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132Y1 -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 Google Patents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132Y1
KR200417132Y1 KR2020060007008U KR20060007008U KR200417132Y1 KR 200417132 Y1 KR200417132 Y1 KR 200417132Y1 KR 2020060007008 U KR2020060007008 U KR 2020060007008U KR 20060007008 U KR20060007008 U KR 20060007008U KR 200417132 Y1 KR200417132 Y1 KR 200417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ag
chamber
air
gas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호준
Original Assignee
윤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호준 filed Critical 윤호준
Priority to KR2020060007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1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기실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각 기실 간에는 열봉선으로 분리되어 있고, 이 기체포장 자루의 한 측에는 하나의 기체 진입구가 있으며, 또한 하나의 기체 진입구에는 하나의 기체 진입부가 설치되어, 이 기체 진입부와 각 기실은 서로 연통되어 기체가 이 기체 진입부로부터 각 기실에 진입하여 공기가 채워진다. 그 중 이 기체포장 자루의 위, 아래에는 적어도 한 측에 하나의 강화부가 형성되어, 이 강화부의 기체기둥이 포장 자루내의 위 혹은 아래 측의 충격진동을 흡수하는 능력을 강화시킨다.
기체포장 자루, 강화부, 기실, 공기 진입구, 공기 진입부

Description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Air-Bag with reinforcement}
도 1은 종래의 기체포장 자루에 공기가 채워지지 않았을 때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기체포장 자루의 단일 기실을 그린 입체도
도 3은 종래의 기체포장 자루에 공기가 충만하여 팽창성형된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체포장 자루에 공기가 채워지지 않았을 때의 정면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체포장 자루의 단일 기실의 입체도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체포장 자루에 공기가 충만되었을 때 단일 기실의 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체포장 자루에 공기가 충만되었을 때 단일 기실의 위, 아래 밸브막이 윗막에 눌러 붙어 공기 진입구를 막은 단면 개략도
도 9는 도 8에 대응하여 공기 충만이 끝났을 때 기실의 가로방향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기체포장 자루에 공기가 채워지지 않았을 때의 뒷면 개략도
도 11은 본 고안의 기체포장 자루에 공기가 채워진 후 팽창성형된 입체도
도 12는 본 고안의 기체포장 자루의 다른 한 실시예로 공기가 채워지기 전의 정면 개략도
도 13은 본 고안의 기체포장 자루의 다른 한 실시예로 공기가 채워져 팽창 성형된 입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기체포장 자루 10:기실
14:공기 진입부 2:공기 진입구
21:윗막 22:아래 막
25:윗 밸브막 26:아래 밸브막
31:열봉선 37,38,40:열봉선
33:내열인쇄 35:공기 흡입구
32,39:사선 방향 열봉선 41??44:접는 선
50:입구 75:열봉선
76:윗 강화부 77:아래 강화부
71??75:열인쇄점 81??85:열인쇄점
본 고안은 기체포장 자루(Air-Bag)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체포장 자루의 위,아래 양측에 위,아래 강화부를 형성하며, 이 강화부의 기체기둥(Air Column)이 포장자루 내의 위,아래 양측의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능력을 강화시켜 주는 것을 일컫는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기체포장 자루(100)는 다수의 기실(10)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각 기실(10)간에는 열봉선(31)으로 분리되어 있고, 각 기실(10)의 목부분 위치에는 하나의 공기 진입부(14)가 있으며, 이 공기 진입부(14)는 서로 통하여, 기체가 기체포장 자루(100)의 공기 진입구(2)에 진입한 후, 즉시 서로 통하는 공기 진입부(14)가 각 기실(10)에 대하여 공기를 채우는 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이 기체포장 자루(100)에는 열봉선(37,38,40)이 있어, 기실(10)에 하나의 공기자루 봉쇄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사선방향 열봉선(32,39)과 내열인쇄(33)등은 기체가 기실(10)에 진입하는 유로를 구성한다. 또한 접는 선(41,42,43,44)등은 기체포장 자루(100)에 공기가 채워진 후 접혀서 하나의 입체 자루체가 되는데 제공된다. 열봉선(40)을 기점으로 하여 위로 접는 선(42)을 경과한 후 뒷면(뒷면에도 접는선 44,43이 설치됨)을 돌아 다시 아래로부터 접는 선(41)을 지나 열봉선(37)으로 돌아오면 하나의 봉쇄된 기체자루가 형성된다. 만약 단일한 기실(10)을 그리면 도 2와 같이 기실(10)중에 열봉선(37,38,40)과 내열인쇄(33)등의 부분이 앞면(61)을 이루고, 뒷면은 곧 뒷부분(62)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공기를 채우는 장치가 공기 진입구(2)로부터 이 기체포장 자루(100)에 대해 공기를 채우고, 기체가 공기 진입부(14)를 따라 각 기실(10)에 진입하면, 기실(10)이 즉시 팽창하고, 팽창성형된 기체포장 자루(100)는 즉 그 둘러싼 공간 내에서 하나의 물품을 수납할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기체 진입부(14)를 통해 기체포장 자루(100)의 입구(50)를 열고, 수용하려는 물품을 이 입구(50)로부 터 기체포장 자루(100)내부에 집어넣으면 이 기체포장 자루(100)는 기실(10)의 보호를 받게 되어 운송도중에 충격을 받아 손상되지 않는다.
다만, 이 기체포장 자루(100)의 윗부분과 아래부분은 쉽게 중압 혹은 충격을 받아 수용하려는 물품이 손상을 받게된다. 비록 이 기체포장 자루(100)의 위,아래 부분이 이미 기체기둥이 있어 충격을 방지하는 보호를 하지만 그러나 단일층의 기체기둥은 비교적 큰 충격에 대해 견디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비교적 정밀한 수용물은 더욱 완벽한 보호가 필요하며 현재의 기체포장 자루(100)는 이 완벽한 보호의 책임을 다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는 다수의 기실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각 기실 간에는 열봉선으로 분리되어 있고, 이 기체포장 자루의 한 측에는 하나의 기체 진입구가 있으며, 또한 하나의 기체 진입구에는 하나의 기체 진입부가 설치되어, 이 기체 진입부와 각 기실은 서로 연통되어 기체가 이 기체 진입부로부터 각 기실에 진입하여 공기가 채워진다.
그 중 이 기체포장 자루의 위,아래에는 적어도 한 측에 하나의 강화부가 형성되어, 이 강화부의 기체기둥이 포장자루 안의 위 혹은 아래 측의 충격진동을 흡수하는 능력을 강화시킨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를 제공하는데, 그 중 각 기실의 위 혹은 아래에 다수의 열인쇄점을 설치하고, 그 중 하나의 예정된 숫자의 열인쇄점은 기실의 앞부분에 압인하고, 하나의 예정된 숫자의 열인쇄점은 기실의 뒷 부분에 압인하며, 기타의 열인쇄점은 동시에 기실의 앞,뒷부분에 함께 압인하여 이 기체포장 자루의 위 혹은 아래에 공기가 채워진 후 기체기둥 모양의 강화부가 형성되게 한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하나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되, 이 실시예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기체포장 자루(1)는 다수의 기실(10)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각 기실(10)간에는 열봉선(31)으로 분리되어 있고, 기실(10)의 목부분에는 하나의 공기 진입부(14)가 있으며, 이 공기 진입부(14)는 서로 통하며, 기체가 기체포장 자루(1)의 공기 진입구(2)에 진입한 후, 즉시 서로 통하는 기체 진입부(14)가 각 기실(10)에 대하여 공기를 채우는 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단일 기실(10)을 취하여 그 입체도를 그리면 도 5와 같고, 도 6은 도 5의 A-A선을 자른 단면도인데, 이 기실(10)은 4층의 얇은 막으로 구성되며, 각각 윗막(21), 위 밸브막(25), 아래 밸브막(26), 아래막(22)등이며, 이 4층의 막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얇은 막이다.
기실(10)의 양측에는 각각 하나의 열봉선(31)이 설치되어 이 4층의 얇은 막이 함께 열봉된다. 열봉선(31)의 윗단, 기실(10) 입구(50)의 한 측에는 두 가닥의 열봉선(37,38)이 형성되고, 입구(50)의 다른 한 측에는 다른 한 가닥의 열봉선(40)이 형성된다. 열봉선(37,40)은 윗막(21)과 아래막(22)을 함께 열봉하고, 양측의 열봉선(31)과 함께 기실(10)을 하나의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열봉선(38)은 기실(10)의 입구에 위치하며, 윗막(21)과 아래막(22)을 함께 열봉하고, 열봉선(37)과 공동으로 하나의 공기 진입부(14)를 경계짓는다.
그 중 각 기실(10)의 공기 진입부(14)는 서로 연통되어 기체가 공기 진입구(2)를 통해 진입한다.
다시, 내측을 향해 두 가닥의 평행하지 않는 열봉선(32)을 설치하고 윗막(21), 위 밸브막(25), 아래 밸브막(26)을 함께 열봉하여 위,아래 밸브막(25,26)과 두 가닥의 평행하지 않는 열봉선(32)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하나의 공기 흡입구(35)로 경계짓는다. 위,아래 밸브막(25,26)이 열봉선으로 눌러 제작되는 과정에서 함께 열봉되지 않게 하기 위해 위,아래 밸브막(25,26)사이에 하나의 내열인쇄(33)를 설치하여, 공기 흡입구(35)가 함께 열봉되지 않게 하여 공기를 채우는 작업을 편리하게 진행하게 한다.
한편, 기실(10)의 밀봉을 강화하기 위해 전술한 두 가닥의 평행하지 않는 열봉선(32)과 기실 열봉선(37)의 서로 교차하는 점에 바깥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두 가닥의 열봉선(39)을 설치하는데, 위,아래 막(21,22)은 함께 열봉하여 기실(10)에 공기가 채워진 후 기체의 빠져나감을 방지한다.
다시 도4에서 6을 참고하면, 이 기실(10)에는 접는 선(41,42,43,44)이 설치되어, 이 기체포장 자루가 접혀져 하나의 입체형태를 이루게된다.
도 7을 참고하면, 공기가 기체포장 자루(1)의 공기 진입구(2)로 들어가 채워질 때 공기가 각 기실(10)의 공기 흡입구(35)를 따라 진입한다. 공기가 각 기실(10)에 진입한 후 기실(10)은 즉시 팽창하고, 팽창성형된 기체포장 자루(1)는 즉시 그로 둘러싼 공간이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수용물을 수용하게 된다.
이 수용물은 각 기실(10) 주변의 가득 찬 공기의 보호를 받게 되어 진동 혹은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받지 않게 되고 완충보호의 목적에 도달하게 된다.
도 8과 9를 참고하면, 기실(10)에 공기가 채워진 후, 공기가 들어오는 동작이 끝난 후 기실(10) 내부의 고압기체가 위 밸브막(25)과 아래 밸브막(26)을 윗 막(21)의 한측으로 위로 밀어 올리고, 동시에 위,아래 밸브막(25,26)을 윗막(21)에 긴밀히 붙어 있게 한다.
위,아래 밸브막(25,26)과 윗막(21)등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얇은 막이기 때문에 기실(10)내의 기체압력이 위,아래 밸브막(25,26)을 윗막(21)에 긴밀히 붙게하고, 밀폐된 기실(10)의 공기 흡입구(35)에 공기밀봉을 형성한다.
기체포장 자루(1)에 공기채움이 완성되어 각 기실(10)에 이미 공기가 충만하여 팽창성형되면, 수용물은 기실(10)의 보호를 받아 운송기간 중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지 않는다. 각 기실(10)의 공기 진입부(14)는 아직 공기가 채워져 팽창되지 않아 여전히 얇은 막 상태를 보이는데, 따라서 입구(50)에 맞추어 수용물을 이 입구(50)로부터 기체포장 자루(1)의 내부 수용공간에 넣고 공기 진입부(14)가 마개가 되어 이 입구(50)를 폐쇄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고안 특징은 기체포장 자루(1)의 각 기실(10)의 윗부분에 하나의 위 강화부(76)를 설치하는데 이는 다수의 열인쇄점(71,72,73,74,75)으로 구성된다. 그 중 열인쇄점(71,73)은 기실(10)의 앞부분에 압인되고, 열인쇄점(74,75)은 기실(10)의 뒷부분에 압인되며, 열인쇄점(72)은 동시에 기실(10)의 앞,뒤부분에 함 께 열봉 압인된다. 또한 열인쇄점(71,72)과 열인쇄점(72,75)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작고, 열인쇄점(72,73)과 열인쇄점(72,74)의 거리는 비교적 크다.
기체포장 자루의 각 기실(10)의 아래부분에도 역시 하나의 아래 강화부(77)가 설치되는데, 이는 다수의 열인쇄점(81,82,83,84,85)으로 구성된다. 그 중 열인쇄점(81,83)은 기실(10)의 앞부분에 압인되고, 열인쇄점(84,85)은 기실(10)의 뒷부분에 압인되며, 열인쇄점(82)은 동시에 기실(10)의 앞,뒤부분에 함께 열봉 압인된다. 또한 열인쇄점(81,82)과 열인쇄점(82,85)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작고, 열인쇄점(82,83)과 열인쇄점(82,84)의 거리는 비교적 크다.
작업인원이 공기를 불어넣는 입으로 기체포장 자루(1)의 공기 진입구(2)를 통해 공기를 채운 후 기체는 공기 진입부(14)를 따라 각 기실(10)에 들어가 기실(10)이 팽창되며, 팽창성형된 포장자루는 그가 둘러싼 공간 내에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수용물을 수용하게 된다. 이 수용물은 각 기실(10) 주변의 충만된 공기의 보호를 받게되어 진동 혹은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받지 않는다.
도 11을 참고하면, 열인쇄점(72,82)은 기실(10)의 앞,뒤부분에 함께 열봉 압인되며, 따라서 기체포장 자루(1)의 앞,뒤부분은 이 열인쇄점(72,82)에 접착되어 묶여지고 기타의 열인쇄점(71,73??75,81,83??85)은 기실(10)의 앞부분 혹은 뒷부분을 이 열인쇄점에 묶여지게 한다.
동시에 기실(10)은 이 묶여진 점을 따라 접어지고, 마지막으로 기체포장 자루(1)의 윗부분에 하나의 돌출된 위 강화부(76)가 형성되고, 기체포장 자루(1)의 아래부분에도 역시 하나의 돌출된 아래 강화부(76)가 형성된다. 이 위,아래 강화부 (76,77)는 기체포장 자루(1)의 주요 몸체의 위,아래 양측에 대해 보호강화 조치를 제공하게 되어 기체포장 자루(1)가 중압 혹은 충격을 받을 때 내부의 수용물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여 종래의 결점을 개선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서 만약 열인쇄점(71??75,81??85) 사이의 거리를 바꾸려고 하면, 예를 들어 이 사이의 거리를 축소하여, 즉 기체포장 자루(1)에 공기를 채워 팽창시킨 후 형성되는 위,아래 강화부(76,77)의 모양을 바꾸려고 하면, 도 13에서와 같이 그 형성된 위,아래 강화부(76,77)의 열인쇄점 사이의 거리가 축소된 후 원추모양을 가지게 되어 전술한 실시예의 평탄한 모양의 위,아래 강화부(76,77)와 다르게 된다.
따라서, 열인쇄점 간의 거리 크기를 바꾸면 즉시 수용물품에 따라 필요한 다른 모양의 위,아래 강화부(76,77)를 만들어 낼 수 있어 수용물품의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당연히, 이 기체포장 자루(1)에 채워지는 기체는 일반적 공기 외에 기타 불활성 기체 역시 가능하다. 이 열인쇄점(71??75,81??85)의 모양은 원형 외에 기타 예를 들어 별 모양, 혹은 기타 유사한 모양 역시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것은 비교적 구체적인 실시예의 일종이며, 무릇 국부적인 변경 혹은 수식도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준하는 것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다수의 강화 접는 선의 설치를 통해 자루의 위,아래 양측에 위,아래 강화부의 기체기둥을 설치하여 수용물에 대해 보호, 완충 기능을 강화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수의 열인쇄점의 설치를 통해 자루의 위,아래부분 양측에 형성된 위,아래 강화부의 기체기둥은 자루의 위,아래 양측의 보호를 강화한다. 특히 나아가 이 자루의 위,아래 양측에 설치된 강화 기체기둥 설계로 확실히 종래의 기체포장 자루가 운송시 도중에 중압이나 충격으로 인해 손상을 받는 결점을 개선함을 알 수 있으며, 같은 종류의 물품 중 상당히 우수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기체 포장자루에 있어서,
    다수의 기실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각 기실 간에는 열봉선으로 분리되어 있고, 이 기체포장 자루의 한 측에는 하나의 기체 진입구가 있으며, 상기 기체 진입구에는 하나의 기체 진입부가 설치되어, 이 기체 진입부와 각 기실은 서로 연통되어 기체가 이 기체 진입부로부터 각 기실에 진입하여 기체가 채워지며, 상기 기체포장 자루의 위,아래에는 적어도 한 측에 하나의 강화부가 형성되어, 이 강화부의 기체기둥이 포장자루 내의 위 혹은 아래 측의 충격진동을 흡수하되,
    상기 각 기실의 위 혹은 아래 부분에 다수의 열인쇄점을 설치하고, 그 중 임의의 열인쇄점은 기실의 앞부분에 압인하고, 임의의 열인쇄점은 기실의 뒷부분에 압인하고, 임의의 열인쇄점은 동시에 기실의 앞,뒷부분에 함께 압인하여 이 기체포장 자루의 위 혹은 아래 측에 공기가 채워져 기체기둥 막대모양의 강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인쇄점을 임의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열인쇄점과 열인쇄점 사이가 임의의 거리를 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아래 강화부의 기체기둥 막대모양은 평탄형 또는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인쇄점의 모양은 원형 또는 별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진입부는 마개가 되어 기체포장 자루의 입구를 봉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포장 자루에 채워지는 기체는 공기 또는 불활성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KR2020060007008U 2006-03-15 2006-03-15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KR200417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008U KR200417132Y1 (ko) 2006-03-15 2006-03-15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008U KR200417132Y1 (ko) 2006-03-15 2006-03-15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132Y1 true KR200417132Y1 (ko) 2006-05-23

Family

ID=4176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008U KR200417132Y1 (ko) 2006-03-15 2006-03-15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1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25B1 (ko) 2006-12-21 2007-10-25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체크밸브
CN111846616A (zh) * 2020-07-21 2020-10-30 湖南华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伞空投专用缓冲气柱装置及包含其的无伞空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25B1 (ko) 2006-12-21 2007-10-25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체크밸브
CN111846616A (zh) * 2020-07-21 2020-10-30 湖南华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伞空投专用缓冲气柱装置及包含其的无伞空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9824B (zh) 多级缓冲充气包装装置
US10850907B2 (en) Air-filling packaging apparatus
CN109890725B (zh) 隔热性以及保管性得到提升的包装膜的制造方法
CN101432205B (zh) 空气包装装置
ES2432678T3 (es) Embalaje de envío inflable y procedimiento para hacer el mismo
JPH06501669A (ja) 包装用インサート
KR100894942B1 (ko) 측면 완충 기능을 갖는 공기 밀봉체
KR200390052Y1 (ko)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KR200417132Y1 (ko)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CN101367457B (zh) 逆向吊床式空气防震套
CN104859952B (zh) 一种新型充气包装气垫
KR200417131Y1 (ko)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TWI336308B (en) The inflatable bag reinforce to protect bottleneck
CN110963167A (zh) 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EP2078684B1 (en) Hammock-type vibration-absorbing air sheath
US20190077567A1 (en) Airbag sealing structure and method
CN109689364B (zh) 隔热性以及保管性得到提升的包装膜的制造方法
CN205998396U (zh) 方形流体包装装置
CN112978089B (zh) 细胞式缓冲包装材料
CN205738773U (zh) 内嵌式充气包装装置
CN211919514U (zh) 空气包装装置
KR101483764B1 (ko)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
KR200392796Y1 (ko) 기체 포장자루 및 그 밸브
CN205381556U (zh) 一种充气式减震盒
JP3112035U6 (ja) 強化部を具えた気体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