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873Y1 - 컴퓨터용 마우스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873Y1
KR200377873Y1 KR20-2004-0036092U KR20040036092U KR200377873Y1 KR 200377873 Y1 KR200377873 Y1 KR 200377873Y1 KR 20040036092 U KR20040036092 U KR 20040036092U KR 200377873 Y1 KR200377873 Y1 KR 200377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upper case
computer
finger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민
Original Assignee
서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민 filed Critical 서창민
Priority to KR20-2004-0036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8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8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우스의 상부케이스에 만곡면을 형성하고, 그 인접한 일측에 손가락을 수직으로 구부려 터치할 수 있는 후크형 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접촉면에 버튼부를 형성하여 마우스를 움켜쥔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특정 손에 피로를 줄여주며, 또한, 피부 밀착도가 긴밀해져 손목의 움직임보다는 팔 운동을 통해 사용하여 손목통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즉,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와 병행하여 입력장치로 사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클릭버튼 및 휠버튼을 구비한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의 상부케이스에 만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만곡면의 인접한 일측에 손가락을 구부려 터치할 수 있는 후크형의 접촉면을 형성하여, 이 접촉면에 제 1,2 클릭버튼 및 휠버튼을 설치하며,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인체의 피부와 같은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실리콘으로 성형된 외피로 감싸지도록 하여 손목과 손가락관절의 피로부하를 분산시키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컴퓨터용 마우스{Mouse for computer}
본 고안은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의 상부케이스에 만곡면을 형성하고, 그 인접한 일측에 손가락을 수직으로 구부려 터치할 수 있는 후크형 접촉면을 형성하여 마우스를 사용할 때 손목운동이 아닌 팔운동을 통해 마우스를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마우스의 사용도중 팔에 힘이 손목관절을 압박하여 발생하는 손목의 통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각종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집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므로 대부분의 컴퓨터는 조작자 자신이 직접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대개 두 종류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문자나 숫자와 같은 기호적인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인 키보드와 표시화면 상의 임의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인 마우스, 광펜, 트랙볼, 포인팅 스틱, 터치 스크린, 음성 인식 시스템, 조이스틱 등이 있다.
이들 통상적인 입력 장치는 임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에 대해 각각의 장점 및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컴퓨터(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등)에서 주로 이용되는 입력 장치에는 키보드와 마우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윈도우의 빠른 보급으로 인해 거의 모든 프로그램들이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기능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마우스의 사용이 더욱 증가하고 있 는 추세이다.
이러한 마우스는 바닥면에 접촉되는 하부케이스와 손바닥면이 접촉되는 상부케이스 및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부로 이루어지며, 그 작동 방식에 따라 크게 기존의 볼마우스와 최근의 광마우스로 분류된다. 광마우스는 적외선 조사 및 수광소자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볼마우스는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한 볼의 회전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를 컴퓨터 장치에 전달하고, 컴퓨터 장치는 화면상의 포인터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컴퓨터용 마우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마우스는 상부케이스의 중앙부에 볼록한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만곡면를 중심으로 일측 경사면에 버튼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를 파지하면 손목부위가 바닥면에 접촉되고, 이러한 상태로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하면 팔에 힘이 손목을 압박하여 손목관절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업무를 위해 컴퓨터를 다루는 직장인이나 게임을 즐기는 학생들은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시 손이 닿는 마우스는 손에서 발생되는 땀 및 이물질에 의해 각종 세균이 번식하여 질병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우스의 상부케이스에 만곡면을 형성하고, 그 인접한 일측에 손가락을 수직으로 구부려 터치할 수 있는 후크형 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접촉면에 버튼부를 형성하여 마우스를 움켜쥔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손에 피로를 줄여줌과 동시에 피부 밀착도가 긴밀해져 손목의 움직임보다는 팔 운동을 통해 사용하여 손목의 통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는 소정의 탄력을 갖는 실리콘재질의 외피를 결합함으로써, 마우스에 피부와 동일한 촉감과 탄력을 제공하여 손목과 손가락관절의 피로부하를 분산시키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피로감 없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실리콘 재질의 외피에 은나노 성분을 배합하여 제작함으로써, 마우스가 은나노성분에 의한 살균 및 항균작용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불쾌감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와 병행하여 입력장치로 사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클릭버튼 및 휠버튼을 구비한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의 상부케이스에 만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만곡면의 인접한 일측에 손가락을 구부려 터치할 수 있는 후크형의 접촉면을 형성하여, 이 접촉면에 제 1,2 클릭버튼 및 휠버튼을 설치하며,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인체의 피부와 같은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실리콘으로 성형된 외피로 감싸지도록 하여 손목과 손가락관절의 피로부하를 분산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피에는 마우스에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한 은나노 원료가 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다수개의 삽입공을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를 감싸는 외피의 내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삽입공에 삽입/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컴퓨터용 마우스(100)는 하부케이스(110), 상부케이스(120), 버튼부(10) 및 외피(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그 저면이 바닥면과 접촉되며, 내측에는 마우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우스(100)를 움직이면 센서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컴퓨터 모니터에 나타난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센서부는 기존 마우스에 적용되고 있는 기술과 동일한 기술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생산업체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케이스(120)는 그 상부에 손바닥 및 손목관절 부위를 올려놓을 수 있는 만곡면(122)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122)의 인접한 일측에는 손가락을 구부려 터치할 수 있는 후크형 접촉면(1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124)에는 컴퓨터의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버튼부(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10)는 가운데 휠버튼(16)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 클릭버튼(12)과 제2 클릭버튼(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버튼부(10)는 모니터 화면의 커서를 특정한 위치에 갖다 놓고 클릭버튼을 누르거나(클릭), 클릭버튼을 누른 채로 마우스를 끌고 다니거나(드래그), 클릭버튼을 재빨리 두 번 연속하여 누르는(더블클릭) 등의 동작으로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20)의 외측에는 다수개의 삽입공(12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공(126)은 제1,2 클릭버튼(12,14)과 상부케이스(120)의 외측에 고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피(130)는 그 내면에 다수개의 돌기(136)가 형성되고, 상기 외피(130)의 전방에는 절개부(13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피(130)의 내면형상은 상기 상부케이스(120)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외피(130)는 사람의 피부와 동일한 촉감과 탄력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상기 돌기(136)의 위치는 상부케이스(120)의 삽입공(12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피(130)에는 마우스(100)에 세균 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은나노 원료가 배합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은나노기술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은나노'는 강력한 살균효과와 인체 면역 기능을 가진 은을 10 ∼20 나노미터로 극세입자화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은을 10억분의 1mm이하의 크기로 쪼개면 본래 은의 성질(원소기호 Ag)에는 없던 항균, 살균기능과 더불어 탈취, 전자파 차폐 등 새로운 특성이 나온다. 이와 같은 나노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살펴보면, 세탁기, 의류, 및 신발 등과 같이 항균, 살균기능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은나노기술의 항균 및 살균기능을 마우스에 접목시켜 마우스에서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구성을 갖는 컴퓨터용 마우스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상부에 상부케이스(120)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20)의 상부에는 외피(13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제1,2 클릭버튼(12,14) 및 상부케이스(120)의 외측에 형성된 삽입공(126)에 외피(130)의 하면에 형성된 돌기(136)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외피(130)의 절개부(138) 내측에는 휠버튼(16)이 위치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는 마우스를 사용함에 있어, 손목관절 압박에 의한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컴퓨터용 마우스(100)를 파지하면 손가락은 상기 외피(130)의 외측 즉, 상부케이스(120)의 후크형상 접촉면(1)에 위치되고, 손바닥면은 상부케이스(120)의 만곡면(122)에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컴퓨터용 마우스(100)를 사용함에 있어, 마우스(100)의 형상이 을 손으로 움켜 쥘 수 있는 형상을 취한다. 이때, 엄지손가락은 제2 클릭버튼(14)을 클릭하며, 검지손가락은 휠버튼(16)을 조작하며, 중지손가락은 제1 클릭버튼(12)를 클릭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특정 손가락만 구부려 사용함으로 인해 오는 손의 피로를 줄여주며, 마우스와 손바닥면과의 밀착도가 긴밀해져 손목의 움직임보다 팔 전체를 사용함으로써, 손목통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목과 손바닥면은 은나노 처리되어 항균성이 뛰어난 실리콘소재의 외피(130)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튼부(10)의 제1,2 클릭버튼(12,14)을 누르면 외피(130)의 탄성력에 의해 제1,2 클릭버튼(12,14)을 클릭할 수 있게된다. 이에 따라 마우스(100)를 사용시 상기 외피(130)의 사람피부와 같은 촉감 및 탄력에 의해 손목 및 손가락 관절의 피로부하를 분산시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용 마우스는 마우스의 상부케이스에 만곡면을 형성하고, 그 인접한 일측에 손가락을 수직으로 구부려 터치할 수 있는 후크형 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접촉면에 버튼부를 형성하여 마우스를 움켜쥔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손에 피로를 줄여줌과 동시에 피부 밀착도가 긴밀해져 손목의 움직임보다는 팔 운동을 통해 사용하여 손목의 통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는 소정의 탄력을 갖는 실리콘재질의 외피를 결합함으로써, 마우스에 피부와 동일한 촉감과 탄력을 제공하여 손목과 손가락관절의 피로부하를 분산시키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피로감 없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실리콘 재질의 외피에 은나노 성분을 배합하여 제작함으로써, 마우스가 은나노성분에 의한 살균 및 항균작용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불쾌감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요부단면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컴퓨터용 마우스 110 : 하부케이스
120 : 상부케이스 122 : 만곡면
124 : 후크형 경사면 126 : 삽입공
130 : 외피 136 : 돌기

Claims (3)

  1.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와 병행하여 입력장치로 사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클릭버튼 및 휠버튼을 구비한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100)의 상부케이스(120)에 만곡면(122)을 형성하고, 상기 만곡면(122)의 인접한 일측에 손가락을 구부려 터치할 수 있는 후크형의 접촉면(124)을 형성하여, 이 접촉면(124)에 제 1,2 클릭버튼(12,14) 및 휠버튼(16)을 설치하며,
    상기 상부케이스(120)에는 인체의 피부와 같은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실리콘으로 성형된 외피(130)로 감싸지도록 하여 손목과 손가락관절의 피로부하를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130)에는 마우스에 세균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은나노 원료가 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20)에는 다수개의 삽입공(126)을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20)를 감싸는 외피(130)의 내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삽입공(126)에 삽입/결합되는 돌기(13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KR20-2004-0036092U 2004-12-20 2004-12-20 컴퓨터용 마우스 KR200377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092U KR200377873Y1 (ko) 2004-12-20 2004-12-20 컴퓨터용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092U KR200377873Y1 (ko) 2004-12-20 2004-12-20 컴퓨터용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873Y1 true KR200377873Y1 (ko) 2005-03-14

Family

ID=4367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092U KR200377873Y1 (ko) 2004-12-20 2004-12-20 컴퓨터용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8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106B1 (ko) 2011-05-18 2012-10-10 (주) 우성정공 이중사출을 이용한 인체 친화형 마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106B1 (ko) 2011-05-18 2012-10-10 (주) 우성정공 이중사출을 이용한 인체 친화형 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hitmire et al. Digitouch: Reconfigurable thumb-to-finger input and text entry on head-mounted displays
US6072471A (en) Ambidextrous upright computer mouse
US6373470B1 (en) Cursor control device having an integral top member
US20020140668A1 (en) Thumb actuated x-y input device
US7701443B2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10928908B2 (en) Haptic device, for interaction with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systems
US20080259026A1 (en) Ergonomic cursor control device that does not assume any specific posture of hand and fingers
Tan et al. BikeGesture: user elicitation and performance of micro hand gesture as input for cycling
Yoon et al. Wearable textile input device with multimodal sensing for eyes-free mobile interaction during daily activities
US6147673A (en) Computer input device and keyboard
US20060250364A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7705827B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7808484B1 (en) Squeezable computer mouse
TW200400458A (en) Ergonomically shaped computer pointing device
US20070285400A1 (en) Palm attached touch-pad computer mouse
AU2016425227A1 (en) A finger activated mouse device/switching device
KR200377873Y1 (ko) 컴퓨터용 마우스
US6781573B1 (en) Ergonomic mouse
US6549189B1 (en) Method for operating a computer input device and keyboard
US11144137B2 (en) Computer pointing device
HU222860B1 (hu) Személyi számítógéphez való működtetőszerkezet
WO2000029933A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KR20090076180A (ko)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마우스
KR200361516Y1 (ko) 핑거 그립 마우스
JP2002358159A (ja) マウス用指固定具及びポインティング用マウス、マウス用指固定具を備えたポインティング用マ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