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557Y1 - 과일선별장치용 과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과일선별장치용 과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557Y1
KR200409557Y1 KR2020050034156U KR20050034156U KR200409557Y1 KR 200409557 Y1 KR200409557 Y1 KR 200409557Y1 KR 2020050034156 U KR2020050034156 U KR 2020050034156U KR 20050034156 U KR20050034156 U KR 20050034156U KR 200409557 Y1 KR200409557 Y1 KR 200409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feeder
belt conveyor
transfer
pin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용균
Original Assignee
(주)진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영산업 filed Critical (주)진영산업
Priority to KR2020050034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5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5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7Apparatus in which aggregates or articles are moved along or past openings which increase in siz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일선별장치의 과일이송장치에 있어서, 과일공급기와 이송롤러 사이에 V형상으로 구성시킨 벨트컨베이어를 구비시켜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으로 과일이 자동으로 정렬되며 별도의 투입슈트를 구비하지 않아도 과일의 손상됨이 없이 과일을 이송롤러로 전달하며, 과일의 크기에 따라 공급되는 과일의 낙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안 한다.
프레임, 이송, 고정핀, 유동핀, 핀구멍

Description

과일선별장치용 과일 이송장치{a fruit conveyor for fruit select install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과일 이송장치의 구성을 평면상으로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과일 이송장치의 구성을 측면상으로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주요부분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4a,4b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표현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송부 14a, 22 : 고정핀 구멍
14b,14c,14d,23: 유동핀 구멍 20: 프레임부
30: 고정핀 31: 유동핀
본 고안은 과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과일의 크기나 중량별로 분류하여 이송시키는 분류장치를 구비한 과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류장치에 과일을 투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투입장치에 과일을 일률적으로 정렬하여 전달하며, 과일의 크기에 상관없이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기위한 과일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선별장치의 구성은 과일 공급 장치와, 각각의 측정 컵을 구비한 분류장치와, 상기 분류장치의 측정 컵에 과일을 하나씩 투입시키기 위한 이송롤러를 구비한 투입 장치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과일 선별장치는 공급 장치를 통하여 공급된 과일을 하나씩 정렬시켜 이송롤러 상에 전달하게 되는데, 상기 장치의 전달방법은 공급 장치를 통하여 이송되어지는 과일을 공급 장치 상에 구비된 별도의 투입슈트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지는데, 상기 전달방법은 투입슈트를 이용하여 강제로 투입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투입과정에서 과육이 약한 과일들이 손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의 선 등록 고안인 대한민국특허청의 등록실용 제0342487호( 과일 선별장치용 과일이송장치; 이하, 선 고안이라 함 )가 있다.
상기 선 고안을 살펴보면, 이송장치는 프레임상에 2식의 V형 벨트컨베이어장치로 구성되며, 제 1벨트컨베이어와 제 2벨트컨베이어로 구분되고,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와 제2벨트컨베이어장치는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 1벨 트컨베이어와 제 2벨트컨베이어는 각각 회전되도록 구성되었으며, 회전수는 1 : 2.5로서 제 2 벨트컨베이어의 회전수가 제 1 벨트컨베이어의 회전수보다 2.5배 빠른 속도로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수를 다르게 설정한 이유는 공급기에서 공급된 과일을 투입장치의 투입롤러까지 이송시킴에 있어서, 과일들이 몰리지 않게 정렬시키고자 함에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장치의 제 2벨트컨베이어의 일부분에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과일들의 충격에 의한 손상을 막기 위하여 벨트의 안쪽일부분 에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며, V형 벨트컨베이어 프레임의 상부끝단의 일정 위치에 근접센서(13)를 구비시켜 설정된 위치에 사물이 없을 때에만 공급기가 구동되어 상기 이송장치로 과일이 공급되게 하여 과일이 서로 부딪혀 손상을 입지 않도록 구성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 고안은 과일의 손상을 줄이고, 공급기에서 공급된 과일을 투입장치의 투입롤러까지 이송시킴에 있어서, 과일들이 몰리지 않게 정렬시키고자함에는 별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나, 크기가 큰 과일은 공급기에서 공급될 때 낙하각도에 의하여 과일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과일선별장치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과일을 순차적으로 정렬시켜 이송시키며 또한 이송도중 과일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에서 과일선별기의 측정 컵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과 일 선별장치의 과일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과일선별장치의 과일이송장치에 있어서, 과일공급기와 이송롤러 사이에 V형상으로 구성시킨 벨트컨베이어를 구비시켜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으로 과일이 자동으로 정렬되며 별도의 투입슈트를 구비하지 않아도 과일의 손상됨이 없이 과일을 이송롤러로 전달하며, 과일의 크기에 따라 공급되는 과일의 낙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구현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려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과일선별기용 과일이송장치는 과일공급기에서 과일 선별용 측정 컵까지의 이송과정에서 과일이 손상됨이 없이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투입롤러까지 이송시키고자 하며, 또한 이송컨베이어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 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이송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앞에서 제안한 과일선별기용 과일이송장치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과일공급기(50)와 투입장치(40)사이에 "V"형상으로 구성된 이송장치(100)가 구비됨을 알 수가 있다.
상기 이송장치는 프레임(15)상에 2식의 벨트컨베이어장치를 구비시키는데, 상기 벨트컨베이어장치는 V형상으로 구성되며, 제 1벨트컨베이어(11)와 제 2벨트컨베이어(12)로 구분되고,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와 제2벨트컨베이어장치는 프레임(15)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 1벨트컨베이어와 제 2벨트컨베이어는 각각 회전되도록 구성되었으며, 회전수는 1 : 2.5로서 제 2 벨트컨베이어의 회전수가 제 1 벨트컨베이어의 회전수보다 2.5배 빠른 속도로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이송부(10)의 제 2벨트컨베이어(12)의 일부분에 공급기(50)에서 공급되는 과일(70)들의 충격에 의한 손상을 막기 위하여 벨트(12a)의 안쪽일부분 에 스프링(16)을 이용한 완충장치(15)가 도시되어 있으며, V형 벨트컨베이어 상부 일측 끝단의 일정 위치에 근접센서(13)를 구비시켜 설정된 위치에 사물이 없을 때에만 공급기(50)가 구동되어 상기 이송장치(100)로 과일이 공급되게 하여 과일이 서로 부딪혀 손상을 입지 않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이송부(10)는 일 측 끝단에 센서부착판(14)이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착판(14)에 핀 구멍(14a,14b,14c,14d)들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볼록형상의 운동부(17)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는 상단의 일 측 끝단에 수직으로 설치된 강판(21)에 핀 구멍(22,23)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오목형상의 지지대(24)가 설치된 프레임부(20)상에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핀(30,31)과 핀구멍(14a,14b,14c,14d,22,23)에 의하여 임의의 각도(a)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그리고 상기 핀과 핀 구멍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핀 구멍(22,14a)은 고정핀 구멍이며, 핀구멍 (23,14b,14c,14d)는 유동핀 구멍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핀(30)은 고정핀, 상기 핀(31)은 유동핀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하지 않은 모터를 이용한 구동장치에 대한 설명과 상기 구동장치의 설치를 위한 프레임의 구성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에 속하며, 특별한 구조가 없는 관계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미 설명부호 ... 60은 과일선별기이고, 61은 측정 컵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송장치의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구성과으로 인하여 과일선별장치로 이송되는 과일이 공급 및 이송도중에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인 과일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아 유실되는 과일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회전수가 1:2.5의 비율로 각기 다른 2식의 벨트컨베이어가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이송부를 이루는 벨트컨베이어 상호간의 각도가 ∠100~110 가 되도 록 "V"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프레임 일부분에 완충장치가 구성되고, 상부의 일부분에 근접센서가 구성되어 과일공급기에서 공급되는 과일을 순차적으로 정렬시켜 투입장치의 투입롤러에 공급될 수 있도록 과일공급기와 과일투입장치의 사이에 설치하여 구성시켜서 되는 과일선별장치용 과일이송장치에 있어서,상단의 일 측 끝단에 수직으로 설치된 강판(21)에 핀 구멍(22,23)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오목형상의 지지대(24)가 설치된 프레임부(20)와;일측 끝단에 센서부착판(14)이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착판(14)에 핀 구멍(14a,14b,14c,14d)들이 형성되고, 하부에 볼록형상의 운동부(17)가 설치된 이송부(10)가 상기 프레임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핀(30,31)과 핀구멍(14a,14b,14c,14d,22,23)에 의하여 임의의 각도(a)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과일선별장치용 과일이송장치.
KR2020050034156U 2005-12-05 2005-12-05 과일선별장치용 과일 이송장치 KR200409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156U KR200409557Y1 (ko) 2005-12-05 2005-12-05 과일선별장치용 과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156U KR200409557Y1 (ko) 2005-12-05 2005-12-05 과일선별장치용 과일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557Y1 true KR200409557Y1 (ko) 2006-02-22

Family

ID=4175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156U KR200409557Y1 (ko) 2005-12-05 2005-12-05 과일선별장치용 과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55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081Y1 (ko) * 2014-07-08 2016-04-12 권익삼 농산물 선별기
KR200480080Y1 (ko) * 2014-09-02 2016-04-14 권익삼 벨트형 농산물 선별기
KR101849859B1 (ko) 2016-12-29 2018-04-1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실 수직 정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081Y1 (ko) * 2014-07-08 2016-04-12 권익삼 농산물 선별기
KR200480080Y1 (ko) * 2014-09-02 2016-04-14 권익삼 벨트형 농산물 선별기
KR101849859B1 (ko) 2016-12-29 2018-04-1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실 수직 정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2621B1 (en) Conveyors system with volume sharing
EP0842875A1 (en) Oriented bottle conveyor
US5086909A (en) Gentle handling of fruit during weight sizing and other operations
KR200409557Y1 (ko) 과일선별장치용 과일 이송장치
KR101986807B1 (ko) 볼트 표면처리를 위한 자동이송장치
US6491152B1 (en) Conveyor assembly
CN105772383A (zh) 一种倾斜阶梯辊式花生荚果分级装置
JP2003020116A (ja) 小物部品の整列・供給方法並びにその整列・供給装置
KR100756616B1 (ko) 벨트 컨베이어
AU2017222177B2 (en) Conveyor system for conveying materials to be conveyed
US9517891B1 (en) Conveyor belt idler systems
KR20160039791A (ko) 물품이송장치
KR200352833Y1 (ko)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이송물 교정장치
KR200342487Y1 (ko) 과일선별장치용 과일 이송장치
CN111670156B (zh) 用于将第一和第二类别的件货运送至分拣器的设备和方法
KR1013998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100879846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JP2015189577A (ja) 供給装置
KR102133099B1 (ko) 슈트부 막힘 방지장치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200179920Y1 (ko) 편적 형상에 따라 가변되는 슈트내 이송물 안내장치
JP2005239426A (ja) 供給コンベヤ
JP3396073B2 (ja) 小物品の外観検査装置における振り分け装置
US6742778B2 (en) Signature hopper loader
KR102166611B1 (ko) 슈트 마모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