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224Y1 -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간벽 구조 - Google Patents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간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224Y1
KR200411224Y1 KR2020050036519U KR20050036519U KR200411224Y1 KR 200411224 Y1 KR200411224 Y1 KR 200411224Y1 KR 2020050036519 U KR2020050036519 U KR 2020050036519U KR 20050036519 U KR20050036519 U KR 20050036519U KR 200411224 Y1 KR200411224 Y1 KR 200411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rtition wall
coupled
bar
wal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7615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11224(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2020050036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2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유체를 여과 및 정수하기 위한 간벽 구조에 있어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및 충격력에 의한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간벽 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는, 유수로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유수로 내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 및 일측이 유체가 유입되는 측의 상기 패널 일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유수로의 내벽에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는,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나 충격력이 인가되더라도 파손 및 변형이 발생되지 아니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유로에 적용 가능하며, 최소의 부재를 사용하여 최대의 강도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간벽, 패널, 유압, 충격력, 파손, 변형, 보강

Description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간벽 구조{STRUCTURE OF PARTITION WALL WITH SUPPORTING MEANS}
도 1은 종래의 정수지 도류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에 적용되는 패널과 보강바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에 적용되는 패널과 보강바의 결합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유수로 100 : 패널
102 : 유출구 110 : 하단고정채널
120 : 측단고정채널 200 : 보강바
300 : 결합판 400 : 앵커볼트
500 : 고정바 600 : 연결바
700 : 보조 보강바
본 고안은 유체를 여과 및 정수하기 위하여 하수처리장 등에 사용되는 간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압에 의한 간벽 파손 및 변형 방지를 위한 보강부재를 구비하는 간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수처리장이나 수돗물처리장에는 물의 정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물의 유로에 구배를 주기 위한 간벽이 설치된다.
하수처리장이나 수돗물처리장에는 그 내부에 복수개의 콘크리트 간벽들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구획 설치하여 간벽을 제작하고, 콘크리트 간벽들 사이에 유수로가 형성되게 하여 줌으로써, 침전 및 여과처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수처리장이나 수돗물처리장에 설치되는 간벽은, 거푸집을 일일이 조립하여서 미 경화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고, 미 경화콘크리트가 경화 양생된 후에는 다시 거푸집을 해체하는 번거롭고도 까다로운 설치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간벽을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벽을 설치하는 데 따른 작업여건을 개선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돗물처리장의 정수지 도류벽'(대한민국특허 10-0427772호)이 본 출원인의 대표이사에 의해 고안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정수지 도류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정수지 도류벽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정수지 도류벽은 소독약이 혼합된 처리수가 통과하도록 콘크리트로서 시공된 정수지의 내부에 간벽이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구획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간벽(1)들이 설치될 위치의 정수지 내면에 채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지지틀(10)이 설치되고, 그 지지틀(10) 내에 중공단면으로서 복수개의 중공부(21)들이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패널(20)들이 조립 설치되어서, 간벽(1)들 사이에 유수로(2)가 형성된다. 이때, 지지틀(10)은 간벽(1)들이 설치될 위치의 정수지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수평 고정부재(11)와, 그 수평 고정부재(11)의 양측단에 직립되도록 세워지는 수직 고정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콘크리트로 시공된 정수지의 내부에 수평 및 수직 고정부재(12)들을 연결 고정시켜서 지지틀(10)을 설치하고, 그 지지틀(10) 내에 중공단면으로서 복수개의 중공부(21)들이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패널(20)들을 끼워 맞춰서 지지시킨 조립구조로서 간벽(1)들을 지그재그로 구획 설치하는 과정을 통해, 간벽(1)들 사이에 유수로(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틀(10)을 이루는 수평 및 수직 고정부재(11)(12)들은 각각 끼움홈부(11a)(12a)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중공패널(20)들이 끼워 맞춤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또, 상기 지지틀(10)의 수평 및 수직 고정부재(12)들 상호간은 직각으로 맞대고 용접하여서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합성수지 중공패널(20)들은 상기 지지틀(10) 내에 끼워맞춰서 간벽(1)을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중공패널(20)들은 각각 굴곡파형이 폭방향으로 반복되는 굴곡판(22)이 평판(23) 사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간벽(1)의 구조적 강도를 증대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발명에 적용되는 간벽(1)은 콘크리트 타설이나 양생 등의 공정 없이 단순조립 공정을 통해 설치되므로, 간벽(1)을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이 대폭적으로 감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간벽(1)은 중공패널(20)이 지지틀(10)에 의해서만 고정되므로, 유수로(2)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가 급격하게 증가되는 경우 충격력에 지지틀(10)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하수처리장과 같이 유체의 속도가 큰 곳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간벽(1)을 제작하는 경우, 수압에 의해 지지틀(10)이 휘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지지틀(10)이 휘어지면 중공패널(20)이 직립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간벽의 역할을 정 상적으로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큰 수압이 인가되더라도 파손 및 변형이 발생되지 아니하며, 최소의 부재를 사용하여 최대의 강도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간벽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는,
유수로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유수로 내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 및
일측이 유체가 유입되는 측의 상기 패널 일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유수로의 내벽에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바;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바는 쌍을 이루도록 제공되며, 상기 패널의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보강바가 상기 패널에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패널 너비의 10% 이상 40% 이하의 거리만큼 상기 패널의 양 끝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 하다.
상기 보강바와 상기 패널은, 30도 이상 6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된다.
상기 패널은 상측 끝단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바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바는 형강 또는 철선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는, 일측이 유체가 유입되는 측의 상기 패널 일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유수로의 바닥면에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 보강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보강바는 상기 패널의 수직 중심축 상에 일단이 결합된다.
상기 패널은 내측에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 보강바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다.
상기 보조 보강바는 형강 또는 철선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은 하단이 상기 유수로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일측 끝단이 상기 유수로의 일측 내벽에 밀착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유수로의 타측 내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패널의 타측 끝단을 상기 유수로의 타측 내벽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바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바는 형강 또는 철선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는, 일단이 상기 보강바의 중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수로의 내벽과 연결되도록 고정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는 상기 보강바와 직교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연결바는 형강 또는 철선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는, 유수로(2)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유수로(2) 내부에 결합되어 유수로(2)를 지나는 유체 즉, 물에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정수효과를 증대시키는 하나 이상의 패널(100)과, 물이 유입되는 측의 상기 패널(100) 일면 즉, 패널(100) 전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유수로(2)의 내벽에 타측이 각각 연결되어 유수로(2)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패널(100)이 넘어지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강바(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100)의 하단은 'L' 형강 형상의 하단고정채널(110)과 앵커볼트(400)에 의해 상기 유수로(2)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좌우 방향의 일측 끝단은 'L'형강 형상의 측단고정채널(120)과 앵커볼트(400)에 의해 유수로(2)의 일측 내벽에 밀착되며, 좌우 방향의 타측 끝단은 유수로(2)의 타측 내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된다. 하단고정채널(110)과 측단고정채널(120)은 패널(1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쌍을 이루어 마련되며, 다수의 앵커볼트(400)에 의해 유수로(2)의 바닥면 또는 내벽에 결합된다. 이때 쌍을 이루는 각각의 하단고정채널(110)과 측단고정채널(120)은 패널(10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410)에 의해 체결된다.
각 유수로(2) 내부에 유입되는 물은 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유수로(2)의 타측 내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흘러 나가게 되고, 패널(100)들은 유수로(2)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경로를 급격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된다. 즉, 각 패널(100)들은 유수로(2) 우측 내벽과 좌측 내벽에 교번으로 밀착되도록 배열된다. 이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는 패널(100)의 배열구조는 구성 및 효과에 있어 종래의 정수지 간벽 배열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수로(2)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패널(100)의 전면에 부딪혀 패널(100)이 뒤로 넘어가도록 패널(100)에 충격력 및 수압을 인가하는데, 이때 보강바(200)는 패널(100)이 뒤로 넘어가거나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패널(1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강바(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 대비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형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보강바(200)에는 주로 인장력이 작용하므로, 중량 대비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철선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종래의 정수지 간벽 구조와 같이 패널(100)이 하단고정채널(110)과 측단고정채널(120)에 의해서만 고정되면 유입되는 물의 충격이나 수압에 의해 패널(100)이 넘어지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지만,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는 패널(100)에 인가되는 충격력 및 수압이 보강바(200)에 인가되므로, 보강바(200)가 휘어지거나 전단되지 아니하는 한 패널(100)은 초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보강바(200)의 일측은 용접에 의해 강한 결합력을 갖도록 패널(100)에 결합될 수 있지만, 유수로(2)는 통상적으로 콘크리트로 제작되므로 보강바(200)의 타측은 용접에 의해 유수로(2) 내벽에 결합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보강바(200)의 타측에는 유수로(2)의 내벽에 밀착되는 결합판(300)이 끝단에 마련되고, 결합판(300)을 유수로(2) 내벽에 체결하는 다수의 앵커볼트(400)에 의해 보강바 (200)와 유수로(2)의 내벽이 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패널(100)의 하측은 유수로(2)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으나 패널(100)의 상측은 자유단 구조와 같이 유수로(2) 어디에도 고정되지 아니하므로, 유수로(2)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 및 충격력에 의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바(200)는 패널(100)의 상측 끝단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수압의 크기 및 패널(100)의 강성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두 쌍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바(200)가 패널(100)의 좌우측에 각각 2개 씩 즉, 2쌍이 결합되어 있으나, 보강바(20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100)의 일측은 유수로(2)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으나 상기 패널(100)의 타측은 유수로(2)에 고정되지 아니하므로, 패널(100)에 수압 및 충격력이 인가되었을 때 패널(100) 타측이 뒤로 젖혀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는, 상기 패널(100)의 타측 끝단을 상기 유수로(2)의 타측 내벽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바(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고정바(500)에는 주로 인장력이 인가되므로, 상기 보강바(200)와 마찬가지로 형강 또는 철선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패널(100)의 상측 끝단 부위가 가장 변형될 우려가 크므로, 고정바(500)는 패널(100)의 타측 상단 즉, 꼭지점 부위에 우선적으로 마련된다. 또한 패널(100)의 타측을 보다 균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바(500)는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바(200)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보강바(200)가 휘어지거나 절단될 우려가 있으므로,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는 일단이 상기 보강바(200)의 중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수로(2)의 내벽과 연결되도록 고정되는 연결바(6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연결바(600)는 보강바(200)의 처짐이나 휘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바(200)와 직교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와 같이 연결바(600)가 보강바(200)와 직교하도록 결합되면, 연결바(600)에는 굽힘응력이나 비틀림 응력 보다 인장인력이나 압축응력이 더 크게 인가되므로 보다 큰 힘으로 보강바(2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연결바(600)에 인장응력 뿐만 아니라 압축응력도 인가되는 경우 상기 연결바(600)는 중량 대비 강도가 큰 형강으로 적용되고, 연결바(600)에 주로 인장응력만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연결바(600)는 강선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바(600)는, 패널(100)의 일측 즉, 유수로(2)의 내벽에 결합되는 측에 마련되는 경우 타단이 패널(100)에 결합되고, 패널(100)의 타측 즉, 유수로(2)의 내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측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타단이 패널(100)에 연결될 수 없으므로 고정바(500)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유수로(2)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유수로(2)의 바닥면 및 좌우 측면에 마찰되므로 유수로(2)의 가운데를 통과하는 지점의 유속이 가장 빠르므로, 패널(100) 역시 가운데 부위에 인가되는 수압 및 충격력이 가장 크게 측정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는, 일측이 유체가 유입되는 측의 상기 패널(100) 일면 중 수직 중심축 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유수로(2)의 바닥면에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 보강바(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조 보강바(700) 역시 보강바(200)나 고정바(500), 연결바(600) 등과 마찬가지로 형강 또는 강선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널(100)의 강도 보완을 위하여 패널(100) 내측에 프레임이 마련되는 경우, 상기 보조 보강바(700)는 보다 큰 힘으로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에 적용되는 패널과 보강바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에 적용되는 패널과 보강바의 결합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보강바(200)는 좌우 균형 있게 패널(10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좌우 대칭을 이루는 쌍으로 제공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의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패널(100)을 폭 방향으로 3등분한 지점에 각각 보강바(200)가 결합되면 즉, 한 쌍의 보강바(200)가 패널(100)의 좌우 끝단으로부터 각각 ℓ만큼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보강바(200) 사이에도 ℓ만큼의 이격거리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패널(100)을 고르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보강바(200)가 패널(100)에 결합되는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패널(100)에 가해지는 수압 및 충격력의 위치별 크기나 패널(100)과 유수로(2)와의 결합력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바 (200)가 상기 패널(100)의 양 끝단에 너무 가깝도록 결합되면 패널(100)의 가운데 부위가 변형될 우려가 있고, 상기 보강바(200)가 상기 패널(100)의 가운데 부위에 집중되어 결합되면 패널(100)의 양단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보강바(200)가 패널(100)에 결합되는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 너비의 10%인 ℓ1 이상의 거리만큼 패널(100)의 양 끝단으로부터 이격되고, 패널(100) 너비의 40%인 ℓ2 이하의 거리만큼 패널(100)의 양 끝단으로부터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바(200)와 패널(100)이 이루는 각도가 너무 크면 그만큼 보강바(200)의 길이가 길어져야하고, 보강바(200)와 패널(100)이 이루는 각도가 너무 작으면 보강바(200)에 인장력보다 굽힘응력이 더 크게 인가되므로 전단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보강바(200)와 패널(100)이 이루는 각도는 30도 이상 60도 이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양단이 유수로(2)의 좌우 내벽에 결합되는 패널(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널(100)의 좌우측 양단이 유수로(2)의 내벽에 모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패널(100)은 유로 확보를 위해 유수로(2) 전체를 막지 아니하고 유수로(2) 일부를 개방하도록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유출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좌우측 양단이 유수로(2)의 내벽에 모두 결합되는 패널(100)에도, 도 2에 도 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강바(200) 및 고정바(500), 연결바(600), 보조 보강바(70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보강바(200) 및 고정바(500), 연결바(600), 보조 보강바(700)가 패널(100)에 결합되는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장에 적용되는 간벽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수도 처리장 또는 기타 여러 종류의 유로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간벽 구조는,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나 충격력이 인가되더라도 파손 및 변형이 발생되지 아니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유로에 적용 가능하며, 최소의 부재를 사용하여 최대의 강도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유수로(2)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유수로(2) 내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100); 및
    일측이 유체가 유입되는 측의 상기 패널(100) 일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유수로(2)의 내벽에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바(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200)는,
    쌍을 이루도록 제공되며, 상기 패널(100)의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200)가 상기 패널(100)에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패널(100) 너비의 10% 이상 40% 이하의 거리만큼 상기 패널(100)의 양 끝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200)와 상기 패널(100)은, 30도 이상 6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100)은 상측 끝단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바(2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200)는 형강 또는 철선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유체가 유입되는 측의 상기 패널(100) 일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유수로(2)의 바닥면에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 보강바(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보강바(700)는 상기 패널(100)의 수직 중심축 상에 일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100)은 내측에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 보강바(700)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보강바(700)는 형강 또는 철선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100)은, 하단이 상기 유수로(2)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일측 끝단이 상기 유수로(2)의 일측 내벽에 밀착되며, 타측 끝단이 상기 유수로(2)의 타측 내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패널(100)의 타측 끝단을 상기 유수로(2)의 타측 내벽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바(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500)는 형강 또는 철선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13.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보강바(200)의 중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수로(2)의 내벽과 연결되도록 고정되는 연결바(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600)는 상기 보강바(200)와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600)는 형강 또는 철선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벽 구조.
KR2020050036519U 2005-12-27 2005-12-27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간벽 구조 KR200411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519U KR200411224Y1 (ko) 2005-12-27 2005-12-27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간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519U KR200411224Y1 (ko) 2005-12-27 2005-12-27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간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224Y1 true KR200411224Y1 (ko) 2006-03-15

Family

ID=4176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519U KR200411224Y1 (ko) 2005-12-27 2005-12-27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간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2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999B1 (ko) 2006-12-01 2007-12-28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 간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172875B1 (ko) 2010-03-25 2012-08-09 정수복 수로에 설치되는 조립식 벽체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999B1 (ko) 2006-12-01 2007-12-28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 간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172875B1 (ko) 2010-03-25 2012-08-09 정수복 수로에 설치되는 조립식 벽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999B1 (ko) 수처리장 간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19408A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3116896U (ja) 螺旋あばら筋と鉄骨との組立構造
KR100694888B1 (ko) 수처리장용 조립식 벽체 구조
KR101389111B1 (ko) 방음터널
WO2006031001A1 (en) Steel-concrete sandwitch type hybrid beam and high strengh hybrid structure system using the same
DE102006038336B3 (de) Schutzplankenanordnung
CN103195172A (zh) 一种预制装配混凝土框架梁柱连接节点构造
KR200411224Y1 (ko)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간벽 구조
KR100995857B1 (ko) 교량용 가설인도의 받침부재
CN207048152U (zh) 叠合梁与叠合板连接系统
KR200441389Y1 (ko) 무량판 슬래브의 이방향 전단 보강 구조물
KR100690628B1 (ko) 수처리장용 조립식 벽체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04913B1 (ko) 조립식 휀스
KR100879804B1 (ko) 수처리장 간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389044B1 (ko) 교량용 강재거더 및 그 제작 방법과, 강재거더를 교각에 강결 설치하는 시공방법
KR102219006B1 (ko) 교량용 자전거도로 구조물
KR20020036198A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CN211396107U (zh) 一种具有钢板栓钉组合式斜撑的装配式剪力墙
KR100371647B1 (ko) 상,하수처리장의 간막이 벽체
WO2009154356A2 (ko) 꼬임메쉬휀스용 지주
US416054A (en) Bridge
KR100572860B1 (ko) 관통공이 형성된 가로보를 이용한 장지간 가설교량
KR200458728Y1 (ko) 외부보강재와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가설교량
KR200463380Y1 (ko) 철근난간대 결합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430

Effective date: 2012061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726

Effective date: 2012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