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681Y1 -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681Y1
KR200418681Y1 KR2020060007701U KR20060007701U KR200418681Y1 KR 200418681 Y1 KR200418681 Y1 KR 200418681Y1 KR 2020060007701 U KR2020060007701 U KR 2020060007701U KR 20060007701 U KR20060007701 U KR 20060007701U KR 200418681 Y1 KR200418681 Y1 KR 200418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unting table
lift
lifting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익
Original Assignee
(주) 이화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화정밀 filed Critical (주) 이화정밀
Priority to KR2020060007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6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6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6Mount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재대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하고, 금형 출입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스(101)가 배치된 사이의 공간에 금형(104)을 적재할 공간(105)을 가지고 구축되는 적재대(106)와; 상기 적재대(106)와 프레스(101) 사이에 금형(104) 교환을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교환대(107)와; 상기 적재대(106)와 적재대(106) 사이에서 적재대(106)상의 금형(104)을 교환대(107)로 공급하고, 교환대(107)에 위치한 금형(104)을 적재대(106)로 적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장치대(114)와; 상기 장치대(114)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승강수단(115)에 의하여 적재대(106)의 공간(105)으로 이동할 수 있는 리프트(120)를 포함하는 출입장치(110)를 구비하는 금형 적재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출입장치(110)를 구성하는 리프트(120)는 승강수단(115)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리프트바디(121)와; 상기 리프트바디(121)의 상방에 금형(104)을 인출하고 삽입할 수 있도록 이동을 위한 이동수단(125)과; 상기 금형(104)을 실질적으로 들고 내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승강수단(126)으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금형, 적재, 출입

Description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Taking in and out device for mold loading system}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금형 적재시스템을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금형 적재시스템을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금형 적재시스템의 금형 출입장치를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의 리프트를 발췌한 단면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의 리프트를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적재시스템
106; 적재대
110; 출입장치
120; 리프트
125; 이동수단
126; 승강수단
본 고안은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스 라인과 연계하여 설치되는 금형 적재시스템에 적재된 금형의 수납과 인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출입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많은 수의 프레스가 설치되는 프레스 라인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금형을 교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프레스 라인과 연계하여 성형에 필요한 금형을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금형 적재시스템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금형 적재시스템(100)을 도 1내지 도 3을 통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수의 프레스(101)가 배치된 사이의 공간에 종바(102)와 횡바(103)를 이용하여 금형(104)을 적재할 공간(105)을 가지는 다단의 일정간격을 유지한체 프레스라인과 같은 길이의 프레임으로 적재대(106)를 구축한다.
상기 적재대(106)와 프레스(101) 사이에는 금형(104)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교환대(107)가 설치되고, 적재대(106)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에는 적재대(106)상의 금형(104)을 인출하여 교환대(107)로 공급하고, 프레스(101)로부터 인출되어 교환대(107)에 위치한 금형(104)을 적재대(106)로 적재하기 위한 출입장치(1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종래에는, 적재대에 구비되는 공간에 로울러레일을 설치하여 금형이 공간으로의 진입과 공간에서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하고, 출입장치에는 공간으로 진입하여 금형을 인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게차에 구비되는 포크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적재대에 금형을 안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로울러레일에 의하여 금형의 출입은 어느 정도 자유로운 면이 있으나, 로울러레일이 상당한 고가이기 때문에 프레임으로 구축되는 적재대에 비하여 로울러레일이 적재시스템 설치에 차지하는 금전적인 비용부담이 커 적재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었다.
또한, 출입장치에 구비되는 포크가 지탱할 수 있는 한계로 인하여 상당한 중량을 가지는 금형을 로울러레일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 전도되는 하중에 의하여 손상되어 금형을 용이하게 이동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전반적인 문제점은 적재대를 구성하면서 금형을 단순히 안치하는 역할에 지나지 않는 일부 부품인 로울러레일이 차지하는 금전적인 비용이 과다하여 금형 적재시스템 전체의 설치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어 원활한 운영과 관리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금형 적재시스템을 구성하는 출입장치를 개선함으로서 적재대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적재대에 금형의 출입 작업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금형 적재시스템의 설치비용을 절감하면서 유지 및 관리, 운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금형 적재시스템을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금형 적재시스템을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금형 적재시스템의 금형 출입장치를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의 리프트를 발췌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의 리프트를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금형 적재시스템(100)은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스(101)가 배치된 사이의 공간에 종바(102)와 횡바(103)를 이용하여 금형(104)을 적재할 공간(105)을 가지는 다단의 일정간격을 유지한체 프레스 라인과 같은 길이의 프레임으로 적재대(106)를 구축한다.
상기 적재대(106)와 프레스(101) 사이에는 금형(104)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교환대(107)가 설치되고, 상기 적재대(106)와 적재대(106)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에는 적재대(106)상의 금형(104)을 인출하여 교환대(107)로 공급하고, 프 레스(101)로부터 인출되어 교환대(107)에 위치한 금형(104)을 적재대(106)로 적재하기 위한 출입장치(110)를 적재대(106)의 길이방향과 높이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입장치(110)는 적재대(106)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111)을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112)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바퀴(113)를 저면에 가지는 장치대(114)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대(114)에는 장치대(114)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승강수단(115)에 의하여 적재대(106)에 다단으로 구비되는 각각의 공간(105)으로 이동할 수 있는 리프트(12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출입장치(110)를 구성하는 리프트(120)를 개선하여 적재대(106)에 보관된 금형(104)의 인출과 교환대(107)상의 금형(104)을 적재대(106)로 보관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트(120)는, 승강수단(115)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리프트바디(121)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트바디(121)의 상방에 금형(104)을 인출하고 삽입할 수 있도록 이동을 위한 이동수단(125)과 금형(104)을 실질적으로 들고 내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승강수단(126)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수단(125)은 리프트바디(121)의 상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레일(127)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127)에는 이동플레이트(128)의 저면 양측에 등 간격을 유지시켜 다수 개 설치하는 로울러(129,130)를 활주할 수 있도록 안치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128)의 중앙부 저면에는 랙(131)을 고정하고, 상기 랙 (131)은 리프트바디(121)에 고정되는 브라켓(132)에 설치되는 모터(M)의 출력축(133)에 고정되는 구동기어(134)와 매개기어(135)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피니언(136)과 결합시켜 모터(M)의 정,역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플레이트(128)가 리프트바디(121)의 전,후 방향(적재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수단(126)은 이동플레이트(128)의 상면 다수 곳(바람직하게는 4곳)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140)의 로드(141)에 승강판(142)을 고정하여 상기 승강실린더(140)에 의하여 상승하고 하강하면서 적재대(106)의 공간(105)에 적재된 금형(104)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실린더(140)의 측방에는 승강판(142)이 안정된 상태로 상승하고 하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통상적인 가이드(145)를 고정하고, 상기 승강실린더(140)와 가이드(145)의 양측에는 승강판(142)을 항상 하강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당겨주는 복귀스프링(146)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110)는,
출입장치(110)가 적재대(10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적재대(106)의 공간(105)에 적재된 금형(104)을 인출하여 프레스(101)와 연결된 교환대(107)에 공급하여 주거나, 프레스(101)로부터 탈거되어 교환대(107)상에 있는 금형(104)을 적재대(106)의 공간(105)에 수납 적재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출입장치(110)를 구성하고 있는 리프트(120)가 승강수단(115)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공간(105)으로 이동하고, 공간(105)으로 진,출입하면서 금형(104)을 실질적으로 올리고 내리는 동작을 취하게 되 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출입장치(110)가 적재대(106)의 공간(105)에서 멈춘 상태에서 금형(104)을 인출하여 교환대(107)로 가져가기 위하여 공간(105)에 적재된 금형(104)을 인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출입장치(110)를 구성하는 리프트(120)의 이동수단(125)이 작동하여 승강수단(126)을 공간(105)으로 진입시키게 된다.
즉, 리프트바디(121)의 상면에 설치되는 레일(127)에 다수개의 로울러(129,130)를 안치시킨 이동플레이트(128)의 중앙부 저면에 고정된 랙(131)이 리프트바디(121)에 설치된 모터(M)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피니언(136)이 맞물린 상태에 있으므로 모터(M)의 작동에 의하여 피니언(136)이 랙(131)을 움직이게 되므로 이동플레이트(128)가 자연스럽게 공간(105)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동플레이트(128)의 상부에 구비되는 승강수단(126) 또한 공간(105)으로 함께 금형(104)을 적재하고 있는 적재레일(또는 적재바, 서포터)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승강수단(126)의 진입이 완료되면 모터(M)의 작동은 정지되고, 이동플레이트(128)의 상방에 설치된 승강실린더(140)가 작동하여 승강판(142)을 금형(104)방향으로 상승시키게 되므로 승강판(142)은 자연스럽게 금형(104)의 저면과 밀착되면서 금형(104)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에는 승강실린더(140)의 측방에 더 구비되는 가이드(145)에 의하여 승강판(142)이 안정된 상태로 상승하고 하강할 수 있게 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와 같이 승강판(142)에 금형(104)이 안치되면 다시 이동수단(125)의 모터(M)가 작동하여 피니언(136)을 회전시켜 랙(131)을 움직이게 되므로 이동플레이트(128)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프트(120)는 출입장치(110)의 이동에 의하여 교환대(107)로 이동하게 되고, 교환대(107)에서는 다시 이동수단(125)이 작동하여 승강수단(126)을 교환대(107)로 진입시킨 후 승강수단(126)의 승강판(142)을 하강시켜 금형(104)을 교환대(107)에 안치시킨 후 원래의 승강수단(126)과 이동수단(125) 모두가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차기동작 대기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상기 승강수단(126)을 구성하는 승강판(142)의 복귀시에는 승강실린더(140)의 하강으로 승강판(142)이 하강하고, 승강실린더(140)와 가이드(145) 양측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146)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는 데 일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교롼대(107)상의 금형(104)을 적재대(106)의 공간(105)에 적대할 경우에도 동일한 동작을 취하여 금형(104)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출입장치(110)를 구성하는 리프트(120)를 개선함으로서 적재대(106)의 공간(105)에 금형(104)을 지지할 수 있는 단순레일이나 서포터 만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 적재시스템(100) 전체의 설치비용을 절감하면서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금형 적재시스템을 구성하는 출입장치를 개선함으로서 적재대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적재대에 금형의 출입 작업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금형 적재시스템의 설치비용을 절감하면서 유지 및 관리, 운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 기대되는 효과가 많은 고안이다.

Claims (2)

  1. 프레스(101)가 배치된 사이의 공간에 금형(104)을 적재할 공간(105)을 가지고 구축되는 적재대(106)와;
    상기 적재대(106)와 프레스(101) 사이에 금형(104)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교환대(107)와;
    상기 적재대(106)와 적재대(106)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에 적재대(106)상의 금형(104)을 인출하여 교환대(107)로 공급하고, 프레스(101)로부터 인출되어 교환대(107)에 위치한 금형(104)을 적재대(106)로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111)을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112)에 의하여 회전하는 바퀴(113)를 저면에 가지고 구비되는 장치대(114)와;
    상기 장치대(114)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승강수단(115)에 의하여 적재대(106)에 다단으로 구비되는 각각의 공간(105)으로 이동할 수 있는 리프트(120)를 포함하는 출입장치(110)를 구비하는 금형 적재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출입장치(110)를 구성하는 리프트(120)는 승강수단(115)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리프트바디(121)와;
    상기 리프트바디(121)의 상방에 금형(104)을 인출하고 삽입할 수 있도록 이동을 위한 이동수단(125)과;
    상기 금형(104)을 실질적으로 들고 내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승강수단(126)으로 구성하고;
    상기 이동수단(125)은 리프트바디(121)의 상면에 설치하는 레일(127)과;
    상기 레일(127)에 안치되어 활주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로울러(129,130)를 저면에 설치하여 구비되는 이동플레이트(128)와;
    상기 이동플레이트(128)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되는 랙(131)과;
    상기 랙(131)은 리프트바디(121)에 고정되는 브라켓(132)에 설치되는 모터(M)의 출력축(133)에 고정되는 구동기어(134)와 매개기어(135)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피니언(136)과 결합시켜 이동플레이트(128)를 움직이도록 구성하고;
    상기 승강수단(126)은 이동플레이트(128)의 상면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140)와;
    상기 승강실린더(140)의 로드(141)와 고정되어 적재대(106)의 공간(105)에 적재된 금형(104)을 승,하강시키는 승강판(142)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140)의 측방에는 승강판(142)이 안정된 상태로 상승하고 하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이드(145)와;
    상기 승강실린더(140)와 가이드(145)의 양측에 승강판(142)을 항상 하강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당겨주는 복귀스프링(146)을 더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
KR2020060007701U 2006-03-22 2006-03-22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 KR200418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701U KR200418681Y1 (ko) 2006-03-22 2006-03-22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701U KR200418681Y1 (ko) 2006-03-22 2006-03-22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269A Division KR100760721B1 (ko) 2006-03-22 2006-03-22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681Y1 true KR200418681Y1 (ko) 2006-06-14

Family

ID=41768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701U KR200418681Y1 (ko) 2006-03-22 2006-03-22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6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177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dies in thermoforming presses
CN104551598B (zh) 一种压力机快速换模小车
KR100760721B1 (ko)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
KR101327587B1 (ko) 금형 적재시스템의 금형 승강장치
KR200418681Y1 (ko) 금형 적재시스템용 금형 출입장치
CN211193855U (zh) 一种模具放置架
CN207373587U (zh) 一种用于转运大型模具的定位托举机构
CN108016802B (zh) 玻镁板推送式立体仓储装置及方法
JPH11254465A (ja) 発泡成形用金型の脱型機構
KR100856302B1 (ko)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JP2010042429A (ja) 固定装置、プレス機及びプレスライン
CN212045677U (zh) 一种注塑机使用的上下模机构
CN215438377U (zh) 一种定子上料机
JPH0442019Y2 (ko)
KR200302688Y1 (ko) 롤카세트카의 롤 자동 인출입 장치
KR200194123Y1 (ko) 극후판 제품의 다단적치 장치
CN217919684U (zh) 一种清洗架运输储存装置
CN219155870U (zh) 一种用于模具堆码的装置及自动堆码系统
CN213595357U (zh) 供板机
CN220482076U (zh) 一体化高铁轨道板脱模装置
CN216679877U (zh) 一种一换多换模装置
JP6133062B2 (ja) 多段式駐車装置
CN213968842U (zh) 一种快速换模装置
CN214927419U (zh) 一种模具快换小车
CN219156397U (zh) 一种极柱装配用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