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443Y1 -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 - Google Patents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443Y1
KR200409443Y1 KR2020050034525U KR20050034525U KR200409443Y1 KR 200409443 Y1 KR200409443 Y1 KR 200409443Y1 KR 2020050034525 U KR2020050034525 U KR 2020050034525U KR 20050034525 U KR20050034525 U KR 20050034525U KR 200409443 Y1 KR200409443 Y1 KR 200409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air
primary combustion
dry
ai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로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로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로엔텍
Priority to KR2020050034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4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4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23L1/02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by discharging the air below the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20Rotary drum furnace
    • F23G2203/207Rotary drum furnace with air supply ports in the side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1차 연소실의 바닥과 측면 벽체에 다수개 삽입설치되어 외부의 연소용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에어노즐에 있어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 1차 연소실 내측쪽의 내부 관통공 축경이 작아져 단을 이루게 되어 1차 연소실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1차 연소실 측면과 하부에서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어 소각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연소 소각로 건류 반건류 폐기물 에어노즐

Description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airnozzle for incinerator}
도1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노즐의 단면도
도2 : 본 고안의 에어노즐이 설치된 소각로의 단면도
도3 : 본 고안의 에어노즐이 설치된 소각로의 바닥을 나타낸 도
본 고안은 소각로의 1차 연소실의 연소용 공기 공급 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측 관통공이 단을 이루는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에 관한 것이다.
산업체, 가정 등에서 반출되는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 폐기물을 소각로에 투입하여 소각처리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소각처리를 위해 연소중인 소각로의 입구에서 작업자가 직접 하거나 컨베이어벨트 등의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폐기물을 연속으로 투입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폐기물을 연속으로 투입하는 소각방법은 연소중인 폐기물의 상부에 새로운 폐기물이 계속 투입됨으로 해서 완전한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아 소각효율이 나쁘며 소각 후 발생하는 소각재가 다량으로 발생하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가 고안되었다. 상기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는 밀폐된 1차 연소실 공간 내에 불씨가 비활성 상태를 지속하도록 하기 위하여 산소를 제한적으로 공급하여 1차 연소실 공간 내부의 폐기물을 소각하고 소각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를 2차 연소실에서 소각하여 완전히 연소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1차 연소실은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기위한 에어노즐을 설치하게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노즐은 폐기물측에 산소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여 소각효율이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1차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되는 폐기물이 잘 연소될 수 있는 소각로의 1차 연소실의 연소용 공기 공급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1차 연소실의 바닥과 측면 벽체에 다수개 삽입설치되어 외부의 연소용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에어노즐(200)에 있어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 1차 연소실 내측쪽의 내부 관통공 축경이 작아져 단을 이루게 되어 1차 연소실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200)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에어노즐(200)은 1차 연소실의 전체높이에 대해 바닥에서 5 내지 15%의 높이와 20 내지 30%의 높이에 1차 연소실 둘레를 따라 형성된 에어챔버(100)에서 1차 연소실의 내부로 1차 연소실의 벽을 관통하여 등간격을 이루면서 다수개가 설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노즐(200)은 1차 연소실의 바닥면 중심에서 상하좌우로 등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200)은 원통형상을 이루게 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은 연소용 가스(산소)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관통공은 1차 연소실측 말단의 지름이 반대측의 지름보다 작도록 단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을 이루는 이유는 지름이 넓은 측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좁은 측으로 빠져나오도록 설치하여 유출되는 공기의 압력과 유속을 빠르게 하여 연소중인 폐기물에 보다 더 산소를 잘 공급하여 소각효율이 높아지도록 하기위함이다.
상기 에어노즐(200)은 1차 연소실의 측면과 바닥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에어노즐(200)을 측면에 설치하고 상기 에어노즐(200)에 공기를 공급하기위해 1차 연소실 전체 높이에 대해 5내지 15%되는 위치와 20 내지 25%되는 위치에 각각 에어챔버(100)를 설치하게된다. 상기 에어챔버(100)는 1차 연소실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1차 연소실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연소용 가스가 흘러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노즐(200)은 1차 연소실의 벽면을 관통하여 일측 말단은 에어챔버(100)내에 위치하게되며 타측은 1차 연소실내로 연결되어 에어챔버(100)내의 연소용 가스가 1차 연소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에어노 즐(200)은 내부 관통공의 지름이 적은 쪽을 1차 연소실로 하고 넓은 쪽을 에어챔버(100)측으로 향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측면에 설치되는 에어노즐(200)은 서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다수개 설치되어 1차 연소실 내부로 균일하게 연소용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1차 연소실의 바닥에 설치되는 에어노즐(200)은 1차 연소실 바닥의 중심에서부터 등 간격을 이루면서 전후좌우 격자를 이루면서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각로의 1차 연소실의 연소용 공기 공급구조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철판과 내화벽돌등으로 이루어진 1차 연소실의 높이에 대해 9%와 21% 되는 지점에 에어챔버(100)를 설치하게된다. 상기 에어챔버(100)의 일측은 공급부가 결합되어 에어챔버(100) 내부로 공급되는 연소용 가스의 양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에어챔버(100)에는 3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12개씩의 에어노즐(200)이 설치된다.
그리고 바닥에는 중심에 에어노즐(200)을 하나 설치하고 상기 중심의 에어노즐(200)로부터 200밀리미터 지점부터 100밀리미터 간격으로 에어노즐(200)을 배치하게 된다. 상기 간격은 1차 연소실의 크기에 따라 조절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1차 연소실은 내부로 투입된 폐기물을 소각하면서 상기 노즐을 통해 공기를 유입시켜 건류 또는 반 건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후 상기 1 차 연소실에 연결된 2차연소실로 옮겨져 완전연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각로의 1차 연소실의 연소용 공기 공급 구조에 의하면 연소실의 측면과 바닥에서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므로 연소중인 폐기물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어 연소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차 연소실의 바닥과 측면 벽체에 다수개 삽입설치되어 외부의 연소용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에어노즐에 있어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 1차 연소실 내측쪽의 내부 관통공 축경이 작아져 단을 이루게 되어 1차 연소실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노즐은
1차 연소실의 전체높이에 대해 바닥에서 5 내지 15%의 높이와 20 내지 30%의 높이에 1차 연소실 둘레를 따라 형성된 에어챔버(100)에서 1차 연소실의 내부로 1차 연소실의 벽을 관통하여 등간격을 이루면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노즐(200)은
1차 연소실의 바닥면 중심에서 상하좌우로 등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200)
KR2020050034525U 2005-12-07 2005-12-07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 KR200409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525U KR200409443Y1 (ko) 2005-12-07 2005-12-07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525U KR200409443Y1 (ko) 2005-12-07 2005-12-07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443Y1 true KR200409443Y1 (ko) 2006-02-24

Family

ID=4175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525U KR200409443Y1 (ko) 2005-12-07 2005-12-07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4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17010691A1 (ja) 高温熱分解焼却炉
WO2011114794A1 (ja) 竪型ごみ焼却炉における燃焼用空気の供給方法及び竪型ごみ焼却炉
KR101928762B1 (ko) 하이브리드 고온 사이클론 연소기
KR101326481B1 (ko)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KR20100001731A (ko) 연소장치
KR200409443Y1 (ko)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에어노즐
JP2007322099A (ja) 乾留ガス化燃焼炉
KR20120032718A (ko) 화격자 연소방식의 소각로
KR101738993B1 (ko) 무독성 고온 열분해 소각장치
WO2013035615A1 (ja) 流動床炉及び流動床炉を用いた廃棄物の処理方法
KR200408326Y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KR101368378B1 (ko) 수직형 소각로
KR100915700B1 (ko) 소각로용 클링커제거장치
JP3142548U (ja) バイオマス燃焼装置
JP2007212119A (ja) バイオマス燃焼装置
KR200409442Y1 (ko) 소각로의 1차 연소실 내화축로형 구조
JP2005090920A (ja) 水性ガス焼却炉
KR102286405B1 (ko) 소각로 연소실 측벽의 클링커 부착방지 및 제거 구조
KR101684361B1 (ko) 하수 슬러지 혼합 소각 지원 소각 장치
KR101175296B1 (ko) 폐기물 소각장치
KR100255194B1 (ko) 이중 순환식 유동층 연소장치
KR20110040600A (ko) 폐기물 열분해 가스화 소각장치
KR100857901B1 (ko) 알피에프와 알디에프를 이용한 버너
KR960003681Y1 (ko) 폐기물 소각로의 가스유도장치
JP2006002947A (ja) バーナ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