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392Y1 - 염장생선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염장생선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392Y1
KR200413392Y1 KR2020060001325U KR20060001325U KR200413392Y1 KR 200413392 Y1 KR200413392 Y1 KR 200413392Y1 KR 2020060001325 U KR2020060001325 U KR 2020060001325U KR 20060001325 U KR20060001325 U KR 20060001325U KR 200413392 Y1 KR200413392 Y1 KR 200413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alted fish
foot
opening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세
Original Assignee
종세무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세무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종세무역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1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3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8Applications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염장생선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판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며 개구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깊이의 단턱이 형성된 상자와; 상기 상자의 내면에 위치하며 상기 상자의 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스 팩 수용실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구획벽과; 상기 단턱에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구획벽에 올려져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통풍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르면, 굴비나 과메기 등과 같은 염장생선을 최종 목적지까지 진열상태의 흩트려짐이 없이 이송할 수 있으며, 냉기를 통풍발의 상하에서 공급함으로써 신선도 유지를 좋게 하여 상품성을 잃지 않도록 함으로써 선물을 주는 사람의 성의까지도 전달 할 수 있는 이점과 더불어, 제조 작업공정의 축소로 인해 부자재 비용, 인건비 절감 및 생산량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는 염장생선 포장상자가 제공된다.
염장생선 포장, 염장생선 포장상자, 굴비포장

Description

염장생선 포장상자{packing box for preserve with sal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염장생선 포장상자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염장생선 포장상자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염장생선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염장생선 포장상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자 20 : 상자본체
21 : 하부판 23 : 측면판
25 : 개구 27 : 단턱
29 : 통풍구 29a : 통풍구
30 : 구획벽 40 : 통풍발
50 : 아이스 팩 수용실 60 : 고정부재
70 : 손잡이부재 80 : 플랜지부재
100 : 아이스 팩 300 : 단열공간
본 고안은, 굴비나 과메기 등과 같은 염장건조 생선 등을 포장·전시 및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염장생선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스 팩을 수용하여 염장생선의 진열상태가 흩트려짐이 없이 신선도를 유지시켜 상품의 고급화를 추구하는 함과 아울러, 상자를 제조할 때 작업공정의 축소를 꾀할 수 있어 부자재비용 및 인건비를 절감함으로써 생산량 증대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염장생선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비나 과메기 등과 같은 염장건조 생선 등을 포장·전시 및 운반할 때에는 포장상자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굴비의 포장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굴비를 다섯 마리씩 엮어놓은 한 쌍을 한 두루미로 하여 단위포장을 한다. 이러한 한 두루미를 통상적으로 등바구니에 담아서 진열 포장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등바구니는, 두 가지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상부가 개구된 등바구니와, 등바구니의 내부에 수용되는 아이스 팩과, 아이스 팩 위에 올려지는 발을 포함하는 제 1안의 등바구니이며, 나머지 하나는 상부가 개구된 등바구니와, 등바구니의 내부에 수용되는 아이스 팩과, 아이스 팩의 상부에 올려지며 하부면이 개구된 형상을 갖고 종이로 형성된 접이상자와, 그리고 발을 포함하는 제 2안의 등바구니이다.
물론 제 1 및 제 2안의 등바구니는 마무리포장 할 때 상기와 같은 등바구니를 속상자로 한 후, 그 외부에 스티로폼 또는 우드락으로 된 박스나 가방 등에 담아서 최종 포장을 완성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제 1안의 등바구니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등바구니에 올려지는 발이 단순히 중앙에 위치하는 하나의 아이스 팩 위에 올려진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특히 발이 개구에서 고정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발 위에 굴비를 진열, 랩으로 감싼 후 진열상태로 포장을 하면 배달도중 등바구니의 흔들림으로 인해 내부에 수용된 아이스 팩이 등바구니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기우려지면 발이 등바구니 내부에서 좌우측으로 기울어져 염장생선의 진열상태가 흩트려져 상품성을 잃는 단점과 아울러 아이스 팩이 해동되어 부피가 줄면 발이 유동되어 역시 염장생선의 진열상태가 흩트려져 상품성을 잃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제 2안의 등바구니는, 종이로서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접어 형성되는 접이상자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모서리 4부분을 일정 간격으로 접어 테이프와 스테이플러로 고정하고, 그 안에 아이스 팩을 넣어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때문에 진열을 위한 보기 좋음과, 가져가기에는 큰 불편함이 없었으나, 운반 도중에 아이스 팩에서 나온 수분으로 인해 종이상자가 젖고, 이로 인해 테이프와 스테이플러 핀으로 고정시킨 모서리 부분이 터져 결국 종이상자가 형상을 잃고 주저앉고 마는 현상이 발생하여 소비자가 포장상자를 열면 내용물인 염장생선이 뒤섞여 파손되거나 또는 상품성을 잃게 됨으로서 받아보는 사람 측에서는 식상을 느끼게 되며, 더욱이 선물용도로 보내 질 경우에는 오히려 선물을 하고도 상대방이 불쾌감을 가질 수 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등바구니는 제조 작업공정에서도 인력으로 일일이 종이상자를 접고, 테이프와 스테이플러로 모서리를 고정하여, 그 안에는 아이스 팩 을 넣고, 또 종이상자 위에 발을 놓으며 그 발 위에 굴비를 담아서 출고되는 공정을 가지게 됨으로서 부자재비용 및 인건비가 상승되는 폐단과 아울러 생산량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제 1∼2 안에 따른 염장생선 포장상자는 냉기가 통풍발의 저면에서 상측 즉 생선의 저면부분으로만 전달되는 한편 생선의 상부면으로는 냉기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어서 생선의 상부면이 부분적으로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굴비나 과메기 등의 염장생선이 최종 목적지까지 신선도를 유지하고 최초 진열상태를 흩트려짐이 없이 유지하여 상품성을 잃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제조 작업공정의 축소로 인해 부자재 비용, 인건비 절감 및 생산량 극대화를 꾀할 수 있는 염장생선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염장생선 포장상자에 있어서, 하부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판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며 개구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깊이의 단턱이 형성된 상자와; 상기 상자의 내면에 위치하며 상기 상자의 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스 팩 수용실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구획벽과; 상기 단턱에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구획벽에 올려져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통풍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장생선 포장상자에 의해 달성된 다.
여기서, 상기 통풍발은 상기 개구를 이루는 하나의 면에 형성된 단턱에 일측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은 상기 발의 어느 일측면에 발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마련한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상자는 상기 개구의 외면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상자의 외벽보다 외측을 향하여 소정 폭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포장상자는 상기 포장상자를 이루는 측면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 통풍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염장생선 포장상자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염장생선 포장상자의 조립상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염장생선의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장생선 포장상자(10)는, 상자본체(20)와 구획벽(30)과 통풍발(40)과 플랜지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상자본체(20)는, 하부판(21) 및 하나 이상의 측면판(23)으로 구성되며 상부에 개구(25)가 형성되도록 소정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재질은 가볍고 형상 및 기밀유지가 좋은 목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상자본체(20)는 목재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형상 또한 직사각형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상자본체(20)의 개구(25)를 이루는 내측 가장자리에는 소정 깊이로 단턱(27)을 형성하여 통풍발(40)의 가장자리 부분이 올려져 지지되도록 하고 있는데 여기서 통풍발(40)은 대나무를 얇게 켜서 발 형태로 엮어 만든 것으로서 상하 통풍성이 좋다.
한편, 상자본체(20)의 내면 중앙에는 상자(10)의 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스 팩(100)을 수용하는 아이스 팩 수용실(50)로 구획하는 구획벽(30)을 설치하고 있는데, 상기 구획벽(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아이스 팩 수용실(50)을 하나 이상으로 구획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통풍발(40)은 상자(10) 개구(25)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단턱(27)과 구획벽(30)에 올려져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짐이 없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개구(25)를 개폐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통풍발(40)의 어느 일측은, 고정부재(60)에 의해 개구(25)를 이루는 면에 형성된 단턱(27)면에 고정되는데 여기서 고정부재(60)는 스테이플러 핀과 못 또는 테이프 및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통풍발(40)은 어느 일측만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통풍발(40)의 일측에는 손잡이부재(70)를 마련하고 있어서 고정부재(60)에 의해 어느 일측이 고정된 통풍발(40)은 손잡이부재(70)를 잡고 들어 올리면 어느 일측 만이 들 어 올려진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상자(10) 즉 상자본체(20)는 개구(25)의 외면 가장자리 영역에 상자본체(20)의 외벽보다 외측을 향하여 소정 폭 돌출된 형상의 플랜지부재(80)를 형성하고 있어서 상자(10)를 마무리포장 할 때 상자(10)를 속상자로 한 후, 그 외부에 스티로폼 또는 우드락으로 된 박스나 가방(200) 등에 담겨져 단열공간(300)을 형성하는 한편 단열공간은 냉기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상자(10)를 이루는 측면판(2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통풍구(29)를 형성함으로써 팩수용실(50)에 수용된 아이스 팩(100)의 냉기가 통풍발(40)의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통풍구(29)의 냉기가 단열공간(300)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통풍발(40) 위에 놓인 염장생선(1)을 신선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염장생선 포장상자(10)를 이용하여 염장생선을 포장할 때에는, 통풍발(40)의 손잡이부재(70)를 잡고 통풍발(40)의 일측을 들어 올리면 통풍발(40)의 일측면이 고정부재(60)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측만이 들어 올려진다.
이 때, 포장자는 아이스 팩 수용실(50)에 아이스 팩(100)을 넣은 후 다시 통풍발(40)로 개구(25)를 폐쇄한다. 그러면 통풍발(40)은 개구(25)의 내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턱(27)과 구획벽(30)에 의해 개구(25)에서 기우려짐이 없이 수평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포장자는 염장생선(1)을 포장발(40) 위에 가지런하게 염장생선 을 올릴 수 있다.
그런 후 통풍발(40) 위에 진열된 염장생선(1)을 랩(도시치 않음)으로 감싸 진열상태로 포장을 완료한 후 스티로폼 또는 우드락으로 된 박스나 가방(200) 등에 담아 최종 포장을 완성한다.
이렇게 하면 아이스 팩 수용실(50)에 수용된 아니스 팩(100)이 해동되어 최초의 형상을 잃어도 통풍발(40)은 단턱(27)과 구획벽(30)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므로 염장생선(1)의 진열상태가 흩트려지지 않으며, 필요시 아이스 팩(100)을 교체할 때에도 손잡이부재(70) 만을 간편하게 들어 올리는 것으로서 통풍발(40)을 개구(25)로부터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다.
특히, 통풍구(29)를 형성함으로써 팩 수용실(50)에 수용된 아이스 팩(100)의 냉기가 통풍발(40)의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통풍구(29)의 냉기가 단열공간(300)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통풍발(40) 위에 놓인 염장생선(1)을 신선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종래의 염장생선 포장상자 보다 신선도 유지시간이 길어지는 장점과 아울러 염장생선의 부분적인 부패를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굴비나 과메기 등과 같은 염장생선을 최종 목적지까지 진열상태의 흩트려짐이 없이 이송할 수 있으며, 냉기를 통풍발의 상하에서 공급함으로써 신선도 유지를 좋게 하여 상품성을 잃지 않도록 함으로써 선물을 주는 사람의 성의까지도 전달 할 수 있는 이점과 더불어, 제조 작업공정의 축소로 인해 부자재 비용, 인건비 절감 및 생산량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 는 염장생선 포장상자가 제공된다.

Claims (5)

  1. 염장생선 포장상자에 있어서,
    하부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판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며 개구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깊이의 단턱이 형성된 상자와;
    상기 상자의 내면에 위치하며 상기 상자의 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스 팩 수용실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구획벽과;
    상기 단턱에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구획벽에 올려져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통풍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장생선 포장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은 상기 개구를 이루는 하나의 면에 형성된 단턱에 일측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장생선 포장상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은 상기 발의 어느 일측면에 발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마련한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장생선 포장상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는 상기 개구의 외면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상자의 외벽보다 외측 을 향하여 소정 폭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장생선 포장상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상자는 상기 포장상자를 이루는 측면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 통풍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장생선 포장상자.
KR2020060001325U 2006-01-17 2006-01-17 염장생선 포장상자 KR200413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325U KR200413392Y1 (ko) 2006-01-17 2006-01-17 염장생선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325U KR200413392Y1 (ko) 2006-01-17 2006-01-17 염장생선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392Y1 true KR200413392Y1 (ko) 2006-04-06

Family

ID=4176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325U KR200413392Y1 (ko) 2006-01-17 2006-01-17 염장생선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3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5510B2 (en) Ventilated container apparatus
CA3024777A1 (en) Reusable plastic container for storing and shipping of produce
JP4564961B2 (ja) 格納および搬送用コンテナ
KR200413392Y1 (ko) 염장생선 포장상자
MX2012011308A (es) Cajon.
US1945878A (en) Shipping package
KR200381611Y1 (ko) 통기성 포장용 상자
KR20070004502A (ko) 음식물 포장용 박스
JP3322657B2 (ja) バナナ用コンテナー
US11780639B2 (en) Optimized system, box and bag for packing, shipping, storing and displaying produce
KR200425395Y1 (ko) 염장생선 포장상자
US20170043907A1 (en) Compartmentalized Food Container Device
MX2012011214A (es) Cajon.
MX2012011309A (es) Cajon.
KR200441834Y1 (ko) 케이크 상자
KR200430406Y1 (ko) 냉동식품 운반 포장용 박스
KR200420850Y1 (ko)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ES2942573T3 (es) Caja de cartón apilable con fondo macizo, pieza en bruto de cartón y método de obtención de una caja a partir de una pieza en bruto de cartón
WO2004035424A1 (en) Packaging and packaging method for ornamental cultivated plants
PT2371727E (pt) Caixa
JP3244044U (ja) 運搬用容器
RU107777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акетированного или упакованного в коробки груза (варианты)
JP5643071B2 (ja) ガロンボトルの収納用コンテナ
JPH0619454Y2 (ja) 包装用箱
KR200319543Y1 (ko) 포장용 종이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