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924Y1 -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 Google Patents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924Y1
KR200418924Y1 KR2020060008689U KR20060008689U KR200418924Y1 KR 200418924 Y1 KR200418924 Y1 KR 200418924Y1 KR 2020060008689 U KR2020060008689 U KR 2020060008689U KR 20060008689 U KR20060008689 U KR 20060008689U KR 200418924 Y1 KR200418924 Y1 KR 200418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rame
support frame
wheel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택
Original Assignee
김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택 filed Critical 김승택
Priority to KR2020060008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9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03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3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mediate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륜과 후륜을 각각 쌍으로 구성하여 주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스텝 구동방식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입력손실 없이 입력량과 출력량이 동일해지도록 하고, 발전기겸용 전동기와 충전기를 장착하여 스텝구동으로 충전하였다가 전동식으로도 구동할 수 있게 한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전위와 후위에 각각 쌍으로 된 전륜과 후륜이 구비되고, 전륜의 축 양측에는 전륜프레임이 각각 고정되며, 각 전륜프레임의 상단에는 핸들이 고정된 핸들포스트가 연결되며, 핸들포스트의 중간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제1 지지프레임이 연결되면서 하부측으로는 두 갈래로 제2 지지프레임이 연결되며, 제2 지지프레임은 그 중간측에서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단부가 후륜의 축과 연결되고, 제2 지지프레임의 중간부와 제1 지지프레임의 단부 사이에 안장을 갖는 안장프레임이 고정되며, 안장프레임의 제1 지지프레임 연결부위측으로부터 후륜의 축 사이에는 두 갈래로 제3 지지프레임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안장프레임의 하부 앞쪽에는 회전관이 고정되어 여기에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회전축의 한쪽에는 구동측 스프로킷휘일이 고정되고, 후륜의 축상에는 종동측 스프로킷휘일이 고정되며, 각 스프로킷휘일의 사이에 체인이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회전축에는 각각 래칫을 갖는 구동 피니언기어가 좌우에 각각 고정되고, 각 구동 피니언기어의 앞쪽에는 두 개의 작동막대가 서로 번갈아 동작되도록 배치된 것이다.

Description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omit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가 수/전동식 겸용으로 될 경우의 사시도.
삭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의 전륜프레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의 안장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가 수/전동식 겸용으로 될 경우의 사시도.
삭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륜 11 : 전륜프레임 11a : 내관
11b,53 : 외관 11c,52a,53a : 걸림판 11d,57 : 압축스프링
20 : 후륜 31 : 핸들포스트 32 : 핸들
41,42,43 : 지지프레임 42a,67 : 연결대 50 : 안장프레임
51 : 안장 52 : 지지봉 52b : 록킹홈
53b : 슬릿홈 53c : 걸림홈 53d : 록킹홀
54 : 작동손잡이 55 : 록킹핀 60 : 회전축
61 : 구동측 스프로킷휘일 62 : 종동측 스프로킷휘일 63 : 체인
64 : 구동 피니언기어 65 : 래칫 66 : 회전관
71 : 가이드덮개 72 : 작동막대 73 : 구동 랙기어
74 : 승강 랙기어 75 : 승강 피니언기어 76 : 페달
77 : 시소막대 81 : 발전기겸용 전동기 82 : 축전지
83 : 지지판
본 고안은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륜과 후륜을 각각 쌍으로 구성하여 주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스텝 구동방식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입력손실 없이 입력량과 출력량이 동일해지도록 하고, 발전기겸용 전동기와 축전지를 장착하여 스텝구동으로 충전하였다가 전동식으로도 구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자전거는 전위와 후위에 각각 전륜과 후륜이 구비되고, 전륜의 축에는 핸들포스트가 연결되어 그 상단부에 핸들이 고정되며, 핸들 포스트의 중간부에는 수평방향과 아래방향으로 각각 제1,2 지지프레임이 연결되고, 또 제1,2 지지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아래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후륜의 축과 연결되는 제3,4 지지프레임이 연결되어 각 지지프레임이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2,4 지지 프레임의 연결부위와 제1,3 지지프레임의 연결부위 사이에는 대각방향으로 안장프레임이 고정되어 그 상단부에 안장이 고정되고, 안장프레임의 하단부와 제2,4 지지프레임의 연결부위에는 좌우측에 반대방향을 향해 작동바가 각각 고정된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각 작동바의 단부에는 각각 페달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축의 한쪽에는 구동측 스프로킷휘일이 고정되며, 후륜에는 종동측 스프로킷휘일이 고정되고, 각 스프로킷휘일의 사이에 체인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각 페달을 굴려 회전시키게 되면 이러한 회전력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력에 의해 구동측 스프로킷휘일이 회전되면 이와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종동측 스프로킷휘일이 회전되어 추진력이 발생되며, 이러한 추진력에 의해 자전거가 넘어지지 않고 전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자전거를 넘어지지 않고 타기 위해서는 자전거를 처음 배울 때 무수히 넘어지는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스스로 넘어지지 않고 중심을 잡는 법을 체득하게 되는데, 자전거 타는 법을 배우는 과정에서 넘어질 경우 자칫 크게 다칠 우려도 있고, 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보다 빠른 시간 안에 넘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자전거가 넘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속도가 있어야 하며, 이러한 속도로 인해 자전거를 탄 상태에서 주위 경관을 구경하거나, 주위의 사람과 대화를 하기는 어려운 단점도 있다.
아울러, 초보자의 경우 자전거를 타고 전진하는 동작은 쉽게 수행할 수 있으나 방 향을 전환하거나 구불구불한 길을 주행할 때에는 원심력에 의해 중심을 잡기가 쉽지 않은 문제도 있다.
한편, 일반적인 자전거의 경우 각 페달을 왼발과 오른발로 번갈아 밟아주어 회전축을 회전시키고, 이러한 회전력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통해 동력을 얻고 있으나, 한쪽 페달의 상사점과 다른쪽 페달의 하사점에 근접하는 위치에서는 상사점 또는 하사점과 거의 수평을 이루게 되므로 지속적인 회전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힘을 더 사용할 수밖에 없어 입력손실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즉, 일반적인 자전거에 적용되는 양쪽 페달을 회전시켜 동력을 얻는 방법은 입력량에 비해 출력량이 적음을 의미한다.
또한, 일반적인 자전거는 오로지 다리를 움직여 동력을 얻는 것이었으므로 비교적 평탄한 길이나 내리막길에서는 타기가 수월하나 오르막길에서는 힘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일반적인 자전거에서도 안장프레임을 2중관식으로 구성하고, 그 외관의 상단부에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안장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잠금장치를 풀고 안장을 손으로 잡아 높낮이를 조정한 후 다시 잠금장치를 잠가주어야 하였으므로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안장의 위치가 높기 때문에 타기가 어렵고 또 타다가 넘어지는 경우도 있다.
본 고안은 이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륜과 후륜을 각각 쌍으로 구성하여 초 보자라 할지라도 주행시 또는 방향전환시의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저속으로 구동하더라도 넘어지지 않도록 하고, 스텝구동방식으로 동력을 발생시키게 하여 입력손실 없이 입력량과 출력량이 동일해지도록 하며, 수동으로 동작할 때 발전을 하여 이를 충전하였다가 필요시 전동식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안장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타고 내리는 것이 쉽고 넘어지지 않게 한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가 수/전동식 겸용으로 될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의 전륜프레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의 안장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는 전위와 후위에 각각 쌍으로 된 전륜(10)과 후륜(20)이 구비되고, 전륜(10)의 축 양측에는 전륜프레임(11)이 각각 고정되며, 각 전륜프레임(11)의 상단 연결부위의 중앙에는 핸들포스트(31)가 연결되어 그 상단부에 핸들(32)이 고정되며, 핸들포스트(31)의 중간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제1 지지프레임(41)이 연결되면서 하부측으로는 두 갈래로 제2 지지프레임(42)이 연결되며, 제2 지지프레임(42)은 그 중간측에서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단부가 후륜(20)의 축과 연결되고, 제2 지지프레임(42)의 중간부에 연결대(42a)가 고정되어 이 연결대(42a)의 중앙과 제1 지지프레임(41)의 단부 사이에 비스듬하게 안 장프레임(50)이 고정되어 그 상단부에 안장(51)이 고정되며, 안장프레임(50)의 제1 지지프레임 연결부위측으로부터 후륜(20)의 축 사이에는 두 갈래로 제3 지지프레임(43)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전륜프레임(11)은 내관(11a)과 외관(11b)으로 된 2중관식 구성으로 되고, 외관(11b)의 안쪽에는 걸림판(11c)이 고정되며, 이 걸림판(11c)과 내관(11a) 하단부 사이에는 압축스프링(11d)이 개재되어 탄력적으로 신축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안장프레임(50)의 하부 앞쪽에는 회전관(66)이 연결대(67)를 통해 고정되고, 회전관(66)에는 회전축(60)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회전축(60)의 한쪽에는 구동측 스프로킷휘일(61)이 고정되고, 후륜(20)의 축상에는 종동측 스프로킷휘일(62)이 고정되며, 각 스프로킷휘일(61)(62)의 사이에 체인(63)이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회전축(60)에는 각각 래칫(65)을 갖는 구동 피니언기어(64)가 좌우에 각각 고정되고, 각 구동 피니언기어(64)의 앞쪽에는 제2 지지프레임(42)에 고정된 두 개의 가이드덮개(7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는 두 개의 작동막대(72)가 각각 구비되어 그 구동 피니언기어 대응부위에는 각각 구동 랙기어(73)가 형성되며, 각 작동막대(72)의 사이에는 그 중앙부가 제2 지지프레임(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시소막대(77)가 2중관식으로 신축가능하게 위치되고, 시소막대(77)의 각 단부는 각 작동막대(7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각 작동막대(72)의 상부에는 각각 페달(76)이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안장프레임(50)은 외관(53)에 지지봉(52)이 끼워진 구성을 가지면서 지지 봉(52)의 상단부에 안장(51)이 고정되며, 지지봉(52)의 하단부와 외관(53)의 중간부에는 각각 걸림판(52a)(53a)이 고정되고, 각 걸림판(52a)(53a)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57)이 위치되며, 지지봉측 걸림판(52a)으로부터 작동손잡이(54)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관(53)의 작동손잡이 돌출부위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슬릿홈(53b)이 형성되어 작동손잡이(54)에 의해 지지봉(52)을 아래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고, 슬릿홈(53b)의 하단부에는 그 옆쪽으로 걸림홈(53c)이 형성되며, 지지봉(52)의 외부 양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다단의 록킹홈(52b)이 형성되며, 외관(53)의 상부 전후에는 지지봉(52)의 록킹홈(52b) 위치와 동일하게 록킹홀(53d)이 관통 형성되고, 네 갈래로 된 록킹핀(55)이 마련되어 외관(53)의 록킹홀(53d)과 지지봉(52)의 록킹홈(52b)에 한꺼번에 끼워져 안장(51)의 위치를 고정해주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도 2와 같이 후륜(20)의 축 한쪽에는 발전기겸용 전동기(81)를 동력전달가능하게 접속하고, 발전기겸용 전동기(81)에는 축전지(82)를 연결하여 수동으로 구동할 때 전기를 발생시켜 충전시켰다가 필요할 때 전동식으로 구동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발전기겸용 전동기(81)는 차량에서 흔히 사용되는 발전기겸용 전동기와 같이 다른쪽이 회전할 때는 발전을 수행하면서 전기가 인가되면 전동식으로 다른쪽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며, 발전기겸용 전동기(81)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핸들(32)에는 발전기겸용 전동기(81)를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함은 자명하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83은 발전기겸용 전동기(81)와 축전지(82)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자전거를 타기 전에 사용자는 안장프레임(50)의 록킹핀(55)을 빼내고 작동손잡이(54)를 내려 슬릿홈(53b) 하단부의 걸림홈(53c)에 걸어주면 안장(51)과 지지봉(52)이 압축스프링(57)을 압축시킨 상태로 내려와 멈추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안장(51)에 오른 후 작동손잡이(54)를 해제하면 압축스프링(57)에 의해 안장(51)과 지지봉(52)이 상승하게 되며, 사용자는 자신의 키에 맞는 위치에 올 때 록킹핀(55)을 외관(53)의 록킹홀(53d)과 지지봉(52)의 록킹홈(52b)에 같이 끼우면 안장(51)의 위치가 알맞은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 페달(76)을 번갈아 밟아줌으로써 추진력이 발생되어 전진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는 전륜(10)과 후륜(20)이 각각 쌍으로 구성되어 있어 각 바퀴 사이의 폭만큼 자전거가 안정감을 가질 수 있으며, 어떠한 방향으로든 쉽게 넘어지지 않게 되어 특히 초보자도 타기에 매우 안전하게 구성되었고, 그 전진 속도가 다소 느리더라도 절대 넘어지지 않아 경관을 구경하거나 옆의 다른 사람과 대화를 나눌 수도 있다. 특히 방향을 전환할 때에는 원심력에 의해 자전거가 그 중심을 잃기 쉬우나 본 고안에 따른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는 전륜프레임(11)이 내관(11a)과 외관(11b)의 2중관식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내관(11a)의 하단부와 외관(11b)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판(11c)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11d)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방향전환시 원심력이 작용되더라도 그 방향에 따라 전륜프레임(11)이 탄력적으로 신축작용되어 안정된 코너링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한쪽 페달(76)을 밟게 되면 페달(76)과 연결된 작동막대(72)의 구동 랙기어(73)가 하강하면서 구동 피니언기어(64)를 회전시켜주고, 구동 피니언기어(64)가 회전되면 래칫(65)이 걸려 회전축(60)이 같이 회전하게 되며, 회전축(60)의 회전에 따라 구동측 스프로킷휘일(61)이 회전되고, 그 회전력이 체인(63), 종동측 스프로킷휘일(62)로 전달되어 후륜(20)이 회전함에 따라 추진력을 얻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한쪽 구동 피니언기어(64)가 회전하는 동안 다른쪽 구동 피니언기어(64)에서는 래칫(65)이 다른쪽 구동 피니언기어(64)에 걸리지 않고 그대로 겉넘게 되어 다른쪽의 동력전달계통에는 전혀 이상이 없게 된다.
한쪽 페달(76)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작동막대(7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시소막대(77)가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시소작동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반대쪽 작동막대(72)가 상승하게 되는데, 각 작동막대(72)는 각각 가이드 덮개(71)에 의해 항상 동일 위치에서 승하강할 수 있게 가이드되고, 시소막대(77)는 2중관식으로 구성되어 신축될 수 있으므로 각 작동막대(72)의 승하강이 교번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지속적으로 구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력을 발생시킬 때 양발로 페달(76)을 교대로 눌러주기만 하면 되므로 상사점 또는 하사점 부근에서 힘을 더 주어야 하는 일반적인 자전거에 비해 힘이 덜 들면서 동등한 회전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자전거가 전진한다는 것은 후륜(20)이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하며, 후륜(20)의 축에는 발전기겸용 전동기(81)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핸들(32)의 한쪽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후륜(20)이 회전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전기가 발생되어 축전지(82)에 충전되게 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스위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더 이상 발을 구르지 않아도 축전지(82)에 충전되어 있던 전기가 발전기겸용 전동기(81)에 인가되어 자전거가 전동식으로 구동하게 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각 작동막대(72)의 마주보는 부위에는 각각 승강 랙기어(74)가 형성되고, 각 승강 랙기어(74)의 사이에는 제2 지지프레임(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승강 피니언기어(75)가 위치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한쪽 작동막대(72)를 밟아주면 승강 랙기어(74)에 의해 승강 피니언기어(75)가 회전하면서 다른쪽 작동막대(72)의 승강 랙기어(74)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다른쪽 작동막대(72)가 상승하게 되고, 이를 반복하게 되면 본 고안의 실시예와 동등하게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자전거는 전륜과 후륜이 각각 쌍으로 구성되어 있어 주행시 또는 방향전환시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편리하게 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보자가 타기에도 적합하며, 발을 스텝구동방식으로 밟아주기만 하면 그 입력량이 전량 회전력으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자전거에 비해 힘이 적게 들고, 안장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자전거를 타고 내릴 때 불편하거나 넘어지는 일이 없으며, 스텝방식으로 구동할 때 충전하였다가 필요할 때 전동식으로 구동할 수 있어 언덕길 오르기가 수월하여 장거리 여행도 편하게 할 수 있는 등 사용상 편의성이 매우 높다 할 수 있다.
아울러, 일반 자전거는 넘어지지 않기 위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달려야 하므로 경관을 감상하거나 옆에 걸어가는 사람과 같은 속도로 가면서 대화를 나누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본 고안 자전거는 4륜으로 구성되어 있어 느리게 가더라도 쓰러지지 않아 경관을 구경하거나 옆에서 걷고 있는 가족이나 친지와 대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누구나 쉽고 편하게 탈 수 있어 안전한 교통수단으로도 널리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레저문화와 생활문화 전반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한편, 일반 자전거는 왼발과 오른발로 페달을 번갈아 밟을 때마다 앞바퀴와 핸들이 좌우로 기우뚱거리기 때문에 쓰러지지 않기 위해 순간순간 균형을 잡아야 하므로 언제나 불안하고 스트레스를 받지만, 본 고안 자전거는 4륜이기 때문에 균형 잡기가 쉬워 불안정감 없이 편안한 상태로 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 자전거는 4륜이지만 스포츠 자전거와 같은 얇은 바퀴를 장착하므로 바퀴의 접지면이 일반 자전거보다 크지 않아 주행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충분히 속도감을 즐길 수 있고, 4륜이기 때문에 바퀴 한쪽이 펑크가 나더라도 일반 자전거처럼 주행불능 상태에 빠지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또 건강을 위해 운동효과를 높이고 싶으면(상세한 설명에는 없지만 과충전 방지 스위치를 조작한 후) 계속 충전모드로 달리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전위와 후위에 각각 쌍으로 된 전륜(10)과 후륜(20)이 구비되고, 상기 전륜(10)의 축 양측에는 전륜프레임(11)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각 전륜프레임(11)의 상단 연결부위의 중앙에는 핸들포스트(31)가 연결되어 그 상단부에 핸들(32)이 고정되며, 상기 핸들포스트(31)의 중간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제1 지지프레임(41)이 연결되면서 하부측으로는 두 갈래로 제2 지지프레임(42)이 연결되며, 상기 제2 지지프레임(42)은 그 중간측에서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후륜(20)의 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프레임(42)의 중간부에 연결대(42a)가 고정되어 이 연결대(42a)의 중앙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41)의 단부 사이에 비스듬하게 안장프레임(50)이 고정되어 그 상단부에 안장(51)이 고정되며, 상기 안장프레임(50)의 제1 지지프레임 연결부위측으로부터 후륜(20)의 축 사이에는 두 갈래로 제3 지지프레임(43)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안장프레임(50)의 하부 앞쪽에는 회전관(66)이 연결대(67)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회전관(66)에는 회전축(60)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회전축(60)의 한쪽에는 구동측 스프로킷휘일(61)이 고정되고, 상기 후륜(20)의 축상에는 종동측 스프로킷휘일(62)이 고정되며, 상기 각 스프로킷휘일(61)(62)의 사이에 체인(63)이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60)에는 각각 래칫(65)을 갖는 구동 피니언기어(64)가 좌우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각 구동 피니언기어(64)의 앞쪽에는 상기 제2 지지프레임(42)에 고정된 두 개의 가이드덮개(7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는 두 개의 작동막대(72)가 각각 구비되어 그 구동 피니언기어 대응부위에는 각각 구동 랙기어(73)가 형성되며, 상기 각 작동막대(72)의 사이에는 그 중앙부가 상기 제2 지지프레임(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시소막대(77)가 2중관식으로 신축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시소막대(77)의 각 단부는 상기 각 작동막대(7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각 작동막대(72)의 상부에는 각각 페달(76)이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2. 전위와 후위에 각각 쌍으로 된 전륜(10)과 후륜(20)이 구비되고, 상기 전륜(10)의 축 양측에는 전륜프레임(11)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각 전륜프레임(11)의 상단 연결부위의 중앙에는 핸들포스트(31)가 연결되어 그 상단부에 핸들(32)이 고정되며, 상기 핸들포스트(31)의 중간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제1 지지프레임(41)이 연결되면서 하부측으로는 두 갈래로 제2 지지프레임(42)이 연결되며, 상기 제2 지지프레임(42)은 그 중간측에서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후륜(20)의 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프레임(42)의 중간부에 연결대(42a)가 고정되어 이 연결대(42a)의 중앙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41)의 단부 사이에 비스듬하게 안장프레임(50)이 고정되어 그 상단부에 안장(51)이 고정되며, 상기 안장프레임(50)의 제1 지지프레임 연결부위측으로부터 후륜(20)의 축 사이에는 두 갈래로 제3 지지프레 임(43)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안장프레임(50)의 하부 앞쪽에는 회전관(66)이 연결대(67)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회전관(66)에는 회전축(60)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회전축(60)의 한쪽에는 구동측 스프로킷휘일(61)이 고정되고, 상기 후륜(20)의 축상에는 종동측 스프로킷휘일(62)이 고정되며, 상기 각 스프로킷휘일(61)(62)의 사이에 체인(63)이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60)에는 각각 래칫(65)을 갖는 구동 피니언기어(64)가 좌우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각 구동 피니언기어(64)의 앞쪽에는 상기 제2 지지프레임(42)에 고정된 두 개의 가이드덮개(7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는 두 개의 작동막대(72)가 각각 구비되어 그 구동 피니언기어 대응부위에는 각각 구동 랙기어(73)가 형성되며, 상기 각 작동막대(72)의 마주보는 부위에는 각각 승강 랙기어(74)가 형성되고, 상기 각 승강 랙기어(74)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지지프레임(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승강 피니언기어(75)가 위치되며, 상기 각 작동막대(72)의 상부에는 각각 페달(76)이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20)의 축 한쪽에는 발전기겸용 전동기(81)가 동력전달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발전기겸용 전동기(81)에는 축전지(82)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프레임(50)은 외관(53)에 지지봉(52)이 끼워진 구성을 가지면서 지지봉(52)의 상단부에 상기 안장(51)이 고정되며, 상기 지지봉(52)의 하단부와 상기 외관(53)의 중간부에는 각각 걸림판(52a)(53a)이 고정되고, 상기 각 걸림판(52a)(53a)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57)이 위치되며, 상기 지지봉측 걸림판(52a)으로부터 작동손잡이(54)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관(53)의 작동손잡이 돌출부위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슬릿홈(53b)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손잡이(54)에 의해 상기 지지봉(52)을 아래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릿홈(53b)의 하단부에는 그 옆쪽으로 걸림홈(53c)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52)의 외부 양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다단의 록킹홈(52b)이 형성되고, 상기 외관(53)의 상부 전후에는 지지봉(52)의 록킹홈(52b) 위치와 동일하게 록킹홀(53d)이 관통 형성되며, 4갈래로 된 록킹핀(55)이 마련되어 상기 외관(53)의 록킹홀(53d)과 상기 지지봉(52)의 록킹홈(52b)에 한꺼번에 끼워져 상기 안장(51)의 위치를 고정해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프레임(11)은 내관(11a)과 외관(11b)으로 된 2중관식 구성으로 되고, 상기 외관(11b)의 안쪽에는 걸림판(11c)이 고정되며, 상기 걸림판(11c)과 상기 내관(11a) 하단부 사이에는 압축스프링(11d)이 개재되어 탄력적으로 신축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KR2020060008689U 2006-04-01 2006-04-01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KR200418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89U KR200418924Y1 (ko) 2006-04-01 2006-04-01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89U KR200418924Y1 (ko) 2006-04-01 2006-04-01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951A Division KR100704886B1 (ko) 2006-04-01 2006-04-01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924Y1 true KR200418924Y1 (ko) 2006-06-14

Family

ID=4176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689U KR200418924Y1 (ko) 2006-04-01 2006-04-01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9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558B1 (ko) 발판동력 발생장치를 갖는 미니 바이크
US6715779B2 (en) Exercise scooter with stunt features
US7784808B2 (en) Rear-pedaling standing type bicycle structure
JP3126888U (ja) 上下往復ペダル式レジャー自転車
TW200916355A (en) Swing powered vehicle steering mechanism
KR20110044232A (ko) 사이클
KR20000009065A (ko) 절첩식 자전거
US20070024019A1 (en) Step scooter
CN104321245A (zh) 具有独特的驱动组件的自行车
KR100704886B1 (ko)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KR101346836B1 (ko) 접이식 역삼륜 전동 자전거
US20220119072A1 (en) Scooter
CN203142913U (zh) 双体车
WO2007131427A1 (fr) Procédés de fabrication et d'utilisation d'un dispositif à roulettes et d'un véhicule de marche à roulettes
KR200418924Y1 (ko)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CN204352530U (zh) 手臂助力多功能健身代步游乐车
KR20070042066A (ko) 이중 증속 일륜 자전거
CN215971905U (zh) 儿童手拉车
CN101519106A (zh) 坐立式推拉车
KR100625647B1 (ko) 무동력 미니 바이크
CN103910009A (zh) 双体车
CN2504177Y (zh) 可用脚控制方向的微型自行车
KR20060012706A (ko) 경사면과 체중을 이용한 롤러발판의 왕복장치, 직립 보행식 삼륜 스쿠터
KR20090011620U (ko) 이륜겸용 삼륜자전거
KR100927909B1 (ko) 이동보조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