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010A - 욕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욕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010A
KR20210116010A KR1020200032618A KR20200032618A KR20210116010A KR 20210116010 A KR20210116010 A KR 20210116010A KR 1020200032618 A KR1020200032618 A KR 1020200032618A KR 20200032618 A KR20200032618 A KR 20200032618A KR 20210116010 A KR20210116010 A KR 20210116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tub
microbubbles
water
bath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수
소일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2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6010A/ko
Publication of KR2021011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욕조는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되는 인릿, 상기 터브에 구비되며 마이크로버블이 토출되는 아웃릿, 상기 인릿과 상기 아웃릿의 사이에 구비되는 워터펌프 및 혼합기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릿에는 상기 마이크로버블이 수직방향에 대하여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배출되도록 배치되는 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욕조 및 그 제어방법{Bat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욕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 등을 효율적으로 목욕, 건조 등을 시킬 수 있는 욕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애완동물(이하 '펫')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펫은 사람과 함께 가정에서 주로 생활한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펫을 목욕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펫의 목욕시에 펫에 묻어있는 세균 등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펫의 목욕 후에 펫을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펫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목욕, 건조 등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할 수 있는 욕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펫에서 분리된 오염물질 및 세균을 효과적으로 분해 및 살균할 수 있는 욕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펫을 효율적으로 목욕, 건조 등을 시킬 수 있는 욕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펫에서 분리된 오염물질 및 세균을 효과적으로 분해 및 살균할 수 있는 욕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 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욕조는,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되는 인릿; 상기 터브에 구비되며 마이크로버블이 토출되는 아웃릿; 상기 인릿과 상기 아웃릿의 사이에 구비되는 워터펌프 및 혼합기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릿에는 상기 마이크로버블이 수직방향에 대하여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배출되도록 배치되는 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공은 상기 아웃릿의 상부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공은 소정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공은 반경방향에 대하여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웃릿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웃릿의 상부는 상기 아웃릿의 중간부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웃릿의 중간부의 외면에는 기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터브에는 드레인홀, 상기 드레인홀 및 상기 워터펌프에 연통하는 물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터브의 청소시에는 상기 물탱크의 물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로버블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욕조의 제어방법은, 마이크로버블 제너레이터에서 마이크로버블을 만드는 제1단계와; 상기 마이크로버블을 터브의 아웃릿을 통하여 수직방향에 대하여 소정 경사를 가지고 토출하는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을 수평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아웃릿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욕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버블 및 에어를 이용하여, 펫을 효율적으로 목욕, 건조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버블을 효과적으로 확산시켜, 오염물질 및 세균을 효과적으로 분해 및 살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하여 욕조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 구성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의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지만 이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에서 설명될 실시예 또는 도면에 그려진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터브(2)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욕조(1)는 펫을 목욕, 건조시키기 위하여 펫을 수용하는 터브(2)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는 펫을 목욕시킬 때에 물을 담을 수 있다.
터브(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펫을 수용하고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예를 들어, 터브(2)의 상부는 개방되며, 나머지 부분은 막히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2)의 횡단면은 대략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터브(2)에는 홀더(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6)에는 물이 나오는 샤워기(미도시)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터브(2)의 내부에는 에어가 토출되는 에어 아웃릿(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아웃릿(42)에서 토출되는 에어에 의하여 펫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터브(2)의 내부에는 버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버블이 배출되는 아웃릿(31)이 구비될 수 있다. 펫의 목욕 시에 아웃릿(31)에서 배출되는 마이크로버블에 의하여 유기물질을 분해하고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터브(2)는 이너 터브(22) 및 아웃터 터브(24)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의 하부에는 바텀 플레이트(26)가 구비될 수 있다. 아웃터 터브(24)에는 손잡이(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너 터브(22)는 아웃터 터브(24)에 비하여 직경 및 높이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이너 터브(22)와 아웃터 터브(24)의 사이에는 공간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이너 터브(22)의 하부(222)와 바텀 플레이트(26)의 상부 사이에도 공간이 생길 수 있다. 상기 공간에 각종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26)에는 다수의 구멍이 있는 그릴(26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262)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간에 드라이어(4), 마이크로버블 제어레이터(3)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드라이어(4)는 펫의 목욕 후에 펫을 건조시킬 수 있는 에어를 만들 수 있다. 마이크로버블 제어레이터(3)는 마이크로버블을 만들 수 있다.
한편, 이너 터브(22)의 하부(222)에는 드레인홀(92a)이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홀(92a)에는 상기 드레인홀(92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드레인캡(92)이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홀(92a)을 통하여, 이너 터브(22)의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드라이어(4)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드라이어는 에어펌프(41)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펌프(41)와 에어 아웃릿(42)의 사이에는 에어호스(422)가 구비될 수 있다. 에어펌프(41)의 입구(41a)에서 흡입된 공기는 에어호스(422)를 경유하여 에어 아웃릿(42)으로 토출될 수 있다.
에어펌프(41)에서 나오는 에어를 소정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펌프(41) 출구 측에 열선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2)의 소정 위치에는 컨트롤패널(10)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0)는 터브(2)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0)는 입력부, 출력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패널(10)에는 전원버튼, 마이크로버블 제너레이터(3), 드라이어(4) 등을 동작시키는 입력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4)는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마이크로버블 제너레이터(3)의 일 예를 설명한다.
마이크로버블 제너레이터(3)를 사용하면, 펫을 목욕시킬 때 목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마이크로버블 제너레이터(3)에서 만들어 지는 마이크로버블에 의하여 펫의 피부의 세균 또는 펫의 피부에서 분리된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오염물과 같은 유기물질을 분해할 수 있다.
마이크로버블의 직경은 일반 버블의 직경보다 작다. 마이크로버블의 직경은 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이다. 따라서, 일반 버블은 수중에서 수면으로 급격히 상승하지만, 마이크로버블은 부력이 적어 1분에 약 3mm 정도 상승하여 장기간 물속에 체류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버블은 수중에서 나노 사이즈의 나노버블 형태로 축소 전환되고 소멸되면서 오존대비 2000배 이상의 산화력을 가지는 프리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다. 프리라디칼은 살균력 및 난분해성 화학물질의 분해 능력이 뛰어나므로, 수질 개선 및 정화 기술로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버블은 양전하를 띤 세균, 바이러스 등과 같은 유기물질을 흡착한다. 마이크로버블이 나노버블로 전환되고 최종적으로 소멸될 때, 프리라디컬과 고압이 발생하여 유기물질을 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분해하고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마이크로버블 제너레이터(3)는 워터펌프(34) 및 혼합기(36)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펌프(34)에 의하여 터브(2) 내부의 물이 흡입된다. 혼합기(36)에서 물과 공기가 혼합되어 마이크로버블이 만들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버블 제너레이터(3)는 감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감압기는 수압을 감쇄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워터펌프(34)의 용량이 작으면 혼합기(36)에서 물과 공기가 혼합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워터펌프(34)의 용량이 크면 물과 공기의 혼합은 용이하지만, 만들어지는 마이크로버블이 부드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물과 공기의 혼합에 용이한 워터펌프(34)를 사용하되, 감압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버블을 부드럽게 만들 수 있다.
감압기가 사용되는 경우엔 혼합기와 감압기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혼합기와 감압기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며, 혼합기와 감압기를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모듈을 혼합기라고 표현한다. 도 2에서는 혼합기와 감압기가 모듈로 구성된 혼합기/감압기(36)를 편의상 도시하였다.
한편, 물이 유입되는 인릿(32)은 워터펌프(34)와 연통될 수 있으며, 워터펌프(34)는 혼합기(36)와 연통될 수 있다. 혼합기(36)는 아웃릿(31)과 연통되어, 상기 아웃릿(31)을 통하여 마이크로버블이 토출될 수 있다. 혼합기(36)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인릿(32) 및 아웃릿(31)에는 다수의 통공(32a, 31a)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터펌프(34)과 인릿(32) 사이는 제1호스(340)가 연결될 수 있다. 워터펌프(34)는 혼합기(36)의 사이에는 제2호스(360)가 연결될 수 있다. 혼합기(36)와 아웃릿(31)의 사이에는 제3호스(31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인릿(32)을 통하여 이너 터브(22)에 있는 물이 워터펌프(34)로 흡입될 수 있다. 혼합기(36)에서 공기와 물이 혼합되어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될 수 있다. 혼합기(36)에서 생성된 마이크로버블은 아웃릿(31)으로 토출될 수 있다. 아웃릿(31)에서는 마이크로버블 및 물이 같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물이 없는데도 워터펌프(34)가 작동되면 워터펌프(34)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인릿(32)은 터브 특히 이너터브(22)의 바닥면(222)에 구비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렇게 구성하면, 인릿(32)은 이너 터브(22)의 바닥면(222)에 위치하므로, 물이 없는 경우 워터펌프(34)가 작동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너 터브(22)에 물이 차자 마자 바로 워터펌프(34)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버블 제너레이터(3)를 계속적으로 운전하는 것보다 간헐적으로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들 들어, 30분 작동하고 일정시간 작동을 멈추고 다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웃릿(31)도 이너 터브(22)의 바닥면(222)에 구비될 수 있다. 아웃릿(31)은 인릿(32)의 반대편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너 터브(22)의 드레인홀(92a)과 드레인 호스(94)의 사이에 물탱크(9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너 터브(22)의 드레인홀(92a)과 물탱크(96)가 연통할 수 있고, 물탱크(96)와 드레인 호스(94)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너터브(22)의 물이 외부로 배수될 때, 이너터브(22)의 물 전부가 외부로 배수되지 않고, 일부의 물이 물탱크(96)에 저장될 수 있다. 물탱크(96)에 보관된 물은 향후 터브(2)의 청소시에 사용될 수 있다.(상세한 내용은 후술함.)
물탱크(96)를 상세히 설명한다.
물탱크(96)는 이너터브(22)의 바닥면(222)과 바텀 플레이트(262)의 사이에 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물탱크(96)는 워터펌프(34)와 에어펌프(4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도 1 참조)
물탱크(96)와 드레인홀(92a)의 사이에는 제4호스(92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호스(922)의 하단은 물탱크(96)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물탱크(96)에는 드레인호스(94)가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호스(96)의 상단은 물탱크(96)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물탱크(96)와 워터펌프(34)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탱크(96)와 워터펌프(34)의 사이에 제5호스(3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5호스(314)에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밸브(314a)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인릿(32)과 워터펌프(34)를 연결하는 제1호스(340)에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밸브(340a)가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캡(92)을 열면, 이너터브(22)에서 드레인홀(92a)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물탱크(96)의 상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 물탱크(96)로 유입된 물은 물탱크(96)에 저장될 수 있다. 물탱크(96)에 연결된 드레인호스(94)의 입구(942)까지 물이 차오르면, 물이 드레인호스(94)로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물탱크(96)의 물을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기 위하여, 물탱크(96)의 저면 부근의 별도의 드레인 호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마이크로버블이 토출되는 아웃릿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아웃릿(31)의 상면에 통공(31a)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마이크로버블은 상부 한 방향으로만 토출된다.
따라서, 마이크로버블이 상부 한 방향으로 집중되며, 마이크로버블이 터브 전체로 확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아웃릿(31)의 통공(31a)에서 상부로 토출된 마이크로버블이 펫에게 직접 부딪쳐, 펫에게 좋지 않은 촉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아웃릿(31)의 통공(31a)이 상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외관상 좋지 않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아웃릿의 구조를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웃릿(31)에서 토출되는 마이크로버블이 수직방향이 아니고 수직방향에 대하여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버블이 수평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아웃릿(31)의 측면에 통공(3222)이 구비될 수 있다. 아웃릿(31)의 측면에 통공(3222)이 전체적으로 예를 들어 360도 방향으로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아웃릿(31)이 회전할 수도 있다.
다수의 통공(3222)은 아웃릿(31)의 상부(322)의 측면에 방사상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통공(3222)의 개방된 부분이 반경방향과 일치할 수도 있지만, 반경방향과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통공(3222)에서 토출되는 마이크로버블은 아웃릿(31)의 반경방향에서 소정 경사를 가지고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버블이 360도에 걸쳐서 수평한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버블이 한 방향으로 집중되지 않으며, 터브에서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버블이 펫에 간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아웃릿 구조의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아웃릿(31)의 상부(322) 측면에는 다수의 통공(3222)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328)에는 제3호스(31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3호스(310)를 유동하는 물 및 마이크로버블이 통공(3222)을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아웃릿(31)의 형상은 한정되지는 않지만 중공의 원통형이 될 수 있다. 아웃릿(31)의 상부(322)와 하부(328)의 사이에는 중간부(324)가 구비될 수 있다.
아웃릿(31)의 상부(322)는 아웃릿(31)의 중간부(324)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따라서, 아웃릿(31)의 상부(322)의 테두리 부분의 저면(3224)은 이너터브(22)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아웃릿(31)의 중간부(324)의 외면에는 기어부(326)가 구비될 수 있다. 기어부(326)는 액튜에이터의 회전력을 받아서 아웃릿(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액튜에이터는 모터(350)가 될 수 있다. 이너터브의 저면에는 브라켓(35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354)에 모터(350)가 설치될 수 있다.
모터(350)와 기어부(326)는 벨트(352) 또는 기어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350)의 회전에 의하여 아웃릿(31)이 회전할 수 있다.
아웃릿(31)의 하부(328)는 아웃릿(31)의 중간부(324)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다. 아웃릿(31)의 하부(328)는 제3호스(3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호스(310)는 혼합기(36)에 연결될 수 있다.(도 2 참조)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제어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콘트롤러(110)는 소정의 알고리즘을 가질수 있다. 콘트롤러(110)에는 각종 센서(112)가 연결될 수 있다. 콘트롤러(100)에는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받는 각종 입력부(114)가 연결될 수 있다.
센서(112)는 터브에 펫이 있는 지를 감지하는 센서, 터브 내부에 물이 있는 지를 감지하는 센서, 터브가 아우릿에 접근하는 지를 감지하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4)는 전원버튼, 마이크로버블 제어레이터 작동버튼, 드라이어 작동버튼, 터브청소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트롤러(110)에는 워터펌프(34), 에어펌프(41), 제1밸브(340a), 제2밸브(314a), 모터(350)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110)에는 각종 출력부(120)가 연결될 수 있다. 출력부(120)는 LED, LCD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110)는 센서(112), 입력부(114)의 신호를 받아서 소정 알고리즘으로 판단 과정을 거쳐서 워터펌프(34), 에어펌프(41), 제1밸브(340a), 제2밸브(314a), 출력부(12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4), 제어부(110) 및 출력부(120)는 컨트롤패널(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터브(2)에 물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펫을 터브(2)에 넣고, 펫을 목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홀더(6)의 샤워기를 이용하여 펫을 목욕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패널(10)의 입력부(112)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버블 제너레이터(3)를 작동시킬 수 있다. 터브(2)에 소정의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마이크로버블 제너레이터(3)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하여, 터브(2)에 물이 소정 수위로 채워져 있지 않으면 경보를 발령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버블 제너레이터(3)를 작동시키면, 워터펌프(34)가 구동되어 아웃릿(31)을 통하여 마이크로버블이 터브(2)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워터펌프(34)는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워터펌프(34)의 작동을 임의의 시점에서 중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센서에 의하여 펫이 아웃릿(31)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워터펌프(34)의 작동을 멈출 수도 있다.
마이크로버블 제너레이터(3)가 작동되면 아웃릿(31)에서 마이크로버블이 토출된다. 그런데, 아웃릿(31)에 통공(3222)이 측면에 구비되므로 마이크로버블이 수평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아웃릿(31)에 통공(3222)이 360도 방향에 걸쳐 구비되어 있으므로, 마이크로버블도 360도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아웃릿(31)은 회전가능하므로, 마이크로버블도 360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출될 수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마이크로버블이 특정 방향에 집중되지 않고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버블이 터브(2)의 바닥면(222) 부근에서 수평으로 토출되므로, 마이크로버블은 펫에 간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펫의 목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터브(2)의 바닥에 구비된 드레인캡(92)을 열어 터브(2)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터브(2)의 물은 물탱크(96)로 배출될 수 있다.
물탱크(96)로 유입된 물의 일부는 물탱크(96)에 저장될 수 있다. 물탱크(96)에 연결된 드레인호스(94)의 높이까지 물이 차오르면, 물이 드레인호스(9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물탱크(96)에는 소정량의 물이 저장될 수 있다.(도 2 참조)
터브(2)의 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펫을 건조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10)의 입력부(114)를 통하여 드라이어(4)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에어펌프(41)가 작동하여, 에어 아웃릿(42)을 통하여 에어가 터브(2)의 내부로 공급된다.
에어펌프(41)는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에어펌프(41)의 작동을 임의의 시각에 중지시킬 수도 있다. 펫의 건조가 완료되면, 펫을 터브(2)에서 꺼낸다.
한편,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10)의 입력부(114)를 통하여 욕조청소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욕조 청소 기능을 설명한다.
욕조청소 기능을 작동되면, 물탱크(96)와 워터펌프(34)사이의 제2밸브(314a)가 열릴 수 있다. 이때, 인릿(32)과 워터펌프(34) 사이에 구비된 제1밸브(340a)는 닫힐 수 있다.
제2밸브(314a)가 열리면 소정 시간 동안 워터펌프(34)가 작동하여, 물탱크(96)의 물을 터브(2)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물탱크(96)의 물은 워터펌프(34), 혼합기(36)를 경우하여 터브(2)로 공급되므로, 터브(2)에는 마이크로버블도 함께 공급될 수 있다. 마이크로버블의 살균 및 세정 효과에 의하여, 터브(2) 내부가 세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작업으로 욕조의 청소를 보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터브(2)를 청소하기 위하여, 샤워기 등을 이용하여 터브(2)에 물을 별도로 공급할 필요가 없고, 물탱크(96)에 저장된 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버블에 의하여 터브(2)를 살균 및 세척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노동력으로 터브(2)를 청소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버블이 360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평방향으로 토출되어, 마이크로버블의 확산이 빠르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터브(2)를 청소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서로 배치되는 사항이 아니라면,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어느 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항은 다른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펫을 목욕 및 건조시키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욕조는 노인, 장애인, 유아 등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욕조 2 : 터브
34: 워터펌프 41 : 에어펌프
96 : 물탱크 31 : 아웃릿

Claims (11)

  1.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되는 인릿;
    상기 터브에 구비되며 마이크로버블이 토출되는 아웃릿;
    상기 인릿과 상기 아웃릿의 사이에 구비되는 워터펌프 및 혼합기를 포함하ㅁ며,
    상기 아웃릿에는 상기 마이크로버블이 수직방향에 대하여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배출되도록 배치되는 통공이 구비되는 욕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아웃릿의 상부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소정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반경방향에 대하여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릿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릿의 상부는 상기 아웃릿의 중간부보다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릿의 중간부의 외면에는 기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는 드레인홀, 상기 드레인홀 및 상기 워터펌프에 연통하는 물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터브의 청소시에는 상기 물탱크의 물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로버블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9. 마이크로버블 제너레이터에서 마이크로버블을 만드는 제1단계와;
    상기 마이크로버블을 터브의 아웃릿을 통하여 수직방향에 대하여 소정 경사를 가지고 토출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욕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을 수평방향으로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의 제어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아웃릿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의 제어방법.
KR1020200032618A 2020-03-17 2020-03-17 욕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16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618A KR20210116010A (ko) 2020-03-17 2020-03-17 욕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618A KR20210116010A (ko) 2020-03-17 2020-03-17 욕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010A true KR20210116010A (ko) 2021-09-27

Family

ID=7792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618A KR20210116010A (ko) 2020-03-17 2020-03-17 욕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60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87169A (zh) * 2022-04-02 2022-06-07 佛山市南海圣罗兰卫浴洁具有限公司 一种安全双循环消毒浴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87169A (zh) * 2022-04-02 2022-06-07 佛山市南海圣罗兰卫浴洁具有限公司 一种安全双循环消毒浴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5804B2 (ja) 洗浄殺菌装置
US11559171B2 (en) Bath with elliptical air flow and/or moveable bottom
EP3358945A2 (en) Automated animal washing systems
JP4895768B2 (ja) 洗浄装置
KR20210116010A (ko) 욕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45871A (ko)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
JP4452589B2 (ja) 便座装置
JP2004275271A (ja) 洗濯機
KR100480993B1 (ko) 하반신 반신욕 욕조
KR20200104667A (ko) 펫 욕조
KR20210116011A (ko) 욕조 및 그 제어방법
KR100984304B1 (ko) 살균수 및 산소수 제조장치
JP5444074B2 (ja) 洗濯機置台
JP2001046459A (ja) 人体洗浄方法および人体洗浄装置
KR20040101873A (ko) 오존공기부상을 이용한 초음파세척기
KR102514376B1 (ko) 젖병 세척기
KR102355076B1 (ko) 자동화 초음파 살균 세척기
KR20210114788A (ko) 욕조 및 그 제어방법
JP2006051172A (ja) 洗濯機
JP2000014752A (ja) 洗浄装置
KR20070071814A (ko) 오존용해수 생성 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기
JP2022070496A (ja) 便器装置
JP2001057999A (ja) 人体洗浄装置
JP2924182B2 (ja) 浴室ユニット内に設けた気泡発生浴槽構造
KR200196500Y1 (ko) 인체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