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438Y1 - 흡수성 시이트 및 이로 제조된 밴드 - Google Patents

흡수성 시이트 및 이로 제조된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438Y1
KR200418438Y1 KR2020060008187U KR20060008187U KR200418438Y1 KR 200418438 Y1 KR200418438 Y1 KR 200418438Y1 KR 2020060008187 U KR2020060008187 U KR 2020060008187U KR 20060008187 U KR20060008187 U KR 20060008187U KR 200418438 Y1 KR200418438 Y1 KR 200418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sheet
band
absorbent
presen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 현 김
영 백 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2020060008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4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4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42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7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wrist support ; Compression devices for tennis elbow (epicondy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수성 시이트 및 이로 제조된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흡수성 시이트는 2개의 부직포(1a, 1b)들이 부분적으로 열융착되어 이들 사이에 내부 공간(1c)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의 내부 공간(1c)에 흡수성 수지 분말(1d)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물에 적시지 않은 상태로 땀 흡수용 밴드 소재로 사용시에는 인체에서 발산되는 땀을 효과적으로 흡수, 저장할 수 있고, 물에 적신 상태로 인체와 접촉하는 밴드 소재로 사용시에는 흡수된 물이 피부와 접촉한 부분에서 증발하면서 인체의 열을 빼앗아 시원한 느낌(접촉냉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흡수성 시이트, 밴드, 흡수, 접촉냉감, 흡수성 수지, 분말, 부직포

Description

흡수성 시이트 및 이로 제조된 밴드{Absorbent sheet and a band manufactued thereof}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수성 시이트의 단면 모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수성 시이트(1)를 포함하는 땀흡수용 밴드의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흡수성 시이트 1a, 1b : 부직포
1c : 내부 공간 1d : 흡수성 수지
2 : 망사 3 : 직물
4 : 봉제선
본 고안은 흡수성 수지 및 이로 제조된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에서 발산되는 땀의 흡수 성능과 접촉 냉감 성능이 뛰어난 흡수성 수 지 및 이로 제조되어 인체와 접촉하는 부위에 주로 사용되는 밴드에 관한 것이다.
모자의 안쪽 테두리에 설치되어 이마 부위와 접촉하는 땀 흡수용 모자 밴드, 머리띠, 손목 아대 등과 같이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부위에 사용되는 밴드(이하 "인체 접촉 밴드"라고 한다)의 경우 높은 흡수성능, 흡수한 땀을 안정하게 저장하는 성능 및 표면에 묻은 땀을 빨리 건조시키는 성능(이하 "속건성"이라고 한다)도 요구된다.
종래의 인체 접촉 밴드로는 직편물과 망사지 사이에 형태안정성과 볼륨감을 부여하기 위해서 부직포가 삽입, 봉제된 제품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흡수성능 및 속건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직물을 주머니 형태로 봉제한 후 그 내부에 흡수성 수지를 넣은 제품도 제안된바 있으나, 이 경우 사용 중 흡수성 수지가 주머니내 한쪽으로 몰려서 착용감 및 흡수성이 나빠지고, 면 직물이 속건성이 나빠 젖은 상태를 오래 유지하기 때문에 피부와 접촉시 착용감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펄프로 제조된 두장의 티슈(Tissue) 사이에 고흡수성 수지를 내포시킨 흡수성 시이트를 부직포 대신에 직물과 망사지 사이에 삽입된 제품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 경우 흡수성 수지가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하면 티슈가 박리되어 흡수성 수지가 탈락 되거나 한쪽으로 몰려서 착용감이 나빠지고 흡수성 및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물에 적시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수성 및 속건성이 우수하고, 물에 적시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촉 냉감도 뛰어난 흡수성 시이트 및 이로 제조한 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부직포 사이에 흡수성 수지 분말을 분포시킨 다음, 상기 부직포들을 부분적으로 열융착 시켜줌으로써 부직포들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상기의 흡수성 수지 분말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흡수성 시이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흡수성 시이트는 사용 중 흡수성 수지가 한쪽으로 몰려 착용감이 저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흡수성 또는 접촉냉감이 뛰어나고, 속건성도 우수하여 착용시 상쾌한 느낌을 부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흡수성 시이트는 2개의 부직포(1a, 1b)들이 부분적으로 열융착되어 이들 사이에 내부 공간(1c)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의 내부 공간(1c)에 흡수성 수지 분말(1d)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흡수성 시이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부분 적으로 열융착되어 이들 사이에 내부공간(1c)을 형성하고 있는 부직포(1a, 1b)들과 상기 부직포들의 내부공간(1c)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흡수성 수지 분말(1d)들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수성 시이트의 단면 모식도이다.
부직포들 사이에 형성된 상기 내부공간(1c)은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랜덤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의 부직포(1a, 1b)들은 폴리에틸렌 원사, 폴리프로필렌 원사 및 코어(core)가 폴리프로필렌수지이고 시스(sheath)가 폴리에틸렌 수지인 코어-시스형(core-sheath type) 원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원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의 부직포(1a, 1b)들을 소수성인 폴리에틸렌 원사, 폴리프로필렌원사 또는 이들의 복합섬유로 구성하면 부직포에 묻어나오는 수분을 빨리 외부로 건조시키는 성질, 즉 속건성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상기 부직포(1a, 1b)들을 폴리올레핀계외의 합성섬유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열융착을 위해 핫 멜트(Hot-melt)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흡수성 수지는 가교화된 폴리아크릴산, 가교화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전분 그라프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수지이다.
상기 부직포는 이들을 구성하는 원사들이 3차원적으로 서로 교락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분포된 흡수성 수지 분말이 물을 흡수하여 팽윤되는 경우 에도 흡수성 수지가 부직포의 한쪽 방향으로 편중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흡수성 시이트는 상기의 부직포(1a, 1b)들 사이에 상기의 흡수성 수지 분말(1d)를 뿌려 골고루 분포시킨 다음, 이를 가열된 압착롤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부직포(1a, 1b)들을 부분적으로 열융착 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의 흡수성 시이트는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각종 밴드, 예를 들면 모자의 땀받이용 밴드, 머리띠용 밴드, 손목 아대용 밴드 등의 소재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땀흡수용 밴드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수성 시이트(1)를 포함하는 땀 흡수용 밴드의 단면도 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땀흡수용 밴드는 본 고안에 따른 흡수성 시이트(1)를 직편물과 망사 사이에 삽인한 후 이들을 일체로 봉제하는 방식으로 제조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흡수성 시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 접촉용 밴드는 흡수성 수지가 3차원적으로 교락 및 열융착된 부직포들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1c)내에 고르게 분포되어 사용 중 흡수성 수지가 물을 흡수하여 팽윤하여도 부직포의 한쪽으로 몰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그로인해 착용감이 우수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흡수성 시이트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원사가 소수성이기 때문에 속건성이 뛰어나고, 흡수성 수지가 고르게 분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때 문에 흡수성 및 흡수된 물의 저장성이 뛰어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흡수성 시이트를 물에 적신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수성 수지가 물을 흡수하여 겔 상태가 되어 흡수한 물을 안정적으로 저장하면서 인체와 접촉하는 부위를 시원하게 해주는 접촉냉감 기능이 매우 우수하다.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흡수성 시이트를 포함하는 밴드, 구체적으로 모자의 땀받이 밴드, 머리 밴드, 손목용 밴드 등과 같이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밴드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흡수성 시이트를 물에 적시지 않은 상태로도 피부접촉 밴드용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수성 및 속건성이 뛰어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흡수성 시이트를 물에 적신 상태로 피부접촉 밴드용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분증발시 일어나는 기화현상으로 밴드와 접촉하는 인체 부위를 시원하게 해주는 접촉냉감 성능이 우수하다.

Claims (5)

  1. 2개의 부직포(1a, 1b)들이 부분적으로 열융착되어 이들 사이에 내부 공간(1c)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의 내부 공간(1c)에 흡수성 수지 분말(1d)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시이트
  2. 1항에 있어서, 부직포(1a, 1b)들이 폴리에틸렌 원사, 폴리프로필렌 원사 및 코어(core)가 폴리프로필렌수지이고 시스(sheath)가 폴리에틸렌 수지인 코어-시스형(core-sheath type) 원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원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시이트.
  3. 1항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는 가교화된 폴리아크릴산, 가교화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전분 그라프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시이트.
  4. 1항에 있어서, 2개의 부직포(1a, 1b)들 사이에 내부공간(1c)이 랜덤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시이트.
  5. 청구항 1의 흡수 시이트를 포함하는 밴드.
KR2020060008187U 2006-03-28 2006-03-28 흡수성 시이트 및 이로 제조된 밴드 KR200418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187U KR200418438Y1 (ko) 2006-03-28 2006-03-28 흡수성 시이트 및 이로 제조된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187U KR200418438Y1 (ko) 2006-03-28 2006-03-28 흡수성 시이트 및 이로 제조된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438Y1 true KR200418438Y1 (ko) 2006-06-12

Family

ID=4176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187U KR200418438Y1 (ko) 2006-03-28 2006-03-28 흡수성 시이트 및 이로 제조된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4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311A (ko) * 2018-04-20 2019-10-30 조대현 열전도성 및 접촉 냉감성이 우수한 의료용 압박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311A (ko) * 2018-04-20 2019-10-30 조대현 열전도성 및 접촉 냉감성이 우수한 의료용 압박밴드
KR102100140B1 (ko) 2018-04-20 2020-04-13 조대현 열전도성 및 접촉 냉감성이 우수한 의료용 압박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1602T3 (es) Fieltro de polímero superabsorbente y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ón
ES2371249T3 (es) Aplicación de loción de forma discontinua sobre lámina superior de un artículo absorbente.
JP3010156U (ja) 冷却用帽体
ES2156919T5 (es) Hoja absorbente y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de la misma.
JP4394160B1 (ja) 吸水パッド
US20080147152A1 (en) Self-activated warming device
CN102834080A (zh) 吸收性物品
US20120190259A1 (en) Evaporative cooling material
CN111836603B (zh) 温热器具
US20130247281A1 (en) Self-Adhering Disposable Headwear Liner
JP5539601B1 (ja) 尿取りパッド及び尿取りパッド収納品
US20160213526A1 (en) Absorbent article
KR200418438Y1 (ko) 흡수성 시이트 및 이로 제조된 밴드
JP2001507955A (ja) 温度依存性吸収能力を有する吸収材料及び吸収物品におけるそれの使用
WO2000004936A2 (en) Textile including super absorbent fibers
KR101197138B1 (ko) 냉감성 스카프
JP6654313B2 (ja) 頭部冷却用具
JP3174120U (ja) ガーゼ生地で作成された保冷用バンド
KR100504674B1 (ko)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 흡수속건성 원단
JP6860767B2 (ja) 頭部冷却用具
KR101204278B1 (ko) 냉감성 모자
CN214774449U (zh) 一种导湿快干运动面料
JP5935973B2 (ja) 吸水性樹脂の含水ゲルの漏れのない吸水性樹脂入りバンドおよびその製造法
JP6975490B1 (ja) 涼感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9325619U (zh) 拉伸性能好的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