터를 좀 더 친근하게 느끼고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폭 넓은 정보화의 혜택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손목이 없는 장애자, 볼 마우스, 장애자용 마우스, 컴퓨터 입력수단, 광 마우스

Description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A Computer Mouse For Handicapped Persons Without a Wrist}
도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에 따른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
5a,5b.... 버튼 7..... 컴퓨터 케이블
10.... 마우스 본체 20.... 끼움 수단
22.... 공간 30.... 고정 수단
32.... 돌기 40.... 사용자의 팔
100.... 컴퓨터 110.... 컴퓨터 본체
120.... 모니터 130.... 키보드
140.... 마우스 장치 142.... 마우스 본체
147.... 마우스 케이블 150a,150b.... 버튼
본 고안은 컴퓨터용 마우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손목이 없는 장애자들도 손쉽게 마우스 조작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용 마우스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와 함께 대표적인 컴퓨터의 입력 수단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마우스 장치는 전자 감응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 또는 볼과 롤러의 회전을 이용한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볼과 롤러를 이용한 볼 마우스 장치는 구조가 단순하고 작동이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마우스 장치는 그 작동에 따라 컴퓨터 모니터의 화면에 나타난 커서(Cursor)가 화면의 소정 위치를 가리킬 수 있으며, 마우스에 구비된 버튼을 클릭(click)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소정의 입력 작용이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개인용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컴퓨터(100)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각종의 하드 웨 어가 설치된 본체(110)와, 컴퓨터 프로그램의 수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니터(120)를 구비하며, 컴퓨터에 대한 입력 장치로서 키보드(130) 및 마우스 장치(140)를 구비한다.
상기 마우스 장치(140)는 볼(ball) 마우스 타입 또는 광(光) 마우스 타입이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는 단지 예를 들어서 볼 마우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본 고안은 광 마우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마우스 장치(140)는 그 상부 면에 하나 이상의 버튼(150a)(150b)이 구비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볼의 일부 표면이 돌출되어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 장치(140)의 저면을 평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모니터(120) 상에 나타난 커서(미 도시)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버튼(150a)(150b)을 누름으로써 입력 작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마우스 장치(140)는 그 본체(142)의 전면에 케이블(147)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케이블(147)은 컴퓨터 본체(110)에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142)의 저면에는 볼 삽입 공간(미 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미 도시)이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마우스 장치(140)는 컴퓨터의 입력 수단으로서 중요한 기능을 하지만, 이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책상과 같은 평면상에서 마우스를 이동시켜 커서를 이동시키고, 그 상부 면에 구비된 버튼(150a)(150b)들을 눌러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마우스 장치(140)는 손목이 없는 장애인의 경우에는 그 사용이 어려운 것이다.
예를 들면 먼저 마우스 장치(140)를 평면에 대하여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마우스를 쥐지 못하므로 원하는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커서를 이동시킨 다음에는 버튼(150a)(150b)을 눌러야 하지만, 이와 같은 버튼의 누름 작동도 용이하지 않은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손목이 없는 장애자들도 팔 전체를 이용하여 쉽게 마우스 조작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컴퓨터의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마우스 장치에 있어서,
상부면 전방에는 정보 입력 버튼들이 형성되고, 컴퓨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팔이 내부로 삽입되는 공간을 형 성하는 끼움 수단; 및
상기 끼움 수단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 들을 포함하여 상기 끼움 수단과 사용자의 팔이 밀착되도록 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 수단은 그 양측 단부들이 상기 본체의 양측 모서리에 일체로 연결되는 다각통 또는 원통형상의 탄력있는 플라스틱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끼움 수단의 내측으로 사용자의 팔이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의 팔을 따라서 휘어져서 그 탄성 복원력으로 사용자의 팔과 끼움 수단을 고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의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1)는 상부면 전방에 정보 입력 버튼(5a)(5b)들이 형성되고, 컴퓨터 본체(110)에 연결되는 케이블(7)이 형성된 본체(1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일반적인 볼 마우스 본체이거나 광 마우스 본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상에 마련된 정보 입력 버튼(5a)(5b)들은 그 누름 동작에 의해서 컴퓨터(100)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팔(40)이 내부로 삽입되는 공간(22)을 형성하는 끼움 수단(20)을 구비한다.
상기 끼움 수단(20)은 그 양측 단부들이 상기 본체(10)의 양측 모서리에 일체로 연결되는 다각통 또는 원통 형상의 탄력 있는 플라스틱 구조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의 상부 측 커버(10a)에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끼움 수단(20)은 그 내측 공간(22)의 크기가 사용자의 팔(40)보다 다소 큰 크기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끼움 수단(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32) 들을 포함하여 상기 끼움 수단(20)과 사용자의 팔(40)이 밀착되도록 하는 고정 수단(30)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 수단(30)은 상기 끼움 수단(20)의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기(32) 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 수단(30)은 상기 끼움 수단(20)의 내측으로 사용자의 팔(40)이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의 팔(40)을 따라서 휘어져서 그 탄 성 복원력으로 사용자의 팔(40)과 끼움 수단(20)을 고정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이 없는 장애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매우 유용한 것이다.
즉 손목이 없는 장애자는 본 고안에 마련된 끼움 수단(20)의 내측에 팔(40)을 끼우게 되면 고정 수단(30)이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탄력적으로 사용자의 팔(40)을 지지하여 끼움 수단(20)과 사용자의 팔(40)을 일체로 밀착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끼움 수단(20)은 그 구조가 다각형 또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탄력 있는 플라스틱 구조체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팔(40)이 삽입되면 그 외관 구조가 사용자의 팔(40)에 맞추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더욱 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끼움 수단(20)을 통하여 본 고안의 마우스 본체(10)를 사용자의 팔(40)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어느 한 평면에 대하여 마우스 본체(10)를 움직이면 끼움 수단(20)에 연결된 마우스 본체(10)는 사용자의 팔(40) 움직임에 따라서 그 의도에 맞추어 원활하게 평면상에서 이동하여 컴퓨터 모니터상의 커서를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커서를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본체(10)의 전방 측에 마련된 버튼(5a)(5b)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누름으로써 컴퓨터(100)에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버튼(5a)(5b)의 누름 작동에서 상기 끼움 수단(20)과 고정 수단(30)들은 각각 탄력성 있는 재료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쉽게 버튼(5a)(5b)들을 눌러 정보입력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 중에 그 팔(40) 끝이 상기 버튼(5a)(5b)의 상부 측에 위치된 것이다. 그러므로, 손목이 없는 사용자가 우측 버튼(5a)을 누르고자 하는 경우, 우측 버튼(5a) 측으로 팔(40) 끝을 기울이면서 힘주면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본 고안의 마우스 본체(10)는 바닥면이 책상 등에 올려진 상태이고, 팔(40)을 에워싸는 끼움 수단(20)과 고정 수단(30)들은 각각 탄력성 있는 재료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우측 버튼(5a) 측으로 팔(40) 끝을 기울이면 사용자는 끼움 수단(20)과 고정 수단(30) 내에서 의도한 바대로 쉽게 팔(40) 끝을 움직일 수 있고, 우측 버튼(5a)을 눌러 클릭(click)할 수 있게 되며, 정보입력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좌측 버튼(5b)의 경우에도 동일한 것이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팔(40) 끝을 힘준 상태에서 좌측 버튼(5b) 측으로 팔(40) 끝을 기울이면서 누르게 되면, 마우스 본체(10)는 바닥면이 책상 면에 지지되고, 팔(40)을 에워싸는 끼움 수단(20)과 고정 수단(30)들은 각각 탄력성 있는 재료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쉽게 좌측 버튼(5a)을 눌러 원하는 횟수의 클릭(click)을 할 수 있고, 정보입력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손목이 없는 장애자들도 팔 전체를 이용하여 쉽게 마우스 조작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마우스의 버튼을 누르고자 하는 경우, 좌측 또는 우측으로 팔 끝을 기울여서 누르게 되면 쉽게 클릭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매우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손목이 없는 장애 자들도 컴퓨터를 좀 더 친근하게 느끼고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폭 넓은 정보화의 혜택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하여 예를 들어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 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컴퓨터의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마우스 장치에 있어서,
    상부면 전방에는 정보 입력 버튼들이 형성되고, 컴퓨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팔이 내부로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끼움 수단; 및
    상기 끼움 수단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 들을 포함하여 상기 끼움 수단과 사용자의 팔이 밀착되도록 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수단은 그 양측 단부들이 상기 본체의 양측 모서리에 일체로 연결되는 다각통 또는 원통 형상의 탄력 있는 플라스틱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끼움 수단의 내측으로 사용자의 팔이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의 팔을 따라서 휘어져서 그 탄성 복원력으로 사용자의 팔과 끼움 수단을 고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
KR2020060006008U 2006-03-06 2006-03-06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 KR200420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08U KR200420201Y1 (ko) 2006-03-06 2006-03-06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08U KR200420201Y1 (ko) 2006-03-06 2006-03-06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201Y1 true KR200420201Y1 (ko) 2006-06-29

Family

ID=4929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008U KR200420201Y1 (ko) 2006-03-06 2006-03-06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2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46459B2 (en) Mouse
WO2006042309A8 (en) Haptic feedback for button and scrolling action simulation in touch input devices
KR20030091993A (ko) 컴퓨터 마우스
US20100156832A1 (en) Ergonomic keyboard and laptop
RU2430402C2 (ru) Манипулятор типа &#34;мышь&#34;
US20070036603A1 (en) Portable keyboard
US20060152490A1 (en) Casing structure of mouse
JPH02222019A (ja) 入力装置
KR200420201Y1 (ko) 손목이 없는 장애자용 마우스
KR101374881B1 (ko) 컴퓨터용 마우스
US20060187206A1 (en) Computer mouse
JPH04324516A (ja) ハンデイキーボード
KR200473897Y1 (ko) 장애인용 마우스
KR100421369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에서 풀다운 메뉴 표시 방법
KR101393698B1 (ko) 장애인용 마우스
JPH05204539A (ja) コンピュータ装置
KR200361516Y1 (ko) 핑거 그립 마우스
KR200377873Y1 (ko) 컴퓨터용 마우스
KR200274067Y1 (ko) 발 마우스
JP2004078839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ィバイス
KR200435232Y1 (ko) 컴퓨터용 유니버셜 디자인 마우스.
KR200206557Y1 (ko) 손목보호형 마우스
JP3084728U (ja) マウス指休め具
KR200262391Y1 (ko) 인간 환경 공학의 컴퓨터 마우스
KR20070095046A (ko) 손가락이 바닥에 닿지 않는 컴퓨터용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