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040Y1 -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040Y1
KR200419040Y1 KR2020060007088U KR20060007088U KR200419040Y1 KR 200419040 Y1 KR200419040 Y1 KR 200419040Y1 KR 2020060007088 U KR2020060007088 U KR 2020060007088U KR 20060007088 U KR20060007088 U KR 20060007088U KR 200419040 Y1 KR200419040 Y1 KR 200419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plunger
solenoid valve
core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분선
Original Assignee
장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분선 filed Critical 장분선
Priority to KR2020060007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0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0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16K31/0613Sliding valve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1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cylindrical slid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8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0Welded 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코일이 적층권선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 내측에서 자기력에 의해 왕복이동되는 플런저와, 상기 보빈과 플런저 사이에서 상기 플런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바디와, 자장의 누설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요크와, 상기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이 집중되도록 상기 바디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코어가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삽입되며 외측단부상에 걸림턱이 돌출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걸림턱과 상기 보빈 사이에 끼워져 구속되며 내주면상에 용가재 씰을 끼울 수 있는 씰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의 일단부 외측에 끼워져 브레이징 용접접합되는 접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는, 외주면상에 용가재 씰을 끼울 수 있는 씰끼움홈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의 타단부 내측에 끼워져 브레이징 용접접합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바디에 요크와 코어를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고압, 대유량에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정밀한 유압제어가 가능하며, 보빈과 외측의 구성요소들을 사출에 의해 간단하게 일체로 성형시킬 수 있고, 바디, 요크,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조립체상에 보빈을 교체 조립시킴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활용가능한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이다.
솔레노이드 바디 요크 코어 브레이징용접 보빈

Description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자동변속기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 내부단면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내부단면도
도 3 - 도 2의 정면도
도 4 - 제1보빈에 전류를 인가시킨 상태를 도시한 내부단면도
도 5 - 제2보빈에 전류를 인가시킨 상태를 도시한 내부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0 : 보빈 110a : 제1보빈
110b : 제2보빈 111 : 코일
115 : 역전류방지 다이오드 116 : 터미널
120 : 플런저 130 : 바디
131 : 용가재 씰 140 : 요크
141 : 수용부 141a : 걸림턱
142 : 접합부 142a : 씰수용홈
150 : 코어 151a : 씰끼움홈
160 : 케이스 170 : 홀더
171 : 유입구 172 : 유출구
173 : 링끼움홈 175 : 오링
176 : 백업링 180 : 스풀
190 : 로더 191 : 핀
본 고안은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에 요크와 코어를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기밀하게 접합하여 고압, 대유량에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는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내부에 플런저와 스프링 등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설치하고 이들을 전류의 인가에 따라 작동시킴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자식 밸브의 일종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로써 특허등록번호 제363341호의 차량의 자동변속기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자동변속기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 내부단면도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자동차 자동변속기의 밸브바디로부터의 유체흐름을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구를 개폐시키 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상부본체의 유입구측으로 왕복운동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외부를 감싸고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 상부와 플런저 사이에 배치되는 요크와, 중앙부가 플런저의 저면에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저면, 코일의 외주부 및 상부본체의 하단부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한 구조를 가진다.
종래에는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별도로 제작구비하고 조립체결시키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고압, 대유량에서 원활한 작동성과 구성요소간의 기밀성을 유지하기가 불가능하고, 복잡한 구성을 가짐에 따라 제작 및 조립 또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고압, 대유량에서 원활한 작동성과 구성요소간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외주면에 코일이 적층권선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 내측에서 자기력에 의해 왕복이동되는 플런저와, 상기 보빈과 플런저 사이에서 상기 플런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바디와, 자장의 누설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요크와, 상기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이 집중되도록 상기 바디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코어가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삽입되며 외측단부상에 걸림턱이 돌출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걸림턱과 상기 보빈 사이에 끼워져 구속되며 내주면상에 용가재 씰을 끼울 수 있는 씰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의 일단부 외측에 끼워져 브레이징 용접접합되는 접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는, 외주면상에 용가재 씰을 끼울 수 있는 씰끼움홈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의 타단부 내측에 끼워져 브레이징 용접접합되는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빈은, 상기 플런저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1보빈과, 상기 제1보빈에 직렬로 설치되며 상기 플런저를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2보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예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빈은, 상기 적층권선된 코일을 금속재 케이스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역전류방지 다이오드와 터미널을 인서트하여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바디에 끼워져 조립결합되는 실시예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유체흐름을 안내하는 다수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 내부에 접속되어 왕복이동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에 연결되는 유로를 가변형성시키며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개폐조정시키는 스풀과; 양단부가 상기 스풀과 플런저에 각각 삽입된 채 핀결합되어 상기 스풀과 플런저를 연동시키는 로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홀더는, 외주둘레에 다수의 링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링끼움 홈에는 원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오링과, 직사각 단면형상으로 상기 오링의 양측에 접속되는 백업링이 끼워져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디에 요크와 코어를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기밀하게 접합하여 고압, 대유량에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정밀한 유압제어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빈과 외측의 구성요소들을 사출에 의해 간단하게 일체로 성형시킬 수 있으며, 바디, 요크,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조립체상에 보빈을 교체 조립시킴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활용가능하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다음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내부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 5는 각각 제1보빈과 제2보빈에 전류를 인가시킨 상태를 도시한 내부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빈(110), 플런저(120), 바디(130), 요크(140), 코어(150)가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바디(130), 요크(140), 코어(150)를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기밀하게 접합시킨 견고한 구조로써 고압, 대유량의 유체를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일반적인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외주면에 코일이 적층권선되는 권선축과 권선공간부를 제공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보빈 내측에서 왕복이동된다.
본 고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가지는 공지된 기술내용의 보빈(110)과 플런저(120)를 포함한 구성을 그 실시예로 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기존의 솔레노이드 밸브구조에서 상기 요크는 자장의 누설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보빈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코어는 상기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이 집중되도록 상기 보빈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요크와 코어가 상기 보빈을 기준으로 하여 양단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 보빈(110)과 플런저(120) 사이에서 상기 플런저(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바디(130)를 상기 플런저(120)와의 접속길이에 해당되는 길이로만 형성시키지 않고 상기 요크(140)와 코어(150)가 결합될 수 있는 접속부를 양단부에 추가로 연장형성시키고, 상기 요크(140)와 코어(150)를 상기 바디(130)의 양단부에 결합시킨 구성을 가진다.
상기 요크(140)는 수용부(141)와 접합부(1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141)는 상기 바디(130)의 일단부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접합부(142)는 상기 바디(130)의 외측에서 상기 수용부(141)와 상기 보빈(110)사이에 구속되면서 상기 바디(130)에 접합된다.
상기 수용부(141)는 상기 바디(130)의 일단부에 삽입됨에 있어서 상기 바디(130)에 억지끼움되도록 압입되며, 상기 접합부(142)를 구속시킬 수 있도록 외측단부상에 걸림턱(141a)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접합부(142)는 상기 수용부의 걸림턱(141a)에 걸려 일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며 상기 수용부(141) 및 바디(130)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130)와 의 사이에 용가재를 두고 브레이징 접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30)에 접하는 내주면상에 링형상의 용가재 씰(131)을 끼울 수 있는 씰수용홈(142a)이 형성된다.
브레이징(BRAZING)은 450°C 이상의 액상선 온도를 가진 용가재(BRAZING FILLER METAL)를 모재 사이에 두고 모재의 고상선 온도 이하의 열을 가하여 두 모재를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모재의 용융점 이하에서 접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모재의 재질특성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접합시킬 수 있다.
상기 씰수용홈(142a)에 상기 용가재 씰(131)을 끼운 채로 상기 바디(130) 외측에 접속시키고, 상기 용가재 씰(131)의 용융온도 이상, 상기 접합부(142) 및 바디(130)의 용융온도 이하의 온도분위기에 두면 상기 용가재 씰(131)이 상기 씰수용홈(142a) 내에서 용융되어 상기 접합부(142)와 바디(130) 사이의 경계틈새를 채우게 된다.
상기 용가재 씰(131)을 고온분위기하에서 용융시킨 후 대기온도와 같은 저온분위기에 두어 식히면, 그대로 굳어지면서 상기 접합부(142)와 바디(130) 사이를 틈새없이 견고하게 접합고정시키게 되며,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되고, 용접비드를 고르게하거나 제거시키는 등의 일반적인 용접공정에서의 후처리가 별도로 필요치 않게 된다.
상기 코어(150)는 상기 바디(130)의 타단부 내측에 일부가 끼워져 접합되며, 상기 바디(130)와의 사이에 용가재를 두고 브레이징 접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30)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는 외주면상에 용가재 씰(131)을 끼울 수 있는 씰끼움홈(151a)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150)는 상기 바디(130)의 일단부에 삽입됨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수용부(141)와 마찬가지로 상기 바디(130)에 억지끼움되도록 압입되며, 상기 요크의 접합부(142)와 마찬가지로 상기 씰끼움홈(151a)에 상기 용가재 씰(131)을 끼운 채로 상기 바디(130)에 접속된다.
상기 코어(150)를 상기 바디(130)에 접속시킨 채 상기 용가재 씰(131)의 용융온도 이상, 상기 코어(150) 및 바디(130)의 용융온도 이하의 온도분위기에 둔 후 다시 식히면 상기 용가재 씰(131)이 상기 씰끼움홈(151a) 내에서 상기 접합부(142)와 바디(130) 사이의 경계틈새를 채우며 틈새없이 견고하게 접합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바디(130)의 양단부에 상기 요크(140)와 코어(150)를 접속시킨 채 브레이징 접합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요크(140)와 코어(150)를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으나, 내측에 상기 플런저(120)를 두고 상기 바디(130)의 양단부에 상기 요크(140)와 코어(150)를 동시에 끼워둔 채로 고온분위기에 두고 냉각시키면 보다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120), 바디(130), 요크(140), 코어(150)가 일체로 접합형성된 하나의 조립체로써의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바디 조립체상에 다양한 사양의 보빈(110)을 교체 조립시킴으로써 다양한 용도의 솔레노이드 각각을 용이하게 제작시킬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4,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보빈(110)은 제1보빈(110a)과 제2보빈(110b)이 상기 바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렬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보빈(110a)과 제2보빈(110b)은 각각 상기 플런저(120)를 일측 과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도 2는 상기 제1보빈(110a)과 제2보빈(110b)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플런저(120)가 상기 요크(140)와 코어(150) 사이의 중간에 위치되고, 상기 플런저(120)에 연결된 로더(190), 스풀(180)의 연계작동(이하 설명)에 의해 상기 스풀(180)의 우측에 (B)만큼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도 4는 상기 제1보빈(110a)에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플런저(120)가 상기 요크(140)와 코어(150) 사이에서 상기 요크(140)에 접속되고, 상기 스풀(180)의 우측에 (A), (B)만큼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도 5는 상기 제2보빈(110b)에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플런저(120)가 상기 요크(140) 코어(150) 사이에서 상기 코어(150)에 접속되고, 상기 스풀의(180)의 우측에 여유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상기 보빈(110)은 상기 제1보빈(110a)과 제2보빈(110b)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보빈에 전류가 인가될 시, 인가되지 않을 시에 따라 도 2,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형태로써 보다 다양하게 유로를 절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보빈(110a)과 제2보빈(110b)은 각각 코일(111)의 권선축 및 권선공간부를 제공하는 이너보빈에 상기 코일(111)을 적층권선시키고, 상기 이너보빈을 금속재 케이스(160) 내부에 수용시킨 상태로, 상기 케이스(160) 외측으로 상기 코일(111)을 도출시키고 역전류방지 다이오드(115)와 터미널(116)을 접속시킨 채로 인서트하여 일체로 사출성형된 구조를 가진다.
금속재 프레스가공과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금속재와 플라스틱 수지가 결합 된 세련된 미감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빈(110)과 외측의 구성요소들간을 기밀을 유지하면서 간단하게 일체로 성형시킬 수 있다.
상기 일실시예의 솔레노이드밸브는 밸브바디에 접속되어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작동에 의해 유체흐름을 조정시킴에 있어서, 홀더(170), 스풀(180), 로더(190)를 구비하여 유로 및 유체흐름을 절환 및 제어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홀더(170)는 좌우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유체흐름을 안내하는 다수의 유입구(171) 및 유출구(172)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분되는 위치에 분리형성되며, 외주둘레에 다수의 링끼움홈(173)이 형성된다.
상기 링끼움홈(173)에는 원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오링(175)과 직사각 단면형상의 백업링(176)이 끼워지며, 상기 백업링(176)은 상기 링끼움홈(173) 내측에서 상기 오링(175)을 양측면을 지지하게되어, 고압조건 하에서도 상기 오링(175)의 이탈없이 밸브바디와의 기밀한 접속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정된 접속구조를 가진다.
상기 스풀(180)은 상기 홀더(170) 내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1보빈(110a)과 제2보빈(110b)의 작동에 의해 왕복이동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171) 및 유출구(172)에 연결되는 유로를 도2,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성시키며 상기 유입구(171) 및 유출구(172)를 개폐조정시킨다.
상기 유입구(171) 및 유출구(172)는 상기 일실시예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그 위치나 형상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가공방법 또한 한정되지 않음이 당연하고, 사용과정에서 밸브바디의 구조에 따라 유입 내지 유출시키는 기능 또한 가변적으로 상호교체될 수 있다.
상기 로더(190)는 상기 스풀(180)과 플런저(120)에 일부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요크(140)와의 사이에 탄성스프링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스풀(180)과 플런저(120)에는 상기 로더(190)의 양단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로더(190)는 양단부가 상기 스풀(180)과 플런저(120)에 삽입된 채로 각각 핀(191)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상기 플런저(120)가 상기 보빈(110)의 작동에 의해 일측 내지 반대측으로 당겨지겨나 밀려 이동하게되면 상기 스풀(180)도 상기 플런저(120)와 동일한 변위만큼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바디에 요크와 코어를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고압, 대유량에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정밀한 유압제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빈과 외측의 구성요소들을 사출에 의해 간단하게 일체로 성형시킬 수 있으며, 바디, 요크,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조립체상에 보빈을 교체 조립시킴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활용가능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시, 제1보빈, 제2보빈 각각에 전류가 인가될 시에 따라 다른형태로써 보다 다양하게 유로를 절환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오링과 백업링을 홀더 외측에 부착하여 밸브바디상에 보다 기밀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주면에 코일(111)이 적층권선되는 보빈(110)과, 상기 보빈(110) 내측에서 자기력에 의해 왕복이동되는 플런저(120)와, 상기 보빈(110)과 플런저(120) 사이에서 상기 플런저(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바디(130)와, 자장의 누설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바디(13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요크(140)와, 상기 코일(111)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이 집중되도록 상기 바디(13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코어(150)가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상기 요크(140)는,
    상기 바디(130)의 일단부에 삽입되며 외측단부상에 걸림턱(141a)이 돌출형성된 수용부(141)와, 상기 수용부의 걸림턱(141a)과 상기 보빈(110) 사이에 끼워져 구속되며 내주면상에 용가재 씰(131)을 끼울 수 있는 씰수용홈(142a)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130)의 일단부 외측에 끼워져 브레이징 용접접합되는 접합부(1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150)는,
    외주면상에 용가재 씰(131)을 끼울 수 있는 씰끼움홈(151a)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130)의 타단부 내측에 끼워져 브레이징 용접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110)은,
    상기 플런저(12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1보빈(110a)과, 상기 제1보빈(110a)에 직렬로 설치되며 상기 플런저(120)를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2보빈(110b)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110)은,
    상기 적층권선된 코일(111)을 금속제 케이스(160)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역전류방지 다이오드(115)와 터미널(116)을 인서트하여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바디(130)에 끼워져 조립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유체흐름을 안내하는 다수의 유입구(171) 및 유출구(172)가 형성된 홀더(170)와;
    상기 홀더(170) 내부에 접속되어 왕복이동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171) 및 유출구(172)에 연결되는 유로를 가변형성시키며 상기 유입구(171) 및 유출구(172)를 개폐조정시키는 스풀(180)과;
    양단부가 상기 스풀(180)과 플런저(120)에 각각 삽입된 채 핀(191)결합되어 상기 스풀(180)과 플런저(120)를 연동시키는 로더(19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70)는,
    외주둘레에 다수의 링끼움홈(173)이 형성되며, 상기 링끼움홈(173)에는 원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오링(175)과, 직사각 단면형상으로 상기 오링(175)의 양측에 접속되는 백업링(176)이 끼워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20060007088U 2006-03-16 2006-03-16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0419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088U KR200419040Y1 (ko) 2006-03-16 2006-03-16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088U KR200419040Y1 (ko) 2006-03-16 2006-03-16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246A Division KR100772018B1 (ko) 2006-03-16 2006-03-16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040Y1 true KR200419040Y1 (ko) 2006-06-16

Family

ID=4176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088U KR200419040Y1 (ko) 2006-03-16 2006-03-16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0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1551B2 (ja) 電磁弁
US9679690B2 (en) Solenoid with an over-molded component
JP5560425B2 (ja) 電磁弁用ソレノイド
JP2018054126A (ja) 特に家庭用器具の液圧制御弁用のパイロット電磁弁
JP2015223072A (ja) 磁極片配列部材を備えた電気機械式ソレノイド
US6664877B2 (en) Solenoid for electromagnetic valve
JP2015510276A (ja) 相互結合部を備えた磁束コレクタ及びこれを含む電磁弁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KR100772018B1 (ko)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0419040Y1 (ko)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US20180266581A1 (en) Linear solenoid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near solenoid valve
JP4704388B2 (ja) 電磁弁
KR102102504B1 (ko)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차단 밸브
US20050279957A1 (en) Solenoid valv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inding method between iron-based material and aluminum-based member
JP2011133071A (ja) 自己保持型電磁弁
JP2006226263A (ja) 電磁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噴射弁
JP5993881B2 (ja) 電磁弁、及び固定鉄心に設けられる絶縁性被膜部の成形方法
JP4466555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293557B2 (en) Solenoid valve
JP7019804B2 (ja) 燃料噴射弁
JP2006300222A (ja) 電磁ソレノイドおよびその部品ならびに製造方法
JP6085416B2 (ja) 制御弁
JP2012225429A (ja) 電磁弁
JPH1089522A (ja) ソレノイド
WO2022091632A1 (ja) ソレノイド、ソレノイドバルブ、緩衝器およびソレノイドの製造方法
JP7386197B2 (ja) 電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