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357Y1 - 수중진동파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수중진동파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357Y1
KR200411357Y1 KR2020050036448U KR20050036448U KR200411357Y1 KR 200411357 Y1 KR200411357 Y1 KR 200411357Y1 KR 2020050036448 U KR2020050036448 U KR 2020050036448U KR 20050036448 U KR20050036448 U KR 20050036448U KR 200411357 Y1 KR200411357 Y1 KR 200411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water
main body
generator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덕
Original Assignee
(주) 백산 오엠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백산 오엠비 filed Critical (주) 백산 오엠비
Priority to KR2020050036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3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3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8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가 용이하며, 사용성 및 안전성도 우수하고 위생적인 새로운 구조의 수중진동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원공급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기(20)가 내장되어 욕조(2)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본체(10)와, 일단이 상기 진동발생기(20)에 연결되며 타단은 욕조(2) 내측으로 하향연장된 진동전달부재(30)와, 상기 진동전달부재(30)에 장착되어 욕조(2) 내부의 물을 진동시키는 진동날개(40)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날개(40)에는 광촉매코팅층(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진동파 발생장치가 제공된다.
수중진동파, 광촉매, 감온변색, 진동날개, 진동모터

Description

수중진동파 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aquatic vibration wav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부분측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진동발생기
30. 진동전달수단 40. 진동날개
42. 광촉매코팅층 50. 급수전
60. 수위감지센서 70. 감온변색부
본 고안은 수중진동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하며, 사용성 및 안전성도 우수하고 위생적인 새로운 구조의 수중진동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욕시 욕조에 담긴 물을 진동 및 순환시키도록 된 수중진동파 발생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수중진동파 발생장치는 진동발생기가 내장된 본체와, 본체에서 하향연장되어 상기 진동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욕조에 담긴 물로 전달하는 진동전달수단 등으로 구성되는데, 진동전달수단이 욕조 내부로 유입되도록 본체가 욕조 상측의 건물벽면에 고정설치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욕조 상측 벽면에는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전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중진동파 발생장치를 설치할 때 기 설치된 급수전과 설치위치가 간섭되기 때문에 수중진동파 발생장치를 사용하기에 가장 효율적인 위치에 설치하지 못하거나 또는 수중진동파 발생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설치된 급수전의 위치를 조절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더욱이, 피부미용 및 건강증진 측면에서 욕실에 연수기나 정수기 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연수기나 정수기가 설치된 경우에 수중진동파 발생장치까지 설치하게 되면 욕실 공간이 좁아지며, 여러 가지 장치가 너저분하게 설 치됨에 따라 자칫, 욕실 실내분위기가 지저분해질 우려도 있다. 또한, 연수기나 정수기 등도 급수전과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되므로 연수기와 정수기가 설치된 경우에도 수중진동파 발생장치의 설치 위치가 제약을 받는다.
한편, 입욕시 수온은 38~42℃ 정도가 적당한데, 이 정도의 수온을 맞추기 위해 사용자가 온도계를 구비하여 수온을 측정하든지 아니며 손을 넣어서 목욕물의 온도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불편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며, 안정성도 우수하고 장치자체의 위생적인 관리 뿐만 아니라 목욕물 및 욕조의 위생적인 사용도 가능하고, 사용도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수중진동파 발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원공급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기(20)가 내장되어 욕조(2)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본체(10)와, 일단이 상기 진동발생기(20)에 연결되며 타단은 욕조(2) 내측으로 하향연장된 진동전달부재(30)와, 상기 진동전달부재(30)에 장착되어 욕조(2) 내부의 물을 진동시키는 진동날개(40)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날개(40)에는 광촉매코팅층(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진동파 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는 건물에 배관된 수도관에 연결되는 급수관(58)과, 이 급수관(58)에 연결되어 수돗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수도꼭지(52)가 구비된 급수전(50)이 장착되며, 상기 본체(10) 전면에는 설치공(14)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전(50)은 수도꼭지(52)가 상기 설치공(14)을 통해 본체(10)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진동파 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진동날개(40)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10) 하측에서 연장된 지지프레임(48)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8)에는 입욕자의 신체가 진동날개(40)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간살부재(49)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8)에는 욕조(2)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60)가 구비되고, 이 수위감지센서(60)에 의해 욕조(2)에 담겨진 물이 일정수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진동발생기(20)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62)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진동파 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48)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는 감온변색부(70)가 구비되어, 상기 감온변색부(70)를 통해 욕조에 담겨진 물의 수온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진동파 발생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측면도이고, 도 3은 그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2) 상측의 건물 벽면에 고정설치되며 진동발생기(20)가 내장된 본체(10)와, 일측은 상기 진동발생기(20)에 연결되며 타측을 욕조(2) 내측으로 연장된 진동전달부재(30)와, 상기 진동전달부재(30)에 장착되어 욕조(2) 내부의 물을 진동시키는 진동날개(40)와, 상기 본체(10)의 저면에서 상기 진동날개(40)의 양측으로 하향연장되어 진동날개(40) 전면으로 위치되도록 다수개의 간살부재(49)가 결합된 지지프레임(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발생기(20)는 본체(10) 내부에 직립설치된 복수개의 지지로드(22)와, 이 지지로드(22)에 승강가능하도록 수평으로 결합된 진동판(24)과, 상기 지지로드(22)에 끼워져 상기 진동판(24)을 상향지지하는 스프링(25)과, 상기 진동판(24)의 상면에 설치된 진동모터(2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진동절단부재(30)는 한쌍의 바아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동날개(40)는 탄성이 있는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되어 진동절단부재의(30) 하부에 소정간격으로 수평 장착된다. 따라서 진동모터(28)를 구동시키면 진동판(24)이 상하로 진동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진동전달부재(30)기 상하로 진동되어 진동날개(40)가 진동된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함체형상을 갖도록 한쌍의 전후 케이스로 이루어지는데, 상측 내부에는 진동발생기(20)가 내장되며, 전면 소정부위에는 진동발생기(20)를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12) 및 진동발생기(20)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타임 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이러한 본체(10)의 내부 하측에는 급수관(58) 및 급수전(50)이 장착된다. 급수전(50)은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를 조절하는 수도꼭지에 구비된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는데, 이 급수전(50)은 본체(10) 전면에 형성된 설치공(14)을 통해 수도꼭지(52)가 본체(10)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본체(10)에 설치된다. 이러한 급수전(50)은 상기 급수관(58)에 의해 벽체에 배관된 수도관(4)과 연결되고, 급수전(50)의 배수구에는 선단부가 하향되어 본체(10) 외부로 길게 연장된 배수관(56)과 샤워기(57)가 연결된다. 미설명부호 52는 수온조절용 노브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10)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58)과 급수전(5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수중진동파 발생장치를 설치할 때 욕실에 기 설치된 급수전을 제거하고 진동날개(40)가 욕조(2) 내부에 적절한 깊이로 유입되도록 본체(10)를 벽체에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종래 급수전을 그대로 두고 수중진동파 발생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수중진동파 발생장치의 설치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날개(40)에는 광촉매층(42)이 코팅된다. 바람직하게는 광촉매로는 이산화티탄이 코팅된다. 광촉매층(42)이 형성되면 욕실 실내 조명이나 욕실로 유입되는 자연광에 의해 광촉매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촉매가 빛을 받아 여기되면 전자가 방출되고 그 표면에는 플러스전기를 띤 정공이 생성되는데, 이때 방출된 여기전자는 강한 환원력을 가지며, 정공은 강한 산화력을 가진다. 이러한 여기전자와 정공의 산화환원력에 의해 각종 유기물질이 분해되거나 살균되므로 광촉매 에 의해서는 유해물질의 분해, 제거 및 항균, 탈취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광촉매의 이러한 효과는 반영구적으로 지속된다.
상기 진동날개(40)는 물에 담겨 작동되는 것이므로 물때가 끼기 쉬우며, 습기로 인해 세균 등이 번식될 우려도 높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광촉매층(42)에 의해 물때가 분해되어 제거되며, 항균효과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광촉매층(42)에 의해 욕조(2)의 물도 정화, 항균 및 탈취되고, 욕조도 항균처리되고 욕조에 물때가 끼이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진동날개(40)에 의해 욕조(2)의 물이 진동, 순환되므로 광촉매에 의한 효과가 진동날개(40) 근처로 한정되지 않고 욕조 내부에 담겨진 물 전체에 고르게 확산된다. 이와 같이 진동날개(40)에 광촉매층(42)이 코팅되면, 진동자체의 위생적인 관리는 물론이며, 욕조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 욕실 내부 공기의 정화 항균 및 탈취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수중진동파 발생장치는 욕조의 물이 일정 수준이하인 경우에는 진동발생기(20)가 작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48)에는 수위감지센서(60)가 구비되고, 이 수위감지센서(60)에는 상기 진동발생기(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2)가 연결된다. 이 제어부(62)는 상기 수지감지센서(60)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이 신호로부터 욕조(2)의 수위가 기준치 보다 높은 지 아니면 기준치 보다 낮은 지를 판단하고, 욕조(2)의 수위가 기준치 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진동발생기(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진동발생기(2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욕조(2)에 물이 조금 밖에 담겨지지 않은 경우에 진동발생기(20)가 작동되 면, 전원만 소비되고, 진동날개(40)에 무리가 발생되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전원스위치(12)를 온시킨 경우에도, 욕조(2)의 수위가 기준치 보다 낮은 경우에는 진동발생기(20)는 작동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는 감온변색부(70)가 구비된다. 입욕하기에 적당한 수온은 38~42℃ 이므로, 상기 감온변색부(70)는 이 온도범위에서 변색되는 감온변색물질을 코팅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목욕물의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 일일이 물에 손을 넣어 보거나 온도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감온변색부(70)를 통해 물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이상에서는 본체(10)가 건물벽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거치대에 의해 욕조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진동날개(40)에 광촉매가 코팅되어 있으므로, 이 광촉매에 의해 진동날개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뿐만 아니라 목욕물과 욕조의 위생적인 관리도 가능하다. 특히 진동날개(40)와 같이 유동되는 부재에 광촉매가 코팅되어 있으므로, 광촉매 효과가 빠르게 확산된다. 또한, 진동날개(40)에 형성된 광촉매층(42)에 의해 목욕물이 항균, 탈취되고 물에 함유된 유해물질이 분해되어 제거되므로 본 고안에 의한 수중진동파 발생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정수장치나 연수기 등을 구입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10)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전(50)과 급수관 (58)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욕실에 기 설치된 급수전을 제거하고 본체를 적합한 위치에 설치하고 급수관(58)을 수도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수중진동파 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기존의 장치와 달리 욕실에 기 설치된 급수전에 의해 설치위치가 제약받지 않으므로 수중진동파 발생기가 가장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위감지센서(60)가 구비되어 욕조의 물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구성되므로 전원의 낭비와 더불어 진동날개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며, 감온변색부(70)에 의해 목욕물의 수온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온도계를 사용하거나 손을 사용하여 목욕물의 온도를 일일이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Claims (4)

  1. 전원공급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기(20)가 내장되어 욕조(2)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고정설치되는 본체(10)와, 일단이 상기 진동발생기(20)에 연결되며 타단은 욕조(2) 내측으로 하향연장된 진동전달부재(30)와, 상기 진동전달부재(30)에 장착되어 욕조(2) 내부의 물을 진동시키는 진동날개(40)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날개(40)에는 광촉매코팅층(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진동파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건물에 배관된 수도관에 연결되는 급수관(58)과, 이 급수관(58)에 연결되어 수돗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수도꼭지(52)가 구비된 급수전(50)이 장착되며, 상기 본체(10) 전면에는 설치공(14)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전(50)은 수도꼭지(52)가 상기 설치공(14)을 통해 본체(10)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진동파 발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날개(40)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10) 하측에서 연장된 지지프레임(48)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8)에는 입욕자의 신체가 진동날개(40)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간살부재(49)가 결합되 며, 상기 지지프레임(48)에는 욕조(2)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60)가 구비되고, 이 수위감지센서(60)에 의해 욕조(2)에 담겨진 물이 일정수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진동발생기(20)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62)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진동파 발생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48)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는 감온변색부(70)가 구비되어, 상기 감온변색부(70)를 통해 욕조에 담겨진 물의 수온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진동파 발생장치.
KR2020050036448U 2005-12-27 2005-12-27 수중진동파 발생장치 KR200411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448U KR200411357Y1 (ko) 2005-12-27 2005-12-27 수중진동파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448U KR200411357Y1 (ko) 2005-12-27 2005-12-27 수중진동파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357Y1 true KR200411357Y1 (ko) 2006-03-15

Family

ID=4176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448U KR200411357Y1 (ko) 2005-12-27 2005-12-27 수중진동파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3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31727D1 (de) Spülvorrichtung mit Bewegungssensor
JP2016174898A (ja) 除菌水吐水装置
KR200441147Y1 (ko) 소독기능을 겸비한 손 건조기
KR20080034755A (ko) 이동식 손세척장치
KR20120002300A (ko) 살균 건조부를 포함하는 비데
KR200411357Y1 (ko) 수중진동파 발생장치
JP2007037761A (ja) 殺菌浄化光源を用いた洗面台付便座
KR200403752Y1 (ko) 살균 핸드 드라이어
KR20070053045A (ko) 자외선 살균 세탁기
JP2012067978A (ja) 加湿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洗面化粧台
US20130206187A1 (en) Treatment system for a garbage disposal and sink drain pipe
KR102453232B1 (ko)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수건걸이
CN210541282U (zh) 一种自动消毒马桶盖
JP2018184716A (ja) 水取扱い物品又は部材
CN210130772U (zh) 一种具有消毒杀菌功能的马桶
KR101400070B1 (ko) 살균 램프를 구비한 가습기 구조
KR200308605Y1 (ko) 소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KR101202149B1 (ko) 전선을 제거한 칫솔살균기
JP2009127385A (ja) 便器装置
KR20210116010A (ko) 욕조 및 그 제어방법
JP2016094711A (ja) 衛生洗浄装置
KR20070053046A (ko) 자외선 살균 세탁방법
JP2022120404A (ja) トイレ室内の脱臭除菌装置
JPH1136387A (ja) 衛生設備
ATE307234T1 (de) Säuberungs- und deodorierungsvorrichtung für eine toilettenschü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