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310Y1 -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 - Google Patents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310Y1
KR200416310Y1 KR2020060004825U KR20060004825U KR200416310Y1 KR 200416310 Y1 KR200416310 Y1 KR 200416310Y1 KR 2020060004825 U KR2020060004825 U KR 2020060004825U KR 20060004825 U KR20060004825 U KR 20060004825U KR 200416310 Y1 KR200416310 Y1 KR 200416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outer cylinder
barrel
cooling
rice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승원
Original Assignee
설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승원 filed Critical 설승원
Priority to KR2020060004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3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3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1Walls with condui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공간부의 냉각된 공기를 외통과 쌀통 사이로 유동시켜, 쌀통을 냉각된 공기를 통해 냉각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쌀을 중탕냉각방식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냉각으로 인해서 쌀통에 이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 중탕

Description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rice refrigerato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단열부 111 : 걸림턱
120 : 뚜껑 210 : 외통
310 : 쌀통 320 : 덮개
330, 330a : 이격부재 340 : 관통공
400 : 팬 500 : 냉각장치
610 : 저면공간부 620 : 측면공간부
630 : 상면공간부
본 고안은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공간부의 냉각된 공기를 외통과 쌀통 사이로 유동시켜, 쌀통을 냉각된 공기를 통해 냉각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쌀을 중탕냉각방식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냉각으로 인해서 쌀통에 이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쌀은 습기가 적고 저온의 공간에서 저장될 때 그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다.
특히, 쌀이 저장되는 공간의 온도 또는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쌀벌레가 생기는데, 이러한 쌀벌레는 쌀을 갉아 먹어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8080호에는 저온의 쌀 보관용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하우징에 마련된 저장챔버 내로 쌀을 자동으로 저장시킴과 아울러, 냉장시스템의 증발기파이프를 통하여 저장챔버 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저장챔버에 저장된 쌀을 저온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쌀 저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쌀 냉장고는 외부와의 온도차이에 의해 저장챔버 내부에 이슬이 형성되어 쌀이 변질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간부의 냉각된 공기를 외통과 쌀통 사이로 유동시켜, 쌀통을 냉각된 공기를 통해 냉각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쌀을 중탕냉각방식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냉각으로 인해서 쌀통에 이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는, 쌀통과, 상기 쌀통을 개폐하는 덮개와, 뚜껑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와 상기 쌀통을 감싸는 외통과, 상기 외통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통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쌀통과 상기 외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쌀통과 상기 외통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이격부재와, 상기 공간부의 냉각된 공기를 상기 외통과 상기 쌀통 사이로 유동시켜, 상기 쌀통을 냉각된 공기를 통해 냉각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쌀을 중탕냉각방식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냉각으로 인해서 쌀통에 이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는, 쌀통과, 상기 쌀통을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쌀통을 감싸는 외통과, 상기 외통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통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쌀통과 상기 외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쌀통과 상기 외통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이격부재와, 상기 공간부의 냉각된 공기를 상기 외통과 상기 쌀통 사이로 유동시켜, 상기 쌀통을 냉각된 공기를 통해 냉각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고안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 단면도이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는, 쌀통(310)과, 상기 쌀통(310)을 개폐하는 덮개(320)와, 뚜껑(120)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320)와 상기 쌀통(310)을 감싸는 외통(210)과, 상기 외통(210)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통(210)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500)와, 상기 쌀통(310)과 상기 외통(2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쌀통(310)과 상기 외통(210)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이격부재(330)와, 상기 공간부의 냉각된 공기를 상기 외통(210)과 상기 쌀통(310) 사이로 유동시켜, 상기 쌀통(310)을 냉각된 공기를 통해 냉각시키는 팬(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쌀통(310)은 상면에 개방부가 형성된 중공체로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쌀통(310)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쌀을 꺼내도록 할 수도 있지만, 쌀통(310) 저면에 별도의 토출부를 형성하여 쌀을 더욱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도 있다.
덮개(320)는 상기 개방부를 덮도록 쌀통(310)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쌀통(310)을 개폐한다.
외통(210)은 상면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개방부를 개폐하는 뚜껑(120)이 구비 되어 상기 덮개(320)와 상기 쌀통(310)을 감싼다.
뚜껑(120)은 단열부(1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뚜껑(120)을 통해 열손실이 생기지 않도록 뚜껑(120)에도 단열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뚜껑(120)은 덮개(320)와의 사이에 상면공간부(630)가 형성되도록 덮개(320)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냉각장치(500)는 코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외통(210) 외주면을 둘러싸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로 이루어져, 외통(210)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통(210)을 냉각시킨다.
나아가, 냉각장치의 증발기를 감싸는 단열부(110)가 더 구비되어, 열손실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부재(330)는 상기 쌀통(310)과 상기 외통(2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쌀통(310)과 상기 외통(210)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한다.
상기 공간부는 뚜껑(120) 상면과 덮개(320) 상면 사이에 형성된 상면공간부(630)와, 상기 쌀통(310) 측면과 상기 외통(210) 측면 사이에 상기 상면공간부(63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측면공간부(620)와, 상기 쌀통(310) 저면과 상기 외통(210) 저면 사이에 상기 측면공간부(62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저면공간부(6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격부재(330)는 쌀통(310) 상단에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격부재(330)는 외통(210) 및 단열부(110)에 형성된 걸림턱(111)에 걸린다.
또한, 이격부재(330)에는 관통공(340)이 형성되어 상면공간부(630)와 측면공간부(620)가 연통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이격부재(330)는 일단은 쌀통(310)의 저면과 측면이 연결되면서 생성되는 모서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통(210)의 저면과 측면이 연결되면서 생성되는 모서리에 연결되는 적어도 세개 이상의 돌기로 형성하여, 쌀통(310)과 외통(210)의 측면 이격거리와 저면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즉, 쌀통(310)의 설치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측면공간부(620)와 저면공간부(610)의 부피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팬(400)은 외통(210) 상부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의 냉각된 공기를 상기 외통(210)과 상기 쌀통(310) 사이로 유동시켜, 상기 쌀통(310)을 냉각된 공기를 통해 냉각시킨다.
이로써, 냉각장치(500)를 통해 외통(210)을 냉각시키면, 외통(210)과 쌀통(310) 사이의 공간부에 있는 공기는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는 팬(400)에 의해 쌀통(310) 상면 외측, 측면 외측, 저면 외측을 순환하게 되어 쌀통(310)의 쌀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러한 냉각 방식은 끓는 물 속에 음식을 담은 그릇을 넣어 익히거나 데우는 중탕의 원리와 같다.
이와 같이 쌀통(310)을 직접적으로 냉각시키지 않음으로써, 쌀통(310) 벽에 이슬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쌀통(310)의 쌀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된 공기를 쌀통(310)의 상면 외측, 측면 외측, 저면 외측으로 순환시켜 모든 부위에 있는 쌀이 균일한 온도로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덮개(320)에 의해 쌀통(310)은 밀폐상태가 되어 외부의 습기 등이 쌀통(31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이 방지되어 쌀통(310) 내부의 습도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는, 쌀통(310)과, 상기 쌀통(310)을 개폐하는 덮개(320)와, 상기 쌀통(310)을 감싸는 외통(210)과, 상기 외통(210)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통(210)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500)와, 상기 쌀통(310)과 상기 외통(2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쌀통(310)과 상기 외통(210)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이격부재(330a)와, 상기 공간부의 냉각된 공기를 상기 외통(210)과 상기 쌀통(310) 사이로 유동시켜, 상기 쌀통(310)을 냉각된 공기를 통해 냉각시키는 팬(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외통(210)을 상면이 개방된 중공체로 형성하여 외통(210)이 쌀통(310)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도록 하여, 상기 공간부를 측면공간부(620)와 측면공간부(620)에 연통되는 저면공간부(610)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덮개(320)와 뚜껑(120)은 별도로 형성되도록 하여 열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이와는 다르게 덮개(320)와 뚜껑(1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다.
팬(400)은 냉각된 공기를 측면공간부(620)와 저면공간부(610)로 순환시켜, 즉, 쌀통(310)의 측면 외측, 저면 외측으로 순환시켜서 쌀통(310)을 냉각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 이격부재(330a)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공간부를 밀폐시킨다.
이로써, 냉각된 상기 공간부의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온병의 원리와 같이 단열부와 열전도율이 낮은 상기 공간부의 공기로 인해 이중으로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공간부의 냉각된 공기를 외통과 쌀통 사이로 유동시켜, 쌀통을 냉각된 공기를 통해 냉각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쌀을 중탕냉각방식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냉각으로 인해서 쌀통에 이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쌀통;
    상기 쌀통을 개폐하는 덮개;
    상기 쌀통을 감싸는 외통;
    상기 외통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통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
    상기 쌀통과 상기 외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쌀통과 상기 외통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이격부재;
    상기 공간부의 냉각된 공기를 상기 외통과 상기 쌀통 사이로 유동시켜, 상기 쌀통을 냉각된 공기를 통해 냉각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
  2. 쌀통;
    상기 쌀통을 개폐하는 덮개;
    뚜껑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와 상기 쌀통을 감싸는 외통;
    상기 외통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통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
    상기 쌀통과 상기 외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쌀통과 상기 외통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이격부재;
    상기 공간부의 냉각된 공기를 상기 외통과 상기 쌀통 사이로 유동시켜, 상기 쌀통을 냉각된 공기를 통해 냉각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
KR2020060004825U 2006-02-22 2006-02-22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 KR200416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825U KR200416310Y1 (ko) 2006-02-22 2006-02-22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825U KR200416310Y1 (ko) 2006-02-22 2006-02-22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310Y1 true KR200416310Y1 (ko) 2006-05-12

Family

ID=4176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825U KR200416310Y1 (ko) 2006-02-22 2006-02-22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3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9124B2 (en) Refrigerator
US6550268B2 (en) Cooling air passage apparatus of refrigerator
RU2003128315A (ru) Холодильная камера (варианты)
JP5417382B2 (ja) 冷蔵庫
KR200416310Y1 (ko) 중탕냉각 방식의 쌀 냉장고
US20180142933A1 (en) Air flow and drainage system for ice maker
KR20040025131A (ko) 내부 냉기순환기능을 가지는 김치냉장고
KR100666683B1 (ko) 김치냉장고의 냉기보존장치
KR100285044B1 (ko) 김치 저장고용 도어
KR100379279B1 (ko) 김치저장고 저장실의 온도보상 구조
JP2004309003A (ja) 冷却貯蔵庫
JP2010175110A (ja) 冷却貯蔵庫
KR100424106B1 (ko) 김치저장고 저장실의 온도보상 구조
KR100812364B1 (ko) 김치냉장고용 이중도어구조
KR100653447B1 (ko) 아이스박스
KR100539554B1 (ko) 김치냉장고
KR100595221B1 (ko) 김치 냉장고
KR101177256B1 (ko) 김치냉장고용 내부케이싱
KR100930878B1 (ko) 정수기와 곡물 냉장고 겸용 복합기
JP2024000147A (ja) 冷却貯蔵庫
KR200339274Y1 (ko) 김치냉장고의 도어 냉기순환장치
KR101106339B1 (ko)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
JP2003287337A (ja) 収納装置
KR100812365B1 (ko) 김치용기 및 이를 보관하는 김치저장고
KR100433124B1 (ko) 김치 저장고의 온도센서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