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710Y1 -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 Google Patents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710Y1
KR200410710Y1 KR2020050036235U KR20050036235U KR200410710Y1 KR 200410710 Y1 KR200410710 Y1 KR 200410710Y1 KR 2020050036235 U KR2020050036235 U KR 2020050036235U KR 20050036235 U KR20050036235 U KR 20050036235U KR 200410710 Y1 KR200410710 Y1 KR 200410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mobile phone
phone terminal
operation switch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태
Original Assignee
김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태 filed Critical 김혜태
Priority to KR2020050036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7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710Y1/ko
Priority to JP2006009787U priority patent/JP3129319U/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 Measurement Of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그셔틀 방식의 놉이 형성된 타이머를 이동전화 단말기에 설치하고, 상기 타이머를 조작하는 조작스위치와 입력된 신호를 연산·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건망증이 심한 사람들이나 노인들이 시간 맞춰 해야 될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으로 건망증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산업 현장이나 실험실 등에서 시간을 정하여 행하여지는 일들을 착오 없이 제 시간에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동전화 단말기, 타이머, 조그셔틀 방식

Description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Mobile phones with timer for alarm}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동전화 단말기 10 : 타이머
12 : 놉 20 : 조작스위치
30 : 제어부 40 : 출력부
42 : 액정표시판 44 : LED
46 : 스피커
본 고안은 이동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그셔틀 방식의 놉이 형성된 타이머를 이동전화 단말기에 구비하여 특정시간에 행해야 되는 일들을 할 수 있게 되고, 건망증이 있는 사람이나 노인들의 기억력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는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개인에 따라 기억력은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 기억력은 건망증이 심한 경우나 선천적으로 나쁜 경우가 아니라면, 나이가 들수록 기억력은 감퇴되기 마련이다.
상기와 같은 기억력 감퇴에 따라 해야 될 일들을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져 물질적, 정신적 손해를 보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식후 약을 복용해야 되는 경우 기억하지 못해 복용을 못하게 되거나, 요리 시, 불 끄는 시간을 기억하지 못해 요리를 태우거나 불이 날 경우도 발생 될 수 있으며, 실험시간이나 중요한 약속시간을 기억하지 못해 불이익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및 아날로그 방식의 타이머를 사용하게 되는데, 일정 시간을 맞춰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법으로 알려주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타이머들은 별도로 구입해야 됨으로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간단하게 휴대하기엔 적당하지 않은 크기로 만들어져 있으며, 그나마 휴대가 간편한 타이머 기능을 갖춘 손목시계의 경우, 이동전화 단말기의 보급으로 그 수효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또한, 일반인에게 보급률이 높은 이동전화 단말기에 사용되는 디지털 방식의 타이머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프로그램으로 들어가 설정을 해야 됨으로 조작이 복잡하여 노인들이나 기계조작이 서툰 사람들은 사용을 안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일반인 역시 상황에 따라 조작을 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아침 기상용으로 사용됨이 그 한계인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조그셔틀 방식의 놉이 형성된 타이머를 이동전화 단말기의 상부폴더에 설치하여 상황에 따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 누구나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고, 상기 타이머의 놉과 상기 타이어를 조작하는 조작스위치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상부폴더의 전면보다 함몰되게 형성하여 타의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해진 시각에 문자, 숫자, 음향 및 빛에 의해 다양하게 표현되어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전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상부폴더의 전면에 조그셔틀 방식의 놉이 형성된 타이머, 상기 타이머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조 작스위치와 상기 타이머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이머의 놉은 측면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상부폴더 전면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스위치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상부폴더의 전면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문자와 숫자를 표시하는 액정표시판과 빛을 발하거나 점멸하는 LED와 음향을 내는 스피커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망증이 심한 사람들이나 노인들이 시간 맞춰 해야 될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으로 건망증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산업 현장이나 실험실 등에서 시간을 정하여 행하여지는 일들을 착오 없이 제 시간에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전화 단말기(1)의 상부폴더 전면에 타이머(10)가 형성되고, 상기 타이머(10)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스위치(20)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스위치(20)와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출력하는 출력부(40)가 형성되고, 상기 타이머(10)와 상기 조작스위치(20) 및 상기 출력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30)가 형성된다.
상기 타이머(10)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단에 좌우회전이 가능한 조그셔틀식 놉(12)이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 상부폴더의 전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놉(12)은 직경 2cm 정도로 이루어지고, 그 외측을 따라 요철을 형성하여 노인들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요철은 톱니바퀴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요철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놉(12)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 상부폴더의 전면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고, 상기 놉(12)의 주변인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 상부폴더의 전면부을 따라 시간을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놉(12)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손이나 손톱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작스위치(20)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 상부폴더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타이머(10)의 주변 어디나 위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타이머(10)의 동작을 작동시키게 된 다.
즉, 상기 조작스위치(20)를 한번 누르면 상기 타이머(10)가 동작하게 되고, 두 번을 연속으로 누르면 동작을 멈추게 됨으로 조작이 간편한 것이다.
이때, 상기 조작스위치(20)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 상부폴더의 전면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타의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조작스위치(20)와 상기 타이머(10)의 입력데이터를 받아 연산 및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40)는 상기 제어부(30)의 신호에 의해 사용자에게 정해진 시각으로부터 남은 시간이나 정해진 시각임을 알려주도록 출력하는 것으로, 액정표시판(42)과 LED(44)와 스피커(46) 및 진동모터(미 도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액정표시판(42)은 문자 및 숫자를 표시하는 것으로 정해진 시각으로부터 남은 시간을 표시함으로 사용자에게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LED(44)는 정해진 시각 내에 일정간격이나 정해진 시각에 점등 또는 점멸함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46)는 상기 LED(44)와 동일하게 정해진 시각 내에 일정간격이나 정해진 시각에 음향을 발산하게 됨으로 어느 정도 떨어진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출력부(40)는 이동전화 단말기(1)의 진동모터(미 도시)를 이용하여 정해진 시각 내에 일정간격이나 정해진 시각에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액정표시판(42)과 LED(44)와 스피커(46) 및 진동모터(미 도시)는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단일 모드나 복합 모드로 출력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전화 단말기(1)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각이 되면, 상기 출력부(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사용자가 전화를 받으면, "시간이 다 됐습니다.", "시간 됐어!" 등의 한국어나 "It's about time" 등의 영어의 메시지를 전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전화 단말기(1)의 타이머(10)를 정한 시각에 맞도록 돌리고, 조작스위치(20)를 눌러 상기 타이머(10)를 작동시키게 되며, 제어부(30)에 의해 상기 타이머(10)가 일정간격이나 정한 시각에 도달했을 경우, 출력부(40)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타이머(10)는 좌우회전이 가능한 조그셔틀식 놉(12)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놉(12)을 돌려 시각을 맞추기 용이하며, 상기 놉(12)의 외측을 따라 요철이 형성됨으로 손이나 손톱 등을 이용하여 돌리기에 용이하다.
또한, 상기 놉(12)의 둘레부인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에 시간을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음으로 정확한 시각으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스위치(20)는 한번 누르면 상기 타이머(10)의 동작을 작동 시키게 되고, 상기 조작스위치(20)를 연속해서 두 번 누르면 상기 타이머(10)의 동 작을 멈추게 하는 것으로 타의에 의해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 상부폴더의 전면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출력부(40)는 상기 제어부(30)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액정표시판(42)과 LED(44)와 스피커(46) 및 진동모터()를 단일 모드나 복합 모드로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출력부(40)의 단일 모드일 경우, 상기 액정표시판(42), LED(44), 스피커(46) 및 진동모터(미 도시)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 하나의 출력만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며, 상기 출력부(40)의 복합 모드일 경우는 상기 액정표시판(42), LED(44), 스피커(46) 및 진동모터(미 도시) 중, 두 가지 이상이 동시에 작동 되는 것을 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출력부(40)가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음으로 상황이나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 편리성이 매우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타이머가 구비된 이동전화 단말기에 의하면, 건망증이 심한 사람들이나 노인들이 시간 맞춰 해야 될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으로 건망증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산업 현장이나 실험실 등에서 시간을 정하여 행하여지는 일들을 착오 없이 제 시간에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4)

  1. 이동전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상부폴더의 전면에 조그셔틀 방식의 놉이 형성된 타이머;
    상기 타이머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조작스위치와 상기 타이머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놉은 측면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상부폴더 전면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상부폴더의 전면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가 구비된 이동전화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문자와 숫자를 표시하는 액정표시판과 빛을 발하거나 점멸하는 LED와 음향을 내는 스피커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가 구비된 이동전화 단말기.
KR2020050036235U 2005-12-23 2005-12-23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KR200410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235U KR200410710Y1 (ko) 2005-12-23 2005-12-23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JP2006009787U JP3129319U (ja) 2005-12-23 2006-12-01 タイマー機能付き携帯電話端末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235U KR200410710Y1 (ko) 2005-12-23 2005-12-23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710Y1 true KR200410710Y1 (ko) 2006-03-08

Family

ID=4176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235U KR200410710Y1 (ko) 2005-12-23 2005-12-23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29319U (ko)
KR (1) KR2004107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29319U (ja)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24526B (zh) 一种事件信息提示的方法及移动终端
GB2421161B (en) Navigation device with touch screen
JPWO2010095733A1 (ja) タッチ式操作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CA2843675A1 (en) Gesture control for electronic safety devices
US10012958B1 (en) Time keeping assembly with plurality of display appearances and associated systems
KR200410710Y1 (ko)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CN211698608U (zh) 旋转定时器
JP2006513433A5 (ko)
JP2006322728A (ja) タイマ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44241A (ko) 버튼별 진동형태 설정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기
KR100628047B1 (ko) 스톱워치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톱워치 기능 수행방법
JP5888054B2 (ja) 表示装置及び指針表示装置
JP2019081431A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JP3243335U (ja) タイマー
JP2007172199A (ja) キータッチ確認装置及び携帯型情報装置
KR200383510Y1 (ko) 휴대용 알람장치
KR20180065572A (ko) 비밀번호 알람시계
CN211015855U (zh) 工作定时提醒器
KR200359763Y1 (ko) 호출기용 입체 표시장치
KR200202488Y1 (ko) 차량용 운행제한 일자 알림장치
JPH062356Y2 (ja) 無線式個別受信装置
JP2009059151A5 (ko)
CN111045314A (zh) 旋转定时器
ES2203465T3 (es) Dispositivo de control manual para su utilizacion el el ambito sanitario.
KR200320874Y1 (ko) 다중 설정 시간 타이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