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533Y1 - 빨판을 갖는 해양생물을 위한 어초장치 - Google Patents

빨판을 갖는 해양생물을 위한 어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533Y1
KR200411533Y1 KR2020050037062U KR20050037062U KR200411533Y1 KR 200411533 Y1 KR200411533 Y1 KR 200411533Y1 KR 2020050037062 U KR2020050037062 U KR 2020050037062U KR 20050037062 U KR20050037062 U KR 20050037062U KR 200411533 Y1 KR200411533 Y1 KR 200411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ylinder portion
fishery
attached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7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봉
이순우
Original Assignee
이인봉
이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봉, 이순우 filed Critical 이인봉
Priority to KR2020050037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5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5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빨판을 갖는 해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어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통형 실린더부(20)와, 상기 다수개의 실린더부가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지지판(3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는 실린더부(20)는 내주면(20a)이 상기 지지판(3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실린더부(20)는 각각의 외주면(20b)이 상호 이격되어 구성되는, 소정량의 회분율을 포함하는 폐비닐을 이용한 어초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해삼과 같은 빨판을 갖는 해양생물의 서식처를 체공하기 위한 인공어초 장치를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어소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가 하면, 폐비닐을 세척하지도 않고 그대로 재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운반이나 해삼 양식 후 회수도 용이한 여러가지 장점을 지니게 된다.
해삼, 어초, 실린더형

Description

빨판을 갖는 해양생물을 위한 어초장치{Fishing reef for infaunas having sucking disks}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초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초장치의 후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초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초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초장치의 저면도.
도 6은 종래의 전복 양식용 어초장치.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지지판 21. 리브
22. 고정돌기
30. 실린더부 30a. 실린더부 내주면
30b. 실린더부 외주면
본 고안은 해삼이나 전복과 같은 빨판을 갖는 해양생물의 양식에 사용되는 어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단순하면서 많은 기능을 갖는 폐비닐을 이용한 어초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 종래기술의 "전복 양식용 어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90-3196호와 같은 것이 있다.
이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에 고정돌기(4)를 가진 착설판(3)의 상측에 여러개의 통공(5)을 가진 표면부를 기복면(2)으로 형성한 합성수지재 전복 양식용 어초장치 본체(1)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1)의 표면부에 산석(6)과 왕모래(7)를 돌출되게끔 매입 착설시켜서 기복면(2)을 형성시킨 후, 그 위에 미역, 파래, 김, 곰피, 다시마, 해태 등의 해초류(8)의 배우체를 뿌려서 부착시키고, 그 위에는 나일론사, PP, PE등으로 된 그물망(9)을 덮어씌워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어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도면부호 10은 착설판(3)의 고정용 착설공을 나타낸다.
한편, 제2 종래기술로서, "폐비닐을 주제로 한 인공어초의 제조방법"이 대한민국 특허 제467365호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폐비닐을 용융시켜 통공(11)을 갖는 사각 또는 원통형태를 이루는 통상의 어류용 또는 패조류용 인공어초(1)의 형태로 사출성형하여 이루되, 상기 용융단계에서는 별도의 가열수단을 통해 그 용융물의 온도와 근접하게 예열된 자갈 또는 폐철근등 중량체(3)를 3:2의 비율로 함께 투입하여 교반 혼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성형기에 동시 투입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사출, 경화 시킴으로서 인공어초(1)의 각면 내부에 중량체(3)가 폐비닐층(2)과 일체화되어 일정 무게를 가질 수 있게 구성된 폐비닐을 주재로 한 인공어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상의 제1 종래기술의 어초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종래기술의 어초장치는 모두 단일의 어소공간만이 형성되기 때문에, 생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어초를 연결시켜 주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또다른 공정이나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흔히 여러개의 원통형 어초를 끈으로 묶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바, 이는 번거로운 추가의 작업이 될 뿐더러, 양식 도중 끈이 풀리거나 끊기어 원통형의 어초들이 흩어져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다수개의 원통형이나 다각통형 등의 파이프형의 어초가 고정된 간격으로 고정판 상에 형성되도록 한 어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추가의 목적이나 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한 이하의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빨판을 갖는 해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어초장치는, 다수개의 통형 실린더부(20)와, 상기 다수개의 실린더부가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지지판(3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는 실린더부(20)는 내주면(20a)이 상기 지지판(3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실린더부(20)는 각각의 외주면(20b)이 상호 이격되어 구성되는, 소정량의 회분율을 포함하는 폐비닐을 이용한 어초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부(30)가 지지판(20)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분의 제1 통공의 크기(R)가 상기 지지판과 반대편의 실린더부의 제2 통공의 크기(r) 보다 크도록 (R > r) 실린더부(30)를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각각의 실린더부(30) 간에는 지지판과 인접하여 또는 지지판과 일체로 리브(21)를 형성함으로써, 실린더부(30)가 더욱 단단히 지지판(2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판(20)의 하측에는 고정돌기(22)를 형성함으로써, 하측 실린더부(30)가 바다 저면의 모래나 자갈에 파묻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첨부도면 중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초장치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초장치의 후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어초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적당한 크기의 파이프형 실린더부(30)가 지지판(20)에 부착된 형태로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의 형상은 대체로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원통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면이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각형인 파이프형이어도 상관없다.
특히, 본 고안의 어초장치는 농촌에서 버려지는 폐비닐을 이용할 수가 있는 바,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수거되는 폐비닐에는 모래나 흙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다른 용도로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를 깨끗이 세척하여야 하는 관계로 재활용율이 극히 낮은 실정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의 어초장치로 재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폐비닐에 모래나 흙과 같은 소정량의 회분율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체로 상기 회분율이 20-40% 가량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저급성 폴리에틸렌 파이프형의 실린더부 표면에 공극을 형성하기 때문에, 해산과 같은 생물이 실린더부의 내면이나 외면에 부착되어 양식되는 경우에 호흡이 용이하고, 아울러 표면이 약간 거칠게 됨으로써 부착이 용이하게 되며 표면에 기생하는 플랑크톤과 같은 미생물을 먹이로 할 수가 있게 되는 추가의 장점이 있게 되며, 아울러 어느 정도 비중을 유지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도 해수에 가라앉게 된다. 상기 회분율이 20% 미만이면 비중이 너무 작아 해수에 부유하는 문제점이 있고, 40% 이상이면 성형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아울러 실린더부는 내주면(30a)과 외주면(30b)을 갖게 되는 바, 이때 인근 실린더부의 외주면은 상호 접하지 않고 어느 정도 떨어진 되도록 하는 것이, 외주 면(30b)에도 해삼이 부착되어 양식될 수 있어, 서식공간을 넓힐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초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초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초장치의 저면도이다.
먼저, 도 3에는 실린더부(30)가 지지판(20)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분의 제1 통공의 크기(R)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지지판과 반대편의 실린더부의 제2 통공의 크기(r)가 도시되어 있는 바, 제1 통공의 크기가 제2 통공의 크기보다 크도록 (R > r) 실린더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도 4 참조), 다수개의 어초장치를 적층상태로 운반하기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린더부 간에는 지지판과 인접하여 또는 지지판과 일체로 리브(21)를 형성함으로써, 실린더부(30)가 더욱 단단히 지지판(2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판의 하측에는 고정돌기(22)를 형성함으로써, 하측 실린더부(30)가 바다 저면의 모래나 자갈에 파묻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한계는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초장치에 의하면, 해삼과 같은 빨판을 갖는 해양생물의 서식처를 체공하기 위한 인공어초 장치를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어소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가 하면, 폐비닐을 세척하지도 않고 그대로 재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운반이나 해삼 양식 후 회수도 용이한 여러가지 장점을 지니게 된다.

Claims (4)

  1. 빨판을 갖는 해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어초장치로서,
    다수개의 통형 실린더부(20)와,
    상기 다수개의 실린더부가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지지판(3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는 실린더부(20)는 내주면(20a)이 상기 지지판(3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실린더부(20)는 각각의 외주면(20b)이 상호 이격되어 구성되는, 소정량의 회분율을 포함하는 폐비닐을 이용한 어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30)가 지지판(20)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분의 제1 통공의 크기(R)가 상기 지지판과 반대편의 실린더부의 제2 통공의 크기(r) 보다 크도록 (R > r) 실린더부(30)를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실린더부(30) 간에는 지지판과 인접하여 또는 지지판과 일체로 리브(21)를 형성함으로써, 실린더부(30)가 더욱 단단히 지지판(2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의 하측에는 고정돌기(22)를 형성함으로써, 하측 실린더부(30)가 바다 저면의 모래나 자갈에 파묻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장치.
KR2020050037062U 2005-12-30 2005-12-30 빨판을 갖는 해양생물을 위한 어초장치 KR200411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062U KR200411533Y1 (ko) 2005-12-30 2005-12-30 빨판을 갖는 해양생물을 위한 어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062U KR200411533Y1 (ko) 2005-12-30 2005-12-30 빨판을 갖는 해양생물을 위한 어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533Y1 true KR200411533Y1 (ko) 2006-03-15

Family

ID=4176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7062U KR200411533Y1 (ko) 2005-12-30 2005-12-30 빨판을 갖는 해양생물을 위한 어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5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802A (ko) 2019-03-05 2020-09-15 (주)광명바이오산업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802A (ko) 2019-03-05 2020-09-15 (주)광명바이오산업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6950B1 (ja) 魚類卵回収具および魚類卵回収方法
US20130118413A1 (en) Artificial Marine Habitat
KR20140060598A (ko) 궤도형 인공 어초
KR10188383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KR100939204B1 (ko) 부유식 수변 및 수중생물 서식산란장
KR100582210B1 (ko) 친환경적인 식생식물 및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식생부력체
KR200411533Y1 (ko) 빨판을 갖는 해양생물을 위한 어초장치
CN1304647A (zh) 树脂栽培基、水净化装置和树脂栽培基的使用方法
CN103168716B (zh) 框架结构的瓶洞礁
KR20100036837A (ko) 친환경 굴패각 해중림초
KR100704144B1 (ko) 인공어초
KR200408875Y1 (ko) 낚시용 인조미끼
KR101127107B1 (ko) 인공섬 유니트
KR20180077389A (ko) 인공어초
JP4242506B2 (ja) 金網製魚礁
JP7360482B2 (ja) 増殖礁用部材の製造方法
KR100740420B1 (ko) 어패류 증식용 부속품 및 이를 구비한 어초
WO2005036952A1 (ja) 藻場・魚礁又は珊瑚礁用培地
JP2000166418A (ja) 間伐材と鉄材を用いた多目的海洋魚礁
CN2691255Y (zh) 半封闭式埋栖型贝类吊养装置
JP3256535B2 (ja) 藻場の造成方法、藻場増殖礁、育成部材、及び、藻場増殖礁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200387037Y1 (ko) 인공어초
KR100234567B1 (ko) 고무 콘크리트를 이용한 환경인공어초
KR200217474Y1 (ko) 낚싯대용 봉돌
KR200350482Y1 (ko)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