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516Y1 -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516Y1
KR200410516Y1 KR2020050036384U KR20050036384U KR200410516Y1 KR 200410516 Y1 KR200410516 Y1 KR 200410516Y1 KR 2020050036384 U KR2020050036384 U KR 2020050036384U KR 20050036384 U KR20050036384 U KR 20050036384U KR 200410516 Y1 KR200410516 Y1 KR 200410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upports
housing
range hood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만
Original Assignee
(주)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하 filed Critical (주)은하
Priority to KR2020050036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5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5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인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는, 렌지후드의 본체에 결합되어 렌지의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에어턱트의 관로로 안내하는 배출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렌지후드의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는 원형의 관로를 형성하는 관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원형 관로를 반분하도록 지름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구획부재; 상기 구획부재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재; 상기 하우징의 원형 관로의 반원형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안착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반원형 관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재에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한 강성의 제1 및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에 부착되어 회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재에 안착되어 상기 반원형 관로를 각각 개폐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1 및 제2 플랩체;를 구비한다. 상기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는 관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의 대부분이 플렉시블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폐시의 충격소음이 플랙시블한 재질에 의하여 흡수되어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되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개폐수단은 제1 및 제2 지지대의 제2 부분에 단지 제1 및 제2 플랩체를 접착시킴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App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of gas from range hood}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의 일부 절제 조립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3은 도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도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5 및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의 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들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음식물 조리 시에 가스 렌지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냄새 입자 또는 유해가스가 렌지 후드의 배출관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렌지 후드의 비작동시에 배출관에 잔존하는 가스가 렌지후드를 통하여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와 관련하여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307028호에 개시된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는 렌지후드의 배출관의 내주면을 따라 밀착되고 중앙부가 관통홀이 형성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관통홀을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의 상부에 구획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된 힌지봉과, 상기 힌지봉을 지지하는 힌지봉 지지대, 및 상기 힌지봉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의 외주면, 안착부재 및 구획부재의 상부 일측면에 소정의 방음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개폐판 회동시에 충격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는 개폐판의 대부분의 면적이 강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폐판의 외주면에 탄성적인 방음부재가 일부 마련되어 있다 하더라도, 개폐판의 회동시에 충격 소음이 감쇠되지 못하여 제품의 소음에 따른 소비자의 클레임이 자주 발생하고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노출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렌지후드는 개폐판의 외주면 등에 방음부재를 장착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 작업성이 저하되고 제품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스 배출관의 통로를 플렉시블한 재질의 플랩체로 개폐시킴으로써 충격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가 간단하여 제품단가를 줄일 수 있는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는, 렌지후드의 본체에 결합되어 렌지의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에어턱트의 관로로 안내하는 배출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렌지후드의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는 원형의 관로를 형성하는 관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원형 관로를 반분하도록 지름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구획부재; 상기 구획부재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재; 상기 하우징의 원형 관로의 반원형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안착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반원형 관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재에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한 강성의 제1 및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에 부착되어 회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재에 안착되어 상기 반원형 관로를 각각 개폐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1 및 제2 플랩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는 상기 회동축이 마련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가 부착되는 제2 부분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랩체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의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의 제2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랩체의 길이의 1/2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가 90도 이상의 각도로 상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호 맞물리는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는 렌지후드의 본체(도시 생략)에 결합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배출관(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관(30)에는 에어덕트(도시 생략)가 결합되어 렌즈후드로부터 이동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렌지후드의 본체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11: 결합 플랜지)와 상기 결합플랜지(11)의 상부에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관로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로부(12)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관로(a, b)는 상기 배출관(30)의 관로(c)와 연통되도록 상기 관로부(12)의 외주면에 상기 배출관의 내주면이 끼워 결합된다. 도면부호 11a는 렌지후드의 본체와 하우징(1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원형 관로(a, b)를 반분하도록 지름방향으로 구획부재(13)가 설치된다. 상기 구획부재(13)는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획부재(13)의 양단에, 즉 관로부의 내주면 소정위치에는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재(1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재(14)는 후술하 는 개폐수단의 제1 및 제2 지지대의 회동축이 끼워지는 두개의 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재(14)의 상부에는 스토퍼(14b)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원형 관로(a, b)의 반원형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및 제2 안착부재(15)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재(15)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로부(12)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 상방으로 연장된 플랜지의 형태로 마련된다.
이하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원형 관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개폐수단(20)은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지지대(21)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21)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플랩체(22)로 이루어진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21)는 상기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재(14)의 홈(14a)에 끼워지는 회동축(23)을 가지는 제1 부분(21a)과 상기 제1 및 제2 플랩체(22)가 부착되는 제2 부분(21b)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부분(21a)과 제2 부분(21b) 사이에는 단차(21c)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21c)의 크기(t1)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랩체(22)의 두께(t2)에 대응되는 크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21)는 강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대(21)의 제1 부분(21a)의 양측에는 각각 스토퍼(24)가 마련된다. 상기 스토퍼(24)는 상기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재(14)의 스토퍼(14b)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21)가 90도 이상의 각도로 상방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및 제2 지지대(21)의 제2 부분(21b)에는 제1 및 제2 플랩체(22)가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통상적인 접착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부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 플랩체(22)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반원형 형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타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재(15)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반원형 관로(a, b)를 각각 개폐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플랩체(22)의 두께(t2)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의 단차(21c)의 크기(t2)와 동일하게 설정되므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자가 결합되면 그 하부면은 평편한 면을 유지함으로써 개폐작용을 더욱 신뢰성있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21)의 제2 부분(21b)의 길이(L1)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랩체(22)의 길이(L2)의 1/2 이상이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플랩체가 지지대에 안정하게 지지되면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에 따른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렌지 후드의 송풍기가 작동하면 사용자가 음식물 조리시에 렌지에서 발생하는 가스(음식물 냄새 입자,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가 렌즈후드 의 본체를 거쳐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 및 에어덕트의 관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가스는 역류방지장치의 하우징(10)의 원형 관로(a, b)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하면서 개폐수단(20)을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따라서 제1 및 제2 지지대(21)는 회동축(23)을 피봇축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하고, 따라서 제1 및 제2 플랩체(22)가 하우징의 제1 및 제2 안착부재(15)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원형 관로(a, b)가 열려 가스가 상방으로 배출된다. 이 때 제1 및 제2 지지대(21)의 스토퍼(24)와 상기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재(14)의 스토퍼(14b)가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21)가 90도 이상의 각도로 상방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송풍기의 작동이 중지되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21) 및 제1 및 제2 플랩체(22)는 그 자중으로 인하여 하방으로 회동되어 제1 및 제2 플랩체(22)의 반원형 가장자리 부분이 각각 제1 및 제2 안착부재(15)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원형 관로(a, b)를 완전히 폐쇄한다. 따라서 상부의 배출관(30) 또는 에어덕트의 관로 상에 존재하는 잔존 가스 또는 음식물 냄새 입자가 렌지후드를 향하여 역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원형 관로(a, b)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의 실질적인 부분이 플렉시블한 재질의 제1 및 제2 플랩체(22)이고, 강성 재질의 제1 및 제2 지지대(21)는 단지 제1 및 제2 플랩체(22)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므로, 원형 관로의 폐쇄 시에 제1 및 제2 플랩체(22)와 제1 및 제2 안착부재(15)가 접촉되는 소음이 제1 및 제2 플랩체의 탄성적인 재질에 의하여 흡수됨으로써 충격소음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에에 따른 작용효과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고려해 볼 때 큰 이점으로 작용한다. 즉 사용자가 가스렌지를 사용하지 않아 렌지후드가 전혀 작동하지 않을 때에도 아파트 등의 출입문이 개폐됨에 따라 실내의 압력이 증가하면 그 압력이 역류방지장치에 작용함으로써 제1 및 제2 지지대(21)와 제1 및 제2 플랩체(22)가 개폐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 동작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극히 심각한 문제점으로 인식될 수 있는 바, 본 고안은 이러한 렌지후드 비작동시의 소음발생의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이들 사항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지지대와 이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플랩체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지지대의 길이를 대폭 줄이면서 별도의 직선 보강부재(51) 또는 원형 보강부재(61)를 더 설치함으로써 개폐수단이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는 관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의 대부분이 플렉시블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폐시의 충격소음이 플랙시블한 재질에 의하여 흡수되어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되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개폐수단은 제1 및 제2 지 지대의 제2 부분에 단지 제1 및 제2 플랩체를 접착시킴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4)

  1. 렌지후드의 본체에 결합되어 렌지의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에어턱트의 관로로 안내하는 배출관에 설치되는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지후드의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는 원형의 관로를 형성하는 관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원형 관로를 반분하도록 지름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구획부재;
    상기 구획부재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재;
    상기 하우징의 원형 관로의 반원형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안착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반원형 관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재에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한 강성의 제1 및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에 부착되어 회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재에 안착되어 상기 반원형 관로를 각각 개폐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1 및 제2 플랩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는 상기 회동축이 마련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가 부착되는 제2 부분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랩체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의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의 제2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랩체의 길이의 1/2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가 90도 이상의 각도로 상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호 맞물리는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
KR2020050036384U 2005-12-26 2005-12-26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 KR200410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84U KR200410516Y1 (ko) 2005-12-26 2005-12-26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84U KR200410516Y1 (ko) 2005-12-26 2005-12-26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516Y1 true KR200410516Y1 (ko) 2006-03-07

Family

ID=4176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384U KR200410516Y1 (ko) 2005-12-26 2005-12-26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51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948A (ko) * 2018-02-26 2019-09-04 주식회사 파세코 역류 방지 댐퍼
RU197201U1 (ru) * 2019-12-26 2020-04-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добыча Уренгой" Колпак блока маслоохладителя турбокомпрессорного агрегата
KR20230170256A (ko) 2022-06-10 2023-12-19 주식회사 동오 절전형 레인지후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948A (ko) * 2018-02-26 2019-09-04 주식회사 파세코 역류 방지 댐퍼
KR102027134B1 (ko) * 2018-02-26 2019-10-01 주식회사 파세코 역류 방지 댐퍼
RU197201U1 (ru) * 2019-12-26 2020-04-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добыча Уренгой" Колпак блока маслоохладителя турбокомпрессорного агрегата
KR20230170256A (ko) 2022-06-10 2023-12-19 주식회사 동오 절전형 레인지후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516Y1 (ko) 렌지후드의 역류방지장치
KR102218578B1 (ko) 공동주택 욕실용 역류방지 환풍시스템
US8182218B2 (en) Vent and grilles
CN101881476A (zh) 一种用于吸油烟机的出风装置
WO2006104861A3 (en) Closet flange spacer
CN113790291A (zh) 一种防火止回阀
KR20160141990A (ko) 댐퍼 부착형 송풍기
US6061981A (en) Air conditioner cover
KR101188851B1 (ko) 환풍기용 역류 방지 댐퍼
JP2004245495A (ja) 簡易空調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送風装置
KR101307812B1 (ko) 밀폐성과 내구성이 개선된 전동 댐퍼용 회전 날개판
KR101195061B1 (ko) 캠 구동 개폐식 전동댐퍼
JPH07260243A (ja) 給気レジスタ
KR102039278B1 (ko) 환풍기 역류 방지장치
JP4723953B2 (ja) キッチンユニット
JP4580378B2 (ja) 空気調和機
US20140201893A1 (en) Ventilated toilet seat assembly
JP4896560B2 (ja) 消音型給気装置
KR20090087588A (ko) 조립식 후드
KR20120076996A (ko) 수직입상 환기덕트에 연결되는 배기관상의 댐퍼구조
AU2006246303B2 (en) Vent and grilles
KR100867305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구조
KR102240565B1 (ko) 하수 역류 방지구
JP2000192491A (ja) マンホ―ル蓋の飛散防止装置
KR101946438B1 (ko) 밀폐 역풍 방지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