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224Y1 - 도로의 램프(Ramp)용 충격흡수대 - Google Patents

도로의 램프(Ramp)용 충격흡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224Y1
KR200412224Y1 KR2020050036145U KR20050036145U KR200412224Y1 KR 200412224 Y1 KR200412224 Y1 KR 200412224Y1 KR 2020050036145 U KR2020050036145 U KR 2020050036145U KR 20050036145 U KR20050036145 U KR 20050036145U KR 200412224 Y1 KR200412224 Y1 KR 200412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ramp
filled
rubber
st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식
Original Assignee
이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식 filed Critical 이기식
Priority to KR2020050036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2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Abstract

[명칭] 도로의 램프(Ramp)용 충격흡수대
[구성] 몸체의 안정을 위하여 중량물을 넣고 빼낼 수 있는 내용물 출입구멍(11)이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 출입구멍(11)을 막아 밀폐시키는 뚜껑(12)이 조립되며 내부는 공간인 채 전방부는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안정을 위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이며 후방의 공간부 안으로 채워지는 모래주머니(1)들과;
상기 몸체(10)의 내부이며 상기 모래주머니(1)들을 제외한 전방부 공간 안으로 채워지는 충격흡수체(2)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함.
도로, 램프(Ramp), 충격흡수대, 모래주머니, 충격흡수체

Description

도로의 램프(Ramp)용 충격흡수대{Impact Absorber for Ramp}
도1은 본 고안의 외형을 나타낸 참고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모래주머니 2: 충격흡수체
10: 몸체 12: 뚜껑
본 고안은 도로의 램프(Ramp)용 충격흡수대에 관한 것으로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발생되는 충격을 대폭 저하시킬 수 있어 차량의 파손율을 낮추는 것은 물론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도로의 램프(Ramp)에는 차선을 변경한 후 램프로 진입하는 차량의 안전을 위하여 반드시 충격흡수대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고안과 같이 전방부가 라운딩이 형성되고 내부는 공간을 가지는 몸체(10)의 내부로 모래주머니가 가득 채워져 있다.
따라서 차량이 충격흡수대에 충돌을 하였을 경우 모래주머니가 가득 들어있는 상기 충격흡수대는 충돌 충격을 약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기는 하지만 사실상 모래주머니는 충격을 흡수하여 분산시키는 작용이 양호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의 파손율이 높고 따라서 탑승자가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예가 속출되고 있다.
한편, 몸체(10) 안으로 충격흡수용 쇼바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는 있겠으나 몸체(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직경이 작은 구멍(11)을 통해 몸체(1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도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싸서 경제성이 불량하고 유지보수성이 미비한 등의 단점이 있어 채택하기가 어렵다.
본 고안은 경제성이 우수하면서 충격흡수성이 뛰어난 충격흡수대를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몸체의 안정을 위하여 중량물을 넣고 빼낼 수 있는 내용물 출입구멍(11)이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 출입구멍(11)을 막아 밀폐시키는 뚜껑(12)이 조립되며 내부는 공간인 채 전방부는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안정을 위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이며 후방의 공간부 안으로 채워지는 모래주머니(1)들과; 상기 몸체(10)의 내부이며 상기 모래주머니(1)들을 제외한 전방부 공간 안으로 채워지는 충격흡수체(2)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에 있어서, 충격흡수체(2)는, 내부가 공간인 고무 공 또는 고무 구체 또는 우레탄 구체 또는 스폰지 구체 또는 우레탄 폼 다각체 또는 스폰지 다각체 또는 고무 다각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내용물 출입구멍(11)을 통해 후방부로는 모래주머니(1)들을 먼저 채워서 넣되 가장 위쪽에 위치할 모래주머니(1a)를 채워 넣기 전에 몸체(10)의 전방부에는 충격흡수체(2)들을 가득하게 채워 넣는다. 이어서 먼저 채워져 있던 모래주머니(1)들의 가장 위쪽에 마지막 모래주머니(1a)를 올리고 뚜껑(12)을 닫으면 본 고안의 사용상태가 완료가 된다.
여기서 충격흡수체(2)는 내부가 공간인 고무 공이나 내부가 충진된 고무 구체 또는 내부가 충진된 우레탄 구체 또는 스폰지 구체 또는 우레탄 폼 다각체 또는 스폰지 다각체 또는 고무 다각체 중에서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한데, 재질이 부드럽고 질기면서도 탄성 및 충격흡수성, 충격분산성이 양호한 것이면 모두 충격흡수체(2)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도2와 같이 램프에 설치되어 있다가 램프로 진입하는 차량 또는 직진하는 차량의 부주의로 인하여 몸체(10)의 전방부에 충돌하였을 때 모래주머니(1)들의 앞으로 빼곡하게 채워져 있는 충격흡수체(2)들이 차량의 충돌압력을 1차로 수용함과 동시에 흡수 및 분산을 시키게 되고 잔여 충격량은 2차로 후방의 모래주머니(1)들로 전달이 되면서 차량이 멈추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충돌한 차량은 파손율이 크게 낮아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탑승자가 부상을 입거나 사망을 하기에 이르는 가능성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바, 본 고안의 현장 실험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모래주머니들만 충진되어 있는 충격흡수대에 비하여 동일한 차량이 동일한 속도로 충돌하였을 때 차량의 파손율이 20% 내지 30% 정도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탑승자의 안전 역시 큰 폭으로 상승된다는 것은 당연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몸체(10) 안으로 충격흡수체(2)들로만 전부 충진시킬 수는 있으나 이럴 경우 몸체(10)의 무게가 너무 가벼워지기 때문에 차량이 충돌하였을 경우 몸체(10)가 제 위치를 너무 쉽게 이탈함으로서 더 큰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모래주머니와 충격흡수체를 병용하여 사용함으로서 차량의 충돌 시 차량의 파손율을 크게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몸체의 안정을 위하여 중량물을 넣고 빼낼 수 있는 내용물 출입구멍(11)이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 출입구멍(11)을 막아 밀폐시키는 뚜껑(12)이 조립되며 내부는 공간인 채 전방부는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안정을 위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이며 후방의 공간부 안으로 채워지는 모래주머니(1)들과;
    상기 몸체(10)의 내부이며 상기 모래주머니(1)들을 제외한 전방부 공간 안으로 채워지는 충격흡수체(2)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램프(Ramp)용 충격흡수대.
  2. 제1항에 있어서, 충격흡수체(2)는, 내부가 공간인 고무 공 또는 고무 구체 또는 우레탄 구체 또는 스폰지 구체 또는 우레탄 폼 다각체 또는 스폰지 다각체 또는 고무 다각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램프(Ramp)용 충격흡수대.
KR2020050036145U 2005-12-21 2005-12-21 도로의 램프(Ramp)용 충격흡수대 KR200412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145U KR200412224Y1 (ko) 2005-12-21 2005-12-21 도로의 램프(Ramp)용 충격흡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145U KR200412224Y1 (ko) 2005-12-21 2005-12-21 도로의 램프(Ramp)용 충격흡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224Y1 true KR200412224Y1 (ko) 2006-03-23

Family

ID=4176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145U KR200412224Y1 (ko) 2005-12-21 2005-12-21 도로의 램프(Ramp)용 충격흡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2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210B1 (ko) 2008-03-18 2008-07-04 주식회사 거원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101006775B1 (ko) * 2008-06-05 2011-01-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을 수 있는 볼라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210B1 (ko) 2008-03-18 2008-07-04 주식회사 거원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101006775B1 (ko) * 2008-06-05 2011-01-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을 수 있는 볼라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184B1 (ko)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한 차량의 완충장치
KR101022561B1 (ko)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한 완충장치가 설치된 차량용 범퍼
KR100522362B1 (ko) 차량방호 울타리
KR200412224Y1 (ko) 도로의 램프(Ramp)용 충격흡수대
CN202641585U (zh) 一种行人安全气囊装置及应用其的汽车
KR101855646B1 (ko)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가드레일용 에어백형 완충부재
CN202827799U (zh) 一种消除急刹车冲击力的载客汽车
KR101300611B1 (ko) 갈라진 도로 또는 터널입구의 차량 충돌 회피 구조
US200800678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Damage to Vehicles Due to Impact
CN105922963A (zh) 一种汽车侧面防撞缓冲装置
KR100583612B1 (ko) 도로 갓길에 설치되는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CN208915116U (zh) 一种多级吸能的防撞保险杠
RU254712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защиты пешеходов и водителей автомобилей
CN208069582U (zh) 一种三级汽车碰撞缓冲装置
CN202557470U (zh) 汽车安全舱
CN205990806U (zh) 立体停车库上升碰撞保护装置
KR200457455Y1 (ko) 다수의 중공부 및 천공핀을 구비한 자동차 에어범퍼
KR100422401B1 (ko) 기체충진공간부와 탄성체를 병렬배치한 충돌에너지흡수구조체
CN111851291A (zh) 基于惯性原理的道路桥梁安全防撞栏
CN106004746B (zh) 一种汽车前保系统及汽车
KR200208851Y1 (ko) 도로용 충격 완충대
CN203832414U (zh) 一种汽车车门及汽车
RU182896U1 (ru) Безопасный автомобиль фокина
JPH10318317A (ja) 道路の防護さく用緩衝器
CN105539338B (zh) 高强度π型汽车双程缓冲保险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