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235Y1 - 흡착 장치 - Google Patents

흡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235Y1
KR200416235Y1 KR2020060002989U KR20060002989U KR200416235Y1 KR 200416235 Y1 KR200416235 Y1 KR 200416235Y1 KR 2020060002989 U KR2020060002989 U KR 2020060002989U KR 20060002989 U KR20060002989 U KR 20060002989U KR 200416235 Y1 KR200416235 Y1 KR 200416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adsorption
support
hole
cam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안태영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2020060002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2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2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흡착판을 이용하여 흡착장치가 개시된다. 흡착장치는 흡착을 위한 흡착판, 흡착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측면에 캠 홀이 형성되는 고정부, 캠 홀 내부에 편향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캠 홀의 내면을 지지하는 회전 캠, 흡착판의 외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및 외부 케이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 캠을 캠 홀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노브 조절구를 구비하며, 회전 캠은 캠 홀의 내면을 편향되게 지지하여 고정부를 외부 케이스의 상부로 들어올리며, 흡착판에 흡착력을 제공한다.
흡착판, 노브 조절구, 거치대, 개인휴대단말기

Description

흡착 장치{SUCTION DEVIC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흡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흡착판 120:고정부
130:회전 캠 140:외부 케이스
150:노브 조절구
본 고안은 흡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내부에 제공되는 접착력에 의해서 접착 면에 접착하는 흡착판을 이용한 흡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흡착판을 이용한 흡착 장치는 평평한 접착 면에 탈 부착이 가능하므로 일상 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흡착 장치는 거울이나 차량의 유리 등에 부착되도록 설계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악세서리, 각종 거치대 등에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흡착판을 이용한 흡착 장치는 언제 어디서나 평평한 면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이와 같이 설치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흡착 장치를 탈착한 후에도 종래와 같이 탈착한 위치에 기스나 흠집이 생기지 않으므로 유용하다.
최근에는 흡착판을 이용한 흡착 장치를 개인휴대단말기를 장착하는 데 사용하고 있으며,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W) 안쪽에 접촉부(110)의 진공압 또는 접촉물질에 의해 부착되어, 판넬(P)의 상측에 거치장치가 위치한다.
종래의 거치장치(100)는 접촉부(110)의 접착력에 의해 접촉부(110)와 링크(112)로 연결된 연결지지대(120)를 지지하고, 연결지지대(120)의 단부에는 거치대(130)가 구비된다. 거치대(130)에는 휴대폰, PDA, CD플레이어, 메모지 등 다양한 물품이 거치대(130)의 형상 및 기능에 따라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거치장치(100)는 접촉부(110)의 진공압이나 접촉물질의 접착 성능만이 거치장치(100)의 접촉력을 결정하게 되는데, 접촉부(110)는 자동차 유리(W)의 면에 단순 면 접촉되므로 접촉부(110)의 흡착력이 크지 않다. 따라서, 일정 시간 이후에 흡착 장치가 접착 면에서 떨어질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와 같이 무게가 큰 대상물을 거치하는 경우에는 거치장치(100)가 접착 면에서 더 빠른 시간 안에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접촉부(110)는 연결지지대(120)와 거치대(130)를 한 점에서 지지하므로 접촉부(110)에는 거치장치(100)의 구조 상 연결 지지대(120) 및 거치대(130)의 무게를 함께 지지할 수 있는 큰 접착력이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접촉부(110)의 접착력 만으로 연결 지지대(120), 거치대(130) 및 개인휴대단말기를 지지하기에 무리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새로운 구조의 거치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본 고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노브 조절구를 이용하여 흡착판에 용이하게 흡착력을 제공하고, 흡착판에 흡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흡착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면 지지대가 저면에서 지지부를 한번 더 지지하므로 안정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흡착 장치는 흡착판, 고정부, 회전 캠, 외부 케이스 및 노브 조절구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흡착판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흡착판을 평평한 접착 면에 붙이면 흡착판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면서 흡착력이 형성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흡착판을 다양한 재질로 제조할 수도 있다. 흡착판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이 되고 대기압에 의해 흡착판의 외부에서 흡착판의 내부를 향하여 힘이 작용하여 평평한 접착 면에 접착된다. 고정부는 흡착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측면에 캠 홀이 형성된다. 회전 캠은 캠 홀 내부에 편향되도록 삽입되어 캠 홀의 내면을 지지한다. 외부 케이스는 흡착판의 외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노브 조절구는 외부 케이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 캠을 상기 캠 홀의 내부에서 회전시킨다.
외부 케이스에 고정되는 노브 조절구와 노브 조절구에 고정되는 회전 캠은 그 위치가 항상 일정하다. 회전 캠은 캠 홀 내부에 편향되도록 고정되므로 회전 캠이 회전하게 되면 고정부를 상하로 밀어서 고정부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고정부와 고정된 흡착판의 중앙부도 고정부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면서 흡착판의 내부에 큰 진공을 만들어 흡착판의 흡착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회전 캠은 캠 홀의 내면을 편향되게 지지하여 고정부를 외부 케이스의 상부로 들어올리며, 흡착판에 종래보다 큰 흡착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노브 조절구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노브 조절구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 캠이 흡착판의 중앙부를 들어 올려 진공 공간을 만들어 서 종래의 흡착판 보다 훨씬 큰 흡착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평평한 면에 흡착판을 접착시켜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도구나 접착제 없이도 간편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거치수단 및 흡착수단을 구비한다. 거치수단은 개인휴대단말기를 전면에 장착하기 위한 거치부 및 거치부의 후면에 장착되어 거치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흡착수단은 흡착을 위한 흡착판, 흡착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측면에 캠 홀이 형성되는 고정부, 캠 홀 내부에 편향되도록 삽입되어 캠 홀의 내면을 지지하는 회전 캠, 흡착판의 외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및 외부 케이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 캠을 캠 홀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노브 조절구를 포함하며, 회전 캠은 캠 홀의 내면을 편향되게 지지하여 고정부를 외부 케이스의 상부로 들어올리며, 흡착판에 흡착력을 제공하는 흡착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지지부는 거치부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1 지지대 및 일단부가 제1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타단부가 흡착수단에 고정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며, 일단부가 상기 제2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닿아 지지부를 지지하는 지면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면에 접착되는 흡착수단과 지면에 닿아 지지부를 지지하는 지면 지지대가 그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므로 각각의 면에 접촉되도록 강한 마찰력을 일으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에도 거치부에 거치된 개인휴대단말기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흡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흡착 장치(100)는 흡착판(110), 고정부(120), 회전 캠(130), 외부 케이스(140) 및 노브 조절구(150)를 구비한다.
흡착판(110)은 외부 케이스(140)의 내부 중 하부에 위치하고,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중앙부가 외부 케이스(140)의 내부로 들어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착판(110)은 평평한 면에 밀착시키면 흡착판(110)의 내부에 진공 공간이 제공된다. 흡착판(110)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이 되고 대기압에 의해 흡착판(110)의 외부에서 흡착판(110)의 내부를 향하여 힘이 작용하여 평평한 접착 면에 접착된다. 그리고, 흡착판(110)의 단부에는 고정부(120)와 결속되며, 고정부(12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고정부(120)는 흡착판(1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측면에 캠 홀(122)이 형성된다. 캠 홀(122)은 내부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 캠(130)이 캠 홀(122)에 상부로 편향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 캠(130)이 회전함에 따라 함 께 고정부(120)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캠 홀(122)의 상부에는 고정부(120)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캠 안착홈(124)이 형성되며, 캠 안착홈(124)은 회전 캠(130)이 상부를 향하여 회전된 위치에서 회전 캠(130)의 단부를 수용하여 회전 캠(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캠 홀(122)중 캠 안착홈(124) 주변은 회전 캠(130)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캠 안착홈(124)까지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캠(130)이 상부를 향하여 회전될 때, 회전 캠(130)의 단부가 캠 홀(122)의 상기 경사진 접촉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회전 캠(130)의 회전에 의해서 고정부(120)가 상부로 서서히 올라갈 수 있으며, 캠 홀(122)의 형상은 회전 캠(130)을 회전시키기에 보다 유리한 구조가 된다.
그리고, 캠 홀(122)의 코너에는 회전 캠(130)의 중심으로부터 회전 캠(130)의 회전 반경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캠(130)이 회전할 때 캠 홀(122)의 내면에 상측과 하측만 접촉되고 캠 홀(122)의 코너는 접촉되지 않으므로 회전 캠(130)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회전할 때 캠 홀(122)면과의 마찰력에 의해서 회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캠(130)은 노브 조절구(150)와 연결되며, 노브 조절구(150)를 돌리면 회전 캠(130)이 노브 조절구(150)를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회전 캠(130)은 캠 홀(122)에 배치되어 회전 캠(130)의 단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회전시키면 고정부(120)를 외부 케이스(140)의 하부로 이동시키고, 회전 캠(130)의 단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회전시키면 고정부(120)를 외부 케이스(140)의 상부로 이동시킨 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노브 조절구와 회전 캠이 별도로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노브 조절구와 회전 캠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노브 조절구(150)는 외부 케이스(14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 캠(130)을 캠 홀(122)의 내부에서 회전시킨다. 노브 조절구(150)는 외부에 노출되며,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노브 조절구(150)에는 회전 방향을 표시하는 글이 표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최초에 회전 캠(130)의 단부가 캠 홀(122)에서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도록 회전 캠(130)이 위치할 수 있다. 노브 조절구(150)를 하부를 향하여 회전시키면, 회전 캠(130)의 단부가 하부를 향하여 회전하게 되어 고정부(120)를 접착 면을 향하여 누르게 되며(ⓐ) 흡착판(110)의 내부 상태는 압축된다. 그리고, 다시 노브 조절구(150)를 상부를 향하여 회전시키면, 회전 캠(130)의 단부가 상부를 향하여 회전하게 되어 고정부(120)를 접착 면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고정부(120)와 함께 흡착판(110)의 중앙부가 잡아당겨지면서 흡착판(110)가 접착 면 사이에는 흡착력이 제공된다. 이때, 고정부(120)에 의해서 흡착판(110)을 잡아당기는 힘이 크기 때문에 보다 강력한 흡착력이 생긴다. 회전 캠(130)이 상부로 회전될 경우에는 캠 홀(122)에 제공되는 캠 안착홈(124)에 회전 캠(130)의 단부가 수용되면서 위치를 고정하므로 회전 캠(130)이 고정부(120)의 저면에서 고정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브 조절구(150)를 회전시켜서 용이하게 회전 캠(130)을 회전시키며, 회전 캠(130)이 캠 홀(122)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부(12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노브 조절구(150)의 회전에 의해서 고정부(120)에 고정된 흡착판(110)의 중앙부를 들어 올려 넓은 진공 공간을 만들고, 종래의 흡착판 보다 훨씬 큰 흡착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평평한 면에 흡착판(110)를 접착시켜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도구나 접착제 없이도 간편하게 접착시킬 수 있어서 편리하다.
실시예 2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거치수단(200) 및 흡착수단(300)을 구비한다.
거치수단(200)은 거치부(210), 지지부(220) 및 지면 지지대(230)를 포함한다. 거치부(210)는 전면에 PDA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거치부(210)의 후면은 지지부(220)의 단부에 고 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거치부(210) 및 지지부(220)는 회전 힌지에 의해서 연결하여 거치부(210)가 지지부(2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지지부(220)는 제1 지지대(222) 및 제2 지지대(224)를 포함한다. 제1 지지대(222)는 일단부가 거치부(210)와 고정되며, 타단부가 제2 지지대(224)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지지대(224)는 일단부가 제1 지지대(222)의 회전 축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흡착수단(3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 지지대(224)의 측면에는 지면 지지대(23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24a)이 형성되며, 지면 지지대(230)가 회전 축에서 회전되어 수용 공간(224a)으로 회전되어 수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만 지면 지지대(230)를 수용 공간(224a)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지지대(222)와 제2 지지대(224)의 힌지 축에는 나사 체결을 통해서 제1 지지대(222) 및 제2 지지대(224) 밀착시키는 노브 고정부(2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지지대(222)의 일단부가 제2 지지대(224)의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거치부(21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노브 고정부(226)를 회전시켜 제1 지지대(222) 및 제2 지지대(224)를 서로 밀착시켜 회전된 제1 지지대(222) 및 제2 지지대(224)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지면 지지대(230)는 일단부가 제2 지지대(224)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닿아 제2 지지대(224)를 지지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제1 지지대(222)를 지지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지면 지지대(230)와 제2 지지대(224)의 힌지 축에는 나사 체결을 통해서 지면 지지대 (230), 제1 지지대(222) 및 제2 지지대(224) 밀착시키는 노브 고정부(226)를 사용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 제2 지지대와 지면 지지대의 회전 축을 달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브 고정부를 여러 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대(224)의 단부를 회전 축으로 지면 지지대(230)를 회전시켜서 제2 지지대(224)에서 지면 지지대(230)의 위치를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노브 고정부(226)를 사용하여 조정된 위치에서 제2 지지대(224) 및 지면 지지대(230)가 서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지면 지지대(230)는 지면 지지대(230)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지면 지지대(230)는 접착 면에 접착되는 흡착수단(300)과 지면에 닿아 지지부(220)를 지지하는 지면 지지대(230)가 두 지점에서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지지하므로 그 거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각각의 면에 접촉되도록 강한 마찰력을 일으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에도 거치부에 거치된 개인휴대단말기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흡착수단(300)은 제2 지지대(224)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유리나 거울 같은 평평한 면에 부착시켜서 거치수단(200)을 지지한다. 흡착수단(300)은 흡착판(310), 고정부(320), 회전 캠(330), 외부 케이스(340) 및 노브 조절구(350)를 포함한다.
흡착판(310)은 외부 케이스(340)의 내부 중 하부에 위치하고,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중앙부가 외부 케이스(340)의 내부로 들어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 착판(310)은 평평한 면에 밀착시키면 흡착판(310)의 내부에 진공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흡착판(310)의 단부에는 고정부(320)와 결속되며, 고정부(32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고정부(320)는 외부 케이스(340)의 내부에 위치하고, 흡착판(3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측면에 캠 홀(322)이 형성된다. 캠 홀(322)은 내부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 캠(330)이 캠 홀(322)에 상부로 편향되도록 배치된다. 캠 홀(322)의 상부에는 고정부(320)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캠 안착홈(324)이 형성되며, 캠 안착홈(324)은 회전 캠(330)이 상부를 향하여 회전된 위치에서 회전 캠(330)의 단부를 수용하여 회전 캠(33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캠 홀(322)중 캠 안착홈(324) 주변은 회전 캠(330)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캠 안착홈(324)까지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캠(330)이 상부를 향하여 회전될 때, 회전 캠(330)의 단부가 캠 홀(322)의 상기 경사진 접촉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회전 캠(330)의 회전에 의해서 고정부(320)가 상부로 서서히 올라갈 수 있으며, 캠 홀(322)의 형상은 회전 캠(330)을 회전시키기에 보다 유리한 구조가 된다.
그리고, 캠 홀(322)의 코너에는 회전 캠(330)의 중심으로부터 회전 캠(330)의 회전 반경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캠(330)이 회전할 때 캠 홀(322)의 내면에 상측과 하측만 접촉되고 캠 홀(322)의 코너는 접촉되지 않으므로 회전 캠(330)이 180도 회전될 때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회전 캠(330)은 노브 조절구(350)와 연결되며, 노브 조절구(350)를 돌리면 회전 캠(330)이 노브 조절구(350)를 회전 축으로 하여 함께 회전하게 된다. 회전 캠(330)은 캠 홀(322)에 배치되며, 회전 캠(330)의 단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회전시키면 고정부(320)를 밀어서 외부 케이스(340)의 하부로 이동시키고, 회전 캠(330)의 단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회전시키면 고정부(320)를 올려서 외부 케이스(340)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노브 조절구(350)는 외부 케이스(34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 캠(330)을 캠 홀(322)의 내부에서 회전시킨다. 노브 조절구(350)는 외부에 노출되며,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브 조절구(350)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흡착판(310)에 흡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8은 본 고안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거치수단 및 흡착수단을 구비한다. 거치수단에서 노브 조절구(450)의 내면에는 외부를 향하여 길게 형성되는 링크부(452)를 포함한다. 노브 조절구(450)에 형성된 링크부(452)는 최초에 좌측에 위치하게 되며, 이 위치에서는 회전 캠의 단부가 하부를 향하는 위치가 된다. 그리고, 링크부(452)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화살표), 회전 캠의 단부가 상부를 향하는 위치로 회전하여 흡착부에 흡착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노브 조절구(450)만을 회전시키는 경우보다 노브 조절구(450)에 형성되는 링크부(452)를 이용 하는 경우가 보다 용이하게 노브 조절구(45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링크부(452)는 외부 케이스에 밀착되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링크부를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할 수 있다.
그 이외, 거치수단 및 흡착수단은 제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구성 요소의 기능 및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흡착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노브 조절구의 회전에 의해서 고정부에 고정된 흡착판의 중앙부를 들어 올려 넓은 진공 공간을 만들고, 종래의 흡착판 보다 훨씬 큰 흡착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평평한 면에 흡착판을 접착시켜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도구나 접착제 없이도 간편하게 접착시킬 수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접착 면에 접착되는 흡착수단과 지면에 닿아 지지부를 지지하는 지면 지지대가 두 지점에서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지지하므로 그 거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각각의 면에 접촉되도록 강한 마찰력을 일으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에도 거치부에 거치된 개인휴대단말기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 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흡착을 위한 흡착판(110);
    상기 흡착판(1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측면에 캠 홀(122)이 형성되는 고정부(120);
    상기 캠 홀(122) 내부에 편향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캠 홀(122)의 내면을 지지하는 회전 캠(130);
    상기 흡착판(110)의 외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140); 및
    상기 외부 케이스(14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전 캠(130)을 상기 캠 홀(122)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노브 조절구(150);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 캠(130)은 상기 캠 홀(122)의 내면을 편향되게 지지하여 상기 고정부(120)를 상기 외부 케이스(140)의 상부로 들어올리며, 상기 흡착판(110)에 흡착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홀(122)에는 상기 회전 캠(130)이 상부를 향하여 회전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 캠(130)을 고정하기 위한 캠 안착홈(1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장치(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홀(122) 중 상기 캠 안착홈(124) 주변은 상기 회전 캠(130)의 외형에 대응하여 상기 캠 안착홈(124)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장치(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홀(122)에 코너는 상기 회전 캠(1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 캠(130)의 회전 반경보다 멀리 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장치(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홀(122)은 상기 회전 캠(130)의 회전 축에서 상기 회전 캠(130)의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상기 회전 캠(130)의 회전 축에서 상기 캠 홀(122)의 하부까지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 캠(130)이 상기 캠 홀(122)에서 하부를 향하여 회전되어 상기 고정부(120)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장치(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캠(130) 및 상기 노브 조절구(15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장치(10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절구(150)에는 외부로 향하여 길게 형성되는 링크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장치(100).
KR2020060002989U 2006-02-02 2006-02-02 흡착 장치 KR200416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989U KR200416235Y1 (ko) 2006-02-02 2006-02-02 흡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989U KR200416235Y1 (ko) 2006-02-02 2006-02-02 흡착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473U Division KR200410276Y1 (ko) 2005-10-17 2005-10-17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235Y1 true KR200416235Y1 (ko) 2006-05-15

Family

ID=4176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989U KR200416235Y1 (ko) 2006-02-02 2006-02-02 흡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2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414A (zh) * 2016-04-13 2016-06-15 东北林业大学 车载移动终端固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414A (zh) * 2016-04-13 2016-06-15 东北林业大学 车载移动终端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57719B1 (en) Kickstand supporting several device orientations
US7986525B2 (en) Support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1224440B (zh) 无线充电座及电子设备
CN108762393B (zh) 一种电脑
KR20120138429A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
US2011007470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131467A1 (en) Stand assembly
US20150000435A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KR100906314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0681153B1 (ko) 흡착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16235Y1 (ko) 흡착 장치
KR200410276Y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060264238A1 (en) Cradl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848352B2 (en) Display device
CN104295870A (zh) 显示装置及其包含的显示装置基座
US6510057B2 (en) Computing device with a card receptacle
CA2520966A1 (en) Adjustable detachable keyboard and electronic assembly using same
JP5109916B2 (ja) 電子機器
CN213214046U (zh) 一种多媒体设备
KR102273503B1 (ko)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KR200484140Y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JP4834692B2 (ja) 表示ユニットを備えた電子機器
CN220152333U (zh) 电子设备配件
CN110166660B (zh) 摄像头组件与电子设备
JP5606035B2 (ja) ノイズ低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