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093Y1 -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093Y1
KR200420093Y1 KR2020060004372U KR20060004372U KR200420093Y1 KR 200420093 Y1 KR200420093 Y1 KR 200420093Y1 KR 2020060004372 U KR2020060004372 U KR 2020060004372U KR 20060004372 U KR20060004372 U KR 20060004372U KR 200420093 Y1 KR200420093 Y1 KR 200420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hole
frame
light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훈
Original Assignee
황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지훈 filed Critical 황지훈
Priority to KR2020060004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0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0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립식 구조물(10)의 지주 역할을 하는 경량골조(111)의 상, 하측부를 절곡시켜 절곡된 끝단을 내측면(111a)으로 만곡되게 절곡하여 만곡부(112)를 형성하고 만곡부(112)와 대응되는 위치의 끝단부을 절곡시켜 절곡부(116)를 형성한 고정구(115)를 구비하여 경량골조(111) 내측면(111a)에 고정시켜 고정홈(118)을 형성한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고정홈(118)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122)를 형성한 외장재(121)를 구비한 외장부(120)와, 상기 고정부(110)의 경량골조(111)에 밀착 고정하되 일측을 절곡시켜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장공(132)을 형성한 고정 플레이트(131)를 구비하고 장공(132)과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드 공(136)을 형성한 퍼린(135)를 구비하여 고정 플레이트(131)에 퍼린(135)를 슬라이드 되게 결합하여 고정부(110) 이동시 슬라이드 되어 외장재(12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량골조, 고정 플레이트, 퍼린

Description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Lightweight pre-Engineered Building outter wall fixing device}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골조 구조물이 시공된 상태를 나태는 예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경량골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골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외장재가 고정부에 삽입 고정되어 헐겁게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경량골조를 당겨서 고정부에 삽입 고정된 외장재를 팽팽하게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골조를 당겨서 외장재가 팽팽하게 고정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골조의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골조의 고정구의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에 장력조절부가 일측으로 편심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조물 100: 고정장치
110: 고정부 111: 경량골조
111a: 내측면 111b: 외측면
112: 만곡부 113: 골조 리벳공
114: 관통공 115: 고정구
115a: 밀착면 115b: 곡면
116: 절곡부 117: 고정구 리벳공
118: 고정홈 118a: 외측 고정홈
120: 외장부 121: 외장재
122: 고정돌기 123: 삽입공
124: 와이어 130: 장력 조절부
131: 고정 플레이트 132: 장공
133: 고정공 133a: 전방 고정공
133b: 후방 고정공 134: 만곡돌기
135: 퍼린 136: 슬라이드 공
137: 체결공 137a: 전방 체결공
137b: 후방 체결공 138: 골조 체결공
139: 가이드 돌기 R: 리벳
B: 체결수단 P: 파이프 골조
본 고안은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량골조 구조물에 외장재를 설치 고정하여 경량골조를 양 측방에서 끌어당겨 외장재의 장력을 조절하여 구조물에 외장재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틸 하우스와 같은 조립식 구조물은 시공이 간편하고 단기간에 완공할 수 있어 축사, 냉동창고, 공장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물은 파이프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형성한 경우 구조물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장재를 천막, 비닐 등을 이용하여 파이프마다 고정하여 외벽을 형성하였으나 구조물 해체시 천막, 비닐 등이 파이프마다 고정되어 있으므로 해손되어 제활용을 하지 못하여 경제적으로 많은 손해가 발생하였으며 천막, 비닐 등을 구조물에 팽팽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파이프마다 고정하기 때문에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경량골조 구조물과 같은 경우 외벽을 샌드위치 판넬, 목재 등을 이용하여 벽체를 형성하였으나, 샌드위치 판넬, 목재 등이 고가로 인하여 구조물을 형성하는 데 있어 많은 제작비용이 소요되었다.
아울러, 샌드위치 판넬, 목재 등의 부피가 큰 경우 제작 공장에서 만든 후 구조물이 세워지는 위치까지 운반하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였으며 운반비 용이 과다하게 추가되어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샌드위치 판넬, 목재 등을 이용한 경우 구조물에 설치하는 데 있어 부피가 크기 때문에 설치하는데 많은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며 또한 구조물의 골조마다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시간이 증가하여 완공 기간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구조물에 샌드위치 판넬, 목재 등을 이용하여 외벽을 형성한 경우 구조물의 안전을 위하여 관리 관할청에 허가를 받은 뒤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목적은 경량골조 구조물의 외벽인 외장재를 천막으로 사용하여 간편하게 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물 철거시 외장재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구조물의 양 측부에 세워진 경량골조에 외장재를 간편하게 고정 설치하고 경량골조를 양 측방에서 끌어당겨 외장재의 장력을 조절하여 구조물에 외장재가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는 구조물의 지주 역할을 하는 경량골조의 상, 하측부를 절곡시켜 절곡된 끝단 을 내측면으로 만곡되게 절곡하여 만곡부를 형성하고 만곡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끝단부을 절곡시켜 절곡부를 형성한 고정구를 구비하여 경량골조 내측면에 고정시켜 고정홈을 형성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형성한 외장재를 구비한 외장부와, 상기 고정부의 경량골조에 밀착 고정하되 일측을 절곡시켜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한 고정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장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드 공을 형성한 퍼린를 구비하여 고정 플레이트에 퍼린를 슬라이드 되게 결합하여 고정부 이동시 슬라이드 되어 외장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골조 구조물이 시공된 상태를 나태는 예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경량골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골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외장재가 고정부에 삽입 고정되어 헐겁게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경량골조를 당겨서 고정부에 삽입 고정된 외장재를 팽팽하게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골조를 당겨서 외장재가 팽팽하게 고정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골조의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골조의 고정구의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에 장력조절부가 일측으로 편심 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100)는 구조물의 지주 역할을 하는 경량골조(111)의 상, 하측부를 절곡시켜 절곡된 끝단을 내측면(111a)으로 만곡되게 절곡하여 만곡부(112)를 형성하고 만곡부(112)와 대응되는 위치의 끝단부을 절곡시켜 절곡부(116)를 형성한 고정구(115)를 구비하여 경량골조(111) 내측면(111a)에 고정시켜 고정홈(118)을 형성한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고정홈(118)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122)를 형성한 외장재(121)를 구비한 외장부(120)와, 상기 고정부(110)의 경량골조(111)에 밀착 고정하되 일측을 절곡시켜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장공(132)을 형성한 고정 플레이트(131)를 구비하고 장공(132)과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드 공(136)을 형성한 퍼린(135)를 구비하여 고정 플레이트(131)에 퍼린(135)를 슬라이드 되게 결합하여 고정부(110) 이동시 슬라이드 되어 외장재(12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10)는 구조물의 지주 역할을 하는 경량골조(111)와, 상기 경량골조(111)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구(115)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10)의 경량골조(111)는 소정의 길이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구조물 공사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로 형성되어 지주 역할을 하며 상, 하측부를 절곡시켜 대략 디귿 형상으로 형성하고 절곡된 끝단부를 내측면(111a)으로 만곡되게 절곡하여 만곡부(112)를 형성한다.
여기서, 절곡된 내측면(111a)에는 통공 형상으로 관통된 골조 리벳공(113)이 대칭되게 복수로 형성된다.
또한, 절곡되지 않는 내측면(111a)에는 관통공(114)이 대칭되게 복수로 형성되며 한편 경량골조(111)가 구조물(10)의 용마루, 처마 등에 사용하는 경우 관통공(114)을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관통공(114)의 관통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110)의 고정구(115)는 경량골조(111)의 절곡된 내측면(111a)에 밀착되는 밀착면(115a)을 형성하고 경량골조(111)의 만곡부(112)와 대응되는 위치의 끝단부를 다수회 절곡시켜 절곡부(116)를 형성하되 절곡된 끝단을 만곡부(112)의 끝단에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여기서, 경량골조(111)의 내측면에 고정구(115)가 밀착되면서 만곡부(112)와 절곡부(116)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갖는 고정홈(118)이 형성된다.
아울러, 경량골조(111)의 골조 리벳공(113)과 대응되는 고정구(115)의 위치에 고정구 리벳공(117)을 형성하여 리벳(R)으로 고정구(115)를 경량골조(111)에 고정한다.
여기서, 고정구(115)를 경량골조(111)에 고정하는 데 있어 리벳(R)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볼트,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시 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110)의 고정구(115)를 도 7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경량골조(111)의 외측면(111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상기 고정구(115)는 양 끝단부를 외측으로 다수 절곡시킨 뒤 끝단을 경량골조(111)의 만곡부(112) 외측에 근접되게 위치시켜 외측 고정홈(118a)을 고정구(115)에 형성한다.
한편, 도 8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115)가 원형의 파이프 골조 (P)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밀착면(115a)이 파이프 골조(P)의 외주연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115b)으로 형성하여 견고히 밀착 고정되게 한다.
상기 외장부(120)는 좌, 우측의 끝단에 고정돌기(122)를 형성한 외장재(121)와, 상기 외장재의 고정돌기(122)에 내입된 와이어(1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외장부(120)의 외장재(121)는 섬유재로 된 천막, 비닐 등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고정돌기(122)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삽입공(123)이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돌기(122)의 삽입공(123)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124)가 삽입 내장되며 와이어(124) 이외에도 로프 등을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124)의 직경에 따라서 고정돌기(122)의 직경이 결정되며 와이어(124)에 의해 고정홈(118)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122)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부(130)는 경량골조(111)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13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131) 상부에 위치하는 퍼린(1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력 조절부(130)의 고정 플레이트(131)는 경량골조(111)의 관통공(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골조 체결공(138)이 관통되며 골조 체결공(138) 하측부를 대략 니은 형상으로 절곡시킨다.
나아가, 절골된 고정 플레이트(131)에는 장공(132)이 형성되며 장공(132)과 근접되게 고정공(133)이 복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고정공(133)은 골조 체결공(138)과 근접된 전방부에는 전방 고정공(133a)이 형성되며 전방 고정공(133a)에서 후측으로 이격된 후방 고정공(133b)이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 플레이트(131)에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만곡돌기(134)가 복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 플레이트(131)는 골조 체결공(138)을 통하여 체결수단(B)으로 경량골조(111)의 관통공(114)으로 결합 고정된다.
아울러, 고정 플레이트(131)를 구조물(10)의 용마루, 처마 등에 결합 고정시 일측으로 편심되게 고정부(110)에 결합 고정하며 고정 플레이트(131)의 고정 위치를 한정하거나 제안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장력 조절부(130)의 퍼린(135)은 고정 플레이트(131) 상부에 위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경량골조(111)와 경량골조(111)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퍼린(135)은 좌, 우측을 절곡하여 형성하며 고정 플레이트(131)의 장공(132)과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드 공(136)이 통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아울러, 퍼린(135)은 슬라이드 공(136)을 통하여 고정 플레이트(131)의 장공(13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수단(B)이 가 체결된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131)의 고정공(133)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 형상의 체결공(137)이 복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체결공(137)은 퍼린(135)의 끝단과 근접되게 전방 체결공 (137a)이 관통되며 전방 체결공(137a)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후방 체결공(137b)이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 플레이트(131)의 만곡돌기(134)와 대응되는 위치에 밀착돌기(139)를 형성하여 고정 플레이트(131) 이동시 가이드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외선 램프를 내장한 걸이식 여과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틸 하우스의 구조물(10)을 사용목적 및 시공 장소에 따라서 소정의 공간에 경량골조(111)를 이용하여 구조물(10)을 형성하며 경량골조(111)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경량골조(111)에는 고정 플레이트(131)가 결합 고정되며 경량골조(111)와 경량골조(111) 사이에 설치되는 퍼린(135)의 양 끝단이 전방 고정공(133a)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슬라이드 공(136)을 통하여 체결수단(B)이 장공(132)에 가 체결한다.
다음으로, 외장재(121)의 길이에 맞추어 경량골조(111)의 절곡된 내측면(111a)에 고정구(115)를 리벳(R)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밀착 고정시켜 고정홈(118)을 형성한다.
아울러, 고정구(115)의 적용 조건에 따라 경량골조(111) 외측면(111b)에 고정하여 외측 고정홈(118a)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골조(P)의 곡률에 따라 곡면(115b)을 형성한 고정구(115)를 고정하여 외측 고정홈(118a)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장재(121)의 길이에 맞추어 구조물(10)의 경량골조(111) 양측에 고정홈(118)이 형성되면 와이어(124)를 내장한 외장재(121)의 고정돌기(122)를 고정홈(118)에 삽입 고정한다.
여기서, 와이어(124)의 직경에 의해 고정돌기(122)가 고정홈(118)에 고정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며 구조물(10)의 경량골조(111) 양측에 고정되어 있으나 외장재(121)의 장력이 느슨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느슨하게 고정된 외장재(121)의 장력을 팽팽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돌기(122)가 삽입된 양측의 고정부(110) 경량골조(111)에 인장기와 같은 장비를 연결하여 양측에서 경량골조(111)를 잡아당기도록 한다.
이때 양측에서 경량골조(111)를 일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고정 플레이트(131)의 장공(132) 범위 내에서 경량골조(111)가 당기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게 되며 슬라이드 공(136)을 통해서 고정 플레이트(131)의 장공(132)에 가 체결된 체결수단(B)에 의해 경량골조(111)가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 가이드 되어 슬라이드 된다.
아울러, 고정 플레이트(131)의 만곡돌기(134)가 퍼린(135)의 밀착돌기(139)에 가이드 된다.
다음으로, 경량골조(111)을 일 방향으로 당겨 고정 플레이트(131)의 후방 고정공(133b)이 퍼린(135)의 전방 체결공(137a)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장력이 느슨한 외장재(121)가 팽팽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 공(136)에 가 체결된 체결수단(B)을 조여 견고히 체결하여 플레이트(131)에 퍼린(135)을 고정한다.
아울러, 동일 선상에 놓인 후방 고정공(133b)과 전방 체결공(137a)을 체결수단(B)을 통하여 퍼린(135)을 고정 플레이트(131)에 견고히 고정한다.
따라서, 외장재(121)의 장력이 느슨하게 경량골조(111)에 고정되면 외장재(121)가 고정되는 양측 경량골조(111)를 당겨 느슨하게 고정된 외장재(121)의 장력을 팽팽하여 구조물(10)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범위가 상술 된 바와 같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본 고안의 실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는, 외장재를 천막으로 이용하여 파이프 골조 구조물에 형성한 경우 외장재의 끝단과 끝단만을 파이프 골조에 고정하기 때문에 손상되지 않으며 양 측방의 파이프 골조를 끌어당겨 외장재의 장력을 조절하기 때문에 느슨하게 된 외장재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파이프 골조 구조물 해체시 외장제가 손상되지 않아 다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경량골조 구조물의 외장재를 샌드위치 판넬, 목재 등보다 공급 가격이 낮은 천막을 이용하여 외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구조물 신축하는 데 있어 신축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아울러, 외장재를 천막을 이용하기 때문에 외장재를 손 쉽게 운반할 수 있으며 별도의 운반비용이 추가되지 않아 구조물 신축시 신축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천막을 이용한 외장재를 끝단과 끝단을 구조물의 양 측방에 형성된 골조에만 고정하기 때문에 설치 시간이 단축되어 구조물 완공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외장재를 천막을 이용하기 때문에 구조물에 대해서 관리 관할청에 신고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에 제약을 받는 않는 효과가 발생한다.
더불어, 외장재의 천막을 이중으로 형성한 경우 보온 및 단열성이 향상되어 구조물 내부의 온도를 적절히 유지시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Claims (6)

  1. 조립식 구조물(10)의 지주 역할을 하는 경량골조(111)의 상, 하측부를 절곡시켜 절곡된 끝단을 내측면(111a)으로 만곡되게 절곡하여 만곡부(112)를 형성하고 만곡부(112)와 대응되는 위치의 끝단부을 절곡시켜 절곡부(116)를 형성한 고정구(115)를 구비하여 경량골조(111) 내측면(111a)에 고정시켜 고정홈(118)을 형성한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고정홈(118)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122)를 형성한 외장재(121)를 구비한 외장부(120)와,
    상기 고정부(110)의 경량골조(111)에 밀착 고정하되 일측을 절곡시켜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장공(132)을 형성한 고정 플레이트(131)를 구비하고 장공(132)과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드 공(136)을 형성한 퍼린(135)를 구비하여 고정 플레이트(131)에 퍼린(135)를 슬라이드 되게 결합하여 고정부(110) 이동시 슬라이드 되어 외장재(12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의 고정구(115)를 절곡된 경량골조(111)의 외측면(111b)에 고정하되 양 끝단부를 외측으로 절곡시킨뒤 끝단을 경량골조(111)의 만곡부(112)에 근접되게 위치시켜 고정구(115)에 외측 고정홈(118a)을 형성시켜 외장재(121)를 경량골조(111) 외측면(111b)에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의 고정구(115)를 원형의 파이프 골조(P)의 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밀착면(115a)이 곡률을 갖는 곡면(115b)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120)의 외장재(121) 고정돌기(122)에 삽입공(123)을 형성하고 내부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124)를 삽입하여 고정구(115)의 고정홈(118)에 고정돌기(122)를 삽입 고정시켜 외장재(121)가 고정홈(118)에서 이탈방지와 기밀을 유지하여 외풍이 유입되는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130)에 구비된 고정 플레이트(131)의 장공(132)과 근접되게 고정공(133)을 복수로 형성하되 전방 고정공(133a)과 후방 고정공(133b)으로 구획하여 형성하며 고정 플레이트(131) 상부에 위치한 퍼린(135)에 고정공(133)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137)을 형성하여 전방 고정공(133a)과 동일 선상에 전방 체결공(137a)을 형성하고 후방 고정공(133b)과 동일선상에 후방 체결공(137b)을 형성하여 고정 플레이트(131)의 후방 고정공(133b)이 퍼린(135)의 전방 체결공(137a)에 위치하도록 고정부(110)를 당겨 외장재(121)의 장력을 조절하여 전방 체결공(137a)과 후방 고정공(133b)을 체결수단(B)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120)의 외장재(121)를 고정부(110)의 좌, 우측에 이중으로 형성하여 구조물 내부의 보온 및 단열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
KR2020060004372U 2006-02-16 2006-02-16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 KR200420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372U KR200420093Y1 (ko) 2006-02-16 2006-02-16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372U KR200420093Y1 (ko) 2006-02-16 2006-02-16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093Y1 true KR200420093Y1 (ko) 2006-06-28

Family

ID=4929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372U KR200420093Y1 (ko) 2006-02-16 2006-02-16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0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0247A1 (ko) * 2015-08-20 2017-02-23 주식회사 엔디시 연장 가능한 차양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0247A1 (ko) * 2015-08-20 2017-02-23 주식회사 엔디시 연장 가능한 차양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25924A1 (en) Building construction wrapped with reinforcement fabric to resist wind loading
US5660005A (en) High strength, light weight, portable building
US7690167B2 (en) Structural support framing assembly
US6185898B1 (en) High strength wall frames and system utilizing same
CN107846849B (zh) 拉伸构造的建筑物
US20090229646A1 (en) Tent Rafter End Cap and Tent Incorporating Same
KR102195286B1 (ko) 좌우 및 수직 텐션 프로파일을 구비한 천막 및 시공방법
KR200420093Y1 (ko) 경량골조 구조물 외장재 고정장치
US20050066604A1 (en) Purlin clip for an insulated ceiling of a metal building
KR101753841B1 (ko) 로프가 결합된 비닐하우스
RU2655863C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профи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крепления гибких полотнищ и узел фиксации гибких полотнищ к несущему элементу каркас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393215B1 (ko) 횡벽 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KR200324353Y1 (ko)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KR20090010031U (ko) 천정틀 구조
CN110616844A (zh) 一种天花及装配式建筑
CN211447260U (zh) 一种采用型钢和条板用紧固件进行连接的装配式建筑
CN211007029U (zh) 一种装配式建筑物用的钢缆拉紧墙面及其构筑物
KR20100002793U (ko) 막 구조물의 막 지지고정구조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AU2019275605A1 (en) Integrated beam for corrugated sheet and integrated frame structure formed thereon
KR100540185B1 (ko)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JP6438185B2 (ja) 断熱パネル
JP2005120647A (ja) 木造建築の耐震補強構造とこれに使用する補強金具および屋根構造
KR102195284B1 (ko) 좌우 텐션 프로파일을 구비한 천막 및 시공방법
KR200235131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