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719Y1 -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 Google Patents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719Y1
KR200410719Y1 KR2020050036335U KR20050036335U KR200410719Y1 KR 200410719 Y1 KR200410719 Y1 KR 200410719Y1 KR 2020050036335 U KR2020050036335 U KR 2020050036335U KR 20050036335 U KR20050036335 U KR 20050036335U KR 200410719 Y1 KR200410719 Y1 KR 200410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ase
panel
overlapp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호
Original Assignee
신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호 filed Critical 신상호
Priority to KR2020050036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7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7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널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그 패널을 벽체 상에 고정 설치하도록 해주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이 다른 레일에 끼워질 때 여유있게 끼워져서 이동될 수 있고, 또한, 그 이동되는 레일이 다른 레일 상에서 유격(play) 없이 견고하게 지지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및 그 베이스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멤버를 구비한 제 1 레일과, 패널이 부착되는 다른 베이스 및 그 베이스에 형성되는 다른 한 쌍의 레일멤버를 구비한 채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제 2 레일을 포함하되, 기 제 1 및 제 2 레일의 레일멤버들 각각은, 서로에 대해 크리어런스를 갖고 끼워져서 선단 부분이 대응되는 레일멤버의 내측 코너에 접하도록 굽어진 널 설치용 레일장치를 제공한다.
베이스, 레일멤버, 패널, 도예패널, 하프베이스, 중첩편, 중첩돌기

Description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RAIL DEVICE FOR PANEL INSTALL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를 이용해 도예 패널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를 이용해 도예 패널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주요부분이 확대된 채 도시되어 있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제 1 레일 20: 제 2 레일
12, 22: 베이스 14, 24: 레일멤버
141, 241: 수직 연장부 143, 243: 경사 연장부
145, 245, 147, 247: 곡면부 222a: 중첩편
222b: 중첩돌기 22a, 22b: 하프베이스
본 고안은,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 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그 패널을 벽체 상에 고정 설치하도록 해주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건물 내의 내장재로 도예패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예패널은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져서 건물 내부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꾸미는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도예패널은 전시장 등에서 전시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도예패널은 건물 내벽에 주로 설치되며, 도예패널의 용이한 설치, 교체, 해체를 위해, 그 도예패널을 건물 내벽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벽체 고정용 레일과 그 레일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패널 부착용 레일을 포함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가 도예패널의 내벽 설치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의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는 도예 패널의 설치 용도로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패널을 벽체에 설치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는, 하나의 레일에 대하여 다른 레일이 꼭 맞게 끼워진 채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하나의 레일을 다른 레일에 끼우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게다가, 설치자가 무거운 도예패널이 부착된 레일을 들어 다른 레일에 꼭 맞게 끼워야 하는 힘든 작업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종래의 레일장치는 그 실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레일이 다른 레일에 끼워질 때 여유있게 끼워져서 이동 될 수 있고, 또한, 그 이동되는 레일이 다른 레일 상에서 유격(play) 없이 견고하게 지지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자는 견고한 패널 고정을 위해 패널이 부착되는 베이스를 두 개의 하프베이스로 나누어 마련하고 그 두 하프베이스의 모서리를 접합하여 패널이 부착되는 하나의 베이스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두 모서리 사이에는 들뜸 현상이 발생하여 패널과 베이스 사이의 부착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두 하프베이스를 모서리에서 접합하여 하나의 패널 부착용 베이스를 형성할 때, 그 모서리 부근에서 발생하는 들뜸 현상을 최소화 또는 억제할 수 있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및 그 베이스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멤버를 구비한 제 1 레일과; 패널이 부착되는 다른 베이스 및 그 베이스에 형성되는 다른 한 쌍의 레일멤버를 구비한 채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제 2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레일의 레일멤버들 각각은, 서로에 대해 크리어런스를 갖고 끼워져서 선단 부분이 대응되는 레일멤버의 내측 코너에 접하도록, 굽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레일멤버들 각각의 선단 부분과 이에 접하는 레일멤버의 내측 코너에는 서로 곡면으로 접하는 곡면부들이 각각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멤버들 각각은, 해당 베이스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 연장부와, 그 수직 연장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선단에 형성되는 곡면부가 다른 레일멤버의 내측 코너의 다른 곡면부에 곡면으로 접하도록 해주는 경사 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2 레일의 베이스는, 서로 모서리에서 맞대어져 접합제에 의해 접합되는 제 1 및 제 2 하프베이스들로 이루어진 채, 앞면에서 상기 패널이 부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하프베이스와 상기 제 2 하프베이스에는 서로를 뒷면에서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편과 그 중첩편의 선단에 면하는 중첩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레일의 베이스는 접합제에 의해 상기 패널과 앞면에서 접합되어지되, 그 앞면에는 접합제에 의한 접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이하, '레일장치'라 함)가 벽체 상에 도예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레일장치의 주요 부분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장치(1)는 제 1 레일(10)과 제 2 레일(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레일(10)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고정 레일 베이스(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레일 베이스들(12) 각각에는 바깥쪽을 향해 소정 각도로 굽어져서 연장되는 레일멤버(14)들이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레일(10)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레일멤버(14)를 갖게 된다. 상기 제 1 레일(10)은 고정 레일 베이스(12)들의 양 단부에서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한 쌍의 종방향 연결부재(3)에 고정된다. 그리고, 그 종방향 연결부재(3)들은 앵커 고정 방식으로 벽체(2)에 고정된다. 도 1에서, 상기 종방향 연결부재(3)가 "ㄷ형 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레일(20)은 모서리에서 서로 맞대어진 채 액상 실리콘 등의 접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한 쌍의 하프베이스들(22a, 22b)을 포함한다. 이 하프베이스들(22a, 22b)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서로에 대해 모서리가 접합된 때, 패널, 특히, 도예 패널(4)의 형상 및 크기와 대략 일치하는 하나의 큰 장방형의 베이스(22)를 형성한다(도 1에 잘 도시됨).
각각의 하프베이스(22a, 22b)의 뒷면 양 가장자리에는 전술한 제 1 레일(10)의 레일멤버들(14)에 끼워지는 한 쌍의 다른 레일멤버들(24)이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레일멤버들(24)은 안쪽을 향해 굽어진 구조를 이루어 바깥쪽으로 굽어져 있는 제 1 레일(10)의 레일멤버들(14)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22)는 앞면에서 액상 실리콘과 같은 접합제에 의해 하나의 패널(4)과 접합된다. 이 때, 상기 베이스(22) 앞면에는 요철(227)이 형성되며, 이 요철(227)은 접합제에 의한 패널과 베이스 사이의 접합력을 더욱 크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하프베이스들(22a, 22b)들 각각은 서로 접합되는 모서리 부근에서의 들뜸 현상을 막기 위한 중첩편(222a, 222b)을 포함하며, 이는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첩편(222a)과 중첩돌기(222b)는 하프베이스들(22a, 22b) 뒷면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중첩편(222a)은 제 1 하프베이스(22a)의 모서리에서 제 2 하프베이스(22b)를 올라탈 수 있는 높이로 절곡 형성되며, 중첩돌기(222b)는 제 2 하프베이스(22b)에서 상기 중첩편(222a)의 선단과 면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첩편(222a)과 중첩돌기(222b)에 의해 한정되는 미세 공간에는 접합제(b)가 개재된다.
이하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레일(10)과 제 2 레일(20)은 레일멤버(14, 24)들이 서로 여유있게 끼워짐과 동시에 제 2 레일(20)이 제 1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도중에 유격(play) 없이 서로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레일(10, 20)의 레일멤버들(14, 24) 각각은, 서로에 대해 크리어런스(clearance)를 갖고 끼워져서 선단 부분이 대응되는 레일멤버(14, 24)의 내측 코너에 접하도록 굽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레일멤버(14, 24)의 내측 코너는 레일 멤버(14, 24) 각각이 베이스(12, 22)와 교차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레일멤버(14 또는 24)들 각각이 대응되는 다른 레일멤버(14 또는 24)의 내측 코너, 즉 레일멤버와 베이스가 교차되는 부분에 접하면, 레일멤버(14, 24)가 끼워지는 공간이 레일멤버(14, 24)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넓어도 두 레일멤버(14, 24)는 서로에 대해 견고히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3의 확대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멤버(14, 24)들 각각은 수직 연장부(141, 241)와, 경사 연장부(143, 243)와, 곡면부(145, 245)를 포함한다. 수직 연장부(141, 241) 각각은 베이스(12, 22)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경사 연장부(143, 243)는 레일멤버(14, 24)의 연장 방향으로 레일멤버(14, 24)와 베이스(12, 22) 사이의 간격을 벌려주도록 수직 연장부(141, 241)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는 서로에 대해 끼워지는 두 레일멤버(14, 24)들 사이에 전술한 크리어런스(clearance)를 제공하여 레일멤버(14, 24)들이 서로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해준다. 그리고, 상기 경사 연장부(143, 243) 각각의 선단에는 곡면부(145, 245)가 형성된다. 이 곡면부(145, 245)들 각각은 해당 레일멤버(14, 24)의 내측 코너에 형성된 다른 곡면부(147, 247)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레일멤버(14, 24) 선단의 곡면부(145, 245)와 이에 대응되는 다른 레일멤버(14, 24)의 내측 코너에 있는 곡면부(147, 247)는 서로에 대해 곡면으로 접하게 되며, 이러한 곡면 접촉은 두 레일멤버(14, 24)의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제 1 레일(10)과 제 2 레일(20) 사이의 안정된 슬라이딩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안정된 슬라이딩 지지는, 제 1 레일(10)에 구비된 한 쌍의 제 1 레일멤버(14) 선단들(또는, 곡면부들)이 제 2 레일(20)에 구비된 한 쌍의 제 2 레일멤버(24) 내측 코너(또는, 곡면부)를 지지해주는 것과, 제 2 레일(20)에 구비된 한 쌍의 제 2 레일멤버(24) 선단들(또는, 곡면부들)이 제 1 레일(10)에 구비된 한 쌍의 제 1 레일멤버(14) 내측 코너(또는, 곡면부)를 지지해주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벽체(2)와 고정되는 제 1 레일(10)의 구성과 패널(10)에 부착되는 제 2 레일(20)의 구성이 구체적인 예로써 제시되었지만, 이는 레일장치(10)의 설치 장소, 설치 조건, 그리고, 경제성을 감안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레일장치(1)는 내식성과 경량성이 우수하고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레일장치(1)의 재질은 제작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이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레일장치(1)는 도자기 재질의 도예 패널을 건물 내의 벽체에 이동식으로 설치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가 도예패널의 설치 용도에만 국한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패널을 벽체에 설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는, 벽체에 고정되는 레일과 패널이 부착되는 레일이 서로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패널의 이동 설치가 자유롭고, 위와 같이 견고한 지지 구조임에도, 작업자가 레일들을 쉽고 용이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두 하프베이스의 모서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패널 부착용 베이스의 들뜸 현상을 저감 또는 억제하여 그 들뜸 현상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패널 부착력의 약화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및 그 베이스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멤버를 구비한 제 1 레일과;
    패널이 부착되는 다른 베이스 및 그 베이스에 형성되는 다른 한 쌍의 레일멤버를 구비한 채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제 2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레일의 레일멤버들 각각은, 서로에 대해 크리어런스를 갖고 끼워져서 선단 부분이 대응되는 레일멤버의 내측 코너에 접하도록, 굽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멤버들 각각의 선단 부분과 이에 접하는 레일멤버의 내측 코너에는 서로 곡면으로 접하는 곡면부들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멤버들 각각은,
    해당 베이스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 연장부와;
    그 수직 연장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선단에 형성된 곡면부가 다른 레일멤버의 내측 코너의 다른 곡면부에 곡면으로 접하는 경사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일의 베이스는, 서로 모서리에서 맞대어져 접합제에 의해 접합되는 제 1 및 제 2 하프베이스들로 이루어진 채, 앞면에서 상기 패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프베이스와 상기 제 2 하프베이스에는 서로를 뒷면에서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편과 그 중첩편의 선단에 면하는 중첩돌기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첩편과 중첩돌기에 의해 한정된 영역에 개재되는 접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일의 베이스는 접합제에 의해 상기 패널과 앞면에서 접합되어지되, 그 앞면에는 접합제에 의한 접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의 베이스는 서로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 레일 베이스들로 이루어진 채 벽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도예 패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10.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및 그 베이스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멤버를 구비한 제 1 레일와;
    패널이 부착되는 다른 베이스 및 그 베이스에 형성되는 다른 한 쌍의 레일멤버를 구비한 채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제 2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레일의 베이스는, 서로 모서리에서 맞대어져 접합제에 의해 접합되는 제 1 및 제 2 하프베이스들로 이루어진 채, 앞면에서 상기 패널이 부착되되,
    상기 제 1 하프베이스와 상기 제 2 하프베이스 중 하나의 뒷면에는 상기 제 1 하프베이스와 상기 제 2 하프베이스들을 뒷면에서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첩편의 선단에 면하는 중첩돌기가 상기 제 1 하프베이스와 상기 제 2 하프베이스 중 하나의 뒷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KR2020050036335U 2005-12-26 2005-12-26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KR200410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35U KR200410719Y1 (ko) 2005-12-26 2005-12-26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35U KR200410719Y1 (ko) 2005-12-26 2005-12-26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486 Division 2005-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719Y1 true KR200410719Y1 (ko) 2006-03-08

Family

ID=4176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335U KR200410719Y1 (ko) 2005-12-26 2005-12-26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7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908B1 (ko) 2007-07-16 2007-10-09 (주)국광플랜 벽면부착용 소형 간판의 설치구조
KR20210098792A (ko) * 2020-02-03 2021-08-11 엘에스일렉트릭(주) 서브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908B1 (ko) 2007-07-16 2007-10-09 (주)국광플랜 벽면부착용 소형 간판의 설치구조
KR20210098792A (ko) * 2020-02-03 2021-08-11 엘에스일렉트릭(주) 서브 모듈
KR102345252B1 (ko) * 2020-02-03 2021-12-31 엘에스일렉트릭 (주) 서브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EP1764455A2 (en) Anchoring system for cladding panels and profiles, particularly for ventilated facades
CN110114297B (zh) 用于连接电梯轿厢中的壁元件的连接装置和方法
KR200410719Y1 (ko)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JP4962772B2 (ja) 壁面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前記取付構造に使用する壁面パネルと軟質部材
AU2018212423B2 (en) Support for fastening facade elements
JP6299163B2 (ja) 耐震性間仕切装置における連結装置
JPH0236515B2 (ko)
KR100609471B1 (ko) 건축 외장재 조립장치
JP4777841B2 (ja) 間仕切りパネルの目地板及び接続構造
JP6473433B2 (ja) 外壁の構造
JP2002357015A (ja) 制振装置
JP6906344B2 (ja) 胴縁取付用金具
CN218437725U (zh) 一种龙骨挂件
JP3385569B2 (ja) 縦枠と横枠の取付構造
JP2012077574A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JP6439339B2 (ja) 耐震性間仕切装置におけるパネル板係止装置
KR101293688B1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
KR200279227Y1 (ko) 건축물의 천장구조
IT1311807B1 (it) Metodo per ottenere profilati metallici per strutture di sostegno dipannelli, particolarmente di cartongesso,e profilato ottenibile con il
CN105649357A (zh) 工程用支架结构
JP3182929U (ja) ソーラーパネル設置用ベース板の支承金具
RU2268971C2 (ru) Комплект для крепления фасадных облицовочных панелей,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фасада облицовочными панелями
KR20230113139A (ko) 유리 난간 시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