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902Y1 -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 Google Patents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902Y1
KR200411902Y1 KR2020050036332U KR20050036332U KR200411902Y1 KR 200411902 Y1 KR200411902 Y1 KR 200411902Y1 KR 2020050036332 U KR2020050036332 U KR 2020050036332U KR 20050036332 U KR20050036332 U KR 20050036332U KR 200411902 Y1 KR200411902 Y1 KR 200411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xtension
main body
remote control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로
Original Assignee
(주)한국하비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하비비 filed Critical (주)한국하비비
Priority to KR2020050036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9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9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2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means for connecting a ho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팀청소 또는 진공청소를 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본체로부터 탈착가능한 연장대에 리모컨을 마련하여 기존 본체에 마련되어 있는 조작부 뿐만 아니라 연장대의 리모컨의 조작에 의하여도 그 구동이 제어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청소기에 대한 것으로서, 스팀청소 또는 진공청소를 위한 청소부 및 상기 청소부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제1조작부가 마련되는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업라이트형 청소기에 있어서 : 상기 본체에 제1탈착부가 마련되며 ; 일단에 상기 본체의 제1탈착부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1탈착부에 결합되는 제2탈착부가 마련되며, 타단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연장대 ; 상기 연장대에 마련되며, 제2조작부 및 상기 제2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모컨 ;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청소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청소부가 상기 제1조작부 또는 상기 제2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그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모컨, 제2조작부, 연장대, 제2탈착부, 적외선 발광부, 적외선 수광부

Description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UPRIGHT TYPE CLEANER WITH REMOC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의한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장대가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결합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연장대가 본체의 제1탈착부로 부터 분리된 사용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00' : 본체 110 : 제1조작부
120 : 제1탈착부 130 : 본체용 손잡이
140 : 적외선 수광부 200,200' : 연장대
210 : 손잡이부 220 : 제2탈착부
230,230' : 리모컨 231 : 제2조작부
232 : 적외선 발광부 240 : 길이 조절부
250 : 배터리 삽입구
본 고안은 스팀청소 또는 진공청소를 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본체로부터 탈착가능한 연장대에 리모컨을 마련하여 기존 본체에 마련되어 있는 조작부 뿐만 아니라 연장대의 리모컨의 조작에 의하여도 그 구동이 제어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청소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에서 발생 되는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기인 진공청소기는 캐니스터형(Canister type)과 업라이트형(Upright type)으로 대별된다. 캐니스터형은 바디와 흡입구가 각각 분리된 상태로 사용되는 보편화된 형태이며, 업라이트형은 바디와 흡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진공청소기이다.
상기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는 핸디형 진공청소기도 포함된다.
또한 최근 스팀과 걸레를 이용하여 스팀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팀청소기가 한창 개발되고 있는 중이며, 또한 스팀청소와 진공청소가 모두 가능한 진공스팀청소기도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통상적으로 업라이트형 청소기는 기능작동버튼이 본체에만 부착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의 신장이 클 경우에는 몸을 지나치게 구부려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업라이트형 청소기에 연장손잡이가 마련된 형태가 개발되었지만,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작업 도중 기기의 조작을 위해서는 본체의 기능작동 버튼을 누르기 위하여 허리를 숙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최근 청소기와 관련하여 리모컨을 채택한 청소기가 개발중이다.
이와 관련하여 리모컨의 원리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리모컨이란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동작에 해당하는 코드를 전자제품 쪽으로 전달해 주는 것으로서, 리모컨의 여러 가지 키를 누르면 키에 합당한 각각의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는 리모컨에서 각각의 키에 해당되는 "코드"를 적외선 등의 형태로 발사해 주고 전자제품에서는 이 코드를 받아서 리모컨의 어느 키가 눌렸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맞는 동작을 하는 것이다.
리모컨은 일반적으로 전자기파를 이용한다. 우리가 리모컨의 버튼을 눌러 명령을 내리면 리모컨의 앞쪽에 달린 전구에서 적외선이나 초음파, 전파 등이 나간다. 보통 일반 가정에서 TV시청을 위해 이용하는 리모컨은 가시광선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진 적외선을 사용한다. 기계속에서 적외선을 만드는 것은 '발광다이오드'라고 불리는 반도체이고, 반대로 적외선을 받아들이는 것은 '수광다이오드'라고 한다.
리모컨 안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있고, TV나 오디오 등 전자제품에는 수광 다이오드가 있다. 따라서 리모컨으로 TV채널 7번을 누르면 이미 입력되어 있는 고유 주파수를 지닌 적외선이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사되고, TV에서는 채널 7을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수광 다이오드가 신호를 받아들여 화면을 채널 7로 바꾸는 것이다.
이와 같은 리모컨이 채택된 청소기 관련 기술로서,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6-0003677호(1996.2.23자 공개)"진공청소기 원격제어장치의 착탈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진공청소기의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를 어느 장소에서든지 사용이 용이하도록 착탈할 수 있는 착탈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착탈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원격제어장치가 진공청소기와 분리됨으로써, 사용 후 보관상의 부주의로 인한 분실의 우려와 진공청소기 본체와 원격제어장치를 따로따로 보관해야하는 번거로운 점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본체로부터 탈착가능한 연장대를 마련하며 상기 연장대로는 상기 청소기의 구동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 및 조작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 리모컨을 마련하고, 상기 본체에는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마련함으로써 본체에 마련된 조작부 뿐만 아니라, 연장대에 마련된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서도 청소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팀청소 또는 진공청소를 위한 청소부 및 상기 청소부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제1조작부가 마련되는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업라이트형 청소기에 있어서 : 상기 본체에 제1탈착부가 마련되며 ; 일단에 상기 본체의 제1탈착부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1탈착부에 결합되는 제2탈착부가 마련되며, 타단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연장대 ; 상기 연장대에 마련되며, 제2조작부 및 상기 제2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모컨 ;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청소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청소부가 상기 제1조작부 또는 상기 제2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그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태이며, 상기 리모컨의 제2조작부는 상기 연장대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리모컨의 송신부는 상기 연장대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탈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장대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태이며, 상기 리모컨의 제2조작부 및 송신부는 상기 연장대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탈착부 이외의 부위에 마련되어 상기 연장대의 외부를 통하여 상기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적외선 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신부는 적외선 수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는 중간부에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 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의한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연장대가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결합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연장대가 본체의 제1탈착부로 부터 분리된 상태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청소기는 크게 본체(100)와, 본체(100)로부터 착탈 가능한 연장대(200)로 구분된다.
본체(100)에는 스팀청소 또는 진공청소 중 어느 하나가 가능하거나 스팀과 진공청소가 모두 가능한 청소부(미도시)가 내장되며, 상기 청소부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제1조작부(110)가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본체용 손잡이(130)가 마련되어 있다. 즉 본 실시례의 본체는 일반적인 업라이트형으로서 그 자체로서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장대(200)를 결합하여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에는 상기 연장대(200)가 결합되는 제1탈착부(120)가 마련된다.
본체(100)의 제1탈착부(120)에는 상기 연장대(200)의 내부를 통하여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마련된다. 즉, 본체의 제1탈착부(120)의 내측 중심으로는 수신부의 적외선 수광부(140)가 마련됨으로써, 후술하는 연장대(200)의 타단 내부에 마련된 송신부의 적외선 발광부(232)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적외선 수광부(140)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본체(100)의 청소부의 구동이 제어된다.
따라서 본 실시례의 본체(100)는 제1조작부(110)의 조작에 의하여 청소부의 구동이 제어될 뿐만 아니라, 적외선 수광부(14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하여도 청소부의 구동이 제어된다.
연장대(200)에는 상기 제1탈착부(120)에 결합되는 제2탈착부(220)가 마련되어 제1탈착부(120)에 탈착가능하다. 그러나 연장대(200)와 본체(100)의 탈착 가능한 구조는 본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연장대(200)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형태이며, 타단에는 손잡이부(210)가 마련되고, 중간부에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 조절부(240)가 마련된다.
길이 조절부(240)부는 작업자의 신장에 알맞게 연장대(20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연장대(200)에는 제2조작부(231) 및 상기 제2조작부(231)의 조작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모컨(230)이 마련된다.
리모컨(230)의 제2조작부(231)는 상기 연장대(200)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리모컨(230)의 송신부는 상기 연장대(200)의 내부에 마련된다.
송신부는 적외선 발광부(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신부의 적외선 수광부(140)로 신호를 전달한다. 즉 본 실시례는 적외선을 통하여 신호가 전달되게 된다. 그러나 리모컨의 신호 전달 방식은 본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외선 발 광부(232)는 연장대(200) 내부에 고정마련된다.
한편 연장대(200)의 내부를 비어있는 관 형태로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연장대(200)를 가볍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적외선 발광부(232)에서 송신된 적외선 신호를 보다 명확하게 적외선 수광부(140)로 전달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또한 송신부와 수신부가 연장대(200)의 내부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연장대(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장대(200)의 리모컨(230)에 의하여는 청소기 본체의 청소부가 제어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례에 따라서는 연장대(200)의 외부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외선 발광부(232)는 연장대(200)의 외부에 마련되며, 적외선 수광부(140)는 본체(100)의 제1탈착부(120) 이외의 부위에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00)에 마련된 제1조작부(110)를 조작하거나 혹은 리모컨(230)의 제2조작부(231)를 조작함으로써 본체(100)의 청소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리모컨(230)은 손잡이부(210)에 마련된 배터리 삽입구(250)내의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례에 의거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부(210)에 마련된 리모컨(230)의 작동버튼을 누르게 되면, 연장대(2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송신부의 적외선 발광부(232) 쪽으로 신호가 전달되게 된다.
이 때 송신부의 적외선 발광부(232)는 본체(100)의 제1탈착부(120)에 마련된 적외선 수광부(140)로 상기 신호를 송신하게 되며, 수신부의 적외선 수광부(140)는 수신된 신호를 받아 청소기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로서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일 형태인 핸디형 청소기의 본체(1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대(200')에 리모컨(230')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제1실시례와 같이 리모컨(230')에 의해서도 핸디형 청소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됨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본체에 탈착가능한 연장대를 마련하고, 상기 연장대에 리모컨을 마련하여 청소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리모컨의 분실 우려가 없고, 본체는 본체 자체대로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연장대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본체의 조작부 쪽으로 허리를 굽힐 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청소기의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스팀청소 또는 진공청소를 위한 청소부 및 상기 청소부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제1조작부가 마련되는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업라이트형 청소기에 있어서 :
    상기 본체에 제1탈착부가 마련되며 ;
    일단에 상기 본체의 제1탈착부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1탈착부에 결합되는 제2탈착부가 마련되며, 타단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연장대 ;
    상기 연장대에 마련되며, 제2조작부 및 상기 제2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모컨 ;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청소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청소부가 상기 제1조작부 또는 상기 제2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그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태이며,
    상기 리모컨의 제2조작부는 상기 연장대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리모컨의 송신부는 상기 연장대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탈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장대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태이며,
    상기 리모컨의 제2조작부 및 송신부는 상기 연장대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탈착부 이외의 부위에 마련되어 상기 연장대의 외부를 통하여 상기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는 중간부에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 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적외선 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신부는 적외선 수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KR2020050036332U 2005-12-26 2005-12-26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KR200411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32U KR200411902Y1 (ko) 2005-12-26 2005-12-26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32U KR200411902Y1 (ko) 2005-12-26 2005-12-26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902Y1 true KR200411902Y1 (ko) 2006-03-21

Family

ID=4176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332U KR200411902Y1 (ko) 2005-12-26 2005-12-26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9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064A (ko) * 2019-06-20 2020-12-30 박춘기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KR20210022359A (ko) * 2019-08-20 2021-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즐 교체형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064A (ko) * 2019-06-20 2020-12-30 박춘기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KR102293353B1 (ko) * 2019-06-20 2021-08-23 박춘기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KR20210022359A (ko) * 2019-08-20 2021-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즐 교체형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91067B1 (ko) * 2019-08-20 202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즐 교체형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6179B2 (en) Breastpump set
EP1818073B1 (en) Balloon control apparatus
KR200411902Y1 (ko)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CN101882371B (zh) 可扩展功能的遥控操作装置
US4426738A (en) Dictating machine
CN103529787A (zh) 基于手势控制的遥控装置及其手势操控方法
JPH11253376A (ja) 真空清掃機の遠隔制御装置
KR100237047B1 (ko)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
WO2015198330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intraluminally or intravascularly located operations
KR200319677Y1 (ko) 무선 제어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JP2011082781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3234867B2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口組品
JP2006033284A5 (ko)
CN210583609U (zh) 游戏手柄
KR102371633B1 (ko) 리모컨의 위치 탐색 방법
ITPD20000030A1 (it) Dispositivo di comando, particolarmente per apparecchi di pulizia domestica e/o industriale.
JP2004023660A5 (ko)
KR20040079606A (ko) 무선 제어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KR100501379B1 (ko) 원격 조작 장치
JP2001149284A (ja) 電気掃除機用吸い込み具ならびに電気掃除機
JP3105358U (ja) 距離測定装置
JP3347078B2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口組品
KR100237046B1 (ko)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
KR200326660Y1 (ko) 안마매트
KR100564793B1 (ko)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