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928Y1 - 자동 무채 절단기구 - Google Patents

자동 무채 절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928Y1
KR200413928Y1 KR2020060001589U KR20060001589U KR200413928Y1 KR 200413928 Y1 KR200413928 Y1 KR 200413928Y1 KR 2020060001589 U KR2020060001589 U KR 2020060001589U KR 20060001589 U KR20060001589 U KR 20060001589U KR 200413928 Y1 KR200413928 Y1 KR 200413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sh
cutting
motor
main bod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호
Original Assignee
박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호 filed Critical 박준호
Priority to KR2020060001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9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9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26D1/0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R)를 채 형태로 절단하는 기구에 관련되며, 본체(10), 기어부(21)(22), 무로딩핀(30), 이송스크류(40), 절단수단(50), 검출수단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체(10)는 일측면에 장착홈(11)과 슬라이드홈(12)을 개재하여 구비하고, 내부에 스위치(S)의 온/오프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15)를 구비한다. 기어부(21)(22)는 본체(10)의 내부에 개재하여 장착하고, 모터(15)의 구동에 따라 회전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무로딩핀(30)은 피동기어(22)의 회전축(22a)상에 베벨기어(35)를 개재하여 장착하고, 상기 회전축(22a)과 일체화되게 형성되면서 무를 꽂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송스크류(40)는 피동기어(22)의 회전축(22a)에 직교하면서 베벨기어(35)에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베벨기어(45)를 구비하고, 안내봉(41)과 함께 연계하여 간헐적으로 이송력을 전달한다. 절단수단(50)은 이송스크류(40)의 안내봉(41)에 거치되게 슬라이드판(51)을 개재하여 장착하고, 상기 이송스크류(40)의 회전으로 안내봉(41)을 타고 이송하여 무로딩핀(30)에 꽂혀진 무(R)를 자동으로 두번 썰어 무채를 만든다. 검출수단은 절단수단(50)의 위치이동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검출하여 모터(15)의 구동력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종래처럼 칼이나 채를 이용한 수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무를 준비하고 스위치만 누르면 자동으로 원하는 양만큼의 무채가 생성됨에 따라 조작이 용이하고 작업성과 함께 생산성이 증대되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균일한 품질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등 그 편의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채, 자동, 절단, 절단수단, 검출수단, 작업성, 생산성, 품질

Description

자동 무채 절단기구{The automatic making in a radish shreds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무채 절단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무채 절단기구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무채 절단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무채 절단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자동 무채 절단기구 10: 본체 15: 모터
21,22: 기어부 30: 무로딩핀 25,45: 베벨기어
40: 이송스크류 41: 안내봉 50: 절단수단
51: 슬라이드판 53,54:제1,2칼날부 61: 작동도그
65: 리미트스위치 R: 무 S: 스위치
본 고안은 무를 채 형태로 자동 절단하는 절단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를 준비하고 스위치만 누르면 자동으로 원하는 양만큼의 무채가 생성됨에 따라 조작이 용이하고 작업성과 함께 생산성이 증대되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 을 뿐만 아니라, 보다 균일한 품질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등 그 편의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자동 무채 절단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채는 가정집에서 각종 김치를 담그는데 보조재료로 사용되거나 회(膾)집 등에서 무를 일정한 두께로 가늘게 절삭한 것을 지칭한다. 특히, 회집에서는 생선회를 만들어 접시에 담을 때 그 바닥에는 무채를 먼저 올려놓는데, 이는 생선회에 함유된 생선지방(EPA, DHA 등)은 산소와 궁합이 잘 맞아 육류지방에 비해 산화가 무척 빠르고 일단 산화하면 EPA와 DHA의 기능이 상실될 뿐 아니라 도리어 몸에 해로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채는 바로 이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바, 즉 무채에 듬뿍 함유된 비타민C는 이들 영양소의 산화를 예방하고 염분을 흡수하며 항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무채는 통상 가정에서는 그 사용량이 많지 않아 주부들이 직접 무를 칼이나 채칼을 이용하여 수작업에 의존하게 된다. 그러나 동시에 많은 주문을 처리해야 하는 김치공장 및 회집과 같은 음식점 등에서 이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종업원의 노동이 배가로 인하여 무채를 만드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면서 생산성이 저하시키게 되고 그렇다고 종업원의 수를 늘이면 수익성이 저하되므로 부적절하다.
더불어 무채의 수동 생산에 따른 불편함은 물론 그 대량 생산 자체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무채를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대량의 썰기 작업에 의한 결과물은 크기나 모양이 균일성이 없어 요리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를 준비하고 스위치만 누르면 자동으로 원하는 양만큼의 무채가 생성됨에 따라 조작이 용이하고 작업성과 함께 생산성이 증대되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균일한 품질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등 그 편의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자동 무채 절단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무(R)를 채 형태로 절단하는 기구에 있어서: 일측면에 장착홈(11)과 슬라이드홈(12)을 개재하여 구비하고, 내부에 스위치(S)의 온/오프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15)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개재하여 장착하고, 모터(15)의 구동에 따라 회전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하는 기어부(21)(22); 상기 피동기어(22)의 회전축(22a)상에 베벨기어(35)를 개재하여 장착하고, 상기 회전축(22a)과 일체화되게 형성되면서 무를 꽂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무로딩핀(30); 상기 피동기어(22)의 회전축(22a)에 직교하면서 베벨기어(35)에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베벨기어(45)를 구비하고, 안내봉(41)과 함께 연계하여 간헐적으로 이송력을 전달하는 이송스크류(40); 상기 이송스크류(40)의 안내봉(41)에 거치되게 슬라이드판(51)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상기 이송스크류(40)의 회전으로 안내봉(41)을 타고 이송하여 무로딩핀(30)에 꽂혀진 무(R)를 자동으로 두번 썰어 무채를 만드는 절단수단(50); 및 상기 절단수단(50)의 위치이동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검출하여 모터(15)의 구동력을 정지시키는 검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절단수단(50)은 이송스크류(40)에 맞물리는 나사부(51a)를 형성시킨 슬라이드판(51)과, 상기 슬라이드판(51)과 일체화되면서 본체(10)의 슬라이드홈(12)을 따라 이송하는 칼날프레임(52)과, 상기 칼날프레임(52)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시켜 무(R)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제1칼날부(53)와, 상기 칼날프레임(52)에 수평으로 안착되게 고정시켜 제1칼날부(53)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절단되는 무를 일정길이의 간격으로 절단하여 무채를 만들도록 이루어진 제2칼날부(54)를 더 구비한다.
또한, 검출수단은 슬라이드판(51)의 일측에 고정되는 작동도그(61)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도그(61)에 대응하도록 행정거리상에 위치하면서 모터(15)의 구동을 정지시켜 무 절단을 중지하는 리미트스위치(65)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무채 절단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무채 절단기구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무채 절단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무(R)를 채 형태로 절단하는 기구에 관련되며, 특히 본 고안의 자동 무채 절단기구(1)는 무를 준비하고 스위치만 누르면 자동으로 원하는 양만큼의 무채가 생성되어 조작이 용이하고 작업성과 함께 생산성이 증대되고 균일한 품질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본체(10)는 일측면에 장착홈(11)과 슬라이드홈(12)을 개재하 여 구비하고, 내부에 스위치(S)의 온/오프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15)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각종의 주요 구성품을 탑재하는 바, 즉 본체(10), 기어부(21)(22), 무로딩핀(30), 이송스크류(40), 절단수단(50), 검출수단을 지닌다. 본체(10)는 일측면에 장착홈(11)과 슬라이드홈(12)이 각각 구비되는 바, 장착홈(11)은 도 2처럼 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무로딩핀(30)을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하고, 슬라이드홈(12)은 장착홈(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절단수단(50)의 슬라이드판(51)이 외부로 돌출되게 각각 장착된다. 본체(10)는 도 1내지 도 2처럼 내부에 위치하게 모터(15)가 탑재되고, 이를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S)의 온 스위칭동작에 따라 모터(2)를 구동시킨다.
이때, 미 설명된 도면부호 16은 전기용량을 얻기 위한 콘덴서(condenser)를 나타낸 것이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기어부(21)(22)는 본체(10)의 내부에 개재하여 장착하고, 모터(15)의 구동에 따라 회전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기어부(21)(22)는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모터(1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바, 구동기어(21)는 모터(15)의 샤프트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동심상에 설치된다. 피동기어(22)는 구동기어(21)와 서로 치합되어 감속 회전한다. 이에 따라, 모터(15)의 구동에 따라 서로 맞물려 있는 구동기어(21)와 피동기어(22)가 회전연동을 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무로딩핀(30)은 피동기어(22)의 회전축(22a)상에 베벨기어(35)를 개재하여 장착하고, 상기 회전축(22a)과 일체화되게 형성되면서 무를 꽂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무로딩핀(30)은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R)의 꽂힘은 물론 그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 형상의 쐐기형태로 형성되고, 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홈(1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무로딩핀(30)은 피동기어(22)의 회전축(22a)과 일체화되게 형성되어 이와 동시에 회전 연동한다. 이외에도, 피동기어(22)는 회전축(22a)상에 베벨기어(35)를 개재하여 장착하여 후술하는 이송스크류(40)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베벨기어(45)와 서로 치합되어 회전 연동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송스크류(40)는 피동기어(22)의 회전축(22a)에 직교하면서 베벨기어(35)에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베벨기어(45)를 구비하고, 안내봉(41)과 함께 연계하여 간헐적으로 이송력을 전달한다. 이송스크류(40)는 도 1내지 도 2처럼 피동기어(22)의 회전축(22a)과 서로 직교하게 설치되고, 베벨기어(45)를 통해 간헐적으로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이송스크류(40)는 일측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베벨기어(45)가 피동기어(22)의 회전축(22a)의 중앙부에 형성된 베벨기어(35)와 맞물려 있는 바, 상기 회전축(22a) 및 베벨기어(35)의 회전에 따라 베벨기어(45)가 회전하여 이송스크류(40)를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이송스크류(340)는 안내봉(41)과 함께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절단수단(50)은 이송스크류(40)의 안내봉(41)에 거치되게 슬라이드판(51)을 개재하여 장착하고, 상기 이송스크류(40)의 회전으로 안내봉(41)을 타고 이송하여 무로딩핀(30)에 꽂혀진 무(R)를 자동으로 두번 썰어 무채를 만든다. 절단수단(50)은 도 1내지 도 2처럼 무로딩핀(30)에 꽂혀진 무(R)를 자 동으로 두번 썰어 무채를 만드는 역할을 수행한다. 절단수단(50)은 무로딩핀(30)과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는데, 이송스크류(40)의 안내봉(41)에 거치되도록 슬라이드판(51)을 장착하고, 이송스크류(40)의 회전으로 안내봉(41)을 타고 무로딩핀(30)이 설치된 방향으로 전진하여 이송한다.
이때, 절단수단(50)은 슬라이드판(51)과, 칼날프레임(52), 제1칼날부(53) 및 제2칼날부(54)를 구비하는 바, 슬라이드판(51)은 도 1의 확대도처럼 이송스크류(40)에 맞물리는 나사부(51a)를 형성하고, 칼날프레임(52)은 슬라이드판(51)과 일체화되면서 본체(10)의 슬라이드홈(12)을 따라 이송한다. 제1칼날부(53)는 칼날프레임(52)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시켜 무(R)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고, 제2칼날부(54)는 칼날프레임(52)에 수평으로 안착되게 고정시켜 제1칼날부(53)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절단되는 무를 일정길이의 간격으로 절단하여 무채를 만들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제2칼날부(54)는 무(R)를 무채로 형성하는 주된 역할을 수행하는 바, 도 3처럼 다수의 칼날(54a)과 그 사이에 간격유지판(54b)을 고정봉(미 도면부호)을 통해 장착한 상태에서 너트를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미 설명된 도면부호 54a는 제2칼날부(54)를 형성하면서 실질적으로 무(R)를 절단하는 칼날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54b는 다수의 칼날(54a)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하는 간격유지판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검출수단은 절단수단(50)의 위치이동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검출하여 모터(15)의 구동력을 정지시킨다. 검출수단은 슬라이드판 (51)의 일측에 고정되는 작동도그(61)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도그(61)에 대응하도록 행정거리상에 위치하면서 모터(15)의 구동을 정지시켜 무 절단을 중지하는 리미트스위치(65)를 더 구비한다. 도 1과 도 2처럼 작동도그(61)는 슬라이드판(51)의 일측면에 고정하고, 리미트스위치(65)는 작동도그(61)에 대응하는 본체(10)내의 프레임상에 고정한다. 리미트스위치(65)는 특성상 작동도그(61)와 비접촉 방식으로 신호를 검출하도록 리미트스위치(65)의 사이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물론 리미트스위치(65)는 모터(15)의 입력부에 결선되어 구동상태를 결정한다.
즉, 검출수단은 모터(15)의 구동으로 기어부(21)(22)가 회전하고, 피동기어(22)의 회전축(22a)과 연결된 베벨기어(35)(45)가 회전하여 이송스크류(40)를 회전한다. 이송스크류(40)는 슬라이드판(51)의 나사부(51a)와 서로 맞물림으로 안내봉(41)을 타고 무로딩핀(30)이 설치된 방향으로 전진하여 이송한다. 이어서, 슬라이드판(51)의 전진으로 무로딩핀(30)과 근접하면, 작동도그(61)도 함께 이송하여 리미트스위치(65)에 의해 접점의 스위칭동작을 하게 되는 바, 이러한 접점동작에 따라 리미트스위치(65)는 모터(15)의 구동을 정지시켜 본 고안 각 구성요소들의 회전이 정지하면서 무로딩핀(30)에 꽂혀진 무의 자동절단이 중지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무채 절단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통하여 작동에 있어서 우선, 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무로딩핀(30)에 무(R)를 꽂는다. 이때, 도 4b처럼 무로딩핀(30)에 꽂혀진 무(R)를 자동으로 동시에 두번 썰어 무채를 만드는 절단수단(50)을 일정경사각으로 든 상태에서 도 1의 무로딩핀(30)으로부터 후진시킨다. 이는, 절단수단(50)은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드판(51)과 외부에 위치하는 칼날프레임(52)이 일체화되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프레임(52)을 일정경사각으로 들어올리면 나사부(51a)가 이송스크류(40)로부터 그 맞물림이 해제됨에 따라 절단수단(50)의 후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본체(10)의 외부에 스위치(S)를 온 스위칭동작시키면, 스위치(S)의 온 스위칭동작에 따라 내부에 설치된 모터(15)가 구동하고, 모터(15)의 구동으로 서로 맞물려 있는 기어부(21)(22)가 회전한다. 이때 피동기어(22)의 회전축(22a)의 회전으로 베벨기어(35)도 함께 회전함에 따라 이와 동시에 베벨기어(45)가 회전하여 이송스크류(40)를 회전하고 안내봉(41)과 함께 연계 작동한다. 한편, 피동기어(22)의 회전축(22a)과 일체화되게 형성된 무로딩핀(30)도 이와 동시에 회전 연동한다.
이어서, 이송스크류(40)는 슬라이드판(51)의 나사부(51a)와 서로 맞물림으로 안내봉(41)을 타고 무로딩핀(30)이 설치된 방향으로 전진하여 이송하고, 이와 더불어 슬라이드판(51)과 일체화된 칼날프레임(52)도 함께 전진동작을 하게 되고, 칼날프레임(52)의 전진동작에 따라 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제1칼날부(53)와 수평방향으로 얹혀져 있는 제2칼날부(54)는 무로딩핀(30)에 꽂혀진 무(R)를 자동으로 동시에 두번 썰어 무채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프레임(52)에 결합된 제1칼날부(53)는 칼날프레임(52)의 전진동작에 따라 무로딩핀(30)에 꽂혀지면서 회전이 이루어진 무 (R)를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자동 절단하고, 제1칼날부(53)위에 위치한 제2칼날부(54)는 제1칼날부(53)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자동 절단된 무(R)를 일정길이의 간격으로 자동 절단시켜 무채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절단수단(50)의 전진동작으로 무로딩핀(30)에 꽂혀진 무(R)를 썰어 무채의 절단이 완료될 경우에, 즉 슬라이드판(51)의 전진이 무로딩핀(30)과 근접하면 작동도그(61)도 함께 이송하여 리미트스위치(65)에 의해 접점의 스위칭동작을 하게 되는 바, 이러한 접점동작에 따라 리미트스위치(65)는 모터(15)의 구동을 정지시켜 본 고안 각 구성요소들의 회전이 정지하면서 무로딩핀(30)에 꽂혀진 무의 자동 절단이 중지된다.
한편, 전진이 이루어진 절단수단(5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시 수동적인 들어올림에 의해 그 후진이 가능한 바, 무로딩핀(30)에 다시 새로운 무(R)를 꽂고 스위치(S)를 조작하여 모터(15)를 구동시키면,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무를 자동으로 썰면서 무채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 무채 절단기구(1)는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조작이 용이하고, 무를 무로딩핀(30)에 꽂은 상태에서 스위치(S)만 누르면 절단수단(50)을 통해 자동으로 원하는 양만큼의 무채가 생성되어 작업성과 함께 종래처럼 칼이나 채를 이용한 수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생산성이 증대되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균일한 품질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등 그 편의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 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처럼 칼이나 채를 이용한 수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무를 준비하고 스위치만 누르면 자동으로 원하는 양만큼의 무채가 생성됨에 따라 조작이 용이하고 작업성과 함께 생산성이 증대되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균일한 품질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등 그 편의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R)를 채 형태로 절단하는 기구에 있어서:
    일측면에 장착홈(11)과 슬라이드홈(12)을 개재하여 구비하고, 내부에 스위치(S)의 온/오프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15)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개재하여 장착하고, 모터(15)의 구동에 따라 회전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하는 기어부(21)(22);
    상기 피동기어(22)의 회전축(22a)상에 베벨기어(35)를 개재하여 장착하고, 상기 회전축(22a)과 일체화되게 형성되면서 무를 꽂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무로딩핀(30);
    상기 피동기어(22)의 회전축(22a)에 직교하면서 베벨기어(35)에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베벨기어(45)를 구비하고, 안내봉(41)과 함께 연계하여 간헐적으로 이송력을 전달하는 이송스크류(40);
    상기 이송스크류(40)의 안내봉(41)에 거치되게 슬라이드판(51)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상기 이송스크류(40)의 회전으로 안내봉(41)을 타고 이송하여 무로딩핀(30)에 꽂혀진 무(R)를 자동으로 두번 썰어 무채를 만드는 절단수단(50); 및
    상기 절단수단(50)의 위치이동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검출하여 모터(15)의 구동력을 정지시키는 검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무채 절단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50)은 이송스크류(40)에 맞물리는 나사부(51a)를 형성시킨 슬라이드판(51)과, 상기 슬라이드판(51)과 일체화되면서 본체(10)의 슬라이드홈(12)을 따라 이송하는 칼날프레임(52)과, 상기 칼날프레임(52)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시켜 무(R)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제1칼날부(53)와, 상기 칼날프레임(52)에 수평으로 안착되게 고정시켜 제1칼날부(53)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절단되는 무를 일정길이의 간격으로 절단하여 무채를 만들도록 이루어진 제2칼날부(5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무채 절단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슬라이드판(51)의 일측에 고정되는 작동도그(61)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도그(61)에 대응하도록 행정거리상에 위치하면서 모터(15)의 구동을 정지시켜 무 절단을 중지하는 리미트스위치(6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무채 절단기구.
KR2020060001589U 2006-01-18 2006-01-18 자동 무채 절단기구 KR200413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589U KR200413928Y1 (ko) 2006-01-18 2006-01-18 자동 무채 절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589U KR200413928Y1 (ko) 2006-01-18 2006-01-18 자동 무채 절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928Y1 true KR200413928Y1 (ko) 2006-04-12

Family

ID=4176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589U KR200413928Y1 (ko) 2006-01-18 2006-01-18 자동 무채 절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9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361B1 (ko) * 2015-08-06 2017-06-27 오정호 무쌈 제조용 커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361B1 (ko) * 2015-08-06 2017-06-27 오정호 무쌈 제조용 커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079628U (zh) 直线切割机
CN102069383A (zh) 裁边、卷边、压边一体化整形系统
KR200413928Y1 (ko) 자동 무채 절단기구
US10906015B2 (en) Transmission mechanism suitable for double rotating paint mixing machine
KR101744675B1 (ko) 쪽대의 절곡부 브이 커팅장치
CN215438594U (zh) 一种自动化生产线用高效自动卸料装置
CN202336894U (zh) 纸张切割机
CN215237354U (zh) 一种垫圈生产的送料装置
CN214079609U (zh) 一种滚齿机用工件夹装机构
CN211465782U (zh) 一种玻璃钢制品生产用边角打磨装置
CN212096734U (zh) 一种高效节能的木材旋切机的切断机构
JP4162908B2 (ja) 穿孔装置
CN210968305U (zh) 一种五金锯条的除锈打磨装置
CN214265715U (zh) 一种带有收集废料装置的切纸机
CN108297157B (zh) 一种宠物食品切削装置
CN202318408U (zh) 纸张切割机
KR101806014B1 (ko) 슬로팅 머신의 램 행정거리 자동 조정장치
CN219006889U (zh) 一种自动切铣水口一体机构及自动切铣水口一体化机器
CN219617895U (zh) 一种双主机海绵圆盘切割机
CN217256878U (zh) 一种双端公母榫送料机构
CN114790647B (zh) 一种裁剪设备及其裁剪装置
CN220840389U (zh) 一种电容膜切机
CN218836234U (zh) 一种钢材切割装置
CN215657241U (zh) 一种具有自动卸料功能的冲床
CN215302742U (zh) 一种推料结构、送料装置以及斜切肉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