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150Y1 -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150Y1
KR200420150Y1 KR2020060010072U KR20060010072U KR200420150Y1 KR 200420150 Y1 KR200420150 Y1 KR 200420150Y1 KR 2020060010072 U KR2020060010072 U KR 2020060010072U KR 20060010072 U KR20060010072 U KR 20060010072U KR 200420150 Y1 KR200420150 Y1 KR 200420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information
rising
fall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홍철
Original Assignee
차홍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홍철 filed Critical 차홍철
Priority to KR2020060010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1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8Adaptations of mechanically-operated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2Up or down call in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신기에는 두 개의 버튼을 설치하여 상승과 하강을 구별하여 호출하도록 하고 수신기에서는 호출된 신호가 상승이나 하강인 가를 인식한 후 운전자가 운전 시에 모든 층을 정차하지 않으면서 상승하는 중이나 하강하는 중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송신기의 상승 선택 버튼 또는 하강 선택 버튼을 온시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이 역류방지용 다이오드를 통하여는 발광 다이오드를 거쳐 정전압 회로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의 상승 선택 버튼에서 상기의 역류방지용 다이오드를 거치지 않은 "H"신호나 하강 선택 버튼으로부터의 "L"신호가 양쪽 다이오드를 거쳐 정전압 회로와 저항과 콘덴서의 시정수 소자를 구비한 업다운 회로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정전압 회로와 업다운 회로를 각각 경유한 전원은 디지털신호 발생용 엔코더 IC로 공급되어 사용자가 층 선택용 딥스위치와 구역 선택용 딥스위치를 통하여 선택한 구역과 층의 정보 및 상승이나 하강에 따른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입력받도록 하고,
상기의 디지털신호 발생용 엔코더 IC에서는 상기의 정전압 회로를 통한 전원을 공급받는 RF모듈로 상기의 정보들을 출력하여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의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전달받는 수신기의 수신부에서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 중에서 선택한 코드의 신호만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의 수신부로부터 선택한 신호만 전달받는 디코더에서는 선택한 코드의 정보만 추출하도록 하고,
상기의 디코더로부터 상승이나 하강에 다른 정보와 함께 탑승을 원하는 층과 구역의 정보를 전달받는 메인 CPU에서는 원하는 층이 현재 운행 중인 방향과 일치하는 지를 선택하고 음향이 다른 두 멜로디 IC로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상승이나 하강에 따라 다른 멜로디 음이 증폭기와 스피커를 거쳐 출력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의 AC전원이나 내부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의 메인 CPU에서는 운전자가 선택하는 상승이나 하강으로 운전하기 위한 전환스위치의 신호를 전달받아 현재 운행되는 방향에 따른 정보를 인식하도록 하고,
리프트 카가 층을 지날 때마다 카운터에서 하나씩 카운트하면서 현재 운행 중인 층에 대한 정보를 메인 CPU에서 인식하도록 하여 현재 거친 층을 표시하고 표시한 층과 도착한 층에 의하여 표시상태를 조절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CPU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승층 표시부와 하강층 표시부에서는 선택된 층의 숫자를 차례로 표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omitted}
도 1은 본 고안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송신기 3 : 상승 선택 버튼
4 : 하강 선택 버튼 7 : 정전압 회로
9 : 업다운 회로 10 : 엔코더 IC
13 : RF모듈 20 : 수신기
23 : 디코더 24 : 메인 CPU
25, 26 : 멜로디 IC 32 : 카운터
본 고안은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송신기에는 두 개의 버튼을 설치하여 상승과 하강을 구별하여 호출하도록 하고 수신기에서는 호출된 신호가 상승이나 하강인 가를 인식하도록 한 후 운전시 운전자가 모든 층을 정차하지 않으면서 상승하는 중이나 하강하는 중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 도록 한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고층 빌딩이나 고층 아파트를 건설할 경우 필수적으로 리프트 카(lift car)라는 간이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화물이나 자재를 운반하거나 또는 사람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리프트 카는 기능과 효율성이 뛰어나 건설현장에서 그 사용 횟수가 늘어나고 용도가 더욱 다양해질 전망이다.
고층을 오르내리면서 필요한 인력과 자재를 공급하기 위한 리프트 카는 필요한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어느 층에서든지 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리프트 카는 사용되는 곳이 고층이기 때문에 자재를 운반하거나 필요한 인력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시간과 능률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지만, 현재에는 줄을 당기면 종소리가 나면서 호출된 상태임을 알 수 있도록 하거나, 리프트 카에 무선의 무선이나 유선으로 수신기를 장치하여 송신기를 누를 때 이를 인식하면서 멜로디가 울리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줄이나 송신기에 의한 호출방법에 의하여서는 이용자가 상승을 원하는지 하강을 원하는지 표현할 수 없어, 호출한 층을 모두 정지하면서 상승할 때에는 상승할 사람이나 자재를 실고, 하강할 때에는 하강할 사람이나 자재를 실어 나르도록 하였다.
하나의 줄이나 호출버튼 만으로 이용자 자신이 상승하기를 원하는지 하강하기를 원하는지 표현할 수가 없어 리프트 카에서도 인식할 수 없어 모든 호출된 층 을 정지하면서 상승할 때와 하강할 때에 따라 구별없이 운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송신기에는 두 개의 버튼을 설치하여 상승과 하강을 구별하여 호출하도록 하고 수신기에서는 호출된 신호가 상승이나 하강인 가를 인식하도록 한 후 운전자가 운전시 모든 층을 정차하지 않으면서 상승하는 중이나 하강하는 중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는,
탑승을 원하는 사람이 사용하며 상승이나 하강하고자 하는 층을 선택한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기와,
상기의 송신기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상승이나 하강의 정보 및 선택된 층의 정보에 의하여 발광 표시장치(FND)를 점등시키거나 멜로디 음으로 알려준 후 저장하였다가 표시하면서 운전자가 관리하도록 하는 수신기로 구성하되,
상기의 송신기는,
배터리의 전원이 상승 선택 버튼 또는 하강 선택 버튼 및 역류방지용 다이오드를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거쳐 정전압 회로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의 상승 선택 버튼에서 상기의 역류방지용 다이오드를 거치지않은 "H"신호나 하강 선택 버튼으로부터의 "L"신호가 다이오드를 거쳐 저항과 콘덴서의 시정수 소자를 구비한 업다운 회로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정전압 회로와 업다운 회로를 각각 경유한 전원과 신호는 디지털신호 발생용 엔코더 IC로 공급되어 사용자가 층 선택용 딥스위치와 구역 선택용 딥스위치를 통하여 선택한 구역과 층의 정보 및 상승이나 하강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고,
상기의 디지털신호 발생용 엔코더 IC에서는 상기의 정전압 회로를 통한 전원을 공급받는 RF모듈로 상기의 정보들을 출력하여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의 송신기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전달받는 수신기의 수신부에서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 중에서 선택한 신호만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의 수신부로부터 선택한 정보를 전달받는 디코더에서는 선택된 코드의 정보만 추출하도록 하고,
상기의 디코더로부터 상승이나 하강에 다른 정보와 원하는 층과 구역의 정보를 전달하고 메인 CPU에서는 원하는 층과 구역을 선택하고 운행 방향과 일치하는 가를 판단하여 두 멜로디 IC로 신호를 출력하여 상승이나 하강에 따라 각각 다른 멜로디 음이 증폭기와 스피커를 거쳐 출력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의 AC전원이나 내부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의 메인 CPU에서는 운전자가 선택하는 상승이나 하강으로 운전하기 위한 전환스위치의 신호를 전달받아 운행되는 방향에 따른 정보를 인식하도록 하고,
리프트 카가 층을 지날 때마다 카운터에서 하나씩 카운트하면서 현재 운행 중인 층에 대한 정보를 메인 CPU에서 인식하도록 하여 현재 거친 층을 표시하고 표 시한 층과 도착한 층에 의하여 표시상태를 조절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CPU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승층 표시부와 하강층 표시부에서는 선택된 층의 숫자를 차례로 표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는
탑승을 원하는 사람이 사용하며 상승이나 하강하고자 하는 층을 선택한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기(1)와,
상기의 송신기(1)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상승이나 하강의 정보 및 선택된 층의 정보에 의하여 발광 표시장치를 점등시키거나 멜로디 음으로 알려준 후 저장하였다가 표시하면서 운전자가 판단하도록 하는 수신기(20)들로 구성하되,
상기의 송신기(1)는,
배터리(2)의 전원이 상승 선택 버튼(3) 또는 하강 선택 버튼(4)과 역류방지용 다이오드(5)를 통하여는 발광 다이오드(6)를 거쳐 정전압 회로(7)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배터리(2)의 전원이 상기의 상승 선택 버튼(3)에서 상기의 역류방지용 다이오드(5)를 거치지 않은 "H"신호나 하강 선택 버튼(4)으로부터의 "L"신호가 각각 다이오드(5)(8)를 거쳐 저항(R1)(R2)과 콘덴서(C1)(C2)의 시정수 소자를 구비한 업다운 회로(9)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정전압 회로(7)와 업다운 회로(9)를 각각 경유한 전원은 디지털신호 발생용 엔코더 IC(10)로 공급되어 사용자가 층 선택용 딥스위치(11)와 구역 선택용 딥스위치(12)를 통하여 선택한 구역과 층의 정보 및 상승이나 하강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고,
상기의 디지털신호 발생용 엔코더 IC(10)에서는 상기의 정전압 회로(7)를 통한 전원을 공급받는 RF모듈(13)로 상기의 정보들을 출력하여 유선출력단자(15)를 통하거나 안테나(14)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의 송신기(1)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유선으로 전달받거나 안테나(21)를 통하여 무선으로 전달받는 수신기(20)의 수신부(22)에서는 수신되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 중에서 선택한 신호만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의 수신부(22)로부터 선택한 정보를 전달받는 디코더(23)에서는 고주파성분을 제외한 정보만 추출하도록 하고,
상기의 디코더(23)로부터 상승이나 하강에 다른 정보와 함께 원하는 층과 구역의 정보를 전달받는 메인 CPU(24)에서는 원하는 층이 운행 중인 방향과 일치하는가를 판단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시에 상승 멜로디 IC(25)와 하강 멜로디 IC(26)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승이나 하강에 따라 각각 다른 멜로디 음이 증폭기(27)와 스피커(28)를 거쳐 음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의 AC전원이나 내부의 배터리(29)로부터 전원부(30)를 통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의 메인 CPU(24)에서는 운전자가 선택하는 상승이나 하강으로 운전하기 위한 전환스위치(31)의 신호를 전달받아 현재 운행되는 방향에 따른 정보를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전환스위치(31)의 신호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리프트 카 본체의 컨트롤 박스로 전달되어 상승이나 하강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리프트 카가 층을 지날 때마다 카운터(32)에서 하나씩 카운트하면서 현재 운행 중인 층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인 CPU(24)에서 인식하도록 하여 현재의 위치를 현재층 표시(35)에 표시하고 표시된 층이 도착한 층과 일치할 때 표시를 소거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CPU(2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각 다수씩인 상승층 표시부(33)(33a)...(33n)와 하강층 표시부(34)(34a)...(34n)에서는 선택된 층의 숫자를 차례로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는 탑승을 원하는 사용자가 송신기(1)를 이용하여 상승이나 하강하고자 하는 층을 선택한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면, 상승이나 하강의 정보 및 선택된 층의 정보를 전달받는 수신기(20)에서 발광 표시장치를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킴으로써 상승 또는 하강을 인식시켜주며 동시에 멜로디 음으로 알려준 후 저장하였다가 표시하면서 운전자가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송신기(1)의 상승 선택 버튼(3)을 온시키면, 배터리(2)의 전원이 상승 선택 버튼(3)을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6)를 점등시켜 버튼이 온된 상태임을 알려주도록 한 후 정전압 회로(7)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2)의 전원이 상기의 상승 선택 버튼(3)을 온시키면, 역 류방지용 다이오드(5)를 거치지 않은 "H"신호가 다이오드(8)를 통과하지 못하여 저항(R1)(R2)과 콘덴서(C1)(C2)의 시정수 소자를 구비한 업다운 회로(9)로 공급되지 않으므로 "H"의 신호에 의한 전압이 없어 업다운 회로(9)의 출력측 전압을 "H" 레벨이 된다.
한편, 사용자가 송신기(1)의 하강 선택 버튼(4)을 온시키면, 배터리(2)의 전원이 하강 선택 버튼(4)과 역류방지용 다이오드(5)를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6)를 점등시키면서 정전압 회로(7)로 공급되며 다이오드(8)를 통하여 저항(R1)(R2)과 콘덴서(C1)(C2)의 시정수 소자를 구비한 업다운 회로(9)로 공급되어 이의 출력측 전압은 "L" 레벨로 전환된다.
상기 배터리(2)의 전원이 하강 선택 버튼(4)을 거친 "L"신호가 다이오드(8)를 거쳐 저항(R1)(R2)과 콘덴서(C1)(C2)의 시정수 소자를 구비한 업다운 회로(9)로 공급되므로 "L"의 신호에 의한 업다운 상태를 인식하도록 한다.
상기 정전압 회로(7)를 경유한 동작 전원에 의해 동작하면서 업다운 회로(9)를 경유한 신호를 전달받는 디지털신호 발생용 엔코더 IC(1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승 선택 버튼(3)이나 하강 선택 버튼(4)에 따른 신호 외에 사용자가 층 선택용 딥스위치(11) 및 구역 선택용 딥스위치(12)를 통하여 선택한 구역과 층의 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의 디지털신호 발생용 엔코더 IC(10)에서는 상기의 정전압 회로(7)를 통한 전원을 공급받는 RF모듈(13)로 상기의 정보들을 출력하여 안테나(14)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허거나, 유선출력단자(15)를 통해 유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의 송신기(1)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유선으로 전달받거나 안테나(21)를 통하여 무선으로 전달받는 수신기(20)의 수신부(22)에서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 중에서 선택된 신호만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의 수신부(22)로부터 선택된 정보를 전달받는 디코더(23)에서는 고주파성분을 제외한 정보만 추출하도록 한다.
상기의 디코더(23)로부터 상승이나 하강에 다른 정보와 함께 원하는 층과 구역의 정보를 전달받는 메인 CPU(24)에서는 원하는 층이 선택된 운행 방향과 일치하는가를 판단하여 상승이나 하강을 선택한 상태에 따라 상승 멜로디 IC(25)와 하강 멜로디 IC(26)로 선택적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승이나 하강에 따라 각각 다른 멜로디 음이 증폭기(27)와 스피커(28)를 거쳐 음으로 출력되어 운전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외부로부터의 AC전원이나 내부의 배터리(29)로부터 전원부(30)를 통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의 메인 CPU(24)에서는 운전자가 선택하는 상승이나 하강으로 운전하기 위한 전환스위치(31)의 신호를 전달받아 현재 운행되는 방향에 따른 정보를 인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상승이나 하강의 정보와 비교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환스위치(31)의 신호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리프트 카 본체의 컨트롤 박스로 전달되어 상승이나 하강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리프트 카가 층을 지날 때마다 카운터(32)에서 하나씩 카운트하면서 운행 중인 층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인 CPU(24)에서 인식하여 상승 또는 하강의 몇 층을 통과하는가를 판단하도록 하고, 현재층 표시부(35)에 표시된 층의 위치와 도착한 층이 일치할 때 상승층 표시부(33)나 하강층 표시부(34)의 표시를 소거한다.
그러므로 상기의 메인 CPU(24)에서는 제어신호를 다수의 상승층 표시부(33)(33a)...(33n)로 출력하여 상승 중일 때 다음에 서야할 층을 시각적으로 알려주거나, 하강층 표시부(34)(34a)...(34n)로 출력하여 하강 중일 때 다음에 서야할 층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도록 한다.
상기의 메인 CPU(24)에 상승층 표시부(33)(33a)...(33n)와 하강층 표시부(34)(34a)...(34n)를 각각 접속하지 않고, 하나의 표시부만 설치한 상태에서 내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승할 때에는 점등되도록 하면서 하강할 때에는 점멸되도록 하여 식별이 가능하도록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에 의하여서는 송신기에는 두 개의 버튼을 설치하여 상승과 하강을 구별하여 호출하도록 하고,
수신기에서는 호출된 신호가 몇 층에서 상승이나 하강을 위해 호출한 신호인가를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의 인식 결과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승이나 하강의 상태가 현재 리프트 카가 운행되는 상승이나 하강의 상태와 일치하는 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호출된 층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의 호출된 층이 리프트 카가 지나친 층인 경우이거나 상승이나 하강의 방향이 다른 경우에는 표시부에 잠시 표시하는 중에 멜로디 음만 울리도록 한 후 해당 층의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리프트 카가 바닥층이나 제일 높은 층에서 다시 운행하기 시작할 때 표시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모든 층을 정차하지 않으면서 상승하는 중이나 하강하는 중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탑승을 원하는 사람이 사용하며 상승이나 하강하고자 하는 층을 선택한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기(1)와,
    상기의 송신기(1)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코드 정보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하면서 멜로디 음으로 알려주거나 표시하는 수신기(20)로 구성하되,
    상기의 송신기(1)는,
    배터리(2)에 상승 선택 버튼(3) 또는 하강 선택 버튼(4)과 역류방지용 다이오드(5)를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6)를 거쳐 정전압 회로(7)로 연결하고,
    상기 배터리(2)에서 상승 선택 버튼(3)과 상기의 역류방지용 다이오드(5)를 연결한 후 하강 선택 버튼(4)을 거쳐 다이오드(8)를 통하여 저항(R1)(R2)과 콘덴서(C1)(C2)의 시정수 소자를 구비한 업다운 회로(9)에 연결하고,
    상기 정전압 회로(7)를 통한 전원과 업다운 회로(9)를 경유한 전압을 전달받는 디지털신호 발생용 엔코더 IC(10)는 사용자가 층 선택용 딥스위치(11)와 구역 선택용 딥스위치(12)를 통해 선택한 구역과 층의 정보 및 상승이나 하강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고,
    상기의 디지털신호 발생용 엔코더 IC(10)로부터 상기의 정보를 전달받는 RF모듈(13)에서는 안테나(14)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의 수신기(20)는,
    상기의 무선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안테나(21)를 통하여 전달받는 수신부(22) 에서는 선택한 신호만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의 수신부(22)로부터 선택한 정보를 전달받는 디코더(23)에서는 선택된 코드의 정보만 추출하도록 하고,
    상기의 디코더(23)로부터 상승이나 하강에 다른 정보와 함께 탑승을 원하는 층과 구역의 정보를 전달받는 메인 CPU(24)에서 원하는 층이 현재 운행 중인 방향과 다른 경우에도 잠시 표시한 후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CPU(24)의 제어를 받는 상승 멜로디 IC(25)와 하강 멜로디 IC(26)는 상승이나 하강에 따라 각각 다른 멜로디 음이 증폭기(27)와 스피커(28)를 거쳐 음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외부의 AC전원이나 내부의 배터리(29)로부터 전원부(30)를 통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의 메인 CPU(24)는 리프트 카를 조작하는 전환스위치(31)에 의한 신호를 전달받도록 하고,
    상기 리프트 카가 층을 지날 때마다 카운터(32)에서 하나씩 카운트하여 현재 운행 중인 층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인 CPU(24)에서 인식하도록 하여 현재층 표시부(35)에 표시하며 도착한 층과 일치할 때 소거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CPU(2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각 다수씩인 상승층 표시부(33)(33a)...(33n)와 하강층 표시부(34)(34a)...(34n)를 분리선택된 층의 숫자를 차례로 표시하도록 하거나 모든 층을 점등하거나 점멸시켜 상승이나 하강을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메인 CPU(24)에서 하나의 표시부에 점등이나 점멸되는 상태로 구별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
KR2020060010072U 2006-04-14 2006-04-14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 KR200420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072U KR200420150Y1 (ko) 2006-04-14 2006-04-14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072U KR200420150Y1 (ko) 2006-04-14 2006-04-14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113 Division 2006-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150Y1 true KR200420150Y1 (ko) 2006-07-03

Family

ID=4176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072U KR200420150Y1 (ko) 2006-04-14 2006-04-14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1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5363B2 (en) 2004-09-08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media output apparatus and multimedia system comprising the same
WO2019103162A1 (ko) * 2017-11-21 2019-05-31 주식회사 리프텍 리프트용 수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5363B2 (en) 2004-09-08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media output apparatus and multimedia system comprising the same
WO2019103162A1 (ko) * 2017-11-21 2019-05-31 주식회사 리프텍 리프트용 수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0607B2 (ja) 無線式ホール呼びボタンを備えたエレベータシステム
AU2007222258B2 (en) Alarm system
KR101351117B1 (ko)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조명 장치와 엘리베이터 내 사람들의안내를 위한 방법
JP5544631B2 (ja) 携帯用の情報表示装置
KR101167016B1 (ko) 건설현장용 안전펜스
KR20120041246A (ko) 도광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0420150Y1 (ko) 리프트 카의 무선 호출장치
US11887451B2 (en) Hazard detector with optical status indicator
US20080041669A1 (en) Directing Passengers Using Color Indications
WO2010105825A1 (en) Escape guidance apparatus
KR101370507B1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200483811Y1 (ko) 아동 보호차량 탑승인원 자동 확인 무선기
KR20080018578A (ko) 다기능 비상 대피 유도용 라인
KR100959337B1 (ko)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11093469A (ja) 乗客案内装置
JP6523754B2 (ja) 光警報装置
JP3736037B2 (ja) 照明制御装置
CN108609471B (zh) 一种电动扶梯用防跌倒辅助装置
JP6837821B2 (ja) 視覚障がい者支援システム
KR200430374Y1 (ko) 다기능 비상 대피 유도용 라인
JPH11131432A (ja) コーン,コーンバーおよびコーンシステム
CN215341890U (zh) 一种智能指示装置
JP2018032527A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US20030076313A1 (en) Display apparatus
CN210619896U (zh) 电梯外招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