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181Y1 - 프로젝터 리프트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181Y1
KR200418181Y1 KR2020060007483U KR20060007483U KR200418181Y1 KR 200418181 Y1 KR200418181 Y1 KR 200418181Y1 KR 2020060007483 U KR2020060007483 U KR 2020060007483U KR 20060007483 U KR20060007483 U KR 20060007483U KR 200418181 Y1 KR200418181 Y1 KR 200418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project
vertical bar
projector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멀티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멀티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멀티미디어
Priority to KR2020060007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1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1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7Ceiling suppo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고안은 건물의 천장에 프로젝터를 수납 및 노출시키기위한 프로젝트 전동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로젝트 전동리프트는 천장 내부의 비어 있는 최소한의 공간에 설치하며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는 본체 케이스와 내부의 상하로 움직이는 내부케이스로 나뉘어 지고 본 프로젝트 리프트는 최소한의 부품을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상하로 움직이는 케이스의 이동은 Z 모양의 좌우 2개의 Z자 가이드가 옆으로 흔들리거나 유동되는 움직임을 최소화 하는 역할을 하며, 상하의 운동은 평평하고 코일형의 케이블을 복합 도르래 방식으로 장치하여 상부의 원추형 모터에 적층식으로 감거나 풀어서 상하로 이동토록한 구성의 프로젝터 리프트.
프로젝터 리프트, 회전가이드, 도르래, 원주형 모터 회전바, 고정 수직바

Description

프로젝터 리프트 {Projector Lift}
도 1은 본고안의 전동리프트 장치상태의 에시도
도 2는 본고안의 X자형 가이드를 하강한 상태의 작동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 : 원주형 모터 브라켓 102 : 원주형 모터 파이프
103 : 플랫 밸트(0.5mm두께 10mm폭의 스텐레스강)
104 : 상부 고정도르래 105 : 플랫 밸트 텐션 조절볼트
106 : 상부고정 수직바 107 : 1번 회전 가이드
108 : 2번 회전가이드 109 : 하부 유동 도르래
110 : 하부 이동 수직바 111 : 프로젝트 고정 브라켓
112 : 프로젝트 본체 113 : 상하 이동 내부케이스(승하강판)
114 : 전동리프트 본체 120 : 리프트의 회전반경 곡선 예시선
본고안은 프로젝트 전동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프로젝트를 실내 천장에 수납 및 노출을 하기 위한 전동프로젝트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동리프트는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2005-0009928호가 있는데 이것은 건축물 천장에 프로젝트를 내장한 승하강판과 승하강 케이스를 전동리프트 본체내에 수납 및 노출 시키기 위한 X자 가이드로 연결하되 상하 안내홈에 따라 흔들리지 않게 절첩 안내토록 하는 수단과 본체 상부에 원주형 모터에 플렛밸트를 연결, 조절볼트로 조절케 하여 상기 프로젝트 리프트인 승하강 케이스와 승하강판을 승하강케 조정하는 수단 및 천장면에 설치된 고정케이스인 전동 리프트 본체의 상하로 작동하는 승하강판에 구성한 상하 대향으로된 원뿔형 프리즘을 장치하여 적외선 리모트 콘트롤의 공학 전달 수단과 전류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승하강 동작 구성회로 제어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구성으로서 많은부품의 사용으로 조립시간과 경비가 과다하게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와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고안은 상기에 제시한 부품수를 줄이고 크기를 최소화한 전동리프트를 고안하고자 전동 프로젝트 리프트의 문제점을 개선 하기위하여 개량 한 것으로서 전동 프로젝트 리프트의 상하 운동, 견인하는 견인방식을 양측면의 Z형 두 개의 가이드 바를 설치하여 최소한 의 부품으로 흔들림이 없이 상하로 작동 하도록 하여 경제적인 비용절감을 이룰수 있도록 하고 양측옆의 Z자형 가이드도 알미늄으로 압출 제작하여 경량화 하고 배선 멈춤(Wire Saddles)으로 프로젝트의 연결 배선을 깔끔하게 구성 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장에 메립되는 전동리프트 본체(114)상부내에 원주형 모터브라켓(101)에 모터파이프(102)를 구성하고, 상부 고정 도르래(104)와 하부 유동 도르래(109)를 플랫밸트(103)으로 연결 승하강케 하되 1단은 조절볼트(105)로 고정하며, 고정브라켓(111)에 하부 이동수직바(110)로 연결고정한 프로젝트본체(112)를 상부고정 수직바(106)에 유착한 1,2번 회전가이드(107)(108)에 유착 지지하고 내부 케스인 승하강판(113)은 프로젝트 본체(114)의 수직바(110)에 구성하여 플랫밸트(103)의 풀림과 권취에 의해 1,2번 회전가이드(107)(108)의 곡선예시선(120)에 따라 프로젝트본체(112)가 승하강케 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프로젝트 리프트의 전체구조를 설명한 정면도이고 도 2는 프로젝트 리프트가 하강한 모습을 Z형 가이드쪽에서 본 예시도 이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고안에 따른 전개 도면이며, 도면에 표시된바와 같이 본고안에 따른 프로젝트 리프트는 천장에 매립되는 본체 케이스(114)이다 케이스 내부에 고정된 원주형 모터(102)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테인리스 플렛밸트(103)가 원주형 모터(102)에서 풀려 나오면 상부 고정 도르래(104)를 통하여 느슨하게 되는데, 이때 내부케이스(113)의 무게에 의하여 느슨하게 풀어진 길이만큼 하부 마감판(113)은 하강 하게된다 풀어진 플렛밸트(103)은 미약한 흔들림이 있으며 이 흔들림을 잡아주기 위하여 1번 회전 가이드(108)로 흔들림을 진정 시킨다,
1번 회전가이드(107) 한쪽은 상부고정 수직바(106)에 베어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한쪽은 이동하부 수직바(110)에 연결되어 회전방향으로 이동 하면서 동작한다 스테인레스 플렛밸트(103)는 감기거나 풀림동작을 부드럽게하고 좌우 균 형을 미세 조정 하기 위하여 텐션조절볼트(105)와 연결되어 균형을 조절하여 평행을 이루며 하부 마감판인 상하 이동 내부 케이스(113:승하강판)이 부드럽게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자동한다
도 1은 하부마감판인 상부이동 내부케이스(113)가 상승하여 매입하여 있는 예시도 인데 매입할때는 원주형 모터(102)가 도면에 표시된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상기한바와 같이 프로젝트 리프트는 최소한의 부품을 사용하여 구조의 구성을 간편화와 소형화를 이루어서 이에 따른 중량역시 경량화되어 일반 가정에서도 사용할수 있으므로 전동 프로젝트 리프트를 널리 보급할 수 있는 효적인 것이다

Claims (1)

  1. 천장에 매립되는 전동 리프트본체(114)상부내에 원주형 모터부라켓(101)에 모터파이프(102)를 구성하고 상부 고정 도르래(104)와 하부 조절볼트(105)로 고정하며, 고정브라켓(111)에 하부 이동 수직바(110)로 연결 고정한 프로젝트 본체(112)를 상부 고정 수직바(106)에 유착한 1, 2번 회전가이드(107)(108)에 유착 지지하고, 내부 케이스인 승하강판(113)은 프로젝트본체(114)의 수직바(110)에 구성하며 플렛밸트(103)의 풀림과 권취에 의해 1, 2번 회전가이드(107)(108)의 곡선 예시선(120)과 같이 프로젝트 본체(112)가 승하강케 됨을 특징으로한 프로젝트 리프트
KR2020060007483U 2006-03-16 2006-03-16 프로젝터 리프트 KR200418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483U KR200418181Y1 (ko) 2006-03-16 2006-03-16 프로젝터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483U KR200418181Y1 (ko) 2006-03-16 2006-03-16 프로젝터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181Y1 true KR200418181Y1 (ko) 2006-06-07

Family

ID=4176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483U KR200418181Y1 (ko) 2006-03-16 2006-03-16 프로젝터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1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319B1 (ko) 2007-09-12 2008-11-11 김희남 천장매입형 프로젝트 리프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319B1 (ko) 2007-09-12 2008-11-11 김희남 천장매입형 프로젝트 리프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090B2 (en) Garage door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s
US6382361B2 (en) Elevator
US20020046423A1 (en) Lift bed with belt drive
US7234502B2 (en) Overhead door apparatus with enclosed counterbalance mechanism
KR102069661B1 (ko)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KR200418181Y1 (ko) 프로젝터 리프트
KR101195976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권취장치
KR102074097B1 (ko) 무대장치용 일체형 안전배튼
KR20070043645A (ko) 승강기 도어 시스템
US6779634B1 (en) Dumb waiter elevating and lowering platform device
US20090110528A1 (en) Lift mechanism
KR102151698B1 (ko) 와이어로프 장력조절 및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시설용 안전 장치
KR102258999B1 (ko)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KR20090001392U (ko) 프로젝터용 리프트
US20030217820A1 (en) Power operated multi-paneled garage door opening system
JPH09175787A (ja) 昇降装置
KR20230080377A (ko) 스마트 창문
KR200404345Y1 (ko) 프로젝트 리프트(projector Lift)장치
JPH1081463A (ja) サイドフォーク型エレベーター
RU2646553C2 (ru) Подъемный механизм и подъемная дверь, снабженная этим механизмом
JP5184143B2 (ja) 昇降装置
KR101843325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개폐장치
JP7474647B2 (ja) 防護扉の開閉装置
US20030213652A1 (en) Residential elevator
US3272286A (en) Portable eleva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