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754Y1 -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 - Google Patents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754Y1
KR200411754Y1 KR2020060000076U KR20060000076U KR200411754Y1 KR 200411754 Y1 KR200411754 Y1 KR 200411754Y1 KR 2020060000076 U KR2020060000076 U KR 2020060000076U KR 20060000076 U KR20060000076 U KR 20060000076U KR 200411754 Y1 KR200411754 Y1 KR 200411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alloon
carotid artery
distal en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대철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60000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7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7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08Guide wires having a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6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guide wire lumens outside the main shaft, i.e. the guide wire lumen is within or on the surface of the ballo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를 개시한다. 측부에 외부와 연통되게 적어도 하나의 혈류용 홀이 형성된 제1 샤프트; 제1 샤프트의 원위단에 배치되며, 제1 풍선 루멘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게 된 제1 풍선; 제1 샤프트의 근위단에 배치된 제1 와이어 삽입부와, 제1 와이어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제1 샤프트의 원위단으로 인출될 수 있게 제1 샤프트 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채널부를 구비한 제1 가이드 루멘; 제1 샤프트의 원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 샤프트; 제2 샤프트의 원위단에 배치되며, 제2 풍선 루멘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게 된 제2 풍선; 및 제1 샤프트의 근위단에 배치된 제2 와이어 삽입부와, 제2 와이어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제2 샤프트의 원위단으로 인출될 수 있게 제1 및 제2 샤프트 내에 형성되되 혈류용 홀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2 가이드 채널부를 구비한 제2 가이드 루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Catheter for reopening artery in acute Internal carotid artery occlus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Ⅴ-Ⅴ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Ⅵ-Ⅵ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2의 Ⅶ-Ⅶ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8은 도 2의 Ⅷ-Ⅷ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d)는 도 2의 카테터에 의해 혈관 재개통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제1 샤프트 120..제2 샤프트
130..제1 풍선 140..제2 풍선
150..제1 풍선 루멘 160..제1 가이드 루멘
170..제2 풍선 루멘 180..제2 가이드 루멘
본 고안은 혈관 성형술에 사용되는 카테터(cathete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관 내경이 50% 이상 폐색되면 증상이 생기게 되는데, 하지의 혈관이 폐색되면 걸을 때 통증이 유발되고, 신장의 혈관이 폐색되면 고혈압이 유발되며, 뇌혈관이 폐색되면 중풍 같은 증상이 유발된다. 이처럼 혈관의 좁아진 부위를 찾아 넓혀주는 시술이 혈관 성형술이다. 즉, 혈관 성형술은 방사선(X-ray)을 이용한 혈관 검사 및 치료로서, 방사선과 전문의가 체외에서 카테터를 환자의 혈관으로 넣고 조영제를 주사하여 X-ray 상에서 혈관의 좁아진 부위를 찾아 넓혀주는 시술을 일컫는다.
한편, 뇌는 4개의 동맥(좌,우 총경동맥 및 추골동맥)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는데, 이들 동맥에서 총경동맥과 추골동맥이 시작되는 지점과,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으로 분지(分枝)되는 총경동맥에 있어 내경동맥이 총경동맥으로부터 분지되어 나온 시발점에서 폐색되어 동맥경화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잦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내경 동맥의 총경동맥으로부터 분지되어 나온 시발점에서 폐색되면, 카테터를 이용하여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으로 분지되기 전의 총경동맥에서 혈류를 일시 차단하고, 차단한 상태에서 내경동맥의 내벽에 붙은 동맥경화의 덩어리를 부순 후 떨어 져 나온 부스러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그 결과, 폐색된 혈관을 재개통하게 된다.
그런데, 폐색된 부위로부터 떨어져 나온 부스러기는 흡입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외경동맥의 역류에 의해 내경동맥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외경동맥에서 혈류를 차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외경동맥으로 혈액이 장시간 흐르지 않게 되면 외경동맥을 통한 뇌혈류의 측 순환의 부족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두 갈래로 분지된 혈관에 있어서 분지된 어느 한쪽 혈관이 폐색된 경우, 폐색된 혈관을 재개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부스러기가 분지된 혈관들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과 동시에 다른 쪽 혈관으로 혈액은 공급될 수 있는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는, 측부에 외부와 연통되게 적어도 하나의 혈류용 홀이 형성된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의 원위단에 배치되며, 제1 풍선 루멘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게 된 제1 풍선; 상기 제1 샤프트의 근위단에 배치된 제1 와이어 삽입부와, 상기 제1 와이어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제1 샤프트의 원위단으로 인출될 수 있게 상기 제1 샤프트 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채널부를 구비한 제1 가이드 루멘; 상기 제1 샤프트의 원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의 원위단에 배치되며, 제2 풍선 루멘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게 된 제2 풍선; 및 상기 제1 샤프트의 근위단에 배치된 제2 와이어 삽입부와, 상기 제2 와이어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제2 샤프트의 원위단으로 인출될 수 있게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내에 형성되되 상기 혈류용 홀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2 가이드 채널부를 구비한 제2 가이드 루멘; 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100)는, 제1 샤프트(110)와, 제1 샤프트(110)의 원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 샤프트(1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원위단이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성형술을 시행하는 시술자를 기준으로 시술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단을 지칭한 것으로, 시술자에 가까이 있는 단은 근위단으로 지칭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샤프트(110)의 원위단에는 제1 풍선(130)이 설치되며, 제2 샤프트(120)의 원위단에는 제2 풍선(140)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샤프트(110)에 제1 풍선 루멘(lumen)(150) 및 제1 가이드 루멘(160)이 설치되며, 제1 샤프트(110)와 제2 샤프트(120)에 걸쳐 제2 풍선 루멘(170) 및 제2 가이드 루멘(180)이 설치된다.
제1 샤프트(110)는 원위단을 선단으로 하여 대퇴부 동맥으로 삽입된 후 내경동맥으로까지 충분히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 예컨대 100㎝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제1 및 제2 샤프트(110)(120)는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 혈관에 상응하게 각각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다. 여기서, 제2 샤프트(120)는 내경동맥보다 통상 지름이 작은 외경동맥 내로 삽입될 수 있게 제1 샤프트(110)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다. 이러한 제2 샤프트(120)는 대략 5㎝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샤프트(110)의 근위단 부위는 혈관 내로 삽입이 되지 않는데, 이 부위에는 후술할 제1 및 제2 유체 삽입부(151)(171)와, 제1 및 제2 와이어 삽입부(161)(181)가 설치됨으로써, 시술자가 좁아진 혈관을 찾아 넓혀주는 것과 같은 각종 시술을 시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1 샤프트(110)의 근위단 부위는 시술자가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게 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샤프트(110)의 근위단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혈관 내로 삽입되어 이동하게 되는데, 혈관이 굴곡지더라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 샤프트(120) 또한 혈관 내로 삽입되어 이동하게 되므로,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 샤프트(110)는 측부에 외부와 연통되게 적어도 하나의 혈류용 홀(111)이 형성된다. 혈류용 홀(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홀(112)에 의해 후술할 제2 가이드 채널부(182)와 연통됨으로써, 연통된 부위 주변을 흐르는 혈액이 제2 가이드 채널부(182)를 거쳐 제2 샤프트(120)의 원위단을 통해 배출되게 하여, 제2 샤프트(120)의 원위단이 위치한 혈관으로 혈액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혈류용 홀(111)이 형성된 부위는 제1 샤프트(110)의 원위단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샤프트(110)의 원위단에 위치된 제1 풍선(130)은 제1 샤프트(110)의 반경 방향, 즉 방사상으로 팽창 및 수축할 수 있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 풍선(130)은 수축한 상태에서 시술자가 제1 샤프트(110)를 혈관 내부를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며, 팽창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에서 혈관 내의 혈류를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1 풍선(130)은 팽창한 상태에서 혈관의 혈류를 충분히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한편, 제1 풍선(130)은 내부로 공기 등과 같은 유체를 공급하게 되면 팽창하고, 내부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게 되면 원래의 상태로 수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풍선(130)으로 유체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것은 제1 풍선 루멘(1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제1 풍선 루멘(150)은 제1 유체 삽입부(151) 및 제1 유동 채널부(152)를 구비한다. 제1 유체 삽입부(151)는 외부로부터 유체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샤프트(110)의 근위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유체 삽입부(151)는 유체를 담은 주사기 등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제1 샤프트(1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유체 삽입부(151)는 양단이 개구된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유동 채널부(152)는 제1 유체 삽입부(151)로부터 삽입된 유체가 제1 풍선(130)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샤프트(110) 내에 형성된다. 상술 하면, 제1 유동 채널부(152)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샤프트(110) 내에서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유동 채널부(152)는 일단이 제1 유체 삽입부(151)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53)에 의해 제1 풍선(130)의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유동 채널부(152)는 제1 풍선(130) 내의 유체가 제1 유체 삽입부(1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통로의 역할도 겸한다.
이러한 제1 풍선 루멘(150)과 함께 제1 샤프트(110)에 설치된 제1 가이드 루멘(160)은 제1 와이어 삽입부(161) 및 제1 가이드 채널부(162)를 구비한다. 제1 와이어 삽입부(161)는 외부로부터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샤프트(110)의 근위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와이어 삽입부(161)는 가이드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제1 샤프트(1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와이어 삽입부(161)는 양단이 개구된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와이어 삽입부(161)를 통해서는 통상 굵은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므로, 삽입이 용이할 수 있게 제1 샤프트(110)와 동축 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와이어 삽입부(161)로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는, 원위단에 풍선이 설치되어 동맥경화의 덩어리를 부수며, 부서진 후 생성된 부스러기를 흡입할 수 있는 가이드 와이어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와이어 삽입부(161)에는 전술한 제1 유체 삽입부(151)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시술함에 있어 편리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제1 유체 삽입부(151)는 제1 와이어 삽입부(161)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이드 채널부(162)는 제1 와이어 삽입부(161)로부터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제1 샤프트(110)의 원위단으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샤프트(110) 내에 형성된다. 상술하면, 제1 가이드 채널부(162)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샤프트(110) 내에서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가이드 채널부(162)는 일단이 제1 와이어 삽입부(161)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제1 샤프트(110)의 원위단으로부터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가이드 채널부(162)는 가이드 와이어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제1 유동 채널부(152)의 외측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1 가이드 채널부(162) 및 제1 유동 채널부(152)는 제1 샤프트(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튜브와 같은 별개의 부재로 제1 샤프트(110) 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샤프트(120)의 원위단에 위치된 제2 풍선(140)은 제2 샤프트(120)의 반경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할 수 있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2 풍선(140)은 수축한 상태에서 시술자가 제2 샤프트(120)를 혈관 내부를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며, 팽창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에서 혈관 내의 혈류를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2 풍선(140)은 팽창한 상태에서 혈관의 혈류를 충분히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데, 제1 풍선(130)보다는 다소 작은 크기를 갖는다. 이 같은 제2 풍선(140)은 제2 풍선 루멘(170)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게 된다.
이를 위한 제2 풍선 루멘(170)은 제2 유체 삽입부(171) 및 제2 유동 채널부(172)를 구비한다. 제2 유체 삽입부(171)는 외부로부터 유체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 한 것으로, 제1 샤프트(110)의 근위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유체 삽입부(171)는 유체를 담은 주사기 등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제1 샤프트(1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유체 삽입부(171)는 양단이 개구된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유동 채널부(172)는 제2 유체 삽입부(171)로부터 삽입된 유체가 제2 풍선(140)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샤프트(110)와 제2 샤프트(120)에 걸쳐 이들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술하면, 제2 유동 채널부(172)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샤프트(110)(120) 내에서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유동 채널부(172)는 일단이 제2 유체 삽입부(171)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73)에 의해 제2 풍선(140)의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 풍선 루멘(170)과 함께 제1 및 제2 샤프트(110)(120)에 걸쳐 설치된 제2 가이드 루멘(180)은 제2 와이어 삽입부(181) 및 제2 가이드 채널부(182)를 구비한다. 제2 와이어 삽입부(181)는 외부로부터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샤프트(110)의 근위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와이어 삽입부(181)는 가이드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제1 샤프트(1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와이어 삽입부(181)는 양단이 개구된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샤프트(110)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같은 제2 와이어 삽입부(181)에는 전술한 제2 유체 삽입부(171)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시술함에 있어 편리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제2 유체 삽입부(171)는 제2 와이어 삽입부(181)의 측부 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이드 채널부(182)는 제2 와이어 삽입부(181)로부터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제2 샤프트(120)의 원위단으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및 제2 샤프트(110)(120) 내에 형성된다. 상술하면, 제2 가이드 채널부(182)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샤프트(110)(120) 내에서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가이드 채널부(182)는 일단이 제2 와이어 삽입부(181)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제2 샤프트(120)의 원위단으로부터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2 가이드 채널부(18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홀(112)에 의해 혈류용 홀(111)과 연통됨으로써, 연통된 부위 주변을 흐르는 혈액이 제2 샤프트(120)의 원위단이 위치한 혈관으로 혈액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2 가이드 채널부(182)는 가이드 와이어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제2 유동 채널부(172)의 외측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2 가이드 채널부(182) 내에 제2 유동 채널부(172)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카테터(100)가 구성됨에 따라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을 재개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으로 분지되는 총경동맥에 있어 내경동맥이 총경동맥으로부터 분지되어 나온 시발점에서 폐색된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동맥(11)이 총경동맥(10)으로부터 분 지되어 나온 시발점에서 내벽에 붙은 동맥경화의 덩어리(15)에 의해 폐색이 된 상태에서, 제2 샤프트(120)의 제2 풍선(140)이 설치된 부위가 외경동맥(12) 내로 진입되게 하는 한편, 제1 풍선(130)이 총경동맥(10) 내에 위치되게 제1 샤프트(110)를 이동시킨다. 그 다음, 유체가 담긴 주사위(20)를 제1 및 제2 유체 삽입부(151)(171)에 각각 장착한 후 제1 및 제2 풍선(130)(140)에 유체를 공급하여 팽창시키되, 제1 풍선(130)과 내경동맥(11) 사이 및 제2 풍선(140)과 외경동맥(12) 사이로 혈액이 흐르지 않을 정도로 팽창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단에 풍선(31)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30)를 제1 와이어 삽입부(161)로부터 삽입시킨 후 제1 샤프트(110)의 원위단을 통해 내경동맥(11)의 폐색된 위치로 풍선(31)이 위치되게 인출시킨다. 그 다음, 가이드 와이어(30)의 풍선(31)을 팽창시켜 동맥경화의 덩어리(15)를 부순다. 이렇게 동맥경화의 덩어리(15)가 부서지게 되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러기(16)가 생성되는데 이러한 부스러기(16)는 가이드 와이어(30)의 원위단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과정에서, 외경동맥(12)과 제2 풍선(140) 사이로는 혈액이 흐르지 않음에 따라 부스러기(16)가 외경동맥(12)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한편, 제1 샤프트(110)의 측부에 형성된 혈류용 홀(111)로는 총경동맥(10)을 흐르는 혈액이 유입되어 제2 샤프트(120)의 원위단을 통해 배출됨에 따라 혈액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경동맥(11)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외경동맥(12)이 혈관을 재개통하는 시술을 하는 동안에 외경동맥을 통한 뇌혈류의 측 순환의 부족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렇게 부스러기(16)를 모두 제거하고 나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 동맥(11)의 폐색된 부위를 재개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내경동맥이 총경동맥으로부터 분지되어 나온 시발점에서 폐색된 경우와 같이, 내경동맥을 재개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부스러기가 총경동맥의 폐쇄로 인해 외경동맥으로부터 내경동맥으로 혈액이 역류함에 따라 내경동맥으로 유입됨으로써 색전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외경동맥으로는 혈액이 공급될 수 있어 뇌혈류의 측 순환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측부에 외부와 연통되게 적어도 하나의 혈류용 홀이 형성된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의 원위단에 배치되며, 제1 풍선 루멘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게 된 제1 풍선;
    상기 제1 샤프트의 근위단에 배치된 제1 와이어 삽입부와, 상기 제1 와이어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제1 샤프트의 원위단으로 인출될 수 있게 상기 제1 샤프트 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채널부를 구비한 제1 가이드 루멘;
    상기 제1 샤프트의 원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의 원위단에 배치되며, 제2 풍선 루멘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게 된 제2 풍선; 및
    상기 제1 샤프트의 근위단에 배치된 제2 와이어 삽입부와, 상기 제2 와이어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제2 샤프트의 원위단으로 인출될 수 있게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내에 형성되되 상기 혈류용 홀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2 가이드 채널부를 구비한 제2 가이드 루멘;
    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풍선 루멘은, 상기 제1 샤프트의 근위단에 배치된 제1 유체 삽입부 와, 상기 제1 유체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유체가 상기 제1 풍선으로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제1 샤프트 내에 형성된 제1 유동 채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풍선 루멘은, 상기 제1 샤프트의 근위단에 배치된 제2 유체 삽입부와, 상기 제2 유체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유체가 상기 제2 풍선으로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내에 형성된 제2 유동 채널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의 혈관으로 삽입되는 부위와 상기 제2 샤프트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각각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제1 샤프트보다 지름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
KR2020060000076U 2006-01-02 2006-01-02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 KR200411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076U KR200411754Y1 (ko) 2006-01-02 2006-01-02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076U KR200411754Y1 (ko) 2006-01-02 2006-01-02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754Y1 true KR200411754Y1 (ko) 2006-03-16

Family

ID=4176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076U KR200411754Y1 (ko) 2006-01-02 2006-01-02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75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767B1 (ko) * 2008-07-08 2011-10-05 엄회재 고정 팽창부를 구비한 헤모백
KR20190016240A (ko) 2017-08-08 2019-02-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혈관 질환 시술용 y-카테터
KR20200060188A (ko) * 2018-11-21 2020-05-29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비후성 심근증 시술 방법
CN111202581A (zh) * 2018-11-21 2020-05-29 TauPNU医疗有限公司 肥厚型心肌病手术用射频消融导管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767B1 (ko) * 2008-07-08 2011-10-05 엄회재 고정 팽창부를 구비한 헤모백
KR20190016240A (ko) 2017-08-08 2019-02-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혈관 질환 시술용 y-카테터
KR20200060188A (ko) * 2018-11-21 2020-05-29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비후성 심근증 시술 방법
CN111202581A (zh) * 2018-11-21 2020-05-29 TauPNU医疗有限公司 肥厚型心肌病手术用射频消融导管
KR102406831B1 (ko) * 2018-11-21 2022-06-13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CN111202581B (zh) * 2018-11-21 2023-07-14 Tau医疗公司 肥厚型心肌病手术用射频消融导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979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ercutaneous and surgical interventions
US6663589B1 (en) Catheter system
CA2022019C (en) Catheter
US8357138B2 (en) Angioplasty method and means for performing angioplasty
JP4681190B2 (ja) 脈管外出血を制御する装置
US61591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body tissues and bodily fluid vessels
US20070049904A1 (en) Drain with occlusion removing structure
JP6933733B2 (ja) 子宮タンポナーデ組立体用のイントロデューサ、及びその使用方法
US20050149103A1 (en) ICA angioplasty with cerebral protection
US20090076484A1 (en) Therapeutic Catheter
IL143534A (en) Endovascular system for the treatment of stenoses of the carotid and catheter for this system
JP2009520575A (ja) カッティングバルーンカテーテル組立体
JP7470056B2 (ja) 血管系内に治療デバイスを挿入および配置するためのバルーン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
JPH09192232A (ja) ステント挿入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H0724058A (ja) 吸引カテーテル装置
US5868764A (en) Perfusion and occlusion device and method
JP2010264296A (ja) 管腔内拡張式補綴具を送出し配置するための管腔内装置
KR200411754Y1 (ko) 내경동맥의 급성 폐색시 혈관 재개통을 위한 카테터
WO2008099424A2 (en) A balloon catheter assembly and a method of use thereof
EP1159984B1 (en) Occlusion catheter for the ascending aorta
JP2007531589A (ja) 拡大遷移半径を有する医療用バルーン
EP4196205A1 (en) Balloon catheter for transcarotid procedures
JP3997173B2 (ja) 血管オクルーダ
KR20210001149A (ko) 배액용 카테터
US9707325B2 (en) Drainage system with occlus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