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251Y1 - 저항체를 구비한 형광 램프 - Google Patents

저항체를 구비한 형광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251Y1
KR200416251Y1 KR2020060003774U KR20060003774U KR200416251Y1 KR 200416251 Y1 KR200416251 Y1 KR 200416251Y1 KR 2020060003774 U KR2020060003774 U KR 2020060003774U KR 20060003774 U KR20060003774 U KR 20060003774U KR 200416251 Y1 KR200416251 Y1 KR 200416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filament
stem
resis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시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2020060003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2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2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lamp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광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형광 램프는 접속핀(70)이 외측으로 돌출된 스템(10); 상기 스템(10)과 용접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형광물질(40)이 코팅되는 유리관(50); 상기 접속핀(70)과 연결되며 전자파를 방출하는 필라멘트(30); 상기 필라멘트(30)의 일측에 연결되는 PTC (Positive Thermal Coefficient) 써미스터(thermister)(20);및 상기 스템(10)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저항체(20)과 상기 필라멘트(30) 사이를 둘러싸는 배기관(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형광 램프는 필라멘트에 저항체가 직렬로 연결되므로써, 형광 램프의 스템 온도가 일정 온도에 도달하는 동안, 필라멘트에 충분한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써 냉방전을 방지하여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정상 작동시 형광 램프에 열이 발생할 때, 필라메트의 전류가 감소하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있다.
더 나아가서, 저조도로 형광 램프를 작동시킬 경우에, 형광 램프의 스템 온도가 내려가는 경우, 필라멘트의 전류를 다시 증가 시키므로서 방전관의 방전 기능을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형광 램프, 저항체, 피티씨(PTC) 써미스터

Description

저항체를 구비한 형광 램프 {FLUORESCENT LAMP INCLUDING RESIS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방식을 이용한 형광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형광 램프 10 : 베이스
20 : PTC 써미스터 30 : 필라멘트(전극)
40 : 형광물질 50 : 유리관
60 : 배기관
본 고안은 형광 램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저항체를 구비한 형광 램프에 관한 것이다.
형광 램프는 백열전구와는 달리 형광 램프 양단의 필라멘트에 높은 전압을 걸면 발생하는 방전을 이용하여 자외선을 얻고, 이 자외선이 형광 램프의 벽면에 있는 형광 물질과 반응하여 빛을 발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형광 램프의 필라멘트가 방전하려면 초기에 높은 전압이 필요하다. 이러한 높은 전압은 안정기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갑자기 차단할 때, 안정기에서 발생하는 고전압이 이용된다.
필라멘트가 방전되면 램프 내부에 방전 전류가 흘러 램프 내부의 저항이 점차 작아진다. 그에 따라, 저전압으로도 방전을 유지할 수가 있다. 램프에 이상이 발생하여 전류가 흘러 램프가 손상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안정기가 전류가 너무 흐르지 않도록 램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방식을 이용한 형광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식 안정기에 따른 고주파를 이용하여 형광 램프의 효율을 높이고 안정기의 무게와 부피를 줄여, 철심에 코일이 감겨있는 구조의 안전기를 사용한 경우의 단점을 극복하였다. 또한, PTC 써미스터를 사용하여 콘덴서 방식의 형광등 회로의 단점인 필라멘트 예열시간이 짧고, 고정된 콘덴서 방식 때문에 각각의 형광 램프의 특성에 맞추어 형광 램프에 걸리는 부하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을 극복하였다.
종래의 형광 램프 중 도 1의 방식에 따른 형광 램프는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그러나, 전자 부품 중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PTC 써미스터를 형광 램프의 유리관 외측에 필라멘트와 직렬로 연결해서 과부하를 조절한다. 또한, 일정한 램프의 특성에만 적합하도록 회로가 구성되며, 재사용하는 경우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 다. 다시 말하면, 고정된 형광 램프(일회용) 방식으로 인하여 램프의 수명이 다할때마다 램프를 교체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정된 디밍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율 및 생산성을향상 시킬 수 있는 형광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형광 램프는 접속핀(70)이 외측으로 돌출된 스템(10); 상기 스템(10)과 용접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형광물질(40)이 코팅되는 유리관(50); 상기 접속핀(70)과 연결되며 전자파를 방출하는 필라멘트(30); 상기 필라멘트(30)의 일측에 연결되는 PTC (Positive Thermal Coefficient) 써미스터(20);및 상기 스템(10)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저항체(20)과 상기 필라멘트(30) 사이를 둘러싸는 배기관(6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항체(20)는 형광 램프(100)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직관형 형광 램프 에 관한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 환형, 전구형 또는 PL 램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형광 램프(100)는 유리관(50), 스템(10), 저항체(20), 필라멘트(30), 배기관(60), 그리고 접속핀들(70)로 구성된다.
유리관(50) 내에는 형광 물질(40), 저항체(20), 필라멘트(30), 그리고 배기관(60)들이 배치 형성되며, 그 내측벽에 형광 물질(40)이 형성되어 있다. 스템(10)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접속핀들(70)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접속핀들(70)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어 벽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된 소켓(미도시)에 연결된다.
저항체(20)의 일측은 스템(10)의 일측으로 부터 연장된 리드선에 연결되며, 저항체(20)의 타측은 필라멘트(30)와 접속된다. 저항체(20)로는 PTC (Positive Thermal Coefficient) 써미스터(thermister)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TC (Positive Thermal Coefficient) 써미스터(thermister)는 온도 변화에 대하여 극히 큰 저항값 변화를 나타내는 저항기를 말한다.
배기관(60)은 스템(10)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저항체(20)과 필라멘트(30) 사이를 둘러싼다.
저항체(20)는 온도 상승에 따라 그 자체의 저항 값이 상승하고 온도가 하강하면 자체의 저항 값이 하강하는 정 온도계수 써미스터 소자이므로 전구식 형광등 램프의 장시간 점등에 따른 형광램프로부터의 발열이 회로 기판에 부과될때, RLC 값으로 결정되어진 공진 시정수 값을 발진유기코일의 포화시점에 일치시키는 쪽으로 자동으로 늦추거나 앞당겨서 변경하게 되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의 영전류 스위칭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구식 형광 램프의 내부온도 상승시 각부품의 온도 상승에 따른 포화점을 고려하여 이들 부품(발진유기코일)이 포화점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칭을 정지시키게 된다.
형광 램프의 내부온도의 상승으로 발진유기코일이 사전 포화되면 발진을 멈추게 되고 이에 의해 형광 램프의 내부온도가 떨어지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던 저항체(20)의 저항 값도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RLC로 이루어진 공진회로의 값이 낮아져 형광램프의 급속한 점등을 억제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정상적인 발진유기 온도에 이르게 되면 형광 램프의 재점등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형광 램프는 필라멘트에 저항체가 직렬로 연결되므로써, 형광 램프의 스템 온도가 일정 온도에 도달하는 동안, 필라멘트에 충분한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써 냉방전을 방지하여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정상 작동시 형광 램프에 열이 발생할 때, 필라메트의 전류가 감소하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있다.
더 나아가서, 저조도로 형광 램프를 작동시킬 경우에, 형광 램프의 스템 온도가 내려가는 경우, 필라멘트의 전류를 다시 증가 시키므로서 방전관의 방전 기능 을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Claims (2)

  1. 외측으로 돌출된 접속핀(70)을 포함하는 스템(10);
    상기 스템(10)과 용접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형광물질(40)이 코팅되는 유리관(50);
    상기 접속핀(70)과 연결되며 전자파를 방출하는 필라멘트(30);
    상기 필라멘트(30)의 일측에 연결되는 PTC (Positive Thermal Coefficient) 써미스터(thermister)(20);및
    상기 스템(10)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저항체(20)과 상기 필라멘트(30) 사이를 둘러싸는 배기관(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램프(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20)는 형광 램프(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램프(100).
KR2020060003774U 2006-02-10 2006-02-10 저항체를 구비한 형광 램프 KR200416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774U KR200416251Y1 (ko) 2006-02-10 2006-02-10 저항체를 구비한 형광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774U KR200416251Y1 (ko) 2006-02-10 2006-02-10 저항체를 구비한 형광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251Y1 true KR200416251Y1 (ko) 2006-05-15

Family

ID=4176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774U KR200416251Y1 (ko) 2006-02-10 2006-02-10 저항체를 구비한 형광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2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313057A (zh) 用於發光二極體燈泡之熱保護電路
US8198817B2 (en) Lighting unit and discharge lamp
US6577066B1 (en) Compact self-ballasted fluorescent lamp
US7453214B2 (en) Lamp-operating unit and low-pressure mercury discharge lamp
JP4257620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9206422A (ja) 表面実装型ledパッケージ
KR200416251Y1 (ko) 저항체를 구비한 형광 램프
US7012376B2 (en) Fluorescent lamp lighting device
KR100722260B1 (ko) 교체 시기 표시등을 구비한 조명등기구
US6600272B2 (en) Bulb-shaped fluorescent lamp
JP4784772B2 (ja) 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電球形蛍光ランプ
US8115368B2 (en) Cooling apparatus of discharge lamp
US20180023770A1 (en) Filament unit for retrofit led tube
JP5174440B2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3997591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2005302444A (ja) 低圧水銀放電ランプ
JP4445954B2 (ja) 蛍光ランプ
JP2015109164A (ja) 蛍光灯型ledランプ
JP2006092925A (ja) 蛍光ランプ及び照明装置
US20120081019A1 (en) Fluorescent lamp circuit capable of being repaired and repeatedly used
JP2009059612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KR20030025569A (ko) 안정기 냉각 구조를 갖는 전구형 형광 램프
JP2007207445A (ja) 外部電極蛍光灯用の電源装置
JP2009135036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2007273177A (ja) 電球形蛍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