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599Y1 - Flooding frames used to restore natural ecosystems - Google Patents

Flooding frames used to restore natural eco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599Y1
KR200413599Y1 KR2020060002337U KR20060002337U KR200413599Y1 KR 200413599 Y1 KR200413599 Y1 KR 200413599Y1 KR 2020060002337 U KR2020060002337 U KR 2020060002337U KR 20060002337 U KR20060002337 U KR 20060002337U KR 200413599 Y1 KR200413599 Y1 KR 200413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ood
binder
floo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3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2020060002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59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59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의 저수로 호안부에 설치하여 수로의 침하를 방지하여 주면서 동시에 생태계도 보호 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침수 방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석축을 이용하여 수로를 구축하여 주었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시멘트 블록을 이용하여 수로를 구축하여 줌으로서 생태계의 파괴를 초래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ding frame provided to protect the ecosystem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settlement of the waterway by installing in the riverbank water reservoir. In the past, the waterway was constructed using the stonework, and another method caused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by constructing the waterway using the cement block.

또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침수 방틀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들이 목재를 방부 처리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목재가 썩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방부처리 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약품들이 하천의 오염을 가중 시켜주는 중대한 결점들이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flooding frame used in the prior art by using the wood preservative treatment used to prevent the wood from rotting, the chemicals used in the process of embalming to increase the pollution of the river there was a significant defect.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임(5)을 콘크리트 몰탈(3)을 이용하여 가공 할 때에 성형틀(미도시)의 좌측 일단과 타측일단부에 수지 또는 금속 재질등으로 구성는 결합핀(2)과 결합되어 있는 결합제(1)를 안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 (3)를 거푸집의 내부에 타설하여 준 후 양생이 이루어지는 일정한 시간이 흐른 상태에서 나무 또는 나무 결 문양 또는 석재의 문양등으로 표현되어 있는 미장 마감재(4)를 프레임(5)의 코너에 안치되어 있는 결합제(1)와 접착 시켜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프레임(5)의 외부가 나무 또는 나무결 문양 또는 석재의 형태가 프레임[5]에 표현되도록 침수방틀을 구성하는 것에 관한 고안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se problems, when the frame 5 is processed using a concrete mortar (3), the coupling pin (2) composed of a resin or a metal material at the left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olding die (not shown) (2). ) After placing concrete mortar (3) inside the formwork with the binder (1) attached to it), it is expressed as a pattern of wood or wood texture or stone in a state where curing takes place. The exterior of the frame 5 is expressed in the form of wood or wood grain or stone using the method of bonding the plaster finish 4 to the binder 1 placed at the corner of the frame 5. It is devised to construct the flooding frame whenever possible.

본 고안에 의해 만들어지는 침수방틀의 프레임은 예시도 2와 같이 시멘트 된 후레임(5)을 수평의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연결하되, 수직 방향으로 연결기둥(6)을 세운 상태에서 연결보울트(7)로 연결하도록 하며, 각 후레임(5)간에는 틈새(8)가 형성되도록 하고, 후레임(5)으로 둘러싸인 부분에는 식생 공간부(9)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The frame of the submerged frame made b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rame (5) cemented frame 5 to cros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2, with the connecting bolt (6)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connecting bolt (7) It is to be connected, and each frame (5) between the gap (8) is formed, and the portion surrounded by the frame (5) is to be formed in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9).

침수 방틀 Flooded room

Description

자연 생태계를 복원 할 때에 사용하는 침수 방틀{!}Flooding frames used to restore natural ecosystems {!}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침수 방틀의 구성부재인 프레임의 단면을 표현한 단면사시도,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a frame that is a constituent member of an immers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침수 방틀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merged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결합제, 2 -결합핀,1-binder, 2-binding pin,

3 - 콘크리트 몰탈 4 - 외부마감재3-concrete mortar 4-exterior finish

5 - 프레임 6 - 연결 기둥5-frame 6-connecting column

7 - 연결 볼트 너트 8 - 프레임과 프레임의 공간틈새7-connecting bolt nut 8-clearance between frame and frame

9. 식생 공간부 55. 어소9. Vegetation space department 55.

본 고안은 하천의 저수로의 호안부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 하면서 동시에 하천 생태계를 자연형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침수 방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연형 하천을 복원하기 위하여 하천의 수로를 구불구불하게 수로를 변형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줄 경우에 급류의 충격완화 및 수로부분의 침식을 방지하여주는 작용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침수 방틀의 내부에 적층되는 자갈들이 어류들과 파충류들의 안식처 역할을 하여 줌으로서 자연 생태계를 복원하여 주는 환경친화적인 작용효과를 발휘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침수 방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undation frame installed to restore the river ecosystem to the natural type while preventing the breakdown of the lake's reservoir to collapse. In particular, the water channel of the river is meandered in order to restore the natural river. When installed in the place of transformation, it acts to alleviate the impact of the rapids and prevent the erosion of the waterway part, and at the same time, the gravel stacked inside the flooding frame serves as a haven for fish and reptiles. It is about flooding frame that is configured to exert environmentally friendly effect.

종래의 호안용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수로를 축조하여 주게 되면 식물의 뿌리들이 자랄 수 있는 생육 공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식물들이 자랄 수 없게 되고, 빗물의 침투를 막아줌으로 인하여 홍수를 유발하면서 동시에 하천의 범람을 유발하여 주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다.When the waterway is constructed by using a conventional lakeside concrete block, the plants cannot grow due to the lack of growth space for the roots of the plants to grow, and cause flooding by preventing the infiltration of rainwater. There was a serious flaw causing flooding.

콘크리트로 인한 식생대가 제거됨으로 인하여 식물종 자체의 감소는 물론 연쇄적으로 물고기와 같은 어류들과 조류들과 파충류와 수서 곤충류 들의 서식 기반을 손상시키게 되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다.The elimination of vegetation zones caused by concrete has not only reduced the plant species itself but also seriously damaged the habitat base of fish and birds such as fish, birds, reptiles and aquatic insects.

또한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호안 블록들은 하천수 또는 빗물이 토양층에 스며드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주기 때문에 자연 하천의 천변부의 식생지대를 건조화 시키고, 또한 천변식생공간들이 제공하는 그늘들이 사라짐으로 인하여 수온의 변화를 가져옴과 동시에 수중에 서식하는 저서생물들과, 어류들의 자연적인 서식처 및 산란처로서의 기능들을 상실하게 되면서 수로 주위의 식생지 주변에서 먹이 사슬을 유지하면서 서식하는 생물들의 사슬고리가 차단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raft blocks made of concrete block river water or rainwater from infiltrating the soil layer, the vegetation zone of the natural riverside is dried, and the water temperature changes due to the disappearance of the shade provided by the celestial vegetation space.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hains of the benthic creatures that live in the water, the natural habitats and the spawning sites of the fish, and the chains of the inhabiting organisms were blocked while maintaining the food chain around the vegetation around the waterway.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후레임의 외부에 미관이 아름다운 외부 마감재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외부를 마감하여 주는 기술을 이용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 할 수가 있는 미관이 수려한 침수 방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conventional drawbacks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provided at a low price by using a technology that finishes the outside of the frame by using a beautiful exterior finish on the exterior of the frame made of concret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eautiful flooding framework.

이상과 같은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콘크리트 몰탈(3)로 구성되는 프레임(5)의 외부에 나무 또는 나무 결 모양 또는 석재의 문양을 표현하고 있는 외부 마감재(4)를 결합제(1)와 결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만든 프레임(5)을 이용하여 가로 설치되는 프레임(5)과 연결기둥(6)을 순차적으로 교차되도록 결합하여 상부의 프레임과 하부의 후레임 간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유지되는 틈새[8]가 만들어지도록 하고, 후레임[5]의 내부에 식생공간부[9]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며, 각 후레임[5]과 연결기둥[6]은 연결보울트[7]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the binder (1) and the outer finishing material (4) expressing the pattern of wood or wood grain or stone on the outside of the frame (5) consisting of concrete mortar (3) By using the frame (5) made by using a combination method to horizontally install the frame 5 and the connecting column (6) to intersect in order to intersect the gap maintain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rame of the upper and the lower frame [ 8] is made, and the vegetation space part [9] is formed inside the frame [5], and each frame [5] and the connecting column [6] are connected continuously using a connecting bolt [7]. It is.

이러한 과정을 두고 구성되는 프레임[5]을 제조하기 위하여 성형틀[미도시]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결합제[1]에 결합핀[2]을 부착하여 안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준 후 일정한 시간동안 양생의 과정을 거친 상태의 프레임[5]에 부착되어 있는 결합제[1]에 미관이 수려한 상태로 표현되어 있는 외부 마감재[4]를 부착하여 주는 것을 본 고안이 주요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In order to manufacture the frame [5] formed by such a process in a state in which the binding pin [2] is attached to the binder [1]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or a triangle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olding frame [not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the external finishing material [4], which is expressed in a beautiful state, to the binder [1] attached to the frame [5] in the state of curing after pouring concrete mortar for a certain time. This is a major technical problem.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콘크리트 몰탈로 구성되는 후레임(5)을 수평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연결하되 수직 방향으로 연결기둥(6)을 세운 상태에서 연결보울트(7)로 수평 상태 를 유지하고 있는 프레임(5)과 결합하여 연결하도록 하며, 각 후레임(5)간에는 틈새(8)가 형성되도록 하고, 후레임(5)으로 둘러싸인 내부의 공간부분에는 식생공간부(9)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design is connected to the frame (5) which is connected to the frame (5) consisting of concrete mortar so as to cros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with the connecting bolt (7) while the connecting column (6)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aps 8 are formed between the frames 5, and the vegetation space 9 is naturally formed in the inner space portion surrounded by the frames 5.

예시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침수 방틀의 구성부재인 프레임의 단면을 표현한 단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침수 방틀의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frame that is a constituent member of an immersion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mmersion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지시부호1은 프레임의 외부에 부착되는 외부마감재와 결합 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합제를 도시한다, 결합제의 형태는 통상적으로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지만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어느 한 가지 모양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결합제[1]의 일면이 결합핀[2]과 결합되어 성형틀[미도시]의 일측과 타측에 안치 된 상태에서 돌출되어 구성되어 있는 결합핀[2]이 콘크리트 몰탈[3]과 결합된다, 지시부호2는 결합제의 일면과 결합되는 결합핀을 도시한다, 지시부호3은 결합핀과 결합되는 콘크리트 몰탈을 도시하며, 지시부호 4는 콘크리트 몰탈로 구성되는 프레임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안치되어 있는 결합제와 결합되는 외부마감재를 도시하는데 통상적으로 비닐계통의 수지 또는 프라스틱 계통의 수지등으로 구성되며 표면 부분이 나무 또는 나무결의 문양 또는 석재의 문양으로 표현되어 있다, 지시부호 5는 콘크리트 몰탈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도시하고, 지시부호 6은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의 형태로서 외부마감재로 마감되어 있는 연결 기둥을 도시하고, 지시부호 7은 연결 볼트와 너트를 총칭한다, 지시부호 8은 프레임과 프레임의 공간틈새를 도시하고, 지시부호 9은 자연석 또는 돌덩이들을 채워주는 식생공간부를 도시하고,지시부호 55는 파충류 또는 어류들이 서식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어소를 도시한다.Reference numeral 1 shows a binder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external finishing material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the form of the binder is usual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quare or triangle, but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one shape, the coupling pin [2] is formed in which one surface of the binder [1] is combined with the coupling pin [2] to protrude in the state sett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olding frame [not shown] In combination with mortar [3], the designator 2 shows the binding pin which is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binder, the designator 3 shows the concrete mortar which is combined with the binding pin, and the designator 4 designates the It shows the outer finishing material combined with the binder plac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usually composed of a vinyl resin or plastic resin The surface part is represented by a pattern of wood or wood grain or a pattern of stone. The designation 5 shows a frame composed of concrete mortar, and the designation 6 is a frame composed of concrete, which is finished with an external finishing material. Reference numeral 7 denotes the connecting bolt and the nut, reference numeral 8 shows the frame and the space clearance of the frame, reference numeral 9 shows the vegetation space part to fill the natural stone or stone, Reference numeral 55 denotes a fishery provided for reptiles or fish.

이상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침수 방틀이 제조되는 순서는 다음 같다.The order in which the submerged frame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수지 또는 목재 또는 철재의 재료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형태로 구비되는 결합제[1]에 철재 또는 수지들로 구성되는 결합핀[2]이 부착됨과 함께 이상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결합제[1]가 성형틀[미도시]의 내부 일측과 타측 코너에 안치됨과 동시에 성형틀에는 콘크리트 몰탈[3]이 투입되어 프레임[5]이 1차 성형 되는 과정과 1차 성형된 프레임[5]이 양생되는 과정과 양생이 완료된 프레임[5]에 비닐 수지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어 표면부에 나무 또는 나무 결 문양 또는 석재 문양이 표현되어 있는 외부마감재[4]를 프레임[5]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결합제[1]에 부착시켜주는 과정과 프레임[5]의 일단부 마감재 부분[56]과 타단부 마감재 부분[57]에 외부마감재[4]를 또다시 부착하여주는 과정을 통하여 프레임[5]을 제조하여주는 기술을 이용하여 침수 방틀의 주요 구성부재인 프레임[5]의 구조가 완성된다, 이러한 제조과정을 통하여 연결 기둥[6]의 구조가 프레임[5]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다.The binder [1]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molded while the binding pin [2] consisting of steel or resin is attached to the binder [1] provided in a triangular form using a resin or wood or iron material. In addition, the mortar [3] is put into the mold and the frame [5] is primaryly molded and the primary molded frame [5] is cured. A binder [4]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5] with an external finish [4] composed of vinyl resin or plastic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rame [5], where wood or wood grain patterns or stone patterns are expressed on the surface. ] To manufacture the frame [5] through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external finish material [4] to the one end finish part [56] and the other end finish part [57] of the frame [5]. Immersion room using technology The main components the structure of the frame [5] The member is completed,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pillar [6] through this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et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rame [5].

프레임[5]과 연결 기둥[6]에 구성되는 연결보울트 체결용 구멍은 프레임과 연결기둥을 제조 할 때에 자연적으로 구성 시켜주는 구조이며 외부 마감재에 구성되어야 하는 연결 보울트 체결용 구멍 또한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타공하여 주면 연결 보울트 구멍이 용이하게 구성이 된다.The connection bolt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frame [5] and the connecting column [6] is a structure that is naturally formed when manufacturing the frame and the connection column, and a connection bolt fastening hole which should be formed in an external finishing material is also known. If a simple punching is used, the connection bolt hole is easily constructed.

이러한 과정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프레임[5]과 연결기둥은 도2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 또는 또 다른 형태로 결합 하여 줄 수가 있는 것임으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도2에 도시된 형태의 침수 방틀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frame [5] and the connection column made by using this process can be combined in the form shown in FIG. 2 or in another form. It is not limited.

지시부호 55인 어소의 형태는 프레임[5]을 제조 할 때에 사전에 성형 되어 있는 어소를 프레임 성형틀에 삽입하여 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어소의 형상을 성형 하여 줄 수가 있는 것이다.The form of the constituent, which i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55,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by inserting the preformed constituent into the frame forming frame when manufacturing the frame [5].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침수 방틀은 하천의 저수로에 설치하여 주게 되면 하천의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하천수들이 침수 방틀에 부딪히면서 용존 산소를 증가 시켜주는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침수방틀의 내부에서 수중식물들이 자랄 수 있고, 후레임과 후레임의 틈새사이로 하천수들이 자연스럽게 통과할 수 있어서 수서생물들과 물고기들의 서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자연적이 먹이 사슬의 단계를 복원하여주는 작용을 발휘하여 준다.When the flooding barrier manufactured through this process is installed in the reservoir of the river, the streams flowing from the upstream of the stream collide with the flooding barrier to increase dissolved oxygen and at the same time, the underwater plants It can grow and naturally flow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making it easy to inhabit aquatic organisms and fish, thus restoring natural food chain steps.

본 고안에 적용되는 결합제의 형태를 ㄴ 자의 형태 또는 ㅁ 자의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하여 줄 수가 있는 것임으로 결합제의 형태를 변형하여 구성한것 모두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It is natural that the form of the bind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the form of the letter b or the form of the letter k, so that all of the forms of the binder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결합제와 접착 또는 결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마감재와 접착 또는 결합하는 방법과 그 재질 또한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 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이러한 설계변경 또한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In addition, by using a method of bonding or bonding with the binder and the method of bonding or bonding with the external finishing material and its material can also be used in various modifications, such a design change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결합제와 결합되는 결합핀의 구성방법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 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이러한 설계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In addition, the method of construction of the binding pin coupled to the binder can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modifications, such a design change is a natura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콘크리트 몰탈로 구성되는 후레임(5)과 연결기둥(6)의 외부가 미관이 수려한 나무 또는 나무결의 문양 또는 석재의 문양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형 하천을 자연적으로 복원하여 주는 작용효과가 있다.This design has the effect of restoring natural streams naturally because the exterior of frame (5) and connecting pillar (6) composed of concrete mortar expresses the pattern of wood or wood grain or the pattern of stone with beautiful beauty. have.

종래에 사용 되오 던 목재를 이용한 침수 방틀들은 쉽게 부식이 되면서 방부 약품들이 하천을 오히려 오염 시켜주는 결점들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침수 방틀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일시에 해소하여주는 작용 효과가 있다.Although the flooding frames using wood used in the prior art are easily corroded, there are drawbacks that the preservatives pollute the rivers, but the flooding fram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solving these problems at one time.

또한 침수 방틀의 상단에 부직포를 포설한 후 일정량의 흙을 도포한 후 그곳에 갈대와 같은 수생식물들을 심을 경우에 침수 방틀의 내부 식생공간부에 채워져 있는 자갈의 표면부분에는 음지가 자연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미생물의 부착이 용이해 지게 되고 음지가 자연적으로 조성되기 때문에 수서곤충들과 양서류들과 물고기들의 서식이 용이해 지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식생공간부에 채워져 있는 자갈들 간의 자연적인 접촉에 의해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nonwoven fabric is placed on the top of the submerged frame, and a certain amount of soil is applied, and when aquatic plants such as reed are planted there, the shade is natural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ravel filled in the inner vegetation space of the submerged frame. Since the attachment of microorganisms is facilitated and the shade is naturally formed,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habitat of aquatic insects, amphibians and fish.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ter quality is naturally purified by natural contact between the gravel filled in the vegetation space.

Claims (1)

콘크리트 몰탈 후레임(5)을 수평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연결하되, 수직 방향으로 연결기둥(6)을 개재시켜 연결보울트(7)로 연결하도록 하며, 각 후레임(5)간에는 틈새(8)가 형성되도록 하고, 후레임(5)으로 둘러싸인 부분에는 식생공간부(9)가 형성되도록 구성 한 침수 방틀에 있어서; Connect the concrete mortar frame (5) to cros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connect the connection bolt (7) through the connecting column (6)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gap (8) is formed between each frame (5). In the submerged frame configured to form a vegetation space portion 9 is surrounded by a frame (5); 수지 또는 목재 또는 금속의 재료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형태로 구비되는 결합제[1]에 철재 또는 수지들로 구성되는 결합핀[2]이 부착됨과 함께 이상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결합제[1]가 성형틀[미도시]의 내부 일측과 타측 코너에 안치됨과 동시에 성형틀에는 콘크리트 몰탈[3]이 투입되어 프레임[5]이 1차 성형 되는 과정과 1차 성형된 프레임[5]이 양생되는 과정과 양생이 완료된 프레임[5]에 비닐 수지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어 표면부에 나무 또는 나무 결 문양 또는 석재 문양이 표현되어 있는 외부마감재[4]를 프레임[5]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결합제[1]에 부착시켜주는 과정과 프레임[5]의 일단부 마감재 부분[56]과 타단부 마감재 부분[57]에 외부마감재[4]를 또다시 부착하여주는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프레임[5]과 연결 기둥[6]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자연생태계를 복원 할 때에 사용하는 침수방틀A binder [1]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molded together with a bonding pin [2] made of steel or resin to a binder [1] provided in a triangular form using a resin or wood or metal material. In addition, the mortar [3] is put into the mold and the frame [5] is primaryly molded and the primary molded frame [5] is cured. A binder [4]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5] with an external finish [4] composed of vinyl resin or plastic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rame [5], where wood or wood grain patterns or stone patterns are expressed on the surface. And the frame [5] made by attaching the external finish [4] to one end finish part [56] and the other end finish part [57] of the frame [5]. Texture using column [6] Flooded when used to restore the natural ecosystem bangteul
KR2020060002337U 2006-01-25 2006-01-25 Flooding frames used to restore natural ecosystems KR20041359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337U KR200413599Y1 (en) 2006-01-25 2006-01-25 Flooding frames used to restore natural eco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337U KR200413599Y1 (en) 2006-01-25 2006-01-25 Flooding frames used to restore natural ecosystem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979A Division KR100675346B1 (en) 2006-01-25 2006-01-25 Flooding frames used to restore natural eco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599Y1 true KR200413599Y1 (en) 2006-04-07

Family

ID=4176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337U KR200413599Y1 (en) 2006-01-25 2006-01-25 Flooding frames used to restore natural eco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59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420B1 (en) Structure and composition use concrete block
JP3927170B2 (en) Side groove block structure
KR100479351B1 (en) Water purification case with functional ceramics
KR101053880B1 (en) Improvement structure of free fall hole or beam using geotexti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160882B1 (en) Construction method using environmental affinity type bank
KR100773764B1 (en) Manufacturing of fish way block using artificial rock
KR200413599Y1 (en) Flooding frames used to restore natural ecosystems
KR100750386B1 (en) Dam concrete injection method
KR100627039B1 (en) River wall block that flowerpot style plant lives
US2010032747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watercourse blocks continuously arranged on the spot
KR100675346B1 (en) Flooding frames used to restore natural ecosystems
CN215482055U (en) Waterproof construction in mirror surface waterscape tree pool
KR200403455Y1 (en) Block for plants
KR101059140B1 (en) Gabion Leg with Gabion
JP2511775Y2 (en) Firefly larva habitation concrete waterway
KR100753775B1 (en) Slope protection block with environmental conformity for vegetation
KR200250958Y1 (en) Framework for protecting banks from flood water
KR200303587Y1 (en) Embankment block
KR200418683Y1 (en) Mode of life block
CN109356095B (en) Ecological structure of renovating of pile-up type channel
CN113430994A (en) Ecological concrete revetment structure for urban river bank slope improvement
KR100392506B1 (en) ecology block
JP2005282287A (en) Water passage type fishpass block
CN208981265U (en) A kind of fence wall bank protection structure living
KR200195533Y1 (en) Framework for protecting banks from flood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