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352Y1 - 로터리 오일댐퍼 - Google Patents

로터리 오일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352Y1
KR200409352Y1 KR2020050034511U KR20050034511U KR200409352Y1 KR 200409352 Y1 KR200409352 Y1 KR 200409352Y1 KR 2020050034511 U KR2020050034511 U KR 2020050034511U KR 20050034511 U KR20050034511 U KR 20050034511U KR 200409352 Y1 KR200409352 Y1 KR 200409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assage
casing
rotary oil
rotating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용
Original Assignee
석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4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3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3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2Lubric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터리 오일댐퍼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오일댐퍼는, 일정 구간을 회전 개폐하는 회동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면서 댐핑력을 제공하는 로터리 오일댐퍼에 있어서, 중공의 관형상으로 구비되어 개방된 일면은 캡에 의해 밀폐되고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는 것으로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한쌍의 회전제한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케이싱내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리브가 형성되며 이 돌출리브는 가운데 부분에 장공의 메인 유체통로가 형성되는 회전축부 및 이 회전축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케이싱의 타측면을 폭넓게 차폐하는 플레이트 그리고 이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힌지축부로 구성되는 회동체와, 상기 돌출리브에 회전방향으로의 간극을 가지고 슬라이드 끼움되는 것으로 돌출리브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좌우차단벽과 이들을 연결하면서 그 외측면이 케이싱의 내주면에 접동되는 외측벽으로 구비되며, 좌우차단벽은 회전방향에 따라 다른 저항을 생성하기 위한 고저항 유체통로 및 저저항 유체통로가 각각 형성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로터리 오일댐퍼는 제어밸브의 좌우 차단벽에 형성되는 유체통로의 형태를 개선하는 간소한 구조를 통해 고효율의 댐핑력 생성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오일, 댐퍼, 비데

Description

로터리 오일댐퍼 {Rotary oil-damp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오일댐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오일댐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비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터리 오일댐퍼 10 : 케이싱
11 : 회전제한리브 15 : 캡
20 : 회동체 21 : 회전축부
21a : 조립홈 21b : 체류 경사홈
22 : 돌출리브 22a : 메인 유체통로
23 : 플레이트 24 : 힌지축부
30 : 제어밸브 31, 32 : 차단벽
31a, 31b, 32a : 유체통로
본 고안은 로터리 오일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구간을 회전 개폐하는 회동부재가 자중이나 외력에 의해 급격하게 회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안정된 회동동작을 보장하는 로터리 오일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기 커버나 피아노 커버 등과 같이 본체에 대하여 일정한 반경내에서 회동될 수 있게 힌지 결합되는 회동체는 사용자에 의해 개폐되는 경우 일정한 각도 이상에서는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되는데, 이때 회동체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개폐 속도가 가속되어 본체와 충돌하면서 충격소음과 파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사용자는 회동체를 잡고 완전 개폐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일정 반경내에서 회동되는 회동체의 급격한 회동을 방지되게 하여 충격소음 및 파손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 감속 기능을 갖는 다양한 댐퍼가 제안되어 적용되고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감속기능을 갖는 댐퍼는 크게 탄성체를 이용한 스프링 댐퍼와 유체저항을 이용한 로터리 오일댐퍼로 대별된다.
먼저, 상기 스프링 댐퍼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회동체가 완전하게 닫혀지지 않고 약간 들어 올려지는 현상과 장기간 사용시에는 스프링의 탄성력 저하로 인한 동작의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과 더불어 스프링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스프링 댐퍼가 갖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로터리 방식의 오일댐퍼가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로터리 오일댐퍼는 유체 저항이 높은 점성 오일이 충진된 케이싱의 내부에 로테이터를 결합구성하고, 이 케이싱과 로테이터에 회전 방향에 따라 상이한 저항력을 생성하는 제어밸브를 구성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이러한 로터리 오일댐퍼는 스프링 댐퍼가 지닌 여러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충격이 없을 정도로 감속력을 발생시킬 경우 회동체의 회동 속도 즉, 닫힘 속도가 지나치게 느려지거나, 이와는 반대로 닫힘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에는 담힘이 종료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충격력이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회동체가 닫히는 회동 동작시 시작시의 회동저항은 낮게 하고 종료시의 회동저항은 높게 함으로써 회동체가 신속하고 안정되게 회동될 수 있게 한 로터리 오일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성의 간소화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면서 동작의 신뢰성을 보장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오일댐퍼는, 일정 구간을 회전 개폐하는 회동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면서 댐핑력을 제공하는 로터리 오일댐퍼에 있어서,
중공의 관형상으로 구비되어 개방된 일면은 캡에 의해 밀폐되고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는 것으로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한쌍의 회전제한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 으로 케이싱내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리브가 형성되며 이 돌출리브는 가운데 부분에 장공의 메인 유체통로가 형성되는 회전축부 및 이 회전축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케이싱의 타측면을 폭넓게 차폐하는 플레이트 그리고 이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힌지축부로 구성되는 회동체와; 상기 돌출리브에 회전방향으로의 간극을 가지고 슬라이드 끼움되는 것으로 돌출리브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좌우차단벽과 이들을 연결하면서 그 외측면이 케이싱의 내주면에 접동되는 외측벽으로 구비되며, 좌우차단벽은 회전방향에 따라 다른 저항을 생성하기 위한 고저항 유체통로 및 저저항 유체통로가 각각 형성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밸브의 저저항 유체통로는 돌출리브에 형성된 메인 유체통로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는 홈으로 형성되고, 고저항 유체통로는 회전축부에 접하는 테두리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원형의 홈을 다수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회전축부는 돌출리브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에는 고저항 유체통로가 형성되는 차단벽의 일부가 삽입되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돌출리브에 인접되는 위치에 작동유체의 초기 유입량을 크게 하기 위한 체류 경사홈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 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오일댐퍼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오일댐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오일댐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로터리 오일댐퍼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비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오일댐퍼(1)는 일정 구간을 회전 개폐하는 회동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면서 개폐시점에 따라 각기 다른 저항을 갖는 댐핑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점성이 높은 작동유체가 충진되는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회동부재에 연결되는 회동체(20) 그리고 상기 회동체(20)에 회전방향에 따라 고저항과 저저항을 선택적으로 생성시키기 위한 제어밸브(30)로 구성된다.
케이싱(10)은 일측면은 막혀있고 타측면은 개방된 형태를 갖는 중공의 관형상을 갖는 사출물로 성형되는 부재로서, 개방된 일측면은 실링구조를 갖는 캡(15)이 조립되는 것에 의해 커버(bc)되어 밀봉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케이싱(10)은 그 내부에 점성이 높은 작동유체가 채워지며, 내주면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한쌍의 회전제한리브(11)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회전제한리브(11)는 180도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제공되며 케이싱(10)의 횡방향으로 전단하였을 때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회전제한리브(11)는 후술할 돌출리브(22) 및 이에 조립되는 제어밸브(30)의 회전 가능한 구간을 한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케이싱(10) 내부의 공간을 2개의 챔버(10a,10b)로 분할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챔버(10a,10b)에는 점도가 높은 작동유체가 70~90% 충진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싱(10)은 로터리 오일댐퍼(1)의 전체적인 외체를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 회동체(20)의 회전축부(21) 및 제어밸브(30)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회동체(20)는 상술한 케이싱(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부재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구비된다.
이러한 회동체(20)는 원판형태의 플레이트(23)를 구비하며, 이 플레이트(23)를 기준으로 일측으로는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축부(2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회동부재에 연결되어 외력을 받는 힌지축부(24)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회동체(20)의 회전축부(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180도 간격을 두고 돌출리브(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며, 이때의 상기 돌출리브(22)는 가운데 부분에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공 형태의 메인 유체통로(22a)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돌출리브(22)는 제어밸브(30)의 정역 회전시 그에 따른 상대 작용을 통해 고저항과 저저항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상술한 회전제한리브(11)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를 취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부(24)는 상술한 회전축부(21)와 플레이트(23)를 사이에 두고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구조이며, 상기 케이싱(10)의 개방된 타측면을 차폐시키는 캡(15)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즉,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부재인 커버(bc)에 축이음되어 힌지축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회동부재의 개폐시 직접적으로 외력을 받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체(20)에서 회전축부(21)는 돌출리브(22)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 측면에는 후술할 제어밸브(30)에서 고저항 유체통로(31a)가 형성되는 좌우차단벽(31,32)중 어느 하나의 차단벽의 일부가 삽입되어 구속되게 하는 조립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리브(22)의 다른 쪽 측면에는 돌출리브(22)에 인접되는 위치에 작동유체의 초기 유입량을 크게 하기 위한 체류 경사홈(21b)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류 경사홈(21b)의 전체적인 폭은 돌출리브(22)에 형성된 메인 유체통로(22a)를 기준으로 대략 50%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동체(20)는 힌지축부(24)에 가해지는 정역방향의 외력에 연동하여 회전축부(21)가 케이싱(10)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을 실시하게 된다.
제어밸브(30)는 상술한 회동체(20)의 회전축부(21)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리브(22)에 간극을 두고 슬라이드 끼움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시 고저항과 저저항을 선택적으로 생성시키는 부재로서 통상 사출성형에 의해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밸브(30)는 돌출리브(22)의 양측면에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밀접하게 접하는 좌차단벽(31)과 우차단벽(32)을 형성하고, 이들 좌차단벽(31)과 우차단벽(32)은 외측벽(3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술한 돌출리브(22)에 대응되는 형상인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며, 첨부된 도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체(20)의 돌출리브(22)에 끼워졌을 때 회전방향에 따라 어느 일측으로 간극(g)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좌차단벽(31)과 우차단벽(32)은 회전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저항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저항 유체통로(31a)와 저저항 유체통로(32a) 및 코너 유체통로(31b)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외측벽(33)은 케이싱(10)의 내주면에 접동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제어밸브(30)에서 상기 좌차단벽(31)과 우차단벽(32)은 서로 다른 저항을 생성하기 위한 고저항 유체통로(31a)와 코너 유체통로(31b) 및 저저항 유체통로(32a)가 각각 형성되며, 이때 상기 고저항 유체통로(31a)는 회전축부(21)에 접하는 테두리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원형의 홈을 다수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되며, 코너 유체통로(31b)는 상기 고저항 유테통로가 형성되는 차단벽의 양측 코너부를 절취한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저저항 유체통로(32a)는 상술한 돌출리브 (22)에 형성된 장공의 홈 즉, 메인 유체통로(22a)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도록 가운데 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부가 설명하면 회전방향으로 높은 저항을 발생시키는 고저항 유체통로(31a)는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차단벽이 형성되고, 회전 반대 방향으로 낮은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저항 유체통로(32a)는 큰 단면적을 갖도록 차단벽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어밸브(30)는 회동체(2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동체(20)의 돌출리브(22)와의 상대작용을 통해 고저항 또는 저저항의 댐핑력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게 되며, 이러한 고저항 및 저저항의 댐핑력은 결과적으로 회동체(20)의 힌지축부(24)에 연결된 회동부재의 회동 동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로터리 오일댐퍼(1)의 작용을 도 6에 나타낸 비데기의 커버(bc)에 장착된 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동부재인 커버(bc)가 닫히는 동작에서는 커버(bc)의 급격한 회동에 따른 비데기 본체(b)와의 접촉충격에 의한 파손 및 소음이 방지되어야 한다.
즉,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회동체(20)가 화살표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면, 상기 회동체(20)의 돌출리브(22)에 간극을 두고 끼움되어 있는 제어밸브(30)가 고점성의 작동유체에 의해 저항을 받아 밀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고저항 유체통로(31a)가 형성된 좌차단벽(31)이 대향하는 돌출리브(22)의 일측면에 밀접하게 접촉된 상태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작동유체는 고저항 유체통로(31a)와 코너 유체통로(31b)에 작용하여 돌출리브(22)의 메인 유체통로(22a)와 저저항 유체통로(32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흐름을 갖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저항 유체통로(31a)가 형성된 좌차단벽(31)은 돌출리브(22)의 일측면에 밀접하게 접촉된 상태이므로 작동유체의 흐름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밸브(30)를 통과하지 못한 작동유체의 압력 상승에 의해 대단히 큰 저항(댐핑력)이 생성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회동체(20)의 힌지축부(24)에 연결된 커버(bc)는 고저항의 댐핑력으로 인하여 닫힘 속도가 현저하게 늦추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회동체(20)의 회전축부(21)상에 방향성을 갖는 체류홈(21b)을 형성하는 구조에 의해, 회동부재인 커버(bc)가 닫힐 때 시작시에는 신속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하면서 커버(bc)가 완전히 닫히는 종료 시점에서는 회동 속도를 급격하게 늦추어 전체적으로 커버(bc)의 닫히는 회동속도를 높이면서 종료시점에서는 안정된 회동속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커버(bc)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회전축부가 도 4를 참조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각 챔버(10a,10b)내에 충진되어 있는 작동유체는 체류홈(21b)측으로 유동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류홈(21b)이 형성하는 공간에 의해 작동유체가 초반에는 많은 양이 유동되므로 회전축부(21)의 초기 회동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되며, 상기 체 류홈(21b)상에 작동유체가 완전하게 채워지면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회동속도를 급격하게 늦출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회동부재인 커버(bc)의 초기 회동속도를 높이고 닫히는 시점에서의 회동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회동부재인 커버(bc)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저항이 없어야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회동체(20)가 화살표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면, 상기 회동체(20)의 돌출리브(22)에 간극을 형성하고 끼움되어 있는 제어밸브(30)가 고점성의 작동유체에 의해 저항을 받아 밀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저저항 유체통로(32a)가 형성된 우차단벽(32)이 돌출리브(22)의 타측면에 밀접하게 접촉된 상태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저항의 유체통로가 형성된 좌차단벽(31)은 돌출리브(22)와 간극을 형성하여 작동유체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작동유체는 저저항 유체통로(32a)와 돌출리브(22)의 메인 유체통로(22a) 그리고 저저항 유체통로(32a)로 이어지는 유로를 따라 원활한 흐름을 갖게 된다.
따라서, 작동유체의 점성저항에 의한 감속작용 이외에는 다른 감속작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결과적으로 상기 회동체(20)의 힌지축부(24)에 연결된 커버(bc)는 저저항의 댐핑력으로 인하여 작은 조작력만으로 원활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로터리 오일댐퍼는 제어밸브의 좌우 차단벽에 형성되는 유체통로의 형태를 개선하는 간소한 구조를 통해 고효율의 댐핑력 생성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회동체의 돌출리브 일측에 형성된 체류 경사홈은 일정량의 작동유체가 체류될 수 있는 체류공간을 제공하므로 결과적으로 회동체의 회동시 초기 반응속도를 높일 수 있어 신속한 회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회동체가 회동 종료되는 시점에서는 체류구간에 정체된 작동유체의 양이 증가되어 높은 저항이 발생되는 것에 의해 회동속도를 급격하게 늦추게 된다. 따라서 회동체가 신속하고 안정되게 회동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과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일정 구간을 회전 개폐하는 회동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면서 댐핑력을 제공하는 로터리 오일댐퍼에 있어서,
    중공의 관형상으로 구비되어 개방된 일면은 캡에 의해 밀폐되고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는 것으로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한쌍의 회전제한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케이싱내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리브가 형성되며 이 돌출리브는 가운데 부분에 장공의 메인 유체통로가 형성되는 회전축부 및 이 회전축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케이싱의 타측면을 폭넓게 차폐하는 플레이트 그리고 이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힌지축부로 구성되는 회동체와;
    상기 돌출리브에 회전방향으로의 간극을 가지고 슬라이드 끼움되는 것으로 돌출리브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좌우차단벽과 이들을 연결하면서 그 외측면이 케이싱의 내주면에 접동되는 외측벽으로 구비되며, 좌우차단벽은 회전방향에 따라 다른 저항을 생성하기 위한 고저항 유체통로 및 저저항 유체통로가 각각 형성되는 제어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오일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의 저저항 유체통로는 돌출리브에 형성된 메 인 유체통로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는 홈으로 형성되고, 고저항 유체통로는 회전축부에 접하는 테두리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원형의 홈을 다수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고저항 유체통로가 형성되는 차다벽은 모서리 부분이 일부 절취되어 코너 유체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오일댐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돌출리브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에는 고저항 유체통로가 형성되는 차단벽의 일부가 삽입되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돌출리브에 인접되는 위치에 작동유체의 초기 유입량을 크게 하기 위한 체류 경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오일댐퍼.
KR2020050034511U 2005-12-07 2005-12-07 로터리 오일댐퍼 KR200409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511U KR200409352Y1 (ko) 2005-12-07 2005-12-07 로터리 오일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511U KR200409352Y1 (ko) 2005-12-07 2005-12-07 로터리 오일댐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960A Division KR20070059745A (ko) 2005-12-07 2005-12-07 로터리 오일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352Y1 true KR200409352Y1 (ko) 2006-02-22

Family

ID=4175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511U KR200409352Y1 (ko) 2005-12-07 2005-12-07 로터리 오일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35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302B1 (ko) 2006-07-31 2008-04-30 강재원 양변기 좌대의 힌지 결합구조
KR101046207B1 (ko) 2009-02-09 2011-07-04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홈바도어의 힌지장치
KR101345236B1 (ko) 2012-05-25 2013-12-27 (주) 프렉코 양변기용 오일댐퍼
KR101788199B1 (ko) * 2016-09-06 2017-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벨트가이드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302B1 (ko) 2006-07-31 2008-04-30 강재원 양변기 좌대의 힌지 결합구조
KR101046207B1 (ko) 2009-02-09 2011-07-04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홈바도어의 힌지장치
KR101345236B1 (ko) 2012-05-25 2013-12-27 (주) 프렉코 양변기용 오일댐퍼
KR101788199B1 (ko) * 2016-09-06 2017-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벨트가이드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2887B2 (ja) 回転ダンパ
KR100251044B1 (ko) 회전댐퍼및그댐퍼를이용한덮개개폐장치
JP5103471B2 (ja) 自動閉鎖式のドアその他特にガラスドアその他のための蝶番構造物および該構造物を備えた集成体
JP4048452B2 (ja) 緩衝装置
US11441632B2 (en) Rotary damper having simple self-standing mechanism
KR200409352Y1 (ko) 로터리 오일댐퍼
KR100915101B1 (ko) 로터리 댐퍼를 가진 힌지
US11072958B2 (en) Damper hinge and western-style toilet using the same
KR20070059745A (ko) 로터리 오일댐퍼
KR101054566B1 (ko) 회전식 오일댐퍼
KR101345236B1 (ko) 양변기용 오일댐퍼
EP1489334B1 (en) Rotary damper
JP4714083B2 (ja) 回転ダンパの弁機構
KR100431073B1 (ko) 도어 힌지
US20050252740A1 (en) Rotary damper
JP2021134869A (ja) ロータリーダンパ
WO2008147020A1 (en) Rotation type oil damper
CN203239824U (zh) 带有页片阀的摆动式缓冲器
JP6325387B2 (ja) 扉操作補助装置
KR200379321Y1 (ko) 배기구의 전동 댐퍼 구조
JP2020023996A (ja) ダンパーヒンジ
JP2906328B2 (ja) ダンパー機構
JP2894583B2 (ja) 可動弁の保護機構を備える高トルク用ダンパ
KR20090072628A (ko) 회전식 오일 댐퍼
KR101925484B1 (ko) 양변기용 회전식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