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222Y1 -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222Y1
KR200413222Y1 KR2020060002278U KR20060002278U KR200413222Y1 KR 200413222 Y1 KR200413222 Y1 KR 200413222Y1 KR 2020060002278 U KR2020060002278 U KR 2020060002278U KR 20060002278 U KR20060002278 U KR 20060002278U KR 200413222 Y1 KR200413222 Y1 KR 200413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ipe
probe
pipeline
pipeline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현
박해진
Original Assignee
이복현
박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현, 박해진 filed Critical 이복현
Priority to KR2020060002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2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의 매설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관로탐사선이 보유되어 있는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두개 이상의 합성수지관들을 가지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일단에는 서로에 대하여 접속하여 관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접속관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접속관부와 인접하는 외면에 그 일단을 잡고 풀어낼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으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관로탐사선과, 합성수지관들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관로탐사선과 합성수지관들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관로탐사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관로탐사선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접속수단과,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외면에 관로탐사선을 수용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보유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두개 이상이 접속되어 관로를 형성하는 합성수지관의 외측에 전원접속기구에 의하여 접속이 간편하도록 관로탐사선이 보유되어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생산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관로탐사선의 보유를 위하여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장착되는 링의 외경이 합성수지관의 최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접속관부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PLASTIC PIPE WITH WIRE FOR PIPELINE DETEC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에서 두 합성수지관과 관로탐사선이 접속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합성수지관 12: 접속관부
14: 직관부 30: 관로탐사선
32: 전원접속기구 34: 플러그
36: 잭 40, 40a: 보유수단
42: 커버 44: 링
50: 양면접착테이프 52: 접착제층
60: 주머니 64: 덮개
본 고안은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관의 매설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관로탐사선이 보유되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관은 수돗물, 오폐수와 같은 유체의 운반, 전력 및 통신 케이블의 가설 등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수도관 등의 배관용 합성수지관은 지하에 매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지하에 매설되는 배관은 관리를 위하여 매설위치를 도면에 그려 관공서에 열람할 수 있도록 비치하고 있다.
한편, 건설토목공사와 배관의 관리 등을 위하여 터파기, 구멍 뚫기 등의 굴착공사를 실시할 때에는 배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굴착공사 전에 지상에서 도면을 열람하여 배관의 매설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만약, 작업자가 배관의 위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굴착공사를 실시할 경우, 굴착기의 공구에 의하여 배관이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는 합성수지관의 매설위치를 지상에서 파악하기 위하여 합성수지관과 함께 금속탐사기에 의하여 탐사할 수 있는 관로탐사선을 매설하고 있다. 금속탐사기의 발신기로부터 발신되는 전파가 지하의 관로탐사선과 감응하여 전자기장이 발생되면, 금속탐사기의 수신기는 전자기장을 수신하여 관로탐사선 의 매설위치를 탐사한다. 한편, 동합금선과 같이 도전성을 갖는 관로탐사선에 있어서는 전류를 인가하여 매설위치를 탐사하기도 한다.
종래기술의 일례로 합성수지관의 매설위치를 탐사하기 위한 관로탐사용 테이프가 개발되어 있으며, 관로탐사용 테이프는 필름에 가는 동합금선을 내장하여 구성하고 있다. 관로탐사용 테이프는 합성수지관을 지하에 시공하고, 합성수지관의 상부로부터 30cm 이상의 토사를 덮은 후, 그 상층에 관로탐사용 테이프를 포설하고 다시 토사로 매립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관로탐사용 테이프는 합성수지관 위에 토사를 덮은 후 별도로 매립하여야 하므로, 시공성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 합성수지관의 소재에 도전성 물질이 첨가되거나 합성수지관의 표면에 도전성 물질이 인쇄되어 있는 관로탐사용 합성수지관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도전성 물질의 첨가 또는 인쇄에 의하여 제조되는 관로탐사용 합성수지관은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비가 높으며, 특히 도전성물질이 첨가된 경우 합성수지관의 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매설작업현장에서 인접하는 두 합성수지관의 전기적인 접속을 별도의 전원접속기구에 의하여 실시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낮고, 시공비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의 또 다른 예로 합성수지관에 도전선이 합성수지에 일체로 매립되도록 성형한 관로탐사용 합성수지관이 개발되어 있으나, 통상 압출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합성수지관의 성형성이 낮아지고, 생산비가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관로탐사선이 매립된 부분은 합성수지관의 관벽 두께가 얇아지므로 응력집중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합성수지관에 도전성 물질이 인쇄된 형태나 합성수지관에 도전선이 일체로 매설된 형태는, 합성수지관의 매설 후 추가 공사 과정에서 분기관을 설치하기 위해 기 매설된 합성수지관의 일부를 절단하는 경우에 인쇄된 도전성 물질이나 합성수지관에 매설된 도전선이 함께 절단되므로, 절단된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을 강구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합성수지관의 외측에 접속이 간편하도록 관로탐사선이 보유되어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생산비를 낮출 수 있는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접속관부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서로에 대하여 접속하여 관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접속관부를 갖는 두개 이상의 합성수지관들에 있어서,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접속관부와 인접하는 외면에 그 일단을 잡고 풀어낼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으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관로탐사선과; 합성수지관들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관로탐사선과 합성수지관들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관로탐사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관로탐사선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접속수단과;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외면에 관로탐사선을 수용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보유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10)은 일단에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관(10a)을 접속할 수 있는 접속관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두개 이상의 합성수지관(10, 10a)을 연속적으로 접속하여 유체의 운반, 전력 및 통신 케이블의 가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10)의 접속관부(12)는 다른 합성수지관(10)의 직관부(14)를 삽입할 수 있도록 직관부(14)의 외경(d1)보다 큰 내경(d2)을 갖는 제1 대경부(16)와, 제1 대경부(16)의 중간에 제1 대경부(16)의 외경(d3)보다 큰 외경(d4)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홈(18)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대경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대경부(20)의 외경(d4)은 합성수지관(10)의 최대 외경이 되며, 제2 대경부(20)의 홈(18)에는 기밀의 유지를 위한 패킹(Packing: 22)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관(10)의 일단에 접속관부(12)가 형성되어 있는 관은 편수관이라 부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수지관(10, 10a)은 동일한 구성의 편수관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합성수지관(10)은 그 양단에 접속관부가 형성되어 있는 양수관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관(10a)은 접속관부(12)가 삭제되어 있는 직관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두 합성수지관(10, 10a)들의 접속에는 필요에 따라 공지의 조임식 이음관, 플랜지 접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합성수지관(10)의 접속관부(12)와 인접하는 외면에는 작업자가 일단을 잡고 풀어낼 수 있도록 관로탐사선(30)이 제공되어 있다. 관로탐사선(30)의 길이는 합성수지관(10)과 접속되는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관(10a)에 제공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관로탐사선(3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관(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로탐사선(30)의 일단에 전원접속기구(32)로서 플러그(Plug: 34)가 연결되어 있고 타단에 플러그(34)를 끼워 접속할 수 있는 잭(Jack: 36)이 연결되어 있다. 관로탐사선(30)의 전원접속기구(32)는 통상적인 암수커넥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로탐사선(30)은 합성수지관(10)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형(Zigzag)으로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관로탐사선(30)은 합성수지관(10)의 외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형으로 제공하거나 원형, 타원형으로 감아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10)의 외면에는 지그재그형으로 제공되어 있는 관로탐사선(30)을 수용하는 보유수단(40)이 장착되어 있다. 보유수단(40)은 합성수지관(10)의 외면에 관로탐사선(30)을 둘러싸도록 끼워져 장착되어 있는 유연성을 갖는 커버(42)와, 합성수지관(10)의 접속관부(12)와 이격되는 커버(42)의 말단이 부착되어 있으며 합성수지관(10)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끼워져 장착되어 있는 링(Ring: 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42)는 제2 대경부(20)의 외면을 덮을 수 있을 만큼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42)가 제2 대경부(20)의 외면 전체를 덮고 있다면, 합성수지관을 매설하는 과정에서 토사가 제2 대경부에 충돌하더라도 제2 대경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전원접속기구(32)의 잭(36)은 합성수지관(10)과 링(44) 사이에 노출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작업자가 합성수지관(10)의 외면에 밀착되어 있는 커버(42)를 당기면, 커버(42)는 유연성에 의하여 합성수지관(1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합성수지관(10)의 외면과 커버(42)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전원접속기구(32)의 플러그(34)를 잡아당겨 커버(42)로부터 관로탐사선(30)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링(44)의 외경(d5)은 제2 대경부(20)의 외경(d4)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합성수지관(10)이 지면, 화물칸의 바닥 등에 놓이거나 적층될 경우, 합성수지관(10)의 제2 대경부(20)가 지면 등 다른 부분에 닿으면서 집중 하중 및 충격을 받아 파손이 발생되는 일이 있다. 링(44)은 제2 대경부(20)보다 큰 외경(d5)에 의하여 다른 부분에 먼저 닿아 제2 대경부(20)가 닿지 않게 하며, 이 결과 제2 대경부(20)에 작용하는 하중 및 충격으로부터 제2 대경부(2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유수단(40)의 커버(42)에 의하여 가려지는 합성수지관(10)의 외면에 접착제층(52)이 도포되어 있는 양면접착테이프(50)가 부착되어 있으며, 양면접착테이프(50)의 접착제층(52)에는 관로탐사선(30)이 접착되어 있다. 양면접착테이프(50)의 접착제층(52)에 관로탐사선(30)을 접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합성수지관(10)의 운반 및 공사 도중 커버(42) 안에서 관로탐사선(30)의 흩트러짐 및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수지관(10)의 외면에 양면접착테이프(50)의 접착제층(52)과 같은 접착제층을 직접 도포하고, 이 접착제층에 관로탐사선(30)을 접착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에서 보유수단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예의 보유수단(40a)은 합성수지관(10)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주머니(60)로 구성되어 있고, 주머니(60)의 상단에는 입구(62)를 여닫을 수 있도록 덮개(64)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64)는 벨크로(Velcro, 상표명)(66)에 의하여 주머니(60)에 붙이거나 뗄 수 있으며, 벨크로(66)는 주머니(60)와 덮개(64) 각각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후크(Hook: 66a)들과 고리(Loop: 66b)들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주머니(60)는 양면접착테이프(70)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합성수지관(10)의 외면에 고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주머니(60)는 접착테이프를 합성수지관(10)의 외면에 감아 고정할 수도 있다. 주머니(60) 속에는 관로탐사선(30)과 전원접속기구(32)의 플러그(34)가 수용되고, 주머니(60)의 하단에는 전원접속기구(32)의 잭(36)이 노출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다른 예의 보유수단(40a)은 도 1 내 지 도 3에 도시하고 설명한 보유수단(40)의 링(44)을 포함하며, 다른 예의 보유수단(40a)의 링(44)은 필요에 따라 삭제할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두 합성수지관(10, 10a)들의 접속은 접속관부(12)와 직관부(14)의 외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고, 제2 대경부(20)의 홈(18)에 패킹(22)을 삽입한다. 접속관부(12)와 직관부(14)의 접속이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윤활유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두 합성수지관(10, 10a)들이 일직선이 되도록 한 후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관(10)의 접속관부(12)에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관(10a)의 직관부(14)를 삽입하여 접속한다.
다음으로, 두 합성수지관(10, 10a)들의 접속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합성수지관(10)의 외면에 밀착되어 있는 커버(42)를 잡아당겨 합성수지관(10)의 외면과 커버(42) 사이에 간격을 만들고, 커버(42)의 내측에 있는 전원접속기구(32)의 플러그(34)를 외측으로 잡아당긴다. 작업자가 플러그(34)를 잡아당기면, 접착제층(52)에 지그재그형으로 접착되어 있던 관로탐사선(30)이 탈락되면서 쉽게 인출된다.
작업자는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관(10)에 보유되어 있던 관로탐사선(30)의 플러그(34)는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관(10a)에 보유되어 있는 관로탐사선(30)의 잭(36)에 삽입하여 두 합성수지관(10, 10a)들 각각의 관로탐사선(30)을 접속한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관(10)의 외측에 전원접속기구(32)에 의하여 접속이 간편하도록 관로탐사선(30)이 보유되어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관로탐사선(30)을 별 도로 구비하여 가설할 필요 없는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관로탐사선(30)이 합성수지관(10) 보다 길이가 길기 때문에 추후 추가 공사에 따라 매설된 합성수지관의 일부를 절단하여 분기관을 형성하는 경우에, 기 설치된 관로탐사선을 함께 절단하더라도 관로탐사선의 길이에 여유가 있으므로 추가 설치된 분기관의 관로탐사선과 접속하기만 하면 관로탐사를 위한 용도로 그 기능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머니(60) 속에 관로탐사선(30)이 보유되어 있는 경우, 벨크로(66)의 후크(66a)들과 고리(66b)들을 분리하여 주머니(60)의 덮개(64)를 열고, 주머니(60)의 입구(62)를 통하여 관로탐사선(30)을 쉽게 인출할 수 있으므로, 관로탐사선(30)의 접속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에 의하면, 두개 이상이 접속되어 관로를 형성하는 합성수지관의 외측에 전원접속기구에 의하여 접속이 간편하도록 관로탐사선이 보유되어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생산비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관로탐사선이 합성 수지관과 일체로 제공된 것이 아니므로 추가 공사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절단에 대하여도 관로탐사선들만 별도로 접속하여 관로탐사선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관로탐사선의 보유를 위하여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장착되는 링의 외경이 합성수지관의 최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접속관부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서로에 대하여 접속하여 관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접속관부를 갖는 두개 이상의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접속관부와 인접하는 외면에 그 일단을 잡고 풀어낼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관로탐사선과;
    상기 합성수지관들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관로탐사선과 상기 합성수지관들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관로탐사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관로탐사선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접속수단과;
    상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외면에 상기 관로탐사선을 수용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보유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탐사선은 상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외면에 지그재그형으로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접속수단은 상기 관로탐사선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와 이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관로탐사선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잭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잭은 상기 보유수단에 노출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수단은,
    상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외면에 상기 관로탐사선을 둘러싸도록 끼워져 장착되어 있는 유연성을 갖는 커버와;
    상기 합성수지관의 접속관부와 이격되는 상기 커버의 말단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끼워져 장착되어 있고, 그 외경이 상기 접속관부의 최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의하여 가려지는 상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외면에 접착제층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관로탐사선은 상기 접착제층에 접착되어 있는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수단은,
    상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관로탐사선을 수용하는 입구를 갖는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에 상기 입구를 여닫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덮개로 구성되어 있는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KR2020060002278U 2006-01-25 2006-01-25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KR200413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278U KR200413222Y1 (ko) 2006-01-25 2006-01-25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278U KR200413222Y1 (ko) 2006-01-25 2006-01-25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609A Division KR100607574B1 (ko) 2006-01-25 2006-01-25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222Y1 true KR200413222Y1 (ko) 2006-04-05

Family

ID=4176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278U KR200413222Y1 (ko) 2006-01-25 2006-01-25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2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574B1 (ko) 2006-01-25 2006-08-03 이복현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574B1 (ko) 2006-01-25 2006-08-03 이복현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7574B1 (ko)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BR112019004391B1 (pt) Fita de sinalização
US20180259676A1 (en) Litz Wire As Tracer Wire And Litz Wire Marker Tape
KR100770154B1 (ko)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KR200413222Y1 (ko)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KR101567748B1 (ko) 매설위치 탐지가 용이한 지중 매설관
KR100838633B1 (ko) 압착 편조선을 이용한 관로 탐사선 및 그 연결 방법
CN214095892U (zh) 一种探测光缆位置的监测标石
JP2011019300A (ja) ケーブルの埋設方法
KR200434276Y1 (ko) 합성수지관의 관로감지구
KR100731957B1 (ko)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CN208849395U (zh) 一种电力管道
JP4919646B2 (ja) マンホール構造及びケーブル敷設方法
US5682141A (en) Underground object indicating device
KR20080018066A (ko) 합성수지관의 관로감지구
JP2009122030A (ja) ロケーティングテープ
JP4681339B2 (ja) 通信用管路とハンドホールとの接続構造
JP2008245417A (ja) ケーブル保護管及び分岐管継手
JP4704060B2 (ja) 境界表示方法および境界表示具
CN202580334U (zh) Hdpe非开挖管
CN103672417B (zh) 一种套管式地下埋设物无线传输自动预警系统
KR101059023B1 (ko) 합성수지파이프 접착형 탐지테이프
CN216436702U (zh) 一种地下电缆安装用电缆防护装置
JP2001258115A (ja) ケーブル撤去方法及びケーブル撤去補助具
KR19990055739A (ko) 지하관로의 위치 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