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716Y1 - 척추 교정용 좌의자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용 좌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716Y1
KR200416716Y1 KR2020050036356U KR20050036356U KR200416716Y1 KR 200416716 Y1 KR200416716 Y1 KR 200416716Y1 KR 2020050036356 U KR2020050036356 U KR 2020050036356U KR 20050036356 U KR20050036356 U KR 20050036356U KR 200416716 Y1 KR200416716 Y1 KR 200416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haped frame
frame
shape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석출
Original Assignee
차석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석출 filed Critical 차석출
Priority to KR2020050036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7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7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 교정용 좌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판플레이트(11)에 큐숀(10)이 형성되어 있고, U형플레임(50)으로 의자등받이(100)(100)'와 연결됨과 동시에 U형플레임(50)의 하단은 니은자 형상으로 프레임고정구(40)내에서 힌지볼트(42)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의자등받이(100)(100)'는 보호카바(20)(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의자등받이(100)(100')와 U형플레임(50)의 결합은 체결구받침대(55)와 탄성고무에 의하여 통상의 방법인 체결볼트로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고정구(40)는 사각형상으로 U형플레임(50)의 끝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힌지볼트(42)의 하단부에는 U형플레임(50)의 끝단이 회동시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통공(43)으로 형성하고, U형플레임(50)의 니은자형상의 절곡부가 받혀질 수 있도록 U형프레임받침대(41)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좌의자이다.
의자, 등받이, 체결고정구, 척추교정, 척추받침부, 등받이부

Description

척추 교정용 좌의자{Backplate for chair}
도 1은 본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원의 좌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원의 좌판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원의 사용상태의 배면도
도 6은 본원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a, 7b는 본 출원인의 종래 의자 등받이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8a, 8b는 본 출원인의 종래 의자 등받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좌판 구조의 개략도
도 10a은 종래 기술의 사용 상태를 나타나낸 사시도
도 10b은 종래 기술의 접은 상태를 나타나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큐숀 11 : 좌판플레이트
20 : 보호카바 30 : 좌의자손잡이
31 : 전면손잡이 40 : 프레임고정구
41 : U형프레임받침대 42 : 힌지볼트
43 : 통공(43) 50 : U형플레임
55 : 체결구받침대
본 고안은 척추 교정용 좌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가 의자에 앉아 등을 기댈 때 좌, 우 등판이 착석자의 체형에 맞추어 지도록 하여 편안함과 안락함은 물론 척추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체결수단을 견고하게 하는 좌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 등받이는 말안장의 접촉면식으로 이루어져 착석시 등받이의 면이 일률적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신체적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만족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사무용 및 가정용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쿠션과 등 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쿠션과 등받이를 분리한 후 등받이는 쿠션의 후방으로 일정각도 조절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에게 편익성을 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등 부위가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을 뿐 아니라 등이 중심위치만 닿게 되므로 등의 좌, 우측 부위를 안정적으로 받쳐주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허리와 등 부위가 쉽게 피로하여지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등받이를 도10a,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듀얼팩(Dual Pack)타입으로 구성하여 좌의자에 착석시 한 쌍의 등받이가 등의 양측을 편안하게 감싸주어 안정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듀얼팩 타입의 등받이(1)를 도 10a, 10b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좌판플레이트(1) 위에 두개의 등받이 외판(2)을 포함하고 있는 의자 등받이는 U자형 프레임(3)에 탄성고무(5)로 결합되고, 상기 U자형 프레임(3)은 프레임고정구(4)에 의하여 힌지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등받이 구조가 말안장 형상으로 되어 있어 척추를 받쳐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고, U자형 프레임(3)과 의자등받이(2)의 결합에 있어서 탄성고무(5)만으로 결합되어 있어 어린이들이 칼로 탄성고무를 찢어버리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U자형 프레임(3)과 프레임고정구(4)의 결합에 있어서도 그 형상이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었기 때문에 다른 부재와 부딪혀 파손의 우려가 있었고, 이에 어린이들의 부주의에 다치는 위험성이 있었으며, 그리고, 청소시에 여러개를 쌓아둘 수 없는 구조이어서 보관공간이 방바닥에만 놓아져 청소 등을 하게 되었으므로 불편하였으며, 손잡이의 구조도 좌판플레이트(1)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들어올려 운반시에 손가락이 잘 들어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한 쌍으로 구비되는 등받이가 착석자의 등 좌, 우측 부위를 감싸도록 하는 의자등받이를 개선하고, 척추를 중심으로 의자 등받이가 회동시 많은 회전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U자형 프레임과 의자등받이의 결합에 있어서 탄성고무만으로 결합되어 있어 어린이들이 칼로 탄성고무를 찢어버리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므로 이를 보호해주는 보호카바을 일체로하는 등받이 구조로 개선하며, U자형 프레임과 프레임고정구의 결합에 있어서도 그 형상이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었기 때문에 다른 부재와 부딪혀 파손의 우려를 없애기 위하여 돌출부위를 적개하는 플레임 고정구를 개선함에 있고, 청소시에 여러개를 쌓아둘 수 있도록 프레임구조를 개선함과 동시에 여러개 쌓아 넘어지지 않도록 저면부에 수용홈을 형성하였으며, 손잡이의 구조도 좌판플레이트에 다소 돌출시킴으로서 운반시에 손가락이 잘 들어가 쉽게 들어올릴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함에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원의 좌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원의 좌판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4는 본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원의 사용상태의 배면도이며, 도 6은 본원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도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로서, 듀얼팩(Dual Pack)타입의 의자등받이를 가지는 좌의자는 좌판플레이트(11)에 큐숀(10)이 형성되어 있고, U형 플레임(50)으로 의자등받이(100), 의자등받이(100')와 연결됨과 동시에 U형플레임(50)의 하단은 니은자 형상으로 프레임고정구(40)내에서 힌지볼트(42)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의자등받이(100), 의자등받이(100')의 구조는 본 출원이 개발한 보호카바(20), 보호카바(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의자등받이(100), 의자등받이(100')와 U형플레임(50)의 결합은 체결구받침대(55)와 탄성고무(미도시)에 의하여 통상의 방법인 체결볼트로 U형플레임(50)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의자등받이(100)에 일체로 된 에 보호카바(20)에 의하여 어린이들의 칼로 찢어버릴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하게 된다.
더구나, 등받이는 탄성고무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하 좌우 회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프레임고정구(40)은 사각형상으로 U형플레임(50)의 끝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힌지볼트(42)의 하단부에는 U형플레임(50)의 끝단이 회동시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통공(43)으로 형성하고, U형플레임(50)의 니은자형상의 절곡부가 받혀질 수 있도록 U형프레임받침대(41)로 형성되어 프레임고정구(40)의 절반 정도가 막혀져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U형프레임받침대(41)는 도 2, 3, 9에 나타나 있듯이 하부의 힌지부인 니은자 형상으로 된 U형프레임(50)을 고정시켜주는 프레임고정구(40)의 하부에 좌판플레이트(11)와 일체로 두툼하게 사출형성하여 평면을 이루고 있고, 도 3의 통공(43)은 좌판플레이트(11)에 형성되어 니은자 형상으로 된 U형프레임(50)의 끝단부가 회전되더라도 회전이 가능하게 빈 공간을 형성한 것으로서, 부호 41은 니은자 형상으로 된 U형프레임(50)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대 역할을 하는 것이고, 프레임 고정구(40)의 막혀있는 부분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로 프레임고정구(40)와 일체로 제작하여 좌판플레이트(11)에 부착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 부호44는 U형프레임 제한 돌기이다.
따라서, 프레임고정구(40)의 구조가 낮게 형성하도록 니은자 형상으로 U형플레임(50)을 형성하고, 이를 접었을 때에는 프레임이 수평으로 되면서, 여러 개 쌓아 올릴 경우에는 좌판플레이트(11)의 저면에 U형플레임수용홈(15)이 형성되어 있 으므로, 차곡 차곡 쌓아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좌판플레이트(11)의 저면에는 우레탄패킹(16)이 여러 개 형성하여 좌의자가 방바닥에서 미끌어지지 않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좌의자손잡이(30)의 형상은 상부로 반원형 형상으로 돌출시켜 운반이나 청소시에 쉽게 손가락이 넣어져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9에 나타나 있듯이 좌의자 앞부분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앞뒤 어느 부분에서도 활용이 가능하고, 특히 접었을 경우에 의자등받이(100), 의자등받이(100')와 전면손잡이(31)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하나만을 세울 경우에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등받이 구조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의자등받이(100),의자등받이(100')의 구조는 도 7a,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에는 척추받침부(12)가 등받이부(13)보다 상대적으로 튀어 나와 있고, 그 중앙부에는 큐손(10)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아 등을 받칠 수 있는 둥근 형상으로 홈이 파져있고, 큐손(10)과 수평인 방향으로 보아 등을 곧게 받쳐 줄 수 있는 일직선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좌우측 등의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의자등받이(100)(100')의 상하단에는 완만한 곡선형태의 꺽임부(12a)(12b)가 형성되어 있다.
기타 관련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도 8a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고안에 따라 초기 착석시의 의자 등받이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b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고안에 따라 착석 후의 의자 등받이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를 참고한다.
여기서 보는 바와 같이 척추를 기준으로 등받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척추고정에 유용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에 본 고안에서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등받이가 착석자의 등 좌, 우측 부위를 감싸도록 하는 의자등받이를 개선하고, 척추를 중심으로 의자 등받이가 회동시 많은 회전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U자형 프레임과 의자등받이의 결합에 있어서 탄성고무만으로 결합되어 있어 어린이들이 칼로 탄성고무를 찢어버리는 경우을 배제할 수 있으며, U자형 프레임과 프레임고정구의 결합에 있어서도 그 형상이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었기 때문에 다른 부재와 부딪혀 파손의 우려를 없애 었으며, 청소시에 여러개를 쌓아둘 수 있도록 프레임구조를 개선하여 여러개 쌓아 넘어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손잡이의 구조도 좌판플레이트에 다소 돌출시킴으로서 운반시에 손가락이 잘 들어가 쉽게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었고, 손잡이 구조를 앞면에도 형성하여 활용이 수월하고, 좌의자를 세울시에 안전한 구조를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척추 교정시에 앉은 자세에서는 좌우회동이 자유로운 것이 좋고, 상하 앞뒤의 움직임은 의자등받이가 척추에 직선으로 접촉되어 움직이도록 함과 동시에 척추를 곧게 뻗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의자 등받이의 구조를 개선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좌판플레이트(11)에 큐숀(10)이 형성되어 있고, U형플레임(50)으로 의자등받이(100)(100)'와 연결됨과 동시에 U형플레임(50)의 하단은 니은자 형상으로 프레임 고정구(40)내에서 힌지볼트(42)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의자등받이(100)(100)'는 보호카바(20)(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의자등받이(100)(100')와 U형플레임(50)의 결합은 체결구받침대(55)와 탄성고무에 의하여 통상의 방법인 체결볼트로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고정구(40)는 사각형상으로 U형플레임(50)의 끝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힌지볼트(42)의 하단부에는 U형플레임(50)의 끝단이 회동시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통공(43)으로 형성하고, U형플레임(50)의 니은자형상의 절곡부가 받혀질 수 있도록 좌판플레이트(11)와 일체로 두툼하게 U형프레임받침대(41)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좌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좌판플레이트(11)의 저면에 U형플레임수용홈(15)이 형성되어 있고, 좌의자손잡이(30)의 형상은 상부로 반원형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좌의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면손잡이(31)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좌의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의자등받이(100)(100')의 일측에는 척추받침부(12)가 등받이부(13)보다 상대적으로 튀어 나와 수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큐손(10)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아 등을 받칠 수 있는 둥근 형상으로 홈이 파져있고, 큐손(10)과 수평인 방향으로 보아 등을 곧게 받쳐 줄 수 있는 일직선 형상으로 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의자등받이의 상하단에는 완만한 곡선형태의 꺽임부(12a)(1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좌의자
KR2020050036356U 2005-12-26 2005-12-26 척추 교정용 좌의자 KR200416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56U KR200416716Y1 (ko) 2005-12-26 2005-12-26 척추 교정용 좌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56U KR200416716Y1 (ko) 2005-12-26 2005-12-26 척추 교정용 좌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716Y1 true KR200416716Y1 (ko) 2006-05-23

Family

ID=4176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356U KR200416716Y1 (ko) 2005-12-26 2005-12-26 척추 교정용 좌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7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474Y1 (ko) 2010-07-14 2011-12-20 오상효 접이식 의자용 커넥터
KR101122300B1 (ko) * 2011-08-29 2012-03-21 엄옥순 의자등받이의 틸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474Y1 (ko) 2010-07-14 2011-12-20 오상효 접이식 의자용 커넥터
KR101122300B1 (ko) * 2011-08-29 2012-03-21 엄옥순 의자등받이의 틸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3430B2 (en) Adirondack chair
JP6700487B2 (ja) 姿勢の変化に伴って変形可能な腰下敷用椅子
JP6741425B2 (ja) 姿勢保持具
JP2013039345A (ja) 腰椎支持座布団
KR101045677B1 (ko) 절첩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US9700147B2 (en)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200416716Y1 (ko) 척추 교정용 좌의자
JP2010063873A (ja) 弾性スプリング背もたれを有する椅子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200444739Y1 (ko) 의자등받이와 일체로 된 연결카바를 구비한 좌의자
JP3137036U (ja) 椅子
KR101496727B1 (ko) 접철식 좌식의자
US11253745B2 (en) Arm chair exercise apparatus
KR200471916Y1 (ko)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KR101468048B1 (ko) 다용도 목욕의자
JP4563111B2 (ja) 椅子用バックレスト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KR20040155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JP4461400B1 (ja) 車椅子
JP2019013625A (ja) 椅子
JP3162139U (ja) パチンコ遊戯者用椅子
JP5620157B2 (ja) 遊戯者用椅子
JP2019107076A (ja) トイレ用踏み台
KR20130001400U (ko) 기능성 의자
KR102189736B1 (ko)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