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064A -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 Google Patents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064A
KR20200145064A KR1020190073493A KR20190073493A KR20200145064A KR 20200145064 A KR20200145064 A KR 20200145064A KR 1020190073493 A KR1020190073493 A KR 1020190073493A KR 20190073493 A KR20190073493 A KR 20190073493A KR 20200145064 A KR20200145064 A KR 20200145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unit
remote control
handl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3353B1 (ko
Inventor
박춘기
박현
Original Assignee
박춘기
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기, 박현 filed Critical 박춘기
Priority to KR1020190073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353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7Surface tr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리모콘이 내장된 손잡이가 청소기 본체에 탈착식으로 결합되어 유지 보수나,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는, 피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사용자 조작을 위한 리모콘 버튼 및 리모콘 버튼의 조작에 따라 리모콘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콘 스위치를 구비하고 손잡이에 설치되는 리모콘을 포함하고,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조립체와, 청소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어부와, 리모콘에서 발생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도록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와,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원부와,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 대한 전류 공급을 단속하기 위해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류 단속 스위치를 포함한다. 전류 단속 스위치는 손잡이 조립체가 청소기 본체에 결합될 때 전원부에서 리모콘 신호 수신부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고, 손잡이 조립체가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될 때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 대한 전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CLEANER WITH SEPARATION TYPE HANDLE}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리모콘이 내장된 손잡이가 청소부를 갖는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피청소면에 대한 청소 방식에 따라 진공 청소기, 스팀 청소기, 물걸레 청소기 등이 있으며, 복합적인 청소 방식이 채택된 모델도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진공 청소기의 경우,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팬 모터가 내장되는 청소기 본체와, 피청소면으로부터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청소기 헤드와, 청소기 헤드로부터 흡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집진 장치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이에 더해 스팀 분사 기능이나, 물걸레 청소 기능이 부가적으로 탑재되기도 한다.
또한, 청소기는 그 모양과 기능에 따라 캐니스터형, 업라이트형, 드럼형, 핸디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캐니스터형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청소기 헤드, 손잡이, 호스,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며, 방바닥이나 마루바닥을 청소하기에 적합한 청소기이다. 업라이트형 청소기는 카펫 청소에 적합한 것으로, 카펫의 털 속에 있는 먼지를 회전브러쉬가 돌아가면서 청소해줄 수 있다. 드럼형 청소기는 먼지통이 커서 많은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형태로, 업소나 공장 등에서 많이 활용된다. 핸디형 또는 스틱형 청소기는 사용자가 들고 사용하기 편하도록 개발된 청소기로 무게가 가벼우며, 배터리를 사용하는 무선형이 많다.
청소기는 온오프 조작이나, 청소 모드 선택 등을 위한 조작 버튼부가 손잡이에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청소기의 손잡이에 구비되는 조작 버튼부는 전류를 공급받아야 하므로, 청소기 본체와 유선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조작 버튼부가 고장나면 수리가 어렵고, 경우에 따라 청소기 전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2-0003157호 (2012.01.1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청소기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리모콘이 내장된 손잡이가 청소기 본체에 탈착식으로 결합되어 유지 보수나,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콘 사용에 따른 대기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는, 피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사용자 조작을 위한 리모콘 버튼 및 상기 리모콘 버튼의 조작에 따라 리모콘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는 리모콘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조립체; 상기 청소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어부; 상기 리모콘에서 발생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 상기 청소부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원부; 및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 대한 전류 공급을 단속하기 위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손잡이 조립체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 조립체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 대한 전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전류 단속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손잡이 조립체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본체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 조립체는 상기 본체 삽입홈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류 단속 스위치는 상기 삽입부와의 접촉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삽입홈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류 단속 스위치는, 상기 본체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에 의해 가압되어 움직이는 스위치 가동부재와, 상기 스위치 가동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온-오프 조작되는 스위치 접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본체 삽입홈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조립체는,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서 외부로 개방되도록 상기 삽입부에 마련되는 삽입부 설치홈과,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상기 삽입부 설치홈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 관통홀과, 상기 삽입부 설치홈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 클립 바디와, 상기 삽입부 관통홀을 통해 상기 삽입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클립 바디에 연결되는 고정 클립 돌기를 구비하는 고정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조립체는, 상기 손잡이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파이프 삽입홈을 갖는 연결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손잡이의 끝단 및 상기 연결 파이프의 끝단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손잡이의 삽입부 및 상기 연결 파이프의 삽입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는 이에 구비되는 삽입부가 상기 파이프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 파이프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청소부 및 헤드부 단자부를 구비하되, 상기 청소부는 피청소면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 및 피청소면에 접하여 회전할 수 있는 회전 걸레를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전류 단속 스위치와, 상기 헤드부 단자부에 접속될 수 있는 몸체부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기 헤드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기 몸체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하여 상기 흡입부에 진공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흡입 모터와, 상기 헤드부 단자부 및 상기 몸체부 단자부를 통해 상기 전원부의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하여 상기 회전 걸레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기 헤드부에 설치되는 걸레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모콘은 상기 흡입 모터와 상기 걸레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리모콘이 손잡이 조립체에 설치되고, 손잡이 조립체가 청소부를 갖는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리모콘에 이상이 생기면, 리모콘만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되어 수리 또는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나,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와 손잡이 조립체가 분리 가능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는 손잡이 조립체의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가 손잡이 조립체가 청소기 본체에 결합될 때만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하므로, 불필요한 대기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의 손잡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와 손잡이 조립체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에 손잡이가 직접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에 구비되는 청소기 보조 헤드부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의 손잡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100)는 피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137)를 갖는 청소기 본체(110)와, 리모콘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청소기 본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조립체(150)와,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청소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178)와, 리모콘 신호 수신부(178)에 대한 전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도록 청소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전류 단속 스위치(180)와, 제어부(186)를 포함한다. 이러한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100)는 손잡이 조립체(150)에 구비되는 리모콘(161)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여 피청소면을 청소를 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0)는 청소기 몸체부(111)와, 피청소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피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청소기 몸체부(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기 헤드부(135)를 포함한다.
청소기 몸체부(111)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몸체부(112)와 제 2 몸체부(119)를 포함한다. 제 1 몸체부(112)는 제 1 몸체부 하우징(113)을 구비하고, 제 2 몸체부(119)는 제 1 몸체부 하우징(113)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부 하우징(120)을 구비한다. 제 1 몸체부 하우징(113)과 제 2 몸체부 하우징(120)은 상호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몸체부 하우징(124)을 형성한다. 제 1 몸체부 하우징(113)의 내측에는 흡입 모터(115)와, 전원부(117)와, 제어부(186)가 설치된다. 흡입 모터(115)는 전원부(117)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하여 흡입력을 발생하고, 제어부(186)에 의해 제어된다. 제 2 몸체부 하우징(120)의 내측에는 먼지나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부(122)가 설치된다. 흡입 모터(115)가 흡입력을 발생할 때 청소기 헤드부(135)를 통해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이 집진부(122)에 집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몸체부 하우징(113)과 제 2 몸체부 하우징(120)을 분리함으로써, 집진부(122)에 포집된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집진부(122)를 교체할 수 있다.
제 1 몸체부(112)의 끝단에는 손잡이 조립체(15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126)가 구비되고, 제 2 몸체부(119)의 끝단에는 청소기 헤드부(135)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 결합부(130)가 구비된다. 본체 결합부(126)에는 손잡이 조립체(150)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본체 삽입홈(127)과, 본체 삽입홈(127)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는 본체 결합홀(128)이 마련된다. 그리고 몸체부 결합부(130)에는 청소기 헤드부(135)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몸체부 단자부(132)가 구비된다.
청소기 헤드부(135)는 헤드부 하우징(136)과, 헤드부 하우징(136)의 하측에 구비되는 청소부(137)와, 청소기 몸체부(11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헤드부 하우징(136)에 결합되는 헤드부 결합부(143)를 포함한다. 청소부(137)는 피청소면의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138)와, 피청소면을 걸레질하기 위한 회전 걸레(140)가 구비된다. 흡입 모터(115)에서 흡입력이 발생할 때 흡입부(138)를 통해 피청소면의 먼지나 이물질이 헤드부 하우징(136)의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부(138)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은 헤드부 하우징(136)의 내측에 마련되는 흡입 유로(139) 및 헤드부 결합부(143)를 통해 청소기 몸체부(111)의 집진부(122)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회전 걸레(140)는 헤드부 하우징(136)의 내측에 설치되는 걸레 회전부(117)에 의해 회전하여 피청소면을 걸레질할 수 있다. 걸레 회전부(117)는 청소기 몸체부(111)의 전원부(117)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으며, 제어부(186)에 의해 제어된다.
헤드부 결합부(143)는 흡입 유로(139)와 연결되는 헤드부 연결튜브(144)와, 헤드부 연결튜브(144)를 내측에 수용하고 헤드부 하우징(136)에 다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 연결관(145)과, 헤드부 연결관(145)을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147)를 포함한다. 헤드부 연결튜브(144)는 자유롭게 굽힘 변형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흡입 모터(115)가 작동할 때 흡입 유로(139)를 따라 유동하는 먼지나 이물질이 헤드부 연결튜브(144)를 통과하여 청소기 몸체부(111)의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헤드부 연결관(145)은 청소기 몸체부(111)의 몸체부 결합부(130)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헤드부 연결홀(146)을 갖는다. 몸체부 결합부(130)가 헤드부 연결홀(146)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청소기 몸체부(111)와 청소기 헤드부(135)가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 연결관(145)은 회전 지지부재(14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지지부재(147)는 헤드부 하우징(1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헤드부 연결관(145)을 틸팅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헤드부 하우징(136)에 대한 회전 지지부재(147)의 회전 중심축과 회전 지지부재(147)에 대한 헤드부 연결관(145)의 회전 중심축은 직교한다. 따라서, 헤드부 연결관(145)은 헤드부 하우징(136)에 대해 다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으며 헤드부 연결튜브(144)를 다??향으로 굽힘 변형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헤드부 결합부(143)에는 청소기 몸체부(111)의 몸체부 단자부(132)에 대응하는 헤드부 단자부(148)가 구비된다. 청소기 몸체부(111)와 청소기 헤드부(135)가 상호 결합될 때, 몸체부 단자부(132)와 헤드부 단자부(148)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몸체부(111)에 설치된 전원부(117)의 전류나, 제어부(186)의 제어 신호가 몸체부 단자부(132)와 헤드부 단자부(148)를 통해 걸레 회전부(117)에 전달될 수 있다.
헤드부 결합부(143)를 통해 청소기 몸체부(111)와 청소기 헤드부(135)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청소기 몸체부(111)와 청소기 헤드부(135)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손잡이 조립체(150)를 잡고 청소기 헤드부(135)를 피청소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0)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는 청소기 본체(110)가 흡입 모터(115)와 집진부(122)가 설치되는 청소기 몸체부(111)와, 청소부(137)를 구비하는 청소기 헤드부(135)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청소기 몸체부(111)와 청소기 헤드부(135)가 분리되지 않는 결합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청소기 몸체부(111)가 상호 분리될 수 있는 제 1 몸체부(112) 및 제 2 몸체부(119)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청소기 몸체부(111)의 구조는 도시된 구조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청소부(137)는 도시된 것과 같이, 흡입부(138)와 회전 걸레(140)를 구비하여 진공 청소와 걸레 청소가 모두 가능한 구조 이외에, 진공 청소만 가능한 구조나, 걸레 청소만 가능한 구조, 또는 스팀 청소가 가능한 구조 등 다양한 형태의 청소가 가능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7)는 교체형 배터리 방식, 충전기 방식, 또는 유선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손잡이 조립체(15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51)와, 리모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손잡이(151)에 설치되는 리모콘(161)과, 손잡이(15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파이프(167)를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손잡이(151)는 리모콘(161)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손잡이(151)의 끝단에는 청소기 본체(110)의 본체 결합부(12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삽입부(153)가 구비된다. 손잡이(151)는 삽입부(153)가 본체 결합부(126)의 본체 삽입홈(127)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청소기 본체(11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153)의 내측에는 삽입부 설치홈(154)이 마련된다. 삽입부 설치홈(154)은 삽입부(153)의 끝단으로부터 삽입부(153)의 외측으로 개방된다. 삽입부(153)의 일측에는 삽입부 설치홈(154)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는 삽입부 관통홀(155)이 형성된다.
삽입부 설치홈(154)에는 고정클립(157)이 설치된다. 고정클립(157)은 탄성 변형 가능한 고정클립 바디(158)와, 고정클립 바디(158)의 일측에 돌출 구비되는 고정클립 돌기(159)를 포함한다. 고정클립 바디(158)는 삽입부 설치홈(154) 속에 아치형 모양으로 배치된다. 고정클립 돌기(159)는 손잡이(151)의 삽입부 관통홀(155)을 통해 손잡이(15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고정클립(157)은 손잡이(151)를 청소기 본체(110)에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손잡이(151)의 삽입부(153)가 청소기 본체(110)의 본체 삽입홈(127)에 삽입될 때, 고정클립(157)의 고정클립 돌기(159)가 청소기 본체(110)의 본체 결합홀(128)에 삽입됨으로써 손잡이(151)가 청소기 본체(110)에 안정적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51)가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클립 돌기(159)를 눌러 본체 결합홀(128)에서 벗어나게 한 후 손잡이(151)를 청소기 본체(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고정클립(157)은 청소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전류 단속 스위치(180)를 작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손잡이(151)의 삽입부(153)가 청소기 본체(110)의 본체 삽입홈(127)에 삽입될 때, 고정클립(157)의 고정클립 바디(158)가 전류 단속 스위치(180)에 접함으로써 전류 단속 스위치(18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리모콘(161)은 리모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손잡이(151)에 설치된다. 리모콘(161)은 사용자 조작을 위한 복수의 조작 버튼(162)과, 조작 버튼(162)에 의해 작동되어 리모콘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리모콘 스위치(163)와, 리모콘 스위치(163)에서 발생하는 리모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 송신부(164)와, 복수의 리모콘 스위치(163) 및 리모콘 신호 송신부(164)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리모콘 배터리(165)를 포함한다. 복수의 조작 버튼(162)은 손잡이(151)의 외측으로 드러나도록 배치된다. 조작 버튼(162)은 누름 버튼 구조나, 터치 버튼 구조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리모콘 스위치(163)는 조작 버튼(162)의 구조에 따라 접점식 구조나, 터치 센서 구조 등 리모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리모콘(161)은 흡입 모터(115) 및 걸레 회전부(117)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를 발생하여 무선 방식으로 청소기 본체(110)의 리모콘 신호 수신부(178)로 송신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조작 버튼(162)을 조작함으로써 흡입 모터(115) 및 걸레 회전부(117)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연결 파이프(167)는 청소기 본체(110)와 손잡이(151)를 연결할 수 있도록 청소기 본체(110) 및 손잡이(151)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 파이프(167)의 일단부에는 손잡이(151)의 삽입부(153)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 파이프(167)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개방되는 파이프 삽입홈(168)이 구비된다. 또한, 연결 파이프(167)의 일단부 일측에는 파이프 삽입홈(168)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는 파이프 결합홀(169)이 마련된다. 손잡이(151)의 삽입부(153)가 파이프 삽입홈(168)에 삽입될 때, 손잡이(151)에 구비되는 고정클립(157)의 고정클립 돌기(159)가 파이프 결합홀(169)에 삽입됨으로써 손잡이(151)와 연결 파이프(167)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연결 파이프(167)의 타단에는 청소기 본체(110)의 본체 결합부(12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삽입부(170)가 구비된다. 연결 파이프(167)는 삽입부(170)가 본체 결합부(126)의 본체 삽입홈(127)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170)의 내측에는 삽입부 설치홈(171)이 마련된다. 삽입부 설치홈(171)은 삽입부(170)의 끝단으로부터 삽입부(170)의 외측으로 개방된다. 삽입부(170)의 일측에는 삽입부 설치홈(171)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는 삽입부 관통홀(172)이 형성된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부 설치홈(171)에는 고정클립(174)이 설치된다. 고정클립(174)은 손잡이(151)에 구비되는 고정클립(157)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고정클립(174)은 탄성 변형 가능한 고정클립 바디(175)와, 고정클립 바디(175)의 일측에 돌출 구비되는 고정클립 돌기(176)를 포함한다. 고정클립 바디(175)는 삽입부 설치홈(171) 속에 아치형 모양으로 배치된다. 고정클립 돌기(176)는 연결 파이프(167)의 삽입부 관통홀(172)을 통해 연결 파이프(167)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고정클립(174)은 연결 파이프(167)를 청소기 본체(110)에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 파이프(167)의 삽입부(170)가 청소기 본체(110)의 본체 삽입홈(127)에 삽입될 때, 고정클립(174)의 고정클립 돌기(176)가 청소기 본체(110)의 본체 결합홀(128)에 삽입됨으로써 연결 파이프(167)가 청소기 본체(110)에 안정적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 파이프(167)가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클립 돌기(176)를 눌러 본체 결합홀(128)에서 벗어나게 한 후 연결 파이프(167)를 청소기 본체(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고정클립(174)은 청소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전류 단속 스위치(180)를 작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 파이프(167)의 삽입부(170)가 청소기 본체(110)의 본체 삽입홈(127)에 삽입될 때, 고정클립(174)의 고정클립 바디(175)가 전류 단속 스위치(180)에 접함으로써 전류 단속 스위치(18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리모콘 신호 수신부(178)는 리모콘(161)에서 발생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6)에 송신할 수 있도록 청소기 본체(110)에 설치된다. 리모콘 신호 수신부(178)는 전원부(117)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하며, 무선 방식으로 리모콘(161)과 통신하여 리모콘(161)의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전류 단속 스위치(180)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178)에 대한 전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도록 청소기 본체(110)의 본체 삽입홈(127)에 설치된다. 전류 단속 스위치(180)는 청소기 몸체부(111)에 결합되는 스위치 하우징(181)과, 스위치 하우징(181)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 접점부(183)와, 스위치 접점부(183)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 하우징(181)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 가동부재(184)를 포함한다. 스위치 하우징(181)의 일측에는 스위치 하우징 개구(182)가 마련되고, 스위치 하우징 개구(182)를 통해 스위치 가동부재(184)의 일부분이 스위치 하우징(18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스위치 가동부재(184)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 접점부(183)는 스위치 가동부재(184)의 움직임에 따라 온-오프(On-Off) 조작된다. 스위치 가동부재(184)가 스위치 접점부(183)에 접할 때, 스위치 접점부(183)는 온(On) 상태가 되어 전원부(117)의 전류가 리모콘 신호 수신부(178)에 제공될 수 있다. 반면, 스위치 가동부재(184)가 스위치 접점부(183)에서 떨어지면 스위치 접점부(183)는 오프(Off) 상태가 되어 리모콘 신호 수신부(178)에 대한 전류 공급이 차단된다.
이러한 전류 단속 스위치(180)는 청소기 본체(110)의 본체 삽입홈(127)에 설치되어 손잡이 조립체(15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전류 단속 스위치(180)는 손잡이 조립체(150)의 손잡이(151) 또는 연결 파이프(167)가 본체 삽입홈(127)에 삽입될 때, 손잡이(151)의 삽입부(153)에 구비되는 고정클립(157) 또는 연결 파이프(167)의 삽입부(170)에 구비되는 고정클립(174)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손잡이(151)의 삽입부(153)나 연결 파이프(167)의 삽입부(170)가 본체 삽입홈(127)에 삽입되지 않으면, 전류 단속 스위치(180)의 스위치 가동부재(184)가 스위치 접점부(183)에서 떨어져 스위치 접점부(183)는 오프 상태가 된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 파이프(167)의 삽입부(170)가 본체 삽입홈(127)에 삽입되는 경우, 연결 파이프(167)에 구비되는 고정클립(174)이 스위치 가동부재(184)에 접하여 스위치 가동부재(184)를 스위치 접점부(183)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스위치 접점부(183)가 스위치 가동부재(184)에 의해 눌려 온 상태로 바뀌게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손잡이(151)의 삽입부(153)가 본체 삽입홈(127)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손잡이(151)에 구비되는 고정클립(157)이 스위치 가동부재(184)에 접하여 스위치 가동부재(184)를 스위치 접점부(183) 측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스위치 접점부(183)가 온 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류 단속 스위치(180)는 손잡이 조립체(150)가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될 때만 리모콘 신호 수신부(178)에 전원부(117)의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고, 손잡이 조립체(150)가 청소기 본체(110)에서 분리되면 리모콘 신호 수신부(178)에 대한 전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를 하지 않을 때에는 손잡이 조립체(150)를 청소기 본체(110)에서 분리해 놓고, 청소를 할 때만 손잡이 조립체(150)를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하여 리모콘 신호 수신부(178)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이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전류 단속 스위치(180)가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면에는 전류 단속 스위치(180)가 택트 스위치 형태의 스위치 접점부(183)와, 손잡이 조립체(150)에 의해 가압되어 스위치 접점부(183)를 누를 수 있는 스위치 가동부재(184)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전류 단속 스위치는 이러한 구조 이외에, 청소기 본체(110)와 손잡이 조립체(150)의 결합 상태에 따라 리모콘 신호 수신부(178)에 대한 전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다양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구조로 청소기 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전류 단속 스위치(180)의 스위치 가동부재(184)가 손잡이(151)에 구비되는 고정클립(157)이나 연결 파이프(167)에 구비되는 고정클립(174)에 의해 가압되어 전류 단속 스위치(180)가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스위치 가동부재(184)는 손잡이(151)의 삽입부(153) 또는 연결 파이프(167)의 삽입부(17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제어부(186)는 청소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흡입 모터(115)와 걸레 회전부(117)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86)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178)를 통해 리모콘(161)의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고, 리모콘 신호에 따라 흡입 모터(115)와 걸레 회전부(117)에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흡입 모터(115)와 걸레 회전부(117)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100)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리모콘(161)이 손잡이 조립체(150)에 설치되고, 손잡이 조립체(150)가 청소부(137)를 갖는 청소기 본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리모콘(161)에 이상이 생기면, 리모콘(161)만 청소기 본체(110)에서 분리되어 수리 또는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나,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100)는 청소기 본체(110)와 손잡이 조립체(150)가 분리 가능하므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100)는 손잡이 조립체(150)의 리모콘(161)에서 송신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청소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178)가 손잡이 조립체(150)가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될 때만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대기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100)는 손잡이 조립체(150)가 리모콘(161)이 내장된 손잡이(151)와, 손잡이(15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파이프(167)를 포함함으로써, 전체적인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151)를 연결 파이프(167)에 결합하고, 연결 파이프(167)를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함으로써,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100)의 길이를 길게 조절하여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는 연결 파이프(167)를 분리하고 손잡이(151)를 직접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함으로써,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100)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여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100)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청소기 몸체부(111)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청소기 보조 헤드부(188)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보조 헤드부(188)는 보조 헤드부 하우징(189)과, 청소기 몸체부(11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보조 헤드부 하우징(189)에 결합되는 보조 헤드부 결합부(190)를 포함한다. 보조 헤드부 하우징(189)의 하측에는 피청소면의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보조 헤드부 결합부(190)는 보조 헤드부 하우징(189)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헤드부 연결관(191)을 포함한다. 보조 헤드부 연결관(191)의 끝단에는 청소기 몸체부(111)의 몸체부 결합부(130)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보조 헤드부 연결홀(192)이 마련된다. 몸체부 결합부(130)가 보조 헤드부 연결홀(19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청소기 몸체부(111)와 청소기 보조 헤드부(188)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청소기 보조 헤드부(188)는 청소기 헤드부(135)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부피가 작고 가벼워 좁은 피청소면을 청소하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10)의 구체적인 구조나, 청소기 본체(110)와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손잡이 조립체(150)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110 : 청소기 본체
111 : 청소기 몸체부 112 : 제 1 몸체부
115 : 흡입 모터 117 : 전원부
119 : 제 2 몸체부 122 : 집진부
126 : 본체 결합부 127 : 본체 삽입홈
128 : 본체 결합홀 130 : 몸체부 결합부
132 : 몸체부 단자부 135 : 청소기 헤드부
137 : 청소부 138 : 흡입부
140 : 회전 걸레 141 : 걸레 회전부
143 : 헤드부 결합부 144 : 헤드부 연결튜브
145 : 헤드부 연결관 147 : 회전 지지부재
148 : 헤드부 단자부 150 : 손잡이 조립체
151 : 손잡이 153, 170 : 삽입부
154, 171 : 삽입부 설치홈 157, 174 : 고정클립
158, 175 : 고정클립 바디 159, 176 : 고정클립 돌기
161 : 리모콘 162 : 조작 버튼
163 : 리모콘 스위치 164 : 리모콘 신호 송신부
165 : 리모콘 배터리 167 : 연결 파이프
168 : 파이프 삽입홈 178 : 리모콘 신호 수신부
180 : 전류 단속 스위치 181 : 스위치 하우징
183 : 스위치 접점부 184 : 스위치 가동부재
186 : 제어부 188 : 청소기 보조 헤드부

Claims (6)

  1. 피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사용자 조작을 위한 리모콘 버튼 및 상기 리모콘 버튼의 조작에 따라 리모콘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는 리모콘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조립체;
    상기 청소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어부;
    상기 리모콘에서 발생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
    상기 청소부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원부; 및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 대한 전류 공급을 단속하기 위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손잡이 조립체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 조립체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 대한 전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전류 단속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손잡이 조립체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본체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 조립체는 상기 본체 삽입홈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류 단속 스위치는 상기 삽입부와의 접촉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삽입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단속 스위치는,
    상기 본체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에 의해 가압되어 움직이는 스위치 가동부재와,
    상기 스위치 가동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온-오프 조작되는 스위치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본체 삽입홈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조립체는,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서 외부로 개방되도록 상기 삽입부에 마련되는 삽입부 설치홈과,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상기 삽입부 설치홈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 관통홀과,
    상기 삽입부 설치홈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 클립 바디와, 상기 삽입부 관통홀을 통해 상기 삽입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클립 바디에 연결되는 고정 클립 돌기를 구비하는 고정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조립체는,
    상기 손잡이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파이프 삽입홈을 갖는 연결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손잡이의 끝단 및 상기 연결 파이프의 끝단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손잡이의 삽입부 및 상기 연결 파이프의 삽입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는 이에 구비되는 삽입부가 상기 파이프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 파이프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청소부 및 헤드부 단자부를 구비하되, 상기 청소부는 피청소면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 및 피청소면에 접하여 회전할 수 있는 회전 걸레를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전류 단속 스위치와, 상기 헤드부 단자부에 접속될 수 있는 몸체부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기 헤드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기 몸체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하여 상기 흡입부에 진공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흡입 모터와,
    상기 헤드부 단자부 및 상기 몸체부 단자부를 통해 상기 전원부의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하여 상기 회전 걸레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기 헤드부에 설치되는 걸레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모콘은 상기 흡입 모터와 상기 걸레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KR1020190073493A 2019-06-20 2019-06-20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KR102293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493A KR102293353B1 (ko) 2019-06-20 2019-06-20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493A KR102293353B1 (ko) 2019-06-20 2019-06-20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064A true KR20200145064A (ko) 2020-12-30
KR102293353B1 KR102293353B1 (ko) 2021-08-23

Family

ID=74087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493A KR102293353B1 (ko) 2019-06-20 2019-06-20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959B1 (ko) * 2021-01-07 2021-03-26 (주)에어메이드 물걸레 청소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560Y1 (ko) * 1998-03-02 2000-12-01 배길성 업라이트진공청소기의안전장치
KR200367533Y1 (ko) * 2004-08-14 2004-11-12 케이서비스코리아(주) 마포걸레용 장착구
KR200411902Y1 (ko) * 2005-12-26 2006-03-21 (주)한국하비비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KR20120003157A (ko) 2010-07-02 2012-01-10 이상래 리모콘 청소기
KR101741078B1 (ko) * 2015-09-10 2017-06-15 주식회사 휴스톰 진공 물걸레 청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560Y1 (ko) * 1998-03-02 2000-12-01 배길성 업라이트진공청소기의안전장치
KR200367533Y1 (ko) * 2004-08-14 2004-11-12 케이서비스코리아(주) 마포걸레용 장착구
KR200411902Y1 (ko) * 2005-12-26 2006-03-21 (주)한국하비비 리모컨 조작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KR20120003157A (ko) 2010-07-02 2012-01-10 이상래 리모콘 청소기
KR101741078B1 (ko) * 2015-09-10 2017-06-15 주식회사 휴스톰 진공 물걸레 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959B1 (ko) * 2021-01-07 2021-03-26 (주)에어메이드 물걸레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353B1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07206B (zh) 电动吸尘装置
JP5771248B2 (ja) 掃除用電気器具
KR101143659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KR101637684B1 (ko) 진공 청소기
JP2018518214A (ja) 電気掃除機システム
KR102385783B1 (ko) 핸디-스틱형 진공청소기
JP6667648B2 (ja) 家庭用掃除器具および家庭用掃除器具用の基地ステーション
EP3524113B1 (en) Cleaning device
US20210345848A1 (en) Vacuum cleaner hold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JP2012050564A (ja) ハンディタイプ電気掃除機
JPH02224725A (ja) 掃除機のブラシ吸塵ノズル
JP2007089895A (ja) 電気掃除機
JP2004313249A (ja) 電気掃除機
KR102293353B1 (ko)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GB2550041A (en) Staubsauger
JP2014200406A (ja) クリーナ用吸込み具
KR20200145065A (ko) 조립식 청소기
CN108348118B (zh) 清扫工具及真空吸尘器
JP4709690B2 (ja) 電気掃除機
JP2002034862A (ja) 電気掃除機
JP2017123922A (ja) 電気掃除装置
KR100851910B1 (ko) 진공청소기
JP2003135346A (ja) 電気掃除機
KR20230152995A (ko) 청소기
RU2295272C1 (ru) Беспроводной пылесос ю.в. розенберг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