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473B1 -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473B1
KR100609473B1 KR1020040036938A KR20040036938A KR100609473B1 KR 100609473 B1 KR100609473 B1 KR 100609473B1 KR 1020040036938 A KR1020040036938 A KR 1020040036938A KR 20040036938 A KR20040036938 A KR 20040036938A KR 100609473 B1 KR100609473 B1 KR 100609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building exterior
stone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987A (ko
Inventor
지영화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지영화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영화, 김종성 filed Critical 지영화
Priority to KR102004003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47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04F13/073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for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pierc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 취부되는 석재(石材)등과 같은 소재의 건축 외장재가 외장재의 코너부가 고정용 패스너(Fastener)를 통하여 가일층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건축 외장재의 보수 및 교체가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건축 외장재에 가해지는 동하중(動荷重) 및 정하중(靜荷重)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한 건축 외장재 코너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건축 외장재(110)의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 배면으로 소정두께의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120)가 착설되며, 상기 건축 외장재(110)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배면에는 홀(130)이 천설되어 그 내부에는, 저부에 다수의 개구부(141)가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볼트 지지구(140)가 내삽되어 고정되고, 상기 건축 외장재(110)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의 결합부상에 단면이 직각으로 형성되는 고정용 패스너(150)의 일측면이 상기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의 배면에 도포된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120)와 접촉하여 착설토록 되며, 상기 고정용 패스너(150)와 일체로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의 배면에 고정되는 볼트 지지구(140) 내측으로 결합볼트(16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를 직각으로 고정토록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건축 외장재, 수직 및 수평석재, 볼트 지지구, 고정용 패스너

Description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 고정장치{A Corner Part Fastening Device of Building Outer Wall Ornamental}
도 1은 종래 건축 외장재의 고정을 위한 석재 고정구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 석재 고정구의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의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인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를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의 요부 개략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인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를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의 평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인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를 고정하는 건축 외장재 고정부의 다른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건축 외장재 110a,110b...수직 및 수평 석재
120...구조용 실리콘 접착재 130...홀
140,140'...볼트 지지구 141...개구부
150...고정용 패스너 160...결합볼트
170...접착재 유입홈 180...경사단부
200...나사부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 취부되는 석재(石材)등과 같은 소재의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Corner-Part)를 직각으로 형성되는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Fastener)를 통하여 손쉽고, 용이하게 고정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한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석재등과 같은 소재의 건축 외장재 배면으로 홀이 각각 천설되며, 상기 홀 내부에는 저부에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볼트 지지구가 내설된 후, 상기 건축 외장재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석재의 결합부상에 단면이 직각으로 형성되는 고정용 패스너가 작설되어 결합볼트로서 결합 고정토록 됨으로써, 고층건물에 취부되는 석재(石材)등과 같은 소재의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가 고정용 패스너(Fastener)를 통하여 가일층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건축 외장재의 보수 및 교체가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건축 외장재에 가해지는 동하중(動荷重) 및 정하중(靜荷重)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한 건축 외장재 코너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고층 건축물에 사용되는 건축 외장재에 있어서는, 건축 외장용 석재의 코너부 또는 상부 및 하부에 석재 지지용 금속구를 개재 하여 건물의 외벽에 상기 외장용 석재를 부착하며, 이때 상기 건축 외장용 석재에 형성되는 줄눈 사이에는 노출되는 석재 지지용 금속구의 노출에 따른 미감저하 및 외부로 부터의 우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감재로서 실리콘 등을 착설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건축 외장재를 고정하는 외벽판재 고정구에 있어서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0172037호에 알려져 있다.
즉,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석재(40)를 고정하는 고정구의 상,하부 그립띠(10)(20)는 상,하측 체결부(11)(12)의 선단부가 꺽여져서 상,하측 그립부(13)(14)를 형성하며, 상기 상기 상,하측 체결부(11)(12)를 체결볼트(30)로서 체결하는 한편, 상기 상,하부 그립띠(10)(20)로 구성되어 결합되는 석재(40) 사이의 줄눈(41)에는 실리콘등과 같은 마감재가 투입되어 경화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외벽판재 고정구는, 석재 외벽판재를 상,하부 그립띠(10)(20)를 이용하여 강하게 고정함으로써, 상기 석재 외벽판재가 이탈될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석재등과 같은 건축 외장재의 줄눈 메움용으로 사용되는 실리콘등은, 외부의 온도 및 우수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오염 및 노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인한 누수 및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고층건물의 외장적 가치를 크게 저하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같은 외벽판재 고정구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 부 그립띠(20)가 고정되는 연결구의 일단부가 건물 벽체와 결합볼트를 이용하여 단순히 결합함으로 인하여, 상기 건축 외장재의 보수 및 교체가 극히 어렵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층건물에 취부되는 석재(石材)등과 같은 소재의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가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 및 고정용 패스너(Fastener)를 통하여 가일층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건축 외장재의 보수 및 교체가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건축 외장재에 가해지는 동하중(動荷重) 및 정하중(靜荷重)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건축 외장재 코너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석재등과 같은 소재의 수직 및 수평으로 연설되는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석재의 배면으로 일정두께 도포되는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
상기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가 도포된 건축 외장재의 수직 및 수평석재 배면에 홀이 각각 천설되며, 상기 홀 내부에는 저부에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내설되는 볼트 지지구;
상기 건축 외장재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석재의 결합부상에 단면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상기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와 접촉하여 착설토록 설치되는 고정용 패스너; 및
상기 고정용 패스너와 일체로 수직 및 수평석재의 배면에 고정되는 볼트 지지구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수직 및 수평석재를 직각으로 고정토록 고정용 패스너 배면에 설치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코너부 고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축 외장재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 석재를 지지 고정토록 그 배면에 직각으로 착설되는 고정용 패스너는 그 저부에 접착재 유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패스너의 수직 및 수평 일측에는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의 유입을 위하여 경사진 경사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의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인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를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의 요부 개략 구조도 및 평면 구조도로서, 석재등과 같은 소재의 건축 외장재(110)의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 배면으로 소정두께의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120)가 착설되며, 또한 상기 건축 외장재(110)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배면에는 홀(130)이 천설된다.
또한, 상기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 배면에 각각 형성되는 홀(130)의 내부에는, 저부에 다수의 개구부(141)가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볼트 지지구(140)가 긴말하게 내삽되어 고정되고, 상기 건축 외장재(110)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의 결합부상에 단면이 직각으로 형성되는 고정용 패스너(150)의 일측면이 상기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의 배면에 도포된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120)와 접촉하여 착설토록 된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용 패스너(150)와 일체로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의 배면에 고정되는 볼트 지지구(140) 내측으로 결합볼트(16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를 직각으로 고정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 배면에 각각 형성되는 홀(130)의 내부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부에 나사부(200)가 형성되는 볼트 지지구(140')가 내삽된 후, 상기 볼트 지지구(140') 내부에 에폭시 레진(Resin)이 주입되고, 상기 볼트 지지구(140')의 나사부(200)에 고정용 패스너(150)와 일체로 결합볼트(160)가 체결되어 에폭시 레진의 경화에 의해 결합볼트(160)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건축 외장재(110)의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를 지지하여 고정토록 그 배면에 직각으로 착설되는 고정용 패스너(150)는 그 저부에 접착재 유입홈(17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패스너(150)의 수직 및 수평 일측에는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120)의 유입을 위하여 경사진 경사단부(180)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석재등과 같은 소재의 건축 외장재(110)를 고층건물의 금속 구조물에 부착하여 고정시킬 경우, 상기 건축 외장재(110)의 코너부를 구성하는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의 배면으로 드릴을 이용하여 홀(130)을 천설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의 배면에 소정두께의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120)를 도포시킨다.
상기와같이, 건축 외장재(110)의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 배면에 각각 형성되는 홀(130)의 내부에는, 저부에 다수의 개구부(141)가 형성되는 원통상의 볼트 지지구(140)가 내삽되어 고정되는 상태에서, 상기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의 결합부상에 단면이 직각으로 형성되는 고정용 패스너(150)가 착설된다.
상기 고정용 패스너(1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전면(前面)이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의 배면에 도포된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120)와 접촉하여 착설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패스너(150)에 체결되는 결합볼트(160)의 하단부가 상기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의 배면에 삽입된 볼트 지지구(140)의 내측 나사부와 체결되어 상기 고정용 패스너(150)가 건축 외장재(110) 코너부에 가일층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용 패스너(150)와 일체로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의 배면에 고정되는 볼트 지지구(140) 내측으로 결합볼트(160)의 일단부가 삽입될 때, 상기 볼트 지지구(140)의 하단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부(141)는 상기 결합볼트의 삽입에 의해 벌어지게 되면서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의 홀 내부에 견고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 배면에 각각 형성되는 홀(130)의 내측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부에 나사부(200)가 형성되는 볼트 지지구(140')가 1차로 내삽되어 고정된 후, 상기 볼트 지지구(140') 내부에 에폭시 레진(Resin)이 주입되고, 재차 상기 볼트 지지구(140')의 나사부(200)에 고정용 패스너(150)와 일체로 결합볼트(160)가 체결되어 상기 에폭시 레진의 경화에 의해 결합볼트(160)가 손쉽고, 용이하게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축 외장재(110)의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를 지지하여 고정토록 그 배면에 직각으로 착설되는 고정용 패스너(150)는, 그 저부에 접착재 유입홈(17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패스너(150)의 수직 및 수평 일측에는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120)의 유입을 위하여 경사진 경사단부(18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착재 유입홈(170) 및 경사단부(180) 내측으로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120)가 유입되어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의 배면에 고정용 패스너(150)가 가일층 견고한 상태로 착설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건축 외장재 코너부 고정장치에 의하면, 고층건물에 취부되는 석재등과 같은 소재의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가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 및 고정용 패스너를 통하여 가일층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건축 외장재의 보수 및 교체가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건축 외장재에 가해지는 동하중 및 정하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석재등과 같은 소재의 수직 및 수평으로 연설되는 건축 외장재(110)의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의 배면으로 일정두께 도포되는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120);
    상기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120)가 도포된 건축 외장재(110)의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 배면에 홀(130)이 각각 천설되며, 상기 홀(130) 내부에는 저부에 다수의 개구부(141)가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내설되는 볼트 지지구(140);
    상기 건축 외장재(110)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의 결합부상에 단면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상기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120)와 접촉하여 착설토록 설치되는 고정용 패스너(150); 및
    상기 고정용 패스너(150)와 일체로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의 배면에 고정되는 볼트 지지구(140)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수직 및 수평석재(110a)(110b)를 직각으로 고정토록 고정용 패스너(150) 배면에 설치되는 결합볼트(1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코너부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외장재(110)의 코너부인 수직 및 수평 석재 (110a)(110b)를 지지하여 고정토록 그 배면에 직각으로 착설되는 고정용 패스너(150)는 그 저부에 접착재 유입홈(17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패스너(150)의 수직 및 수평 일측에는 구조용 실리콘 접착재(120)의 유입을 위하여 경사진 경사단부(1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코너부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및 수평 석재(110a)(110b) 배면에 각각 형성되는 홀(130)의 내부에는, 내부에 나사부(200)가 형성되는 볼트 지지구(140')가 내삽되어 고정되고, 상기 볼트 지지구(140') 내부에 에폭시 레진이 주입되어 이에 고정용 패스너(150)와 일체로 결합볼트(160)가 체결되어 에폭시 레진의 경화에 의해 결합 고정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코너부 고정장치.
KR1020040036938A 2004-05-24 2004-05-24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 고정장치 KR100609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938A KR100609473B1 (ko) 2004-05-24 2004-05-24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938A KR100609473B1 (ko) 2004-05-24 2004-05-24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 고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425U Division KR200358613Y1 (ko) 2004-05-24 2004-05-24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987A KR20050111987A (ko) 2005-11-29
KR100609473B1 true KR100609473B1 (ko) 2006-08-10

Family

ID=37287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938A KR100609473B1 (ko) 2004-05-24 2004-05-24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3576A (zh) * 2018-12-25 2019-03-01 杨义生 背侧式饰面墙板钩挂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0609U (ja) 1983-03-09 1984-09-20 新日軽株式会社 外装材の取付装置
JPH0565754A (ja) * 1991-09-05 1993-03-19 Shimizu Corp 締結金物による支持部材への石材の取り付け方法
JPH084134A (ja) * 1994-06-21 1996-01-09 Kyowa:Kk 目地シール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目地シール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0609U (ja) 1983-03-09 1984-09-20 新日軽株式会社 外装材の取付装置
JPH0565754A (ja) * 1991-09-05 1993-03-19 Shimizu Corp 締結金物による支持部材への石材の取り付け方法
JPH084134A (ja) * 1994-06-21 1996-01-09 Kyowa:Kk 目地シール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目地シール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987A (ko) 200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7389B2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耐力面材を使用した壁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0751487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2123459B1 (ko) 건축 외장용 기능성 판넬
KR100525196B1 (ko)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
KR20100128190A (ko) 건축 외장벽체 고정장치
KR100609473B1 (ko)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 고정장치
KR20070107944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0609472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0358613Y1 (ko)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 고정장치
KR200421884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20010081489A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KR20100040420A (ko) 건축물 벽체용 내,외장재 설치구조
KR100525194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0421886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연결장치
KR100609471B1 (ko) 건축 외장재 조립장치
KR20060023020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0609475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0373283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0421885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KR100525195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0609474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0696616B1 (ko) 건축 외장재 상부 고정장치
KR101377647B1 (ko) 건축물 외장재 결합장치
KR200358616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