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957Y1 -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 - Google Patents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957Y1
KR200410957Y1 KR2020050035638U KR20050035638U KR200410957Y1 KR 200410957 Y1 KR200410957 Y1 KR 200410957Y1 KR 2020050035638 U KR2020050035638 U KR 2020050035638U KR 20050035638 U KR20050035638 U KR 20050035638U KR 200410957 Y1 KR200410957 Y1 KR 200410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ans
busbar
power
bus bar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태
Original Assignee
(주)제일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피앤피 filed Critical (주)제일피앤피
Priority to KR2020050035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9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장치 중의 하나인 배전반에 사용되는 부스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전반에 전력을 분배하고자 상호 접속되도록 체결되는 각 부스바에 체결공을 천공시 기준이 되는 표시수단을 일체로 구비한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에 관한 것이다.
전력장치의 배전반에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고자 상호 접속되도록 구비되는 부스바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의 일면에 그 부스바 간의 체결시 필요로 하는 체결공을 천공시 기준이 되는 표시수단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각 부스바에 체결공 형성에 따른 가공작업이 단시간 내에 이루어짐은 물론 정확한 위치로 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조립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부스바, 체결공, 천공, 표시수단, 등간격, 일면, 타면

Description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bus-bar for a switch board of a electric power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일반적인 배전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6에 사용되는 종래의 부스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표시수단
12 : 인입홈 14 : 돌기
300 : 부스바
본 고안은 전력장치 중의 하나인 배전반에 사용되는 부스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전반에 전력을 분배하고자 상호 접속되도록 체결되는 각 부스바에 체결공을 천공시 기준이 되는 표시수단을 일체로 구비한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장치라 함은, 분·배전반, 저압반, 고압반, 변압반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주로 차단기나 마그네틱과 같은 전력소자가 구비되어 외부의 전력을 개폐하거나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렇게, 여러 전력장치 중에서도 산업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전력장치인 배전반은 발전소·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계기·릴레이(계전기) 등이 필요로 하는 전력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주로 건축물 등의 옥내 배선에 있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옥내의 각 요소로 재공급함과 동시에 공급전력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배전반에는 각각의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다수 개의 부스바(bus-bar)가 설치되며, 상기 부스바는 일측이 주차단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부스바와, 상기 모선부스바에 연결되어 분배받은 전력을 각각의 보조차단기에 공급하는 자선부스바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전반(100)은, 통상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이 개방되거나 또는 전방에는 겉커버(도시되지 않음)와 속커버(112)가 여닫히도록 설치되는 배전함(110)의 내부 전방으로 상기한 주차단기(200)와 다수의 보조차단기(210) 및 여러 기기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판넬이나 고정 프레임(120) 등이 결합 고정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방 측의 배전함 내부에는 필요로 하는 기기 등을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도시되지 않음) 등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배전함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부스바(300)인,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가 상호 접속되도록 체결되는 데, 그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호 대응되는 부분에 체결공을 천공하여 볼트로 접속되도록 체결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를 체결하기 위하여 각 부스바에 체결공을 천공하고자 가공작업을 행할 때, 현장에서 작업자가 도 7에서와 같이 종래의 부스바(300)에는 아무런 표시수단이 없는 관계로, 상기 각 부스바의 일면에 자와 표시구 등을 이용하여 가공선을 표시하고, 그 표시된 가공선을 기준하여 접속시키고자 위치의 간격을 체크한 후 필요로 하는 각각의 체결공을 천공하는 가공작업을 행하므로서, 부스바의 가공작업이 상당히 번거러웠다.
다시말해서, 배전반에 구비되는 각 부스바의 대응되는 일면에 각각의 가공선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표시하는 표시작업을 행함으로써, 하나의 배전반에도 많은 량이 구비되는 각 부스바에 가공선을 일일이 표시하기란 상당히 번거러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배전반의 조립작업 또한 상당히 지연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자 등을 이용하여 가공선의 거리를 재서 각 부스바의 일면으로 표시함으로써, 경우에 따라서는 일직선 상으로 정확하게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비스듬하게 잘못 표시되는 문제점도 초래되었다.
한편, 전력 용량이 큰 부스바에는 하나의 가공선이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표시되는 것으로, 이같은 경우에는 전술한 여러 문제점이 더욱더 심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력장치인 배전반에 전력을 분배하고자 상호 접속되도록 체결되는 각 부스바에 체결공을 천공시 기준이 되는 표시수단을 일체로 구비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력 용량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가공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스바를 가공시 일면 또는 타면과 관계없이 신속하게 가공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력장치의 배전반에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고자 상호 접속되도록 구비되는 부스바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의 일면에 그 부스바 간의 체결시 필요로 하는 체결공을 천공시 기준이 되는 표시수단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그 일면의 표면에서 인입된 인입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그 일면의 표면에서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그 일면에서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그 부스바의 타면에도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장치의 배전반에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고자 상호 접속되도록 상기 배전반에 구비되는 주차단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부스바와, 상기 모선부스바에 연결되어 분배받은 전력을 각각의 보조차단기에 공급하는 자선부스바 등과 같은 부스바(300)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호 접속되도록 체결되는 각 부스바에 체결공을 천공시 기준이 되는 표시수단을 일체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부스바(300)의 일면에 그 부스바를 성형할 때 상기 부스바 간의 체결시 필요로 하는 체결공을 천공시 기준이 되는 표시수단(10)을 일체로 구비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시수단(10)은 그 일면의 표면에서 인입된 인입홈(12)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접속에 따른 각 부스바의 접촉되는 면이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표시수단은 용량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작은 용량에 사용되는 부스바일 경우에는 각 부스바의 중심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량이 큰 경우에는 여러 개의 부스바가 체결되는 바,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등간격으로 여러 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배전반에서 전력을 분배하고자 상호 접속되는 부스바의 체결공을 천공시 본 고안의 상기 부스바에는 그 체결공을 천공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표시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작업자가 일일이 자 등을 이용하여 부스바의 폭 길이를 재어 체크하는 것이 아니라 체결되는 다른 부스바의 간격만 체크한 후 바로 드릴링이나 펀칭에 의해 체결공을 천공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모선부스바의 길이방향의 중심으로 표시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그에 체결하고자하는 자선부스바의 간격만 체크한 후 천공시킴에 따라 신속한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선부스바에도 표시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모선부스바와 접속하고자 하는 위치의 중심으로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부스바에 표시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체결공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위치에 천공하는 원천적인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배전반에서 전력을 분배하고자 서로 접속되는 각 부스바에 천공하고자 하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체결공의 천공작업이 번거러움 없이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조립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각 부스바의 일면에 형성되는 표시수단을 그 부스바 일면의 표면에서 인입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수단(10)은 그 일면의 표면에서 돌출된 돌기(14)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각 부스바의 일면에 미세하게 돌출되는 돌기를 통하여 체결공의 천공에 따른 천공작업시 그 표면에서 미세하게 돌출된 표시수단에 의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각 부스바에 체결공을 천공시 기준이 되는 표시수단을, 그 천공하고자 하는 부스바의 용량이 클 경우 하나의 부스바에 여러 개의 부스바가 접속되도록 체결되는 데, 이러한 용량이 큰 경우에는 여러 개의 표시수단이 요구되는 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수단(10)은 그 부스바(300)의 일면에서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표시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입된 인입홈 형태나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하나의 부스바 일면에 형성되는 표시수단은 약 2~4개 정도가 적당하다.
그에 따라 용량이 큰 부스바에 여러 개의 표시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이는 작업자가 번거러움 없이 체결하고자 하는 간격의 위치만 체크하여 더욱더 간편하게 많은 체결공을 간편하게 천공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각 부스바의 일면에만 형성되는 표시수단을 방향성 없이 양측 모두, 전술한 일면과 그 반대면인 타측에도 형성한 것으로,
상기 표시수단(10)은 상기 일면에 형성된 표시수단 이외에 그 부스바(300)의 타면에도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표시수단은 인입홈이나 돌기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용량이 큰 부스바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표시수단을 등간격으로 여러 개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작업자가 체결공을 천공하고자 할 때 방향성 없이 필요로 하는 일면이던 타면을 선택하여 이 역시 체결하고자 하는 간격의 위치만 체크한 후 바로 천공할 수 있는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력장치인 배전반에 전력을 분배하고자 상호 접속되도록 체결되는 각 부스바에 체결공을 천공시 기준이 되는 표시수단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체결공 천공에 따른 가공작업이 단시간 내에 이루어짐은 물론 정확한 위치로의 천공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그로 인한 조립작업 시간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또한, 각 부스바의 일면에 형성되는 표시수단을 그 부스바의 용량에 따라 다수 개를 구비함에 따라 전력 용량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가공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각 부스바의 일면에 형성되는 표시수단을 그 반대면인 타면에도 형성하므로서, 체결공 천공에 따른 각 부스바를 가공시 일면 또는 타면과 관계없이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공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Claims (5)

  1. 전력장치의 배전반에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고자 상호 접속되도록 구비되는 부스바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의(300) 일면에 그 부스바 간의 체결시 필요로 하는 체결공을 천공시 기준이 되는 표시수단(10)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10)은 그 일면의 표면에서 인입된 인입홈(12)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10)은 그 일면의 표면에서 돌출된 돌기(14)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10)은 그 일면에서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10)은 그 부스바(300)의 타면에도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
KR2020050035638U 2005-12-19 2005-12-19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 KR200410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638U KR200410957Y1 (ko) 2005-12-19 2005-12-19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638U KR200410957Y1 (ko) 2005-12-19 2005-12-19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957Y1 true KR200410957Y1 (ko) 2006-03-10

Family

ID=4176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638U KR200410957Y1 (ko) 2005-12-19 2005-12-19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9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0103B1 (en) Bus joint cover assembly
KR101242563B1 (ko) 양극 버스바와 음극 버스바 격리형 직류전원 분전반
KR100595343B1 (ko) 저전압 전기 큐비클의 업그레이드가능 피더기능부
KR20080003842U (ko) 배전반
KR20050080448A (ko) 모듈 조립형 저압 동력반(엠씨씨반)
KR200317448Y1 (ko) 분전반용 부스바 절연커버
JPH05308705A (ja) 配電盤
KR200331163Y1 (ko) 배전반
KR100534588B1 (ko) 전력장치용 차단기
JP2006238562A (ja) プラグイン分電盤
KR100811374B1 (ko) 버스바의 체결 방법
KR200410957Y1 (ko)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부스바
KR200345771Y1 (ko)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도체
KR101584296B1 (ko) 배전반
KR200395590Y1 (ko)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KR100500409B1 (ko) 전력기용 보호장치
KR100660555B1 (ko)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방법 및 장치
EP3731356A1 (en) Gas-insulated open/close device
KR200344746Y1 (ko) 배전반
KR100934275B1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1074961B1 (ko)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KR100689925B1 (ko)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기구
US6304919B1 (en) Fixed frame for a drawout electrical switch
US10411421B2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KR20060117647A (ko) 분,배전반용 모선버스 바와 자선버스 바의 접속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