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103Y1 - 패널 고정 프레임 - Google Patents

패널 고정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103Y1
KR200414103Y1 KR2020060002084U KR20060002084U KR200414103Y1 KR 200414103 Y1 KR200414103 Y1 KR 200414103Y1 KR 2020060002084 U KR2020060002084 U KR 2020060002084U KR 20060002084 U KR20060002084 U KR 20060002084U KR 200414103 Y1 KR200414103 Y1 KR 200414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xing frame
panel fixing
attachment surfa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택원
Original Assignee
임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택원 filed Critical 임택원
Priority to KR2020060002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1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패널 고정 프레임 유닛은, 부착면에 고정되어 패널이 부착되는 패널 고정 프레임에 있어서, 패널과 면접촉되는 패널접촉부; 부착면과 면접촉되는 부착면접촉부; 및 패널 고정 프레임과 부착면간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 조절부;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건물의 실내 벽면 등에 패널을 비숙련공에 의하여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설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규격화됨으로써 설치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버려지는 재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비숙련공에 의하여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패널, 벽지, 고정 프레임, 미장

Description

패널 고정 프레임 {Frame for fixing pane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패널 고정 프레임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고정 프레임의 수평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고정 프레임과 패널이 고정되는 제1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b는 제2 구조에 의한 패널 고정 프레임과 패널이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널 고정 프레임간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3 구조에 의한 패널 고정 프레임과 패널이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패널 고정 프레임 11 : 서브 프레임
11a, 111a : 패널접촉부 11b, 111b : 부착면접촉부
13 : 제2 연결핀 15, 151 : 연장부
15a, 151a : 요철부 19 : 수평조절부
16 : 제1 연결핀 P : 패널
W : 부착면
본 고안은 벽면 등에 패널과 같은 마감재를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를 할 수 있는 패널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건축에 사용되는 재료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철근과 콘크리트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콘크리트의 경우 인체에 유해한 라돈이 다량으로 방출되며 응결시 독한 냄새가 방출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의 실내 벽면 등에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하거나 미장을 위하여 벽지가 발라지거나 패널 등이 부착된다.
그러나, 실내 벽면 등에 벽지를 바르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준비하고 일일히 벽면에 맞게끔 벽지를 재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자에 의하여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따라서, 인건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현장에서 작업하는데 있어 쓰다 남은 벽지나 접착제를 처리하는데도 많은 불편이 있었다.
또한, 패널을 벽면 등에 부착하기 위하여 일일이 패널을 나사나 못으로 박아 서 벽면 등에 고정하여야 함으로써, 그 설치작업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패널을 해당 건물의 벽면에 맞게끔 재단하여야 함으로써 그 작업시간 및 쓰다 남은 패널 조각을 처리하는데도 많은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벽면 등에 패널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패널 고정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규격화됨으로써 현장에서 재단 등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패널 고정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패널 고정 프레임 유닛은, 부착면에 고정되어 패널이 부착되는 패널 고정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면접촉되는 패널접촉부; 상기 부착면과 면접촉되는 부착면접촉부; 및 상기 패널 고정 프레임과 부착면간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 조절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 조절부는, 상기 패널 고정 프레임상에 적어도 세 개 이상 형성되며, 패널 고정 프레임상에 형성되는 스크류공에 스크류결합되는 스크류의 스크류회전에 의하여 수평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 고정 프레임상에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착면접촉부 및 패널접촉부가 형성되며, 일측에 타 패널 고정 프레임이 선택적으로 고정 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핀에 의하여 양 패널 고정 프레임이 고정되거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패널 고정 프레임의 일단에, 그 길이 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패널접촉부 및 패널은 제2 연결핀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제2 연결핀은, 양방향 연결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접촉부의 패널 접촉면 측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패널의 패널접촉부와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돌기부가 가압되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패널 고정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고정 프레임의 수평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3a는 패널이 패널 고정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1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b는 패널이 패널 고정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2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고정 프레임간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패널이 패널 고정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3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패널 고정 프레임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패널 고정 프레임(10)은, 네개의 서브 프레임(11)이 직방형 을 이루도록 고정되며, 각 서브 프레임(11)의 단면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되는 요철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형상의 철부(11a)가 패널(P)과 면접촉되는 패널접촉부(11a)가 되며, 요부(11b)가 벽면 등과 같은 부착면(W)과 면접촉되는 부착면접촉부(11b)가 된다.
서브 프레임(11) 자체의 두께가 얇은 경우 휘어지거나 부착되는 패널의 하중에 의하여 변형되기 쉬우며, 두꺼운 경우 그 제조비용이 높아지거나 부착면(W)으로의 고정이 용이하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요철형상에 의하여, 부착면접촉부(11b)를 통하여 타카 등으로 간단하게 패널 고정 프레임(10)을 부착면(W)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패널접촉부(11a)와 부착면(W)이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2 연결핀(13)으로 패널(P)을 패널접촉부(11a)에 부착시킬 때 제2 연결핀(13)과 부착면(W)간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패널 고정 프레임의 부착면(W)에 대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그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제2 연결핀(13)은 양방향핀으로 되어 일측핀은 패널(P)에 고정되고 타측핀은 패널 고정 프레임(10)에 고정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널 고정 프레임(10)간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각 서브프레임(11)의 교차부에서 각 서브프레임(1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부(15)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구조에 의한 연장부(15)는 그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 요철부(15a)가 형성되며, 이와 연결되는 타 패널 고정 프레임의 연장부(151)에는 제1 요철부(15a)와 대응되는 제2 요철부(151a)가 형성된다. 즉, 제1 요철부(15a)의 요부에는 제2 요철부의 철부가 대응되며, 제1 요철부(15a)의 철부에는 제2 요철부(151a)의 요부가 대응됨으로써 양 패널 고정 프레임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양 패널 고정 프레임에 패널(P)이 부착될 때 상호간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각 서브프레임(11)은 2열로 구분되어 1열의 철부(11a)와 2열의 철부(111a)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구조에 의한 연장부(15)는 제1 연결핀(16)에 의하여 양 패널 고정 프레임이 연결된다. 따라서, 연장부(15)에는 제1 연결핀(16)이 삽입고정되는 홈(15c)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연결핀(16)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 조절부(19)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수평 조절부(19)에 의하여 부착면(W)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 타 패널 고정 프레임과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패널의 부착면이 평탄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수평 조절부(19)는 패널 고정 프레임(10)상에 적어도 세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패널 고정 프레임(10)이 안정적으로 부착면(W)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 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브프레임(11)의 교차부분에 형성된다.
수평 조절부(19)는 서브프레임(11)의 교차부분에 스크류 공(11c)이 형성되며, 스크류 공(11c)에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의 스크류 회전에 의하여 그 수평이 조절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가 풀리면 그 만큼 패널 고정 프레임이 부착면(W)으로부터 이격되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가 조이면 패널 고정 프레임이 부착면(W)과 밀착됨으로써 전체적인 패널 고정 프레임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평 조절된 상태를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스크류의 부착면(W)측은 부착면(W)과의 면접촉이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패널(P)이 패널 고정 프레임(10)에 부착되는 구조는, 상기한 양방향 연결핀(13)외에 패널접촉부(11a)에 돌기부(11d)가 형성되며 패널(P)의 패널접촉부측에는 돌기부(11d)가 가압되어 삽입될 수 있는 홈부(P1)가 형성된다.
이로써, 패널 고정 프레임(10)에 패널(P)을 가압하여 용이하게 패널(P)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11d)와 홈부(P1)의 형성위치는 달리하여도 즉, 돌기부가 패널측에 형성되고 홈부가 패널 고정 프레임측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P)의 일측이 패널 고정 프레임(10)에 힌지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벽면에 수납부가 형성된 경우 패널(P)을 힌지회전시켜 수납부를 개폐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건물의 실내 벽면 등에 패널을 비숙련공에 의하여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설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규격화됨으로써 설치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버려지는 재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비숙련공에 의하여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 고정 프레임이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벽면의 형상이나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벽면이 평탄하지 않는 경우에도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규격화됨으로써 현장에서 재단 등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패널 고정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널이 조립식으로 장착됨에 따라 차후 해체시 패널을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부착면에 고정되어 패널이 부착되는 패널 고정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면접촉되는 패널접촉부 및 상기 부착면과 면접촉되는 부착면접촉부가 형성되는 서브 프레임; 및
    상기 패널 고정 프레임과 부착면간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 조절부;를 포함하는 패널 고정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절부는, 상기 패널 고정 프레임상에 적어도 세 개 이상 형성되며,
    패널 고정 프레임상에 형성되는 스크류공에 스크류결합되는 스크류의 스크류회전에 의하여 수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고정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상에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착면접촉부 및 패널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고정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일측에 타 패널 고정 프레임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고정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핀에 의하여 양 패널 고정 프레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고정 프레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브 프레임의 일단에, 그 길이 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고정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접촉부 및 패널은 제2 연결핀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고정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핀은,
    양방향 연결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고정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접촉부의 패널 접촉면 측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패널의 패널접촉부와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돌기부가 가압되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고정 프레임.
KR2020060002084U 2006-01-24 2006-01-24 패널 고정 프레임 KR200414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084U KR200414103Y1 (ko) 2006-01-24 2006-01-24 패널 고정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084U KR200414103Y1 (ko) 2006-01-24 2006-01-24 패널 고정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103Y1 true KR200414103Y1 (ko) 2006-04-17

Family

ID=4176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084U KR200414103Y1 (ko) 2006-01-24 2006-01-24 패널 고정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1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211B1 (ko) 내/외장재 패널 및 그 시공방법
JP4953849B2 (ja) タイルパネル並びにそ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KR20090020294A (ko) 외장 석재 시공용 고정구
KR200414103Y1 (ko) 패널 고정 프레임
JP4962772B2 (ja) 壁面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前記取付構造に使用する壁面パネルと軟質部材
KR100656091B1 (ko) 중공 단면을 갖는 천장 몰딩재 및 이를 이용한 천장 몰딩재설치공법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102195951B1 (ko) 타일의 건식 시공방법 및 설치구조
JP4190390B2 (ja) 建物躯体へのパネル部材の取付構造
KR100756908B1 (ko) 석재 앙카용 지지장치
JP4678636B2 (ja) タイルパネルの固定施工方法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102116086B1 (ko) 타일의 건식 시공방법 및 설치구조
JPH0748914A (ja) 壁タイル支持具および壁タイル保持構造
DK201700079U4 (da) Falselement indstøbt i et betonelement
KR200304751Y1 (ko) 석고천장재용 형강구조
JPH0460041A (ja) 仕上げユニットパネル及びタイル貼りカーテンウォール
CN214885411U (zh) 一种建筑附墙脚手架的灵活固定件
KR100609473B1 (ko)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 고정장치
JP6591592B2 (ja) スレート波板改修用支持金具
KR200372505Y1 (ko) 시공이 간편한 건축용 판넬
JP2022041770A (ja) 壁面又は屋根の設置用ブラン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壁面又は屋根の設置工法
JP5077083B2 (ja) 建築用外壁の目地構造
KR100733578B1 (ko) 패널 고정 프레임
JP3050747B2 (ja) 床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