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046B1 -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046B1
KR100237046B1 KR1019980002081A KR19980002081A KR100237046B1 KR 100237046 B1 KR100237046 B1 KR 100237046B1 KR 1019980002081 A KR1019980002081 A KR 1019980002081A KR 19980002081 A KR19980002081 A KR 19980002081A KR 100237046 B1 KR100237046 B1 KR 100237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key
vacuum cleaner
suction for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6281A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1019980002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046B1/ko
Priority to DE19902130A priority patent/DE19902130A1/de
Priority to JP1362699A priority patent/JPH11253376A/ja
Priority to FR9900694A priority patent/FR2774200B1/fr
Priority to RU99101343A priority patent/RU2153836C1/ru
Publication of KR19990066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0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7Handles for 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손잡이의 키입력부로부터 출력된 키신호가 RF신호발신부를 통해 RF신호로 변조되어 발신되고 청소기본체측의 RF신호수신부를 통해 RF신호발신부에서 발신된 RF신호가 수신되어 복조된 다음 원래의 키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에 입력되며, 입력된 키신호에 상응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청소기본체의 동작이 제어되는 바, 손잡이와 본체를 연결하는 호스에 통신케이블을 배선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호스의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호스를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측의 키입력부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청소기본체의 동작을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 등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부(10)와, 이 흡입부(10)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하기의 본체(30)에 내장된 집진실로 원활히 이송시키도록 된 연통부(20) 및, 이 연통부(20)에 의해 이동된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3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흡입부(10)는 양측부에 설치된 2개의 제1 이송부재(11) 및, 후미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12)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20)는 연결관(12)의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된 플라스틱재질의 제1 연장관(21)과 제2 연장관(22) 그리고 이 제1 및 제2 연장관(21)(22)과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23) 및 이 손잡이(23)와 연통되도록 결합됨은 물론 굴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된 호스(2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손잡이(23)에는 진공청소기의 온/오프제어와 공기의 흡입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버튼조작을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로 변환하도록 된 키입력부(40)가 설치되어 있으며, 호스(24)에는 이 키입력부(40)로부터 출력되는 키신호를 하기의 본체(30)에 인가하기 위하여 도시생략된 통신케이블이 내설되어 있다.
또한, 본체(30)에는 호스(24)의 끝단부가 접속되도록 된 호스접속구(31)와, 포집된 먼지의 양이 표시되도록 된 먼지표시부(33), 양측부에 설치된 2개의 제2 이송바퀴(34), 작업장소의 이동을 위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된 운반용손잡이(35) 및,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전원플러그(3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30)의 내부에는 회전에 의하여 공기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임펠러(도시생략됨)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손잡이(23)의 키입력부(40)를 통해 청소기 본체(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호스(24)에 상기 통신케이블이 내설되어 있었기 때문에, 호스(24)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호스(24)의 무게가 무거워져 이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RF신호를 이용한 무선통신에 의하여 손잡이측의 키입력부에서 청소기 본체를 원격제어함으로써, 통신케이블의 설치가 불필요하여 호스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고 호스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는,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여 공기의 흡입력을 발생하고, 이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실에 집진시키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기의 온/오프제어 및 공기의 흡입력을 조절하도록 된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고, 각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키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RF신호로 변조하여 발신하는 RF신호발신부와, 상기 RF신호발신부로부터 발신되는 RF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원래의 키신호로 변환하는 RF신호수신부 및, 상기 RF신호수신부를 통해 변환된 키신호에 따라 상기 진공청소기의 온/오프 및 공기의 흡입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대한 개략적인 외관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개략적인 외관구조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키입력부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키입력부 500: RF신호발신부
600: RF신호수신부 700: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개략적인 외관구조도로서, 본 발명이 적용된 진공청소기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 등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부(100)와, 이 흡입부(100)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하기의 본체(300)에 내장된 집진실로 원활히 이송시키도록 된 연통부(200) 및, 이 연통부(200)에 의해 이동된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30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연통부(200)는 연장관(210)과 이 연장관(210)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220) 및, 이 손잡이(220)와 연통되도록 결합됨은 물론 굴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된 호스(2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손잡이(2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온/오프제어와 공기의 흡입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버튼조작을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로 변환하도록 된 키입력부(400) 및 후술될 RF신호발신부(5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300)의 내부에는 회전에 의하여 공기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임펠러(도시생략됨)가 설치되어 있고, 그 외측부에는 후술될 RF신호수신부(6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원격제어장치는 상술한 키입력부(400)와 RF신호발신부(500) 그리고 RF신호수신부(600)와 제어부(700) 그리고 모터구동부(800) 및 모터(810)로 구성된다.
도 4에 있어서, RF신호발신부(500)는 신호발생부(510)와 발신용 발진부(520) 그리고 변조부(530)와 발신부(540) 및 발신용 안테나(550)로 이루어지는 데, 신호발생부(510)는 키입력부(400)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신호에 상응하는 신호파를 출력하도록 된 것이고, 발신용 발진부(520)는 무선통신에 적합한 주파수의 반송파를 발진하도록 된 것이며, 변조부(530)는 발신용 발진부(520)에서 발진된 반송파에 신호발생부(510)에서 출력된 신호파를 실어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한다)신호로 변조하도록 된 것이고, 발신부(540)는 변조부(530)에서 변조된 RF신호를 증폭하여 발신용 안테나(550)을 통해 발신하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RF신호수신부(600)는 수신용 안테나(610)와 수신부(620) 그리고 수신용 발진부(630)와 복조부(640) 및 신호처리부(650)로 이루어지는 데, 수신부(620)는 발신부(500)에서 출력되어 수신용 안테나(610)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증폭하도록 된 것이고, 수신용 발진부(630)는 발신용 발진부(520)의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진하도록 된 것이며, 복조부(640)는 수신용 발진부(630)에서 발진된 주파수에 따라 수신부(620)에서 증폭된 RF신호로부터 원래의 신호파를 취출하도록 된 것이고, 신호처리부(650)는 복조부(640)에서 취출된 신호파를 신호처리하여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700)에 인가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제어부(700)는 RF신호수신부(600)의 신호처리부(650)로부터 인가되는 키신호에 따라 모터(810)의 온/오프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것이고, 모터구동부(800)는 제어부(8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810)의 입력전원을 조절하여 모터(810)의 온/오프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된 것이며, 모터(810)는 모터구동부(80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도록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상태에서 손잡이(220)에 설치된 RF신호발신부(500)에 소정의 전원공급원(예를 들면,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RF신호발신부(500)의 발신용 발진부(520)가 무선통신에 적합한 주파수의 반송파를 발진하고, 전원플러그(도 1의 36 참조)를 도시생략된 전원콘센트에 접속하면 본체(300)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RF신호수신부(600)의 수신용 발진부(630)가 발신용 발진부(520)의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진한다.
이때, 이용자가 손잡이(220)에 설치된 키입력부(400)의 흡입력조절버튼(예를 들면, 최강, 강, 중, 약 등)을 조작하면 키입력부(400)로부터 버튼조작에 상응하는 키신호가 RF신호발신부(500)내의 신호발생부(510)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RF신호발신부(500)내의 신호발생부(510)로부터 키입력부(400)로부터 입력된 키신호에 상응하는 신호파가 발생되어 변조부(530)에 인가되고, 변조부(530)에서 발신부(500)로부터 입력된 신호파가 발신용 발진부(520)에서 발진된 반송파에 실려 RF신호로 변조되며, 변조된 RF신호가 발신부(540)에 인가된다.
그리고, 발신부(540)를 통해 변조부(530)로부터 입력된 RF신호가 무선통신에 적합한 소정의 증폭률로 증폭되어 발신용 안테나(550)를 통해 본체(300)의 RF신호수신부(600)로 송신된다.
이때, RF신호발신부(500)의 발신용 안테나(550)에서 발신된 RF신호가 RF신호수신부(600)의 수신용 안테나(610)에 수신되고, 수신용 안테나(610)를 통해 수신된 RF신호가 수신부(620)에서 소정의 증폭률로 증폭되어 복조부(640)에 인가된다.
그리고, 수신부(620)로부터 입력된 RF신호가 복조부(640)에서 수신용 발진부(630)에서 발진된 주파수에 따라 원래의 신호파로 복조되고, 복조된 신호파가 신호처리부(650)에서 신호처리되어 원래의 키신호로 변환된 다음 제어부(700)에 인가된다.
여기서, RF신호수신부(600)의 신호처리부(650)로부터 입력된 키신호에 상응하는 이용자의 지령 즉, 이용자가 선택한 공기의 흡입력이 제어부(700)에서 판단되고, 제어부(700)에 의해 판단된 이용자의 지령에 상응하는 속도로 모터(8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제어부(700)로부터 모터구동부(800)에 인가된다.
그리고, 모터구동부(800)에 의해 제어부(7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전력의 전원이 모터(810)에 인가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속도로 모터(810)가 구동된다.
이때, 모터구동부(80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810)에 의해 상기 임펠러가 회전되어 공기의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의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입부(100) 및 연통부(200)를 통해 본체(300)의 집진실로 흡입된다.
이후, 이용자가 진공청소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공기의 흡입력을 변경하기 위하여 손잡이(220)에 설치된 키입력부(400)의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통신에 의하여 키신호가 제어부(700)에 인가되고, 입력된 키신호에 상응하는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구동부(800)에 의해 공기의 흡입력과 모터(810)의 온/오프가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RF신호를 이용한 무선통신에 의하여 손잡이측의 키입력부에서 청소기 본체를 원격제어함으로써, 통신케이블의 설치가 불필요하여 호스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고 호스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여 공기의 흡입력을 발생하고, 이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실에 집진시키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기의 온/오프제어 및 공기의 흡입력을 조절하도록 된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고, 각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키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RF신호로 변조하여 발신하는 RF신호발신부와,
    상기 RF신호발신부로부터 발신되는 RF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원래의 키신호로 변환하는 RF신호수신부 및,
    상기 RF신호수신부를 통해 변환된 키신호에 따라 상기 진공청소기의 온/오프 및 공기의 흡입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
KR1019980002081A 1998-01-23 1998-01-23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 KR100237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081A KR100237046B1 (ko) 1998-01-23 1998-01-23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
DE19902130A DE19902130A1 (de) 1998-01-23 1999-01-20 Fernsteuervorrichtung eines Staubsaugers
JP1362699A JPH11253376A (ja) 1998-01-23 1999-01-21 真空清掃機の遠隔制御装置
FR9900694A FR2774200B1 (fr) 1998-01-23 1999-01-22 Dispositif de commande a distance d'un aspirateur
RU99101343A RU2153836C1 (ru) 1998-01-23 1999-01-22 Устройств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пылесосо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081A KR100237046B1 (ko) 1998-01-23 1998-01-23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281A KR19990066281A (ko) 1999-08-16
KR100237046B1 true KR100237046B1 (ko) 2000-01-15

Family

ID=1953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081A KR100237046B1 (ko) 1998-01-23 1998-01-23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0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281A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1263B1 (en) Dust collector
JPH11253376A (ja) 真空清掃機の遠隔制御装置
KR100237047B1 (ko)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
KR100237046B1 (ko)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
JP2008000739A (ja) 分岐集塵機能を備えた局所集塵システム
KR100213497B1 (ko)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용 전원공급장치
EP4233661A1 (en) Suction hose for use with a suction device
US20220369885A1 (en) Suction hose for use with a suction device
KR100232535B1 (ko) 중앙집진 진공청소기
KR100232534B1 (ko) 중앙집진 진공청소기
KR200321249Y1 (ko) 무선리모콘 무선진공청소기
KR200319677Y1 (ko) 무선 제어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JP200128596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411902Y1 (ko)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JPH02140125A (ja) 電気掃除機
JP2005193027A (ja) ミシン用無線受信装置
KR200153976Y1 (ko)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용 전원공급장치
KR100239162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07052106A1 (en) Control device
KR950026478A (ko) 전기청소기
KR20030000082A (ko) 진공청소기의 원격제어장치
KR20040079606A (ko) 무선 제어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JP2002017634A (ja) 自走式掃除機
KR10023916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포화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JP2001149284A (ja) 電気掃除機用吸い込み具ならびに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