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973Y1 -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973Y1
KR200415973Y1 KR2020060004061U KR20060004061U KR200415973Y1 KR 200415973 Y1 KR200415973 Y1 KR 200415973Y1 KR 2020060004061 U KR2020060004061 U KR 2020060004061U KR 20060004061 U KR20060004061 U KR 20060004061U KR 200415973 Y1 KR200415973 Y1 KR 200415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ferrite core
electrically insulating
core member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휴아
왕슈첸
양칭셍
Original Assignee
타이페이 멀티파워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페이 멀티파워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페이 멀티파워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60004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9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9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0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characterised by unspecified or heterogeneous hardness or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hardness transitions
    • H01F1/0311Compounds
    • H01F1/0313Oxidic compounds
    • H01F1/0315Ferr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 절연 보빈과, 보빈에 설치된 제1 와인딩 및 제2 와인딩, 및 와인딩과 작동하는 페라이트 코어 세트를 포함하며,상기 보빈의 제 2 사이드는 상기 제2 와인딩을 수용하도록 복수개의 와인딩 홈, 및 상기 와인딩 홈의 각각의 2개의 사이드에서 각각 위치한 복수개의 파티션 플랜지로 구성되며, 상기 파티션 플랜지는 상기 제2 와인딩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주변 둘레로 연장된 위치결정 홈, 및 상기 위치결정 홈으로부터 상기 제2 와인딩을 안내하도록 역방향으로 2개의 대향면에서 상기 위치결정 홈으로부터 각각의 파티션 플랜지의 2개의 대향면에서 2개의 와인딩 홈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노치를 가진다.
보빈,페라이트코어세트,스페이서

Description

트랜스포머{TRANSFORM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용 2개의 보빈의 상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도
도 7은 종래의 트랜스포머의 분해도
도 8은 종래의 트랜스포머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빈 2 : 페라이트 코어 세트
3 :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 11 : 센터 통공
12 : 제1 사이드 13 : 제2 사이드
14 : 스페이서 21 :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
22 :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 31, 32 : 내부 돌출부
121 : 제1 와인딩 122 : 제1 단부 블럭
131 : 와인딩 홈 132 : 파티션 플랜지
133 : 위치결정 홈 134 : 제 2 와인딩
135 : 제2 단부 블럭 141 : 개구부
221 : 돌출부 1221, 1351 : 연계 혀
1222, 1352 : 연계 홈 1321 :상부 노치
1322 : 바닥 노치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제 2 와인딩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고, 제2 사이드에서 2개의 와인딩 홈 사이에서 전위 차이를 방지하는 개량된 구조의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하이 테크놀러지의 발전으로, TFT LCD, PDP, FDP 등과 같은 평편 패널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고, CRT 의 대체용으로서 시장에 나타나게 되었다. 현재로 LCD는 백라이트로서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s) 및 백라이트를 구동하기 위하여 인버터 회로를 사용한다. 그러나, 고전압 출력을 만족하기 위하여, 고전압 트랜스포머는 인버터와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큰 사이즈의 LCD 의 개발로 인하여, 백라이트용 CCFL의 사이즈 및 수가 매우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트랜 스포머용 구동 전압이 또한 증가된다.
이 목적으로 종래의 고전압 트랜스포머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빈(A) 및 페라이트 코어 세트(B)로 구성된다. 보빈(A)은 제1와인딩(A1) 및 제2와인딩(A2)을 가진다. 보빈(A)의 제2 사이드는 원하는 제 2 와인딩(A2)을 형성하도록 에나멜 와이어의 와인드을 위한 복수개의 와인딩 홈을 한정하는 복수개의 파티션 플랜지(A21)를 가진다. 비용을 고려하면, 상술한 종래의 고전압 트랜스포머는 병렬로 연결된 2개의 CCFL(C,D)을 구동하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2개의 CCFL(C,D) 사이에 임피던스 차이가 있기 때문에, 불균일한 션트 전류(I1, I2)는 각각 2개의 CCFL(C,D) 사이에 다른 밝기를 CCFL(C,D)로 전송되어, 결과적으로 2개의 CCFL(C,D) 사이에 다른 밝기를 가져온다. 더욱이, CCFL의 수가 증가될 때, 비교적 두꺼운 에나멜 와이어가 원하는 제 2 와인딩(A2)을 만들도록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2 와인딩(A2)용의 비교적 두꺼운 에나멜 와이어의 사용은 비교적 넓은 와인딩 공간을 요구하고, 고전압 트랜스포머를 더 크게 만들고, 고전압 트랜스포머의 비용은 휠씬 높아지게 된다.
이 적용으로 상술한 종래의 고전압 트랜스포머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1. 제2 와인딩(A2)용 에메날된 와이어의 와인딩 동안, 에메날된 와이어는 각각의 파티션 플랜지(A21) 상부로 연장되고, 전위 차이는 충전/방전 작동 동안 트랜스포머를 태우도록 아아크 효과가 발생될 수 있는 각각의 파티션 플랜지(A21) 둘레 영역에서 발생될 수 있다.
2. 각각의 파티션 플랜지(A21) 둘레 에나멜 와이어에서 전위 차이는 트랜스포머의 압력 저항을 약화시키고, 사용 수명을 단축시킨다.
그러므로,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빈의 제2 사이드의 파티션 플랜지는 제2 와인딩의 에나멜 와이어와 위치결정 홈의 상부 및 바닥면에서 상부 노치와 바닥 노치를 수용하기 위하여 위치결정 홈을 가지며, 에나멜 와이어의 리드 인 부분과 리드 아웃 부분을 분리하고, 전위 차이를 방지하고, 아아크 효과의 발생을 방지하며, 제2 와인딩의 에나멜 와이어는 각각의 파티션 플랜지의 위치결정 홈 둘레에 감기며, 인접한 와인딩 홈으로 각각의 파티션 플랜지의 상부 노치 또는 바닥 노치를 통하여 연장되어, 전위 차이 발생을 방지하고, 압력 저항력을 증가시켜, 트랜스포머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며, 하나의 단일 장방형 개구 프레임의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는 2개의 보빈과 2개의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와 함께 사용될 수 있어서, 2개의 독립 자기 통로를 형성하여, 2개의 독립 램프 튜브를 구동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일예로서,
2개의 단부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센터 통공과, 제1 사이드 및 상기 센터 통공 주위의 제2 사이드로 구성된 전기 절연 보빈과;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의 상기 제1 사이드 및 상기 제2 사이드에 각각 설치된 제1 와인딩 및 제2 와인딩; 및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의 2개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2개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의 센터 통공에 장착된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와, 상기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의 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전기 절연 보빈 외부에 배치된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로 구성된 페라이트 코어 세트로 구성된다.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의 제 2 사이드는 상기 제2 와인딩을 수용하도록 복수개의 와인딩 홈, 및 상기 와인딩 홈의 각각의 2개의 사이드에서 각각 위치한 복수개의 파티션 플랜지로 구성되며, 상기 파티션 플랜지는 상기 제2 와인딩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주변 둘레로 연장된 위치결정 홈, 및 상기 위치결정 홈으로부터 상기 제2 와인딩을 안내하도록 역방향으로 2개의 대향면에서 상기 위치결정 홈으로부터 각각의 파티션 플랜지의 2개의 대향면에서 2개의 와인딩 홈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노치를 가진다.
제2와인딩을 위한 보빈의 제2 사이드의 정열은 전위 차이 발생을 제거하고, 과 전압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트랜스포머의 다른 일예로서, 2개의 보빈과 페라이트 코어 세트로 구성된다. 페라이트 코어 세트는 연결 전기 절연 보빈의 2개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2개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의 각각의 센터 통공에 각각 장착된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와, 상기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의 각각의 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전기 절연 보빈 외부에 배치된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은 각각의 제1 사이드와 각각의 제2 사이드 사이에 있는 스페이서로 구성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각각의 전기 절연 보빈의 센터 통공과 연결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는 상기 2개의 전기 절연 보빈 둘레에 있는 개부 프레임 페라이트 코어 부재이며,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의 상기 스페이서의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와 접촉하도록 각각 삽입된 2개의 돌출부를 가진다.
더욱이, 2개의 보빈은 상기 제1 사이드의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단부 블럭과, 상기 제1 사이드로부터 먼 상기 제2 사이드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단부 블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 블럭은 연계 혀와 2개의 대향면에서 대칭으로 배치된 연계 홈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적어도 하나의 보빈(1)과 적어도 하나의 페라이트 코어 세트(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는 2개의 보빈(1)과 2개의 페라이트 코어 세트(2)로 구성된다.
각각의 보빈(1)은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며, 2개의 단부를 통하여 연장 된 길이방향 센터 통공(11), 길이방향 센터 통공(11)의 높이 아래에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단부 블럭(122), 길이방향 센터 통공(11)의 높이에서 다른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 단부 블럭(135), 제1 단부 블럭(122)과 제2 단부 블럭(135) 사이 주위 둘레에 구비된 제1 사이드(12) 및 제2 사이드(13), 및 제1 사이드(12)와 제2 사이드(13) 사이에 세팅된 스페이서(14)로 구성된다. 제2 사이드(13)는 와인딩 홈(131)을 분리하는 복수개의 파티션 플랜지(132)와 복수개의 와인딩 홈(131)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파티션 플랜지(132)는 주변 둘레로 연장된 위치결정 홈(133)과, 상부면에서 위치결정 홈(133)으로부터 횡방향 좌측으로 연장된 상부 노치(1321), 및 바닥면에서 위치결정 홈(133)으로부터 횡방향 우측으로 연장된 바닥 노치(1322)를가진다. 스페이스(14)는 길이방향 센터 통공(11)과 연통되는 개구부(141)를 가진다.
각각의 페라이트 코어 세트(2)는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21)와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22)로 구성된다.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22)는 일측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돌출부(221)를 가진다.
설치 동안, 에나멜 와이어는 제1 와인딩(121)을 형성하도록 제1 사이드(12) 둘레에 감기고, 에나멜 와이어는 제 2 와인딩(134)을 형성하도록 제2 사이드(13) 둘레에 감긴다. 제2 와인딩(134)용 에나멜 와이어는 와인딩 홈(131)의 하나 둘레에 감기고, 인접 파티션 플랜지(132)의 바닥 노치(1322)을 통하여 연장되고, 인접 파티션 플랜지(132)의 상부 노치(1321)을 통하여 다음 와인딩 홈(131) 내로 인접 파티션 플랜지(132)로부터 연장된다. 제2 와인딩(134)의 설치 후에, 제2 와인딩(134) 의 에나멜 와이어는 파티션 플랜지(132)의 주위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각각 페라이트 코어 세트(2)의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21)는 연결 보빈(1)의 길이방향 센터 통공(11)을 통하여 삽입되고, 각각의 페라이트 코어 세트(2)의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22)는 연결 보빈(1) 외부로 구비되어 돌출부(221)가 스페이서(14)의 개구부(141)를 통하여 연결 보빈(1)의 길이방향 센터 통공(11) 내로 삽입되게 하고,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21)와 접촉하게 된다.
사용시에, 자기 통로는 페라이트 코어 세트(2)를 통하여 생성된다.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22)의 돌출부에 의해서, 각각의 보빈(1)에서 제1 와인딩(121) 및 제2 와인딩(134)은 2중 자기 통로를 형성하여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22)의 돌출부(221)와 제2 와인딩(134) 사이에 인덕션이 트랜스포머의 누설 인덕턴스 및 커플링 효과를 증가시키고, 원하는 리소넌스를 달성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1)의 제2 사이드(13)의 파티션 플랜지(132)는 제2 와인딩(134)의 에나멜 와이어와 위치결정 홈(133)의 상부 및 바닥면에서 상부 노치(1321)와 바닥 노치(1322)를 수용하기 위하여 위치결정 홈(133)을 가지며, 에나멜 와이어의 리드 인 부분과 리드 아웃 부분을 분리하고, 각각 2개의 인접한 와인딩 홈(131) 사이에서 작은 간격을 넓히고, 전위 차이를 방지하고, 압력 저항력을 증가시켜, 트랜스포머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더욱이, 2개의 보빈(1)중 하나의 제1 단부 블럭(122) 및 제2 단부 블럭(135)은 연계 홈(1222, 1352)과 연계 혀(1221, 1351)에 의해서 다른 보빈(1)의 제1 단부 블럭(122) 및 제 2 단부 블럭(135)에 각각 연결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트랜스포머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는 병열로 연결된 2개의 보빈(1), 2개의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21), 및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3)로 구성된다. 2개의 보빈(1)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보빈과 동일하다. 2개의 제 1 페라이트 코어 부재(21)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와 동일하고, 보빈(1)의 길이방향 센터 통공(11)을 통하여 각각 삽입된다.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3)는 2개의 보빈(1) 둘레에 세팅되고,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21)의 단부와 접촉하여 배치된 장방형 개구 프레임이고, 2개의 내부 돌출부(31, 32)가 각각 보빈(1)의 스페이서(14)의 개구부(141)를 통하여 각각의 보빈(1)의 길이방향 센터 통공(11)내로 삽입되게 하여, 각각의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21)와 접촉된다. 그러므로, 2개의 보빈(1)은 2개의 자기 통로를 형성하고, 2개의 내부 돌출부(31, 32)는 각각의 와인딩과 함께 유도되어 누설 인덕턴스를 증가시키고, 트랜스포머의 커플링 효과를 증대시킨다. 더욱이, 2개의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21)는 이격되므로 서로 간섭하지 않는 2개의 독립 자기 통로를 형성하여, 트랜스포머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분리된 램프 튜브를 구동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트랜스포머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1. 보빈(1)의 제2 사이드(13)의 파티션 플랜지(132)는 제2 와인딩(134)의 에나멜 와이어와 위치결정 홈(133)의 상부 및 바닥면에서 상부 노치(1321)와 바닥 노 치(1322)를 수용하기 위하여 위치결정 홈(133)을 가지며, 에나멜 와이어의 리드 인 부분과 리드 아웃 부분을 분리하고, 전위 차이를 방지하고, 아아크 효과의 발생을 방지한다.
2. 제2 와인딩(134)의 에나멜 와이어는 각각의 파티션 플랜지(132)의 위치결정 홈(133) 둘레에 감기며, 인접한 와인딩 홈(13)으로 각각의 파티션 플랜지(132)의 상부 노치(1321) 또는 바닥 노치(1322)를 통하여 연장되어, 전위 차이 발생을 방지하고, 압력 저항력을 증가시켜, 트랜스포머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3. 하나의 단일 장방형 개구 프레임의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3)는 2개의 보빈(1)과 2개의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21)와 함께 사용될 수 있어서, 2개의 독립 자기 통로를 형성하여, 2개의 독립 램프 튜브를 구동할 수 있다.
트랜스포머의 전형은 도 1 내지 도 6의 특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트랜스포머는 상술한 모든 특징으로 잘 기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2개의 단부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센터 통공과, 제1 사이드 및 상기 센터 통공 주위의 제2 사이드로 구성된 전기 절연 보빈과;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의 상기 제1 사이드 및 상기 제2 사이드에 각각 설치된 제1 와인딩 및 제2 와인딩; 및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의 2개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2개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의 센터 통공에 장착된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와, 상기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의 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전기 절연 보빈 외부에 배치된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로 구성된 페라이트 코어 세트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의 제 2 사이드는 상기 제2 와인딩을 수용하도록 복수개의 와인딩 홈, 및 상기 와인딩 홈의 각각의 2개의 사이드에서 각각 위치한 복수개의 파티션 플랜지로 구성되며, 상기 파티션 플랜지는 상기 제2 와인딩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주변 둘레로 연장된 위치결정 홈, 및 상기 위치결정 홈으로부터 상기 제2 와인딩을 안내하도록 역방향으로 2개의 대향면에서 상기 위치결정 홈으로부터 각각의 파티션 플랜지의 2개의 대향면에서 2개의 와인딩 홈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노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2. 2개의 단부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센터 통공과, 제1 사이드 및 상기 센터 통공 주위의 제2 사이드로 구성된 2개의 전기 절연 보빈과;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의 상기 제1 사이드 및 상기 제2 사이드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제1 와인딩 및 제2 와인딩; 및
    상기 연결 전기 절연 보빈의 2개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2개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의 각각의 센터 통공에 각각 장착된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와, 상기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의 각각의 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전기 절연 보빈 외부에 배치된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로 구성된 페라이트 코어 세트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은 각각의 제1 사이드와 각각의 제2 사이드 사이에 있는 스페이서로 구성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각각의 전기 절연 보빈의 센터 통공과 연결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2 페라이트 코어 부재는 상기 2개의 전기 절연 보빈 둘레에 있는 개부 프레임 페라이트 코어 부재이며,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의 상기 스페이서의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제1 페라이트 코어 부재와 접촉하도록 각각 삽입된 2개의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 보빈은 상기 제1 사이드의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단부 블럭과, 상기 제1 사이드로부터 먼 상기 제2 사이드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단부 블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 블럭은 연계 혀와 2개의 대향면에서 대칭 으로 배치된 연계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KR2020060004061U 2006-02-14 2006-02-14 트랜스포머 KR200415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061U KR200415973Y1 (ko) 2006-02-14 2006-02-14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061U KR200415973Y1 (ko) 2006-02-14 2006-02-14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973Y1 true KR200415973Y1 (ko) 2006-05-09

Family

ID=4176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061U KR200415973Y1 (ko) 2006-02-14 2006-02-14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9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453B1 (ko) * 2013-10-08 2015-03-19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트랜스포머
CN110517870A (zh) * 2019-09-09 2019-11-29 苏州欧普照明有限公司 电感骨架、电感装置及灯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453B1 (ko) * 2013-10-08 2015-03-19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트랜스포머
CN110517870A (zh) * 2019-09-09 2019-11-29 苏州欧普照明有限公司 电感骨架、电感装置及灯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6413B2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3906405B2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US7456719B2 (en) Inverter transformer
US20070241853A1 (en) Transformer
KR100682385B1 (ko) 고압 트랜스포머
US7274282B2 (en) Transformer
US7365630B1 (en) Low magnetic leakage high voltage transformer
KR20090002902A (ko) 인버터 트랜스포머
JP2003068540A (ja) インバータ回路の変圧器
JP2004289141A (ja) 変圧器及びそれを応用したマルチランプの電圧供給回路
JP3388401B2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US7345567B2 (en) Inverter transformer
KR200415973Y1 (ko) 트랜스포머
JP2007335453A (ja) 高圧トランス
KR20040101697A (ko) 인버터용 변압기
US20060125591A1 (en) [high voltage transformer]
KR200415978Y1 (ko) 밸런스 트랜스포머
KR200381562Y1 (ko) 고전압 트랜스포머
JPH08124773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2006049460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2009170489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3120379U (ja) 高圧変圧器の構造
KR20030015957A (ko) 인버터 회로용 변압기
KR200324658Y1 (ko) 냉 음극관용 인버터를 구비한 변압기
KR100999095B1 (ko)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