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977Y1 - 치아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977Y1
KR200411977Y1 KR2020050027582U KR20050027582U KR200411977Y1 KR 200411977 Y1 KR200411977 Y1 KR 200411977Y1 KR 2020050027582 U KR2020050027582 U KR 2020050027582U KR 20050027582 U KR20050027582 U KR 20050027582U KR 200411977 Y1 KR200411977 Y1 KR 200411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orthodontic device
orthodontic
wire fixing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윤식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50027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9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9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아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아 교정 장치에 있어서, 하면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면으로 이루어지고, 좌우 측면이 상기 부착면으로부터 상부로 좁아져 테이퍼진 형상이고, 상기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중공부를 가지는 형상의 강선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부피가 작아 설치 후에 사용자에게 좋은 착용감을 주며, 이물감을 줄이고, 교정 장치의 설치 시에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강선 가이드부를 결합하기 용이하여 이에 따라 형상의 변경이 용이하므로 넓은 범위에 대하여 변형사용이 가능하고, 교정의 진행에 따라 강선 고정부를 재설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치아, 교정 장치, 중공부

Description

치아 교정 장치 {STRIPPING TOOL FOR COAXIAL CABLES}
도 1은 종래의 고정식 치아 교정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치아 교정 장치에 적용되는 강선 고정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고안의 치아 교정 장치에 적용되는 강선 고정부를 시술한 후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치아 교정 장치에 적용되는 강선 가이드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치아 교정 장치에서 강선 고정부와 강선 가이드부를 결합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치아 교정 장치에서 강선 고정부와 강선 가이드부를 결합한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 사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치아 교정 장치에서 강선 고정부와 강선 가이드부를 결합한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 사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치아 교정 장치에서 강선 고정부와 강선 가이드부를 결합한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다른 각도의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강선 고정부 15 : 중공부
20 : 강선 가이드부 22 : 돌출삽입부
24 : 연결부 26 : 강선 가이드 홈
본 고안은 치아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에 부착하고 이를 강선으로 연결하여 치아 이동을 통하여 치아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식 치아 교정 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히, 구조가 간단하면서 부피가 작아 설치 후에 사용자에게 좋은 착용감을 주며, 장기간 착용하여야 하는 교정 장치이므로 착용 시 이물감을 줄이고, 교정 장치의 설치 시에 강선의 삽입이 쉬워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추가적으로 강선 가이드부를 결합하기 용이하고, 이에 따라 형상의 변경이 용이하므로 넓은 범위에 대하여 변형사용이 가능하고, 교정의 진행에 따라 강선 고정부를 재설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는 치아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식 치아교정 장치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모서리부가 각진 직육면체 형태의 장치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교정 장치는 그 장 치의 강선 고정부 내부로 교정용 강선(와이어)이 삽입될 수 있는 슬롯을 갖는다. 이러한 고정식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에 부착되어 치아교정용 강선(와이어)에 연결되어 치아 이동력을 치아에 인가하여 치아의 위치가 교정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본 고안은 치아 교정 장치 특히, 고정식 치아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치면에 부착되어 기타 교정구와 연결되어 치아 이동을 통한 치아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식 치아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고정식 교정 장치는 치아 면에 부착되어 치아 상호간을 교정구로 연결시켜서 치아를 인위적으로 이동시켜 교정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고정식 교정 장치의 일예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이는 치아의 외주면에 각각 부착되어 각각 삽입 요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이 브라켓의 삽입 요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강선과 강선을 각 브라켓에 지지시키는 고정밴드 또는 고정강선으로 이루어진다. 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브라켓에 상기 강선을 결합시키고 두 치아를 인위적으로 이동시킨 뒤 그 단부를 절곡하여 두 치아가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여 치아배열을 교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정식 치아 교정 장치는 강선과 교정 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부가적인 고정밴드 또는 고정강선이 필요하며, 강선으로 결합하는 경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선이 강선 고정부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이물감을 크게 하고, 강선 이외의 고정밴드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이를 위한 부가적인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어 구조가 복잡하며 부피가 커지고 설치 후에 착용자에게 이물감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조가 단순하며 사용이 용이한 고정식 교정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즉, 강선의 고정을 위한 부가적인 고정밴드가 필요치 않으며 복잡한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단순하고 작은 부피의 고정식 교정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강선의 고정을 위한 부가적인 고정밴드가 필요치 않으며 복잡한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단순하고 작은 부피를 갖는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형상 변경이 용이하여 넓은 범위에 대하여 변형사용이 가능하고, 교정의 진행에 따라 강선 고정부를 재설치할 필요가 없는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치아 교정 장치에 있어서,
하면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면으로 이루어지고, 좌우 측면이 상기 부착면으로부터 상부로 좁아져 테이퍼진 형상이고, 상기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중공 부를 가지는 형상의 강선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 교정 장치에 있어서, 하면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면으로 이루어지고, 좌우 측면이 상기 부착면으로부터 상부로 좁아져 테이퍼진 형상이고, 상기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중공부(15)를 가지는 형상의 강선 고정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본 고안의 치아 교정 장치는 고정용 치아 교정 장치로서 도 2에 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의 표면과 결합하는 부착면을 갖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부착면은 도 2에는 그 하면이 부착면에 해당하게 되고, 전체적인 형상은 본 고안의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 취급 및 설치에 용이하므로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기둥 형상인 것이 좋다. 다만 상기 반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은 그 전체적인 형상이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각기둥 또는 반원기둥인 경우에도 그 모서리 및 끝단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카로울 필요가 없이, 라운드지게 처리하는 것이 이물감제거 및 착용감 증대에 바람직하고, 이에 대한 예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선 고정부(10)는 강선이 인입되는 중공부(15)를 가지는 면이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은 형태의 테이퍼짐을 의미한다. 이를 통하여 중공부(15)로의 강선의 인입시 중공부의 하면이 더 밖으로 돌출되므로 강선의 인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작업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15)는 강선이 인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 그 형상은 어떠한 형태이든 무관하며, 인입된 강선은 일반적으로 형상기억합금을 활용하고, 그 맨 끝단만이 종래의 고정부 등에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본 고안의 강선 고정부(10)에는 단순히 인입만이 이루어진 상태로 서로 결합된다. 이를 통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상기억합금의 강선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강선 고정부(10)와 상호 작용하여 치아의 위치를 교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부(1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각기둥의 형태나 반원기둥 또는 삼각기둥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각기둥의 형태가 좋다. 이를 통하여 아래에 설명할 강선 가이드부(20)가 결합되는 경우에 강선 가이드부(20)가 강선의 복원력에 의하여 힘을 받는 경우에도 회전하거나 틀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선 고정부(1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 수지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공지의 고강도 투명수 지가 이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교정 장치를 시술한 이후에 외부에서 보았을 때 미관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강선 고정부(10)에 추가하여 이에 결합하는 강선 가이드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공부(15)의 양단에 삽입 고정되는 2개의 돌출삽입부(22), 상기 2개의 돌출삽입부(22)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부(24), 및 상기 돌출삽입부와 이격하여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강선 가이드 홈(26)으로 이루어진 강선 가이드부(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이를 통하여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강선 고정부(10)와 강선 가이드부(20)를 결합하여 일체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강선 고정부(10)를 기 설치한 후에 이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나, 강선 고정부(10)의 위치를 잘못 설정한 경우 또는 치열이 너무 많이 뒤틀어진 환자라서 강선 설치시 강선과 고정부와의 이격거리가 너무 큰 경우 등에 강선 고정부로부터 이격된 공간에 강선이 지나갈 수 있도록 강선 가이드 홈을 제공할 수 있고, 강선과 치아와의 상호작용이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기 설치한 후에 치열이 교정됨에 따라 강선 고정부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나, 강선 고정부(10)의 위치를 잘못 설정한 경우에 상기 강선 가이드부의 설치 만으로 별도의 강선 고정부의 탈거 및 재설치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효과가 크다고 하겠다.
또한 상기 강선 가이드부(20)는 재질의 특성상 또는 구조형상의 특성에 따라 상기 도시한 바와 같은 결합이 가능한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면 그 재질의 선정에 한정이 없으며, 따라서 금속 또는 수지재 등의 다양한 재질이 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강선 고정부(10)에서 기술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에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 또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선 가이드 홈(26)은 그 일 예를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삽입부(22)가 강선 고정부(10)의 중공부(15)와 결합하는 부분이므로 강선이 상기 강선 고정부(10)를 비껴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와 이격하여 상기 연결부(24)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그 형상은 강선이 지나가도록 하면 어떤 형태이던 무관하고, 바람직하게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돌출삽입부(22)에 대하여 각각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연결부에 대칭 구조를 가지면서 2곳에 형성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연결부를 다수회(3회 이상)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강선에 대하여 높은 지지력을 가지므로 좋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치아 교정 장치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부피가 작아 시술후에 사용자에게 좋은 착용감을 주며, 장기간 착용하여야 하는 교정 장치이므로 착용시 이물감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정 장치의 설치시에 강선의 삽입이 쉬워 설치작업을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 추가적으로 강선 가이드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강선 가이드부를 결합하기 용이하며, 이를 통하여 강선 고정부의 형상 변경이 용이하므로 넓은 범위에 대하여 변형사용이 가능하고, 교정의 진행에 따라 강선 고정부를 재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나, 강선 고정부의 위치를 잘못 설정한 경우 또는 치열이 너무 많이 뒤틀어진 환자라서 강선 설치시 강선과 고정부와의 이격거리가 너무 큰 경우 등에서도 강선 고정부를 재설치할 필요가 없거나, 동일한 강선 고정부를 사용하여 시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Claims (10)

  1. 치아 교정 장치에 있어서,
    하면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면으로 이루어지고, 좌우 측면이 상기 부착면으로부터 상부로 좁아져 테이퍼진 형상이고, 상기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중공부를 가지는 형상의 강선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고정부는 그 형상이 중공부를 가지고 테이퍼진 반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고정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반원기둥, 사각기둥 또는 삼각기둥 형태의 중공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반원기둥, 사각기둥 또는 삼각기둥 형태의 중공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양단에 삽입 고정되는 2개의 돌출삽입부, 상기 2개의 돌출삽입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부, 및 상기 돌출삽입부와 이격하여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강선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진 강선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양단에 삽입 고정되는 2개의 돌출삽입부, 상기 2개의 돌출삽입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부, 및 상기 돌출삽입부와 이격하여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강선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진 강선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양단에 삽입 고정되는 2개의 돌출삽입부, 상기 2개의 돌출삽입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부, 및 상기 돌출삽입부와 이격하여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강선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진 강선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가이드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가이드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KR2020050027582U 2005-09-26 2005-09-26 치아 교정 장치 KR200411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582U KR200411977Y1 (ko) 2005-09-26 2005-09-26 치아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582U KR200411977Y1 (ko) 2005-09-26 2005-09-26 치아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977Y1 true KR200411977Y1 (ko) 2006-03-22

Family

ID=41762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582U KR200411977Y1 (ko) 2005-09-26 2005-09-26 치아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9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317B1 (ko) * 2013-05-21 2014-11-1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교정장치
KR101565802B1 (ko) * 2015-03-19 2015-11-05 장상건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317B1 (ko) * 2013-05-21 2014-11-1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교정장치
KR101565802B1 (ko) * 2015-03-19 2015-11-05 장상건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8588A (en) Orthodontic bracket and arch wire
KR200451511Y1 (ko) 치열교정용 고정장치
EP1287789A3 (en) Orthodontic Bracket
WO2005048868A3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for mounting an arch wire on said bracket
US5282743A (en) Orthodontic bracket
US10456219B2 (en) Orthodonic post and pin assembly
US20020132207A1 (en) Orthodontic device for treatment of malocclusion
KR100571177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베이스 및 그 베이스를 갖는 브라켓
KR200411977Y1 (ko) 치아 교정 장치
KR100692646B1 (ko) 발치 공간 폐쇄를 위한 치열 교정용 호선 및 이를 적용한치열 교정기구
US20040131989A1 (en) Orthodontic apparatus
KR20050044214A (ko) 브라켓 헤드 타입의 치열 교정용 스크류
KR20110106087A (ko)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JP2005305125A (ja) 縫合糸の測定及び固定装置
JP2007234587A (ja) 端末コネクタ受け治具、端末コネクタの固定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組み立て方法
JP2005045915A (ja) サドル
JP3160073U (ja) ハンガーレール用固定金具
BR0002421A (pt) Lâmina de curvamento
US6276931B1 (en) Orthodontic bracket
KR200390823Y1 (ko) 치아 악교정 모형물 고정장치
KR100222249B1 (ko) 와이어 고정용 클립
KR200411994Y1 (ko) 브라켓 헤드 타입의 치열 교정용 스크류
KR0171801B1 (ko) 가변형 클립
JP2014200430A (ja)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治具
US3461558A (en) Orthodontic rotation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