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176Y1 - A 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laying Structure using the Block - Google Patents

A 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laying Structure using the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176Y1
KR200409176Y1 KR2020050032620U KR20050032620U KR200409176Y1 KR 200409176 Y1 KR200409176 Y1 KR 200409176Y1 KR 2020050032620 U KR2020050032620 U KR 2020050032620U KR 20050032620 U KR20050032620 U KR 20050032620U KR 200409176 Y1 KR200409176 Y1 KR 200409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concrete
stone
prefabricated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62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택봉
Original Assignee
동아석재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석재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석재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2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17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17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옹벽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블록은 전면에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석재부와, 상기 석재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의 조적만으로 외부마감공사까지 끝마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nd its masonry structure, wherein the block includes a stone part including a decorative stone on the front surface, and a concrete part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stone part and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stone par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finish external finishing construction only by masonry of blocks.

또한 상기 콘크리트부는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측홈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록의 조적시, 수평배수로 또는 측배수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옹벽조적 후 발생하는 필연적 하자 중 하나인 백화현상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백화 저감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crete part is to delay the progress of baekhwa phenomenon or one of the inevitable defects that occur after the retaining wall masonry by forming a stepping step or by including a side groove so that the horizontal drainage or side drainage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can be presented.

옹벽용 블록, 석재부, 콘크리트부, 제 1 콘크리트부, 제 2 콘크리트부, 측홈, 상면, 하면, 상측단턱, 하측단턱, 수평배수로, 측배수로, 보강재 Retaining wall block, stone part, concrete part, first concrete part, second concrete part, side groove, upper surface, lower surface, upper step, lower step, horizontal drain, side drain, reinforcement

Description

조립식 옹벽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A 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laying Structure using the Block}A 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laying structure using the block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전체 사시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고안의 좌측면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평면도Figure 2a is a left side view of the subject innovation and Figure 2b is a plan view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 3a는 본 고안의 블록을 수직으로 조적시 수평배수로가 생성됨을 보여주는 본 고안의 조적상태 예시도 Figure 3a is an illustration of the masonry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the horizontal drainage is generated when th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도 3b는 본 고안의 블록을 수평으로 조적시 측배수로가 생성됨을 보여주는 본 고안의 조적상태 예시도Figure 3b is an illustration of the masonry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the side drainage channel is generated when th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rizontally tapped

도 4는 본 고안에 대한 조적상태 예시도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the masonry state for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옹벽용 블록 10 : 석재부  1: Retaining wall block 10: Stone part

30 : 콘크리트부 31 : 제 1 콘크리트부 30 concrete part 31 first concrete part

33 : 제 2 콘크리트부 331 : 측홈 33: second concrete part 331: side groove

332 : 상면 333 : 하면332: upper surface 333: lower surface

334 : 배면 335 : 측면334 back: 335 side

110 : 상측단턱 130 : 하측단턱110: upper step 130: lower step

50 : 수평배수로 70 : 측배수로 50: horizontal drainage channel 70: side drainage channel

90 : 보강재  90: reinforcement

본 고안은 조립식 옹벽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블록은 전면에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석재부와, 상기 석재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의 조적만으로 외부마감공사까지 끝마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콘크리트부는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측홈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록의 조적시, 수평배수로 및 측배수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옹벽 조적 후 발생하는 필연적 하자 중 하나인 백화현상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백화 저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nd its masonry structure, wherein the block includes a stone part including a decorative stone on the front surface, and a concrete part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stone part and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stone part. It is possible to finish the external finishing work only by the masonry of the block, and also the concrete part may have a stepped groove or a side groove included to form a horizontal drainage channel and a side drainage channel during the masonry of the blo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delaying the progress of whitening or suggesting a reduction plan for whitening and its masonry structure.

통상적으로 옹벽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토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벽체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산악지는 물론 토지 가격이 높은 지역 등에서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많이 이용한다. 즉, 흙을 쌓아 올리거나 산을 깎아 내거나 해안을 메울 때 등에 사용하는데, 토사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제방, 도로측벽, 아파트 단지조성, 사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리고 수로공사 등에 콘크리트로 된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최근에는 옹벽 축조시 석재블록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석재블록은 전면에 천연석 또는 인조석을 판재형상으로 가공한 석재판과 그 뒷면에 콘크리트를 타 설하여 양생된 콘크리트부로 구성된다.In general, the retaining wall refers to a wall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collapse of soil by resisting soil pressure, and is commonly used for efficient use of land in mountainous lands and high land prices. In other words, it is used to pile up soil, cut down mountains, or fill up the coast.In order to prevent the collapse of earth and sa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embankments, road side walls, apartment complexes, construction to ensure slope safety, bridge shift wing wall construction, and waterway construction. It was common to build retaining walls using blocks made of concrete on the back, and recently, many stone blocks ar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s, and the stone blocks are made of natural stone or artificial stone in the shape of plate in front and concrete in the back. It is composed of concrete parts cured by pouring.

그러나, 상기 석재블록 또는 통상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게 되면, 옹벽 축조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석재 블록 및 통상의 콘크리트 블록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경우, 석회석 돌가루에 열을 가하여 첨가물(석고외)을 약간 가미하여 시멘트를 만들어 내며, 상기 시멘트에 물과 모래와 자갈을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만들어내게 되므로, 상기 콘크리트에 석회석이 포함됨으로써 또는 기타의 원인으로 상기 옹벽 축조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면 구조물의 미관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백화현상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using the stone block or the conventional concrete block, many problems may occur when a considerable time has elapsed after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concrete used in the stone block and the conventional concrete block, Heat is applied to the limestone stone to add cement (outside the plaster) to make cement, and the cement is mixed with water, sand, and gravel to form concrete, and thus the limestone is included in the concrete or other causes. After a considerable time has elapsed after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 whitening phenomenon that inevitably lowers the aesthetics of the structure will inevitably occur.

특히 석재 블록으로 축조된 옹벽은 그 전면에 석재가 많이 관찰되게 되므로 미관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업계에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나, 상기 석재블록은 석재판 뒤에 타설된 콘크리트로 인해 백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축조된 옹벽의 미관이 훼손되는 문제점들이 생기게 된다. In particular,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of stone blocks has a merit of being excellent in appearance because a lot of stone is observ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which is widely used in the industry, but the stone blocks cause whitening phenomenon due to the concrete placed behind the stone plat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auty of the built retaining wall is damaged.

상기 백화현상은 다양한 원인과 유발인자에 의해 일어나게 되는데 특히 옹벽블록의 경우에는 옹벽 뒷단에 위치된 토사측으로부터 흘러드는 수분이 축조된 석재블록의 접합면으로 침투하여 콘크리트와 화학반응을 한 뒤 생성된 염들이 배출되지 못하고 석재판의 전면측으로 흘러나와서 석재판의 전면을 더럽히게 되며 이것이 가장 흔한 백화현상 발생의 경우라고 할 수 있다. The bleaching phenomenon is caused by various causes and factor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water flowing from the soil sid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retaining wall penetrates to the joint surface of the constructed stone block, and is produced after chemical reaction with concrete. Salt does not escape and flows to the front side of the stone plate, which pollutes the front of the stone plate, which is the most common case of whitening.

따라서 전면에 석재가 다량으로 관찰되어 미관이 수려하다는 이유로 다소 값이 비싸더라도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석재와 콘크리트가 결합된 석재 블록의 경 우에도 옹벽 축조후 상당 시간 경과시 상기 백화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결국에는 통상의 콘크리트 블록과 마찬가지로 또는 그 이상으로, 축조된 옹벽의 미관이 저하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Therefore, even if the price is a little expensive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stone observed on the front and the beautiful appearance, the whitening phenomenon occurs after a long time after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even in the case of the stone block which is used in combination with stone and concrete. Like or more than a conventional concrete block, the result is a decrease in the appearance of the built retaining wall.

상기 백화현상은 균열, 누수, 파열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하자의 일종이며 특히 콘크리트 중성화의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콘크리트 중성화란 완성된 옹벽 기타 구조물의 외관 및 수명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중요한 문제점이다. The bleaching phenomenon is a kind of defects in concrete structures such as cracks, leaks, ruptures, and the like,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roblem of concrete neutralization. Concrete neutralization is an important problem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appearance and lifespan of the completed retaining wall and other structures.

종래의 개념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반영구적이고 내구년수도 60~65년 정도로 길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에 이르러 산업발전에 따른 환경 오염, 지표상 탄산가스 농도 증가, 산성 강우로 인한 콘크리트의 열화 가속, 그리고 골재의 고갈에 따른 해사(海沙) 사용 등의 요인에 의해 그 수명이 실제로 얼마 되지 않는다는 것이 외국의 연구 발표 등에서 많이 지적되고 있고, 최근 일본의 실측 예로서는 16~17년 경과시 콘크리트의 중성화가 20mm 깊이까지 진행되는 정도라고 한다.In the conventional concept, the concrete structure is considered to be semi-permanent and its longevity is about 60 ~ 65 years, but recently,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industrial development, the increase of surfa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e acceleration of concrete deterioration due to acid rain, and the aggregate It is pointed out in foreign studies that the lifespan is actually shortened by factors such as the use of seaweed due to depletion. In recent years, the actual example of Japan is the neutralization of concrete to 20mm depth after 16-17 years. It is said to be enough.

상기 콘크리트 중성화의 문제점, 특히 백화현상의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서는 상기 백화현상의 발생원인을 알아낼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먼저 콘크리트의 화학적 성질 및 구성 성분을 알아볼 필요가 있는데 하기에서는 먼저 백화현상의 의의를 살펴보고 상기 백화현상의 발생원인 및 원인유발인자 등을 검토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crete neutralization,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the bleaching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bleaching phenomen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rst find out the chemical properties and components of the concrete. Examine the cause and cause of the bleaching phenomenon.

경화된 콘크리트의 경우 수화 생성물인 수산화 칼슘(Ca(OH)2)에 의해 강한 알카리성을 나타내며 상기 콘크리트가 대기중의 탄산가스에 의해 탄산화되거나 산 성비등에 의해 알카리성이 중화소실되거나 물에 씻겨 알카리성을 잃게 되면 하기와 같은 과정을 밟게 된다.In the case of hardened concrete, it shows strong alkalinity by calcium hydroxide (Ca (OH) 2 ), which is a hydration product, so that the concrete is carbonated by carbonic acid gas in the atmosphere or alkaline neutralized due to acid rain or washed by water to lose alkalinity. When the process is as follows.

[화학반응식][Chemical Reaction Formula]

CaO + H2O = Ca(OH)2 → Ca(OH)2 + CO2 = CaCO3 + H2O CaO + H 2 O = Ca (OH) 2 → Ca (OH) 2 + CO 2 = CaCO 3 + H 2 O

생석회 + 물 = 소석회 → 소석회 + 이산화탄소 = 탄산칼슘 + 물Quicklime + water = slaked lime → slaked lime + carbon dioxide = calcium carbonate + water

[발생과정][Occurrence process]

Figure 112005066340389-utm00001
Figure 112005066340389-utm00001

즉, 시멘트 중의 가용성분인 생석회가 물에 용해되어 소석회가 되고 알카리성인 소석회가 다시 대기중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백색의 불용성염인 탄산칼슘이 되는데 상기 백색의 불용성염을 백화라고 하며 상기 백화로 인해 조적된 구조물의 미관이 현저히 저하되는 현상을 백화현상이라 한다.That is, quicklime, a soluble component in cement, is dissolved in water to form hydrated lime, and alkaline hydrated lime reacts with carbon dioxide in the air again to become calcium carbonate, a white insoluble salt. The white insoluble salt is called whitening. The phenomenon in which the aesthetics of the assembled structure is significantly lowered is called baekhwa phenomenon.

상기 백화현상의 발생과정은 상기의 경우 외에도 매우 많으며 아주 복잡 다 양하나 한마디로 정리하면 바닷물에서 소금이 만들어지는 것처럼 물에 용해된 염들이 표면으로 이동하여 수분은 증발하고 염들이 표면에 석출되는 것이며, 백화현상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물에 용해될 수 있는 염들이 존재해야하고, 물에 녹아 있는 염들이 마감 표면으로 이동하여 수분은 증발하고 석출된 염들이 표면에 누적되어야 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The occurrence of the bleaching phenomenon is very many and very complicated in addition to the above cases, but in one word, salts dissolved in water move to the surface, and water evaporates and salts precipitate on the surface, as salt is made in seawater. In order for bleaching to occur, salts that can be dissolved in water must be present, and salts dissolved in water must move to the finish surface, water must evaporate and precipitated salts must be accumulated on the surface.

상기 염으로서 가장 흔한 것이 나트륨(Na), 칼슘(Ca), 칼륨(K),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등의 황산염이나 탄산염들이고 상기 염이 포함된 염화물은 주로 몰탈을 빨리 굳히기 위해 사용된 염화칼슘, 해사(海沙), 해수에 오염된 용수 등에 존재하게 된다.The most common salts are sulfates or carbonates such as sodium (Na), calcium (Ca), potassium (K), magnesium (Mg) and aluminum (Al), and the chlorides containing these salts are mainly used for fastening mortar. Calcium chloride, sea sand, seawater contaminated water.

또한 상기 백화발생의 주요 요인들을 살펴보면 몰탈, 시멘트, 석회, 모래, 혼화제, 염화칼슘, 고인물, 대기, 온도, 습도, 그리고 그늘 등을 들 수 있는데 백화현상의 진행 지연 또는 백화 저감방안을 찾기 위해서는 상기 요인들을 보다 상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는바, 이를 알아보기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factors of the occurrence of bleaching include mortar, cement, lime, sand, admixtures, calcium chloride, decay, atmosphere, temperature, humidity, shade, etc. In order to find out how to delay the progress of bleaching or reduce the bleaching You need to look at them in more detail, let's find out.

상기 몰탈의 경우, 백화발생의 주원인이라 할 수 있는데 상기 몰탈의 기본 성분인 시멘트와 석회, 모래, 기타 외부에서 유입되는 염들에 의해 백화가 발생하고 상기 현상은 단순한 메카니즘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지만 신축되는 모든 공정에서 종종 발생되는 일반적인 현상인바 이를 신축백화라 부르기도 한다.In the case of the mortar, it can be said that the main cause of the whitening occurrence is that the whitening is caused by the cement, lime, sand, and other salts coming from the basic components of the mortar and the phenomenon does not proceed as a simple mechanism, but all the new A common phenomenon that often occurs in the process is called stretch whitening.

상기 시멘트의 경우, 몰탈에 흔히 있는 염성분은 나트륨염과 칼륨염으로, 포트랜드시멘트의 경우 염성분이 시멘트 무게비의 0.02%~0.9%에 해당하고 몰탈 전용 시멘트의 경우에는 시멘트 무게비의 0.03%~0.27%에 해당되며, 또한 80년대 이후의 제품에는 에너지를 절약차원에서 제조 공정중에 황산염성분을 가해 상기 황산염성분도 백화를 발생시키는 염으로 점점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In the case of cement, the salt components commonly found in mortar are sodium salts and potassium salts. In case of Portland cement, salt components correspond to 0.02% to 0.9% of the cement weight ratio, and in the case of mortar-only cement, 0.03% to 0.27% of the cement weight ratio. In addition, since the 80's and later products, the sulfate component is added to the sulfat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order to save energy.

상기 석회의 경우, 일반적으로 몰탈에 추가되는 석회, 점토, 모래는 시멘트의 높은 알카리를 희석시키는 첨가제로 직접 백화를 발생시키지는 않지만 석회는 물에 잘 용해되어 벽돌 내부에서 형성된 황산 성분을 중화시켜 불용성 염으로 되고 염산을 함유한 세척제와 접촉하면 물에 잘 용해되는 염화칼슘을 형성하고 수분 침투를 증가시키므로 백화발생에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In the case of lime, lime, clay, and sand, which are usually added to mortar, do not directly whiten with additives that dilute the high alkali in cement, but lime is well soluble in water to neutralize the sulfuric acid formed inside the bricks to insoluble salts. When it comes in contact with a cleaning agent containing hydrochloric acid, calcium chloride is soluble in water, and water penetration increases.

상기 모래의 경우, 몰탈에 첨가되는 모래는 주로 실리카 성분으로 물에 녹지 않지만 모래에 섞여 있는 불순물들이 백화를 발생시키며 상기 불순물들은 주로 해수나 오수, 폐수 등에서 유입되며 상기 불순물들이 물에 녹아 백화가 발생된다.In the case of the sand, the sand added to the mortar is mainly a silica component, which is insoluble in water, but impurities mixed in the sand generate whitening, and the impurities are mainly introduced from seawater, sewage, and wastewater, and the impurities are dissolved in water to generate whitening. do.

상기 혼화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분산제, 보조제, 발수제, 습윤제, 경화제로 구성된 이들 혼화제를 몰탈에 잘 혼합하면 몰탈의 유동성, 보습성, 강도는 향상되지만 결합력이 저하되어 외부의 물기 침투가 보다 쉽게 이뤄지므로 백화가 발생된다.In the case of the admixture, generally, when the admixture composed of a dispersing agent, an adjuvant, a water repellent, a wetting agent, and a curing agent is well mixed with the mortar, the flowability, moisturizing property, and strength of the mortar are improved, but the bonding force is lowered, so that external water penetration is more easily achieved. Whitening occurs.

상기 염화칼슘의 경우, 몰탈을 빨리 굳히기 위해 포틀랜드 시멘트의 2% 이내로 혹은 몰탈용 시멘트의 1% 이내로 염화칼슘을 사용하는데 이 정도의 함량으로는 백화가 발생되지 않지만 많은 양의 염화칼슘을 사용하면 백화가 발생된다.In the case of calc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is used within 2% of Portland cement or within 1% of mortar cement to harden mortar quickly, but whitening does not occur with this amount, but whitening occurs when a large amount of calcium chloride is used. .

상기 고인물의 경우, 흙속에는 물에 용해될 수 있는 많은 종류의 염들이 있으며 이 염들은 지표면의 고인물에 용해된 후 석재가 지표면에 접촉될 때 삼투압에 의해 석재 내부로 흡수되고 높이 90~120cm 까지 흡수된 물기는 석재표면에서 증발 하고 염들이 남아 백화가 발생된다.In the case of the deceased, there are many kinds of salts that can be dissolved in water in the soil, and these salts are dissolved in the deceaseds on the ground and then absorbed into the stone by osmotic pressure when the stones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re absorbed up to 90-120 cm in height. Drained water evaporates from the stone surface and salts remain to whiten.

상기 대기의 경우, 대기중의 아황산가스나 질소가스는 벽돌이나 몰탈을 부식시키는 오염원으로 점차 그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 atmosphere, sulfurous acid gas and nitrogen gas in the atmosphere are gradually increasing in severity as a pollutant that corrodes bricks and mortar.

상기 온도의 경우, 저온에서는 시멘트의 수화반응이 지연되어 고결이 늦어지므로 이로 인한 모세관 충진이 불량하여 수분의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미반응 시멘트 성분중 소석회의 공급이 많아지게 되므로 백화 발생이 많아진다.In the case of the above temperature, the hydration reaction of the cement is delayed at a low temperature, so that the solidification is delayed, so that the capillary filling is poor, thereby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water, and thus, the supply of slaked lime in the unreacted cement component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whitening.

상기 습도의 경우, 우기와 같이 습도가 높은 경우에 시멘트의 수화반응이 늦어지게 되어 백화가 발생 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humidity, when the humidity is high, such as the rainy season, the hydration reaction of the cement may be delayed and whitening may occur.

상기 그늘의 경우, 햇빛이 많이 비치는 면에서는 백화 발생이 비교적 적고 음지에서는 비교적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내부와 표면의 온도차에 따라 조직이 불균형해지고 공극이 커지기 때문이다.In the case of the shade, there is a tendency that whitening is relatively less in terms of sunlight and relatively more in the shade, because the tissue is unbalanced and the voids are larg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surface.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백화현상은 옹벽 시공시 사용재료 및 자연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현재의 기술 및 재료로는 완벽한 대책은 없다고 할 수 있으나 시공시 자재의 관리 및 작업여건의 개선을 통해 백화 발생을 최소화시키거나 백화 발생시기를 지연시키는 일은 가능하므로 이를 살펴본다.As described above, the whitening phenomenon is caused by the materials and natural factor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no perfect measures with the current technology and materials, but the whitening occurs through the management of the materials during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This can be minimized or delayed when whitening occurs.

먼저 시멘트의 과다한 사용을 막기 위해 몰탈 배합비 확인을 통한 과다한 시멘트의 함유를 배제하거나 모래의 염화물 함유량 확인을 통하여 염화물에 의한 백화의 요인을 배제시키는 방법, 몰탈에 아크릴계 방수제를 첨가하여 시멘트성분의 유출을 방지하거나 강우 또는 습도가 높은 날 작업을 중지하는 방법, 양생시 빗물 등 수분 노출에 의한 백화발생 요인을 최대한 배제하거나 몰탈 접착부와 줄눈부의 물 또는 공기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치밀히 채우는 방법, 마감면의 평면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일정한 배수구배를 주거나 몰탈의 초기강도 향상을 위해 반드시 양생 조치를 하는 방법, 지하수나 수돗물을 용수로 사용하여 용수에 의한 염화물의 유입을 배제하거나 시공 후 줄눈부에 유성발수제를 도포하여 몰탈에 습기의 접근을 막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First, to prevent excessive use of cement, it is necessary to exclude excess cement by checking the mortar mix ratio or to eliminate the factor of whitening due to chloride by checking the chloride content of sand.Addition of acrylic waterproofing agent to mortar prevents the leakage of cement components. How to prevent or stop work on rainy or high humidity days, to prevent bleeding caused by exposure to moisture such as rainwater during curing, or to close the gap to prevent water or air contact between the mortar and joints. Method, give a constant drainage gradient to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on the flat surface of the finish surface, or make sure to take curing measures to improve the initial strength of mortar, and use ground water or tap water as water to exclude chlorides from water, or after construction Moisture on mortar by applying oil-based water repellent to eyes This way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such access.

통상적으로 시공현장에서는 콘크리트 다짐시 다짐을 충분히하여 밀실한 콘크리트를 시공하거나 몰탈에 적합한 방수제를 사용함으로써 백화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가 많으며, 콘크리트 구조물 완공 후에는 외부로부터 습기나 물의 침입을 막거나 해수 또는 해풍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는 실외부재에 방수성 마감을 하는 방법 등이 동원되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그 실시가 상당히 번거롭고, 또한 비용면에 있어서도 불리한 점이 다수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어왔으며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책을 제시한 옹벽용 블록은 전혀 없다고 할 것이다. In general, construction sites often have enough compaction when compacting concrete to prevent dense phenomena by constructing dense concrete or by using a waterproofing agent suitable for mortar.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it prevents intrusion of moisture or water from the outside or seawater. Or in the area affected by the sea breeze is a method of applying a waterproof finish to the outdoor member, but such a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implementation is quite cumbersome, and there are a number of disadvantages in terms of cost. There is no retaining wall block that provides a solution to this problem.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이 전혀 해결하지 못한 상기 백화현상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백화 저감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옹벽용 블록 및 조적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기 수평배수로 내지 측배수로를 채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백화현상을 유발하는 염을 위 배수로를 통해 배출하도록 하여 석재부상에 나타나는 상기 백화현상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백화 저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provide a retaining wall block and an masonry structure capable of delaying the progress of the whitening phenomenon or suggesting a method for reducing whitening, which the prior art has not solved at all,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nd its masonry which can delay the progress of the whitening phenomenon appearing on the stone part by suggesting the side drainage channel in the form of channel to discharge the salt causing the whitening through the upper drainage channel To provide a structure.

본 고안은 앞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용 블록은, 전면에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석재부와, 상기 석재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의 조적만으로 외부마감공사까지 끝마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ne part including a decorative stone on the front surface, and a concrete part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stone part and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tone par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finish the external finishing construction only by masonry of the block.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용 블록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부는 제 1 콘크리트부와 제 2 콘크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콘크리트부는 직육면체형상으로 상기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며;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crete portion includes a first concrete portion and a second concrete portion, the first concrete portion is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tone part;

상기 제 2 콘크리트부는 상면, 하면, 배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은 상기 제 1 콘크리트부의 상단 일측에서 일정 높이를 가진 상측단턱을 형성하고 수평으로 연장되며;The second concrete part includes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nd the upper surface forms an upper step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crete portion and extends horizontally;

상기 하면은 상기 제 1 콘크리트부의 하단 일측에서 수평으로 일정 길이만큼 진행한 뒤 일정 높이를 가지는 하측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끝단까지 수평으로 연장되고;The bottom surface is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first concrete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a lower step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extends horizontally to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상기 배면은 상기 상면과 하면의 끝단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양측면은 상기 상면, 하면 및 배면에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surface interconnects the ends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용 블록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크리트부는 일단이 상기 제 2 콘크리트부의 상면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콘크리트부의 하측 단부에서 상기 하측단턱까지의 부분 과 연통되며, 양측면의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 대칭으로 형성된 측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concrete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crete portion, the other end is the first concret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ide groove in communication with the portion from the lower end to the lower step, and formed symmetrically throughout the longitudinal length of both sides.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용 블록의 조적구조는, 제 2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조립식 옹벽용 블록을 상하로 조적함으로써 상기 블록의 조적시 횡방향을 가로지르는 수평배수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onry structure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of any one of the second embodiment to the third embodiment is erected up and dow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drainage channel is formed to cross the transverse direction.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용 블록의 조적구조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옹벽용 블록을 좌우로 조적함으로써 상기 블록의 조적시 종방향을 가로지르는 측배수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onry structure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side which cross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ring the masonry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by aligning left and r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path is formed.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용 블록의 조적구조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옹벽용 블록의 측면이 인접하도록 상기 블록을 배치시켜 좌우로 조적하여 1열을 형성하고, 조적된 1열 위에 보강재를 설치한 후 다시 상기블록을 좌우로 조적하여 2열을 형성하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블록을 계속 조적함으로써 조적시 상하좌우를 가로지르는 측배수로 및 수평배수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onry structure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fth embodiment, arranges the block so that the side surfaces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ligns the left and right rows After forming the reinforcing material on the first row of the masonry to form the second row again to the block to the left and right again to form the second column, the lateral drainage to cross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when the masonry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path is formed.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Applicants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조립식 옹벽용 블록(1)은 옹벽의 조적 완료 후 별다른 외부마감공사 없이도 블록의 조적 자체만으로 외부마감공 사까지 마칠 수 있도록 하는 석재부(10)와, 상기 석재부(10)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석재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부(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1)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stone part 10 to finish up to the external finishing work only by the masonry itself of the block without any external finishing work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a concrete part 30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tone part 10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one part 10.

상기 석재부(10)는 화강암 기타 석재를 소정 두께의 판재로 가공한 뒤 다수의 판재를 상호 엇갈리게 하여 하기 콘크리트부(30)에 부착한 것으로 상기 블록(1) 조적시 석재에 의하여 옹벽이 조적된 느낌이 들 수 있도록 상기 블록(1)의 전면에 배치된다.The stone part 10 is a granite or other stone is processed into a plat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n a plurality of plates alternately attached to the concrete portion 30 to be attached to the concrete portion 30 when the retaining wall is stacked by the stone when the block (1) It is arranged in front of the block 1 so that a feeling can be felt.

상기 콘크리트부(30)는 상기 석재부(10)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데, 먼저 거푸집 등의 형틀을 준비하고, 상기 형틀의 저면에 상기 석재부(10)를 배치하며, 상기 콘크리트부(30)를 구성하는 콘크리트간의 부착강도를 높여주기 위한 철근 등을 설치한 후, 상기 형틀에 콘크리트를 부움으로써 상기 석재부(10)의 후면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The concrete part 30 is produced integrally with the stone part 10, first prepare a mold, such as formwork, arrange the stone part 10 on the bottom of the mold, and the concrete part 30 After installing reinforcing bars to increase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constituent concrete, it is formed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tone portion 10 by pouring concrete in the mold.

이 경우 녹이 스는 문제점, 부착강도 저하의 문제점, 그리고 수축 및 팽창 반복시 콘크리트 밖으로 철근이 튀어나오는 문제점 등이 없도록 양질의 철근을 사용하도록 하고, 콘크리트공사시 산의 첨가로 인해 철근이 녹이 슬거나 알카리의 첨가로 인해 철근이 부식되는 문제점이 없도록 깨끗한 용수를 사용하며 상기 용수를 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염분 0.0005이하, 그밖의 산 또는 알카리성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중성수를 쓰도록 한다.In this case, use high-quality reinforcing bars to prevent rust, poor adhesion strength, and rebar sticking out of concrete during repeated shrinkage and expansion. Clean water is used so that the rebar is not corroded due to the addition of, and if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water, salt water of 0.0005 or less and neutral water containing no acid or alkaline substance should be used.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콘크리트부(30)가 제 1콘크리트부(31)와 제 2콘크리트부(33)를 포함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는 바,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콘크리트부(31)는 상기 석재부(10)의 후면에 부착되며 그와 동일한 폭과 높이 를 가지고 소정의 길이(L1)를 포함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생성된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concrete part 30 includes the first concrete part 31 and the second concrete part 33 can be considered. Referring to FIG. 2A, the first concrete part 31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tone part 10 and has the same width and height and is produced by pouring concrete mortar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cluding a predetermined length (L1).

상기 제 2콘크리트부(33)는 상기 제 1콘크리트부(31)의 상단 일측에서 하측으로 소정의 높이(H1)를 가지는 상측단턱(110)을 형성하고 다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면(332)과, 상기 제 1콘크리트부(31)의 하단 일측에서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L2)만큼 연장되다가, 다시 상기 상측단턱(110)의 높이(H1)와 동일한 높이(H2)를 가지는 하측단턱(130)을 형성한 후, 상기 상면의 끝단까지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면(333)과, 상기 상면(332)과 상기 하면(333)의 끝단을 상호 연결하는 배면(334)과, 상기 상면(332), 상기 하면(333) 및 상기 배면(334)에 이어지는 양 측면(335)를 가진 입체적 형상을 취하고 있다.The second concrete portion 33 forms an upper end step 1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H1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crete portion 31 and extends horizontally again, and Whil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first concrete portion 31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length (L2), the lower step 130 having the same height (H2) of the height (H1) of the upper step (110) again After forming, the lower surface 333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the rear surface 334 interconnecting the upper surface 332 and the end of the lower surface 333, the upper surface 332, the lower surface It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333 and both side surfaces 335 leading to the back surface 334.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콘크리트부(33)의 상기 상측단턱(110)의 높이(H1)가 상기 하측단턱(130)의 높이(H2)와 동일해야 하는데, 이는 상기 블록(1)의 상하 조적시 상측 블록과 하측 블록이 상호 끼워맞춤 되도록 하여 견고한 결합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3A, the height H1 of the upper step 110 of the second concrete part 33 should be the same as the height H2 of the lower step 130. The upper and lower blocks are fitted to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bundling to ensure a firm coupling.

또한 상기 상측단턱(110)은 상기 블록(1)내에 폭우 기타 다량의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조적된 옹벽 등의 전면으로 상기 수분이 넘쳐흐르는 Overflow현상을 막는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tep 110 may also perform a function to prevent the overflow phenomenon that the water overflow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such as when the heavy rain or a large amount of water flows into the block (1).

한편 상기 하측단턱(130)이 상기 제 1 콘크리트부(31)로부터 소정의 길이(L2)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블록(1)의 상하 조적시, 하기 수평배수로(50)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bottom step 130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crete part 31 by a predetermined length L2. The reason for the vertical drainage of the block 1 is as follows. To be formed.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 2콘크리트부(33)는 상기 양 측면(335)에 형성된 측홈(331)을 추가로 가질 수도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crete portion 33 may further have side grooves 331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335.

상기 측홈(331)은 일단이 상기 제 2 콘크리트부(33)의 상면(332)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콘크리트부(31)의 하측 단부에서 상기 하측단턱(130)까지의 부분과 연통되며, 양측면의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 대칭으로 형성된다.One end of the side groove 331 communicates with the upper surface 332 of the second concrete portion 33,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a portion from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rst concrete portion 31 to the lower stepped portion 130. And are formed symmetrically throughout the longitudinal length of both sides.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측홈(331)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단턱(110)의 시점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수직으로 하측으로 절삭되어 그 일단이 상기 제 1 콘크리트부(31)의 하측 단부에서 상기 하측단턱(130)까지의 부분과 연통된다.Referring to FIG. 2B, the side groove 331 is preferably vertically cut downward with a predetermined width at the time of the upper step 110 so that one end thereof is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crete part 31.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ortion up to the lower step 130.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측홈(331)은 좌우로 조적된 상기 블록(1) 사이에서 하기할 측배수로(70)가 형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결국 상기 블록(1)의 상하좌우 조적시 수개의 상기 수평배수로(50) 및 측배수로(70)가 형성되어 이들 측배수로(70)와 수평배수로(50)는 전체적으로 배수 채널을 형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3B, the side groove 331 performs a function of forming a side drainage channel 70 to be formed between the blocks 1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Several horizontal drainage passages 50 and side drainage passages 70 are formed so that these side drainage passages 70 and horizontal drainage passages 50 form a drainage channel as a whole.

상기 상측단턱(110), 하측단턱(130) 및 측홈(331)을 포함하도록 하는 상기 블록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상하측단턱 및 측홈(331)을 포함하는 거푸집 형틀을 준비하고, 상기 석재부(10)를 저면에 배치하며, 상기 콘크리트부(30)를 구성하는 콘크리트간의 부착강도를 높여주기 위한 철근 등을 설치한 후, 상기 형틀에 콘크리트를 부움으로써 일체형으로 제작한다.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block including the upper step 110, the lower step 130 and the side groove 331, as described above, first prepare a formwork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step and side grooves 331. Then, the stone part 1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fter installing reinforcing bars for increasing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concrete constituting the concrete part 30, and t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mold is produced integrally.

이 경우에도 녹이 스는 문제점, 부착강도 저하의 문제점, 그리고 수축 및 팽창 반복시 콘크리트 밖으로 철근이 튀어나오는 문제점 등이 없도록 앞서 살핀 바와 마찬가지로 양질의 철근 및 깨끗한 용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se high-quality reinforcing bars and clean water as in the above-mentioned salvage so that there is no problem of rust, deterioration in adhesion strength, and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out of concrete during repeated contraction and expansion.

이제 상기 블록(1)을 조적하는 조적방법을 살펴보고, 상기 조적방법에 따른 옹벽 축조시 형성되는 수평배수로(50) 및 측배수로(70)의 내용을 검토하기로 하겠다.Now look at the masonry method of masonry the block (1), and will review the contents of the horizontal drainage channel 50 and the side drainage channel 70 formed when the retaining wall is built according to the masonry method.

먼저, 도 2a 및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블록(1)을 상하로 조적하는 경우 옹벽이 축조될 토양 위에 상기 블록(1)을 위치시킨 후, 위치된 상기 블록(1) 위에 석재부(10), 제 1콘크리트부(31), 그리고 제 2콘크리트부(33)들이 정확히 일치되도록 다른 블록(1)을 올려놓는다. First, referring to FIGS. 2A and 3A, when the block 1 is piled up and down, the block 1 is placed on the soil on which the retaining wall is to be constructed, and then the stone part 10 is placed on the block 1. ), The first concrete portion 31, and the second concrete portion 33 is placed on the other block (1) to match exactly.

이 경우 하부 블록(1)의 상측단턱(110)의 생성위치와 상부 블록(1)의 하측단턱(130)의 생성위치 사이에 소정의 길이(L2)가 포함되므로 조적시 상하의 블록간에는 수평배수로(50)가 형성되게 된다. 같은 방법으로 계속해서 상기 블록(1)을 상하로 조적해 나갈 경우, 상기 수평배수로(50)는 조적된 상하 블록(1)들 간에 일정 간격 및 같은 크기로 형성되게 된다.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length L2 is included between the position at which the upper step 110 of the lower block 1 is formed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lower step 130 of the upper block 1 is included. 50) is formed. When the block 1 is continuously stacked up and down in the same manner, the horizontal drainage passage 5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ame size between the stacked upper and lower blocks 1.

또한 조적시 상하부의 블록(1) 사이에는 조적된 옹벽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90)를 설치하며 상기 보강재(90)는 망체 형상의 그리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reinforcement 90 to prevent the flow of the retaining wal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1) during the bundling, and the stiffener 9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mesh-shaped grid.

다음으로, 도 2b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블록(1)을 좌우로 조적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블록(1)의 측면이 일치되도록 상기 블록(1)들을 위치시키면 되며, 이 경우 좌우로 위치된 상기 블록(1)들의 제 2 콘크리트부(33)의 상기 측홈(331)들에 의해 측배수로(70)가 생성되게 되고, 상기 측배수로(70)는 조적된 옹벽내에서 일정 간격 및 같은 크기로 형성되게 된다. Next, referring to FIGS. 2B and 3B, when the block 1 is laterally assembled, the blocks 1 may be positioned so that side surfaces of adjacent blocks 1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side drainage channel 70 is generated by the side grooves 331 of the second concrete part 33 of the blocks 1, and the side drainage channel 70 is the same size a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retained wall. Will be formed.

상기 블록(1)의 상하좌우 조적방법을 이용하여 옹벽을 조적한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배수로(50) 및 상기 측배수로(70) 다수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배수 채널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retaining the wall by using the up, down, left, and right masonry method of the block (1), referring to FIG. 4, it is understood that a plurality of horizontal drainage passages 50 and the side drainage passages 70 are constantly formed to form drainage channels. Can be.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조적하거나 산석을 시공하는 석공사를 습식공법으로 진행하는 경우, 조적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면 블록의 표면이나 완성된 구조물의 표면 등에 콘크리트 내부의 석회가 녹아 흘러나오면서 외벽을 얼룩지게 하는 백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백화현상을 완벽히 방지하는 방법은 현행 건축재료나 시공방법으로는 존재치 않는다고 할 것이나, 본 고안의 블록(1)을 이용하여 상기 조적방법에 따라 시공할 경우에는 상기 백화현상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백화현상을 저감시키는 일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masonry for retaining walls or laying rocks using a concrete block is carried out by a wet method, lime within the concrete melts on the surface of the block or the surface of the finished structure after a considerable time has elapsed. As it turns out, the whitening phenomenon that causes staining of the outer wall is generated, and the method of completely preventing the whitening phenomenon does not exist in the current building materials or construction methods, bu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sonry method using the block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construc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delay the progress of the whitening phenomenon or to reduce the whitening phenomenon.

즉, 상기 백화현상은 수많은 원인과 유발인자 등에 의해 발생, 촉진되는 것이지만, 특히 완성된 옹벽 또는 구조물에 포함된 콘크리트 내부의 석회가 빗물이나 블록내의 습기의 누적에 의해 형성된 수분에 의해 녹아내리면서 발생되는 것이 가장 흔한 경우인데, 종래 기술의 옹벽용 블록은 상기 빗물 등을 완성된 옹벽 또는 구조물 밖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부분이 존재치 않았으므로 상기 백화현상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1)을 이용하여 옹벽 등을 조적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수평배수로(50) 및 측배수로(70)를 통해 상기 수분 등을 옹벽 또는 구조물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백화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whitening phenomenon is caused and promoted by a number of causes and triggers, but in particular, the lime in concrete contained in the completed retaining wall or structure is melted by moisture formed by the accumulation of moisture in rain or blocks. The most common case is that the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ior art did not properly respond to the bleaching phenomenon because there was no part to perform the function of discharging the rainwater, etc. out of the completed retaining wall or structure. In the case of retaining the retaining wall and the like using the retaining wall block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moisture and the like out of the retaining wall or the structure through the horizontal drainage passage 50 and the side drainage passage 70. It can be.

특히,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상 여름내 장마철에는 많은 강우가 있게 되므로 축조된 옹벽 또는 구조물들에 있어서 상기 기간 내 백화현상이 발생하거나 심화될 확률은 더욱 높다고 할 것인데, 본 고안의 블록(1)을 이용하여 옹벽 또는 구조물을 조적한 경우라면, 강우시에도 축조된 옹벽 등의 상부에 존재하는 측배수로(70)를 통해 상기 옹벽 등의 상부에서 하부로 빗물이 빠져나가게 될 것이고, 상기 옹벽 등의 내부에 스며들 수 있는 빗물도 상기 수평배수로(50)를 통해 상기 옹벽 등의 좌우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백화현상의 발생 내지 심화 우려를 훨씬 줄일 수 있을 것이다. In particular, due to the climate of Korea, there is a lot of rainfall during the rainy season in summer, so in the built retaining walls or structures,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r deepening of whitening in the period is higher, and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block (1)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n the case of structuring the structure, rainwater will escape from the upper part of the retaining wall, etc., through the side drainage channel 70 existing in the upper part of the retaining wall, etc., even during rainfall, and soak into the retaining wall. Rainwater may also be discharg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like through the horizontal drainage path 50 will be a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occurrence or deepening of the whitening phenomenon.

이처럼, 조적된 상기 옹벽 등에 상기와 같은 배수채널을 둠으로써 상기 옹벽 등에 수분이 흡수되는 점을 최대한 방지하고, 이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치명적 단점 중 하나인 상기 백화현상의 발생을 어느 정도까지 억제하거나 백화현상의 진행속도를 저감 시키는 일은 충분히 가능해진다.As such, by providing the drainage channel as described above in the retained retaining wall, the water is absorbed to the retaining wall as much as possible,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the bleaching phenomenon, which is one of the fatal disadvantages of the concrete structure, to the extent of whitening.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reduce the speed of development.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본 고안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 configuration.

본 고안은 전면에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석재부와 상기 석재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의 조적만으로도 석재에 의해 옹벽 등이 조적된 느낌을 주는 외부마감공사까지 끝마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ne part including stucco stone on the front and a concrete part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stone part and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tone part to give the impression that the retaining wall is masonry by the stone alone. It has the effect of finishing the finishing work.

본 고안은 상기 콘크리트부에 상,하측 단턱을 두거나 측홈이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 기타 구조물의 조적시 수평배수로 내지 측배수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점 중 하나인 백화현상의 진행을 최대한 지연시키거나 백화 저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ut the upper and lower stepped in the concrete part or to include a side groove so that the horizontal drainage or side drainage is formed when the retaining wall and other structures are formed by using the block to progress the bleaching phenomenon which is one of the disadvantages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effect can be delayed as much as possible or the countermeasure for reducing whitening can be suggested.

Claims (6)

조립식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전면에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석재부와, 상기 석재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의 조적만으로 외부마감공사까지 끝마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용 블록.In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the block includes a stone part including a stucco stone on the front surface, and a concrete part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stone part and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tone part until the external finishing work only with the masonry of the block.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부는 제 1 콘크리트부와 제 2 콘크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콘크리트부는 직육면체형상으로 상기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rete portion comprises a first concrete portion and the second concrete portion, the first concrete portion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tone portion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상기 제 2 콘크리트부는 상면, 하면, 배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은 상기 제 1 콘크리트부의 상단 일측에서 일정 높이를 가진 상측단턱을 형성하고 수평으로 연장되며;The second concrete part includes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nd the upper surface forms an upper step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crete portion and extends horizontally; 상기 하면은 상기 제 1 콘크리트부의 하단 일측에서 수평으로 일정 길이만큼 진행한뒤 일정 높이를 가지는 하측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끝단까지 수평으로 연장되고;The bottom surface is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first concrete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a lower step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extends horizontally to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상기 배면은 상기 상면과 하면의 끝단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양측면은 상기 상면, 하면 및 배면에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용 블록.The back surface interconnects the ends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e both sides ar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크리트부는 일단이 상기 제 2 콘크리트부의 상면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콘크리트부의 하측 단부에서 상기 하측단턱까지의 부분과 연통되며, 양측면의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 대칭으로 형성된 측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용 블록.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econd concrete portion is one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crete portion, the oth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ortion from the lower end to the lower end jaw of the first concrete portion, the entire longitudinal length of both sides Blocks for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further comprises a side groove formed symmetrically over. 제 2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립식 옹벽용 블록을 상하로 조적함으로써 상기 블록의 조적시 횡방향을 가로지르는 수평배수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용 블록의 조적구조.An masonry structure of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wherein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of any one of the above is assembled vertically so that a horizontal drainage passage transverse to the lateral direction is formed when the block is lai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옹벽용 블록을 좌우로 조적함으로써 상기 블록의 조적시 종방향을 가로지르는 측배수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용 블록의 조적구조. The masonry structure of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side drainage path that cross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when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is joined left and righ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옹벽용 블록의 측면이 인접하도록 상기 블록을 배치시켜 좌우로 조적하여 1열을 형성하고, 조적된 1열 위에 보강재를 설치한 후 다시 상기블록을 좌우로 조적하여 2열을 형성하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블록을 계속 조적함으로써 조적시 상하좌우를 가로지르는 측배수로 및 수평배수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용 블록의 조적구조.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ide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is arranged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to form a single row, after installing the reinforcing material on the stacked first row and again to block the block to the left and right 2 Forming a row, the masonry structure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the side drainage and horizontal drainage paths across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when forming the masonry by continuing to assemble the block as described above.
KR2020050032620U 2005-11-18 2005-11-18 A 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laying Structure using the Block KR20040917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620U KR200409176Y1 (en) 2005-11-18 2005-11-18 A 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laying Structure using the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620U KR200409176Y1 (en) 2005-11-18 2005-11-18 A 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laying Structure using the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176Y1 true KR200409176Y1 (en) 2006-02-20

Family

ID=4175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620U KR200409176Y1 (en) 2005-11-18 2005-11-18 A 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laying Structure using the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176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34B1 (en) 2007-04-05 2008-06-27 편종열 Retaining wall using natural ston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60148120A (en) 2015-06-15 2016-12-26 유한회사 삼원콘크리트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for plants with easy installation
CN110578290A (en) * 2019-08-14 2019-12-17 山东高速工程检测有限公司 Abutment back backfilling structure of bridgehea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34B1 (en) 2007-04-05 2008-06-27 편종열 Retaining wall using natural ston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60148120A (en) 2015-06-15 2016-12-26 유한회사 삼원콘크리트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for plants with easy installation
CN110578290A (en) * 2019-08-14 2019-12-17 山东高速工程检测有限公司 Abutment back backfilling structure of bridgehea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0578290B (en) * 2019-08-14 2024-04-05 山东高速工程检测有限公司 Bridge abutment back backfi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latte Lessons from Roman cement and concrete
KR101444989B1 (en) Road surfacing, method of constructing road surfacing, and concrete form
KR101673838B1 (en) Composite permeable pavement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5064543A (en) Formwork-free constructional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CN201217811Y (en) Advanced water-stop post-pouring zone of base exterior wall
CN104358341A (en) Building brickwork and masonry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brickwork
CN101413300A (en) Gypsum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system
KR200409176Y1 (en) A 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laying Structure using the Block
CN101608503A (en) The method of preventing and controlling cracks of hollow wallboard for building
CN102251500B (en) Fence linkage block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CN213709920U (en) Waterproof structure of bottom plate post-cast strip
KR101102901B1 (en) Waterstop composition, waterstop band, manufacturing method of waterstop band,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joint using waterstop band, waterstop plate and joint fitting for construction joint
CN101519881A (en) Basement post-pouring zone construction process
CN112523390A (en) Building outer wall and protection process thereof
Lea et al. THE DETERIORATION OF CONCRETE IN STRUCTURES.
KR101241818B1 (en) Plantable block for retaining wall using unsintered c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979048B2 (en) Forming method for concrete roof
CN114086585B (en) Waterproof internal and external corner prefabrication construction method
CN109440902A (en) A kind of novel clearance type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by-wash
CN210975543U (en) Ecological prefabricated assembled anticollision wall structure
Lees Deterioration mechanisms
Hanses Basics Concrete Construction
CN209584966U (en) A kind of reinforcing slope protection body based on regenerated aggregate concrete prefabricated section
KR102511035B1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protecting river
KR20210046935A (en)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manufacturing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