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006Y1 -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006Y1
KR200409006Y1 KR2020050034065U KR20050034065U KR200409006Y1 KR 200409006 Y1 KR200409006 Y1 KR 200409006Y1 KR 2020050034065 U KR2020050034065 U KR 2020050034065U KR 20050034065 U KR20050034065 U KR 20050034065U KR 200409006 Y1 KR200409006 Y1 KR 200409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olenoid valve
spool
hole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김도형
이기룡
김승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2020050034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0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16K31/0613Sliding valve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풀이 작동되도록 내부에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과 직각을 이루는 측방으로 위쪽부터 아래쪽까지 유입구, 유출구 및 배출구가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 유출구, 배출구로부터 관통공 중심으로의 연장부분인 관통공의 외주부에 원통형 함몰부를 구비한 홀더로서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되며 관통공의 하단 모서리부가 테이퍼가공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 내부에 배치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 상단부의 안착홈에 배치되고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플레이트와, 상기 스풀 하단부에 밀착 배치되는 로드에 조립된 플런저와, 상기 로드의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테프론 코팅된 부싱과, 상기 플런저의 외부를 감싸고 그 외주면 전체에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 상단면과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요크와, 상기 보빈의 하단부에 외측부가 밀착되고 중앙부가 플런저의 저면에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중공과 로드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코어의 저면, 코일의 외주부 및 홀더의 하단부를 감싸는 케이스와, 상대 커넥터와 연결되는 터미널단자가 마련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 홀더, 플런저, 코어, 스풀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 {Solenoid valve}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보빈의 상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홀더 10b: 유입구
10c: 유출구 10d: 배출구
10e: 유압면 10f: 관통공
10g: 원통형 함몰부 14: 필터
12: 플레이트 16: 스풀
18: 로드 18a: 관통홀
20: 플런저 22: 요크
26: 보빈 28: 코일
29a: 쐐기형 요철 29b: 유로용 홈
32: 코어 32a: 중공
36: 스프링 38: 조정스크류
24,30: 부싱 34: 케이스
40: 터미널
본 고안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의 유입구, 유출구 및 배출구의 연장선상에 해당되는 관통공의 외주부에 원통형 함몰부를 형성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는 자기력에 의해 플런저가 자기력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유체가 유입, 유출 및 배출되도록 유입구, 유출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홀더와, 스풀, 플런저, 로드, 요크, 코일, 보빈, 코어, 케이스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기 위한 터미널단자가 마련된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 내부에는 플런저에 의해 축방향으로 작동되면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풀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풀은 홀더의 유입구, 유출구 및 배출구로 출입하는 유체의 운동량 변화에 의해 축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 이른바 축력이 발생되는데 이 축력은 스풀의 작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써, 특히 자연진동을 일으켜 이 밸브의 기능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여 여러 종류의 유체 축력 경감법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유입구, 유출구 및 배출구의 선단에서부터 관통공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관통공의 외주부에 원통형 형상의 함몰부를 마련하여 유체의 선회류를 형성시키는 방법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홀더는 선삭 등의 가공 방법에 의하였는데 이 방법은 전체적인 시간과 노력을 많이 요하게 됨으로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홀더의 상단부에는 스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플레이트가 설치되는데, 종래에는 홀더 상단부의 안착홈에 플레이트를 끼운 다음에 플레이트의 주위의 홀더 상단면을 가공 툴로 찍어 누름으로써 고정하는 방식이었는데, 스풀에 성능 이상 발견시 스풀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플레이트를 빼야 하는데 상기 방식에 의하면 플레이트를 빼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이물질이 스풀의 외면과 홀더의 내면 사이에 유입 및 적층됨으로써 스풀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보빈의 상단면과 요크 사이에 조립 공차가 발생됨으로써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보빈의 상단면과 요크 사이의 빈 틈을 통해 이물질이 플런저의 작동부 내로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요크, 코어, 플런저 사이의 가공 정도에 따라 간섭이 생김으로써 플런저의 상하 왕복운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플런저의 좌우유동 및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커넥터에 별다른 연결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상대 커넥터와 결합시 이탈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의 터미널단자와 보빈의 코일을 납땜작업으로 연결하였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고 납볼에 의한 절연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홀더의 함몰부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홀더의 제작을 간편하고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하고, 스풀 교체가 가능하도록 플레이트를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제작하며, 이물질 유입에 의한 스풀 작동의 고착을 억제하고, 보빈의 상단면과 요크 사이의 조립시 공차를 줄이면서 외부로부터 유입 가능한 이물질의 유입을 억제하며, 플런저의 원활한 상하 왕복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플런저의 좌우유동 및 기울어짐을 억제하고,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커넥터의 터미널단자와 보빈의 코일 연결작업을 개선시켜 절연불량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풀이 작동되도록 내부에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과 직각을 이루는 측방으로 위쪽부터 아래쪽까지 유체흐름을 안내하는 유입구, 제어압을 유출시키는 유출구 및 잔압을 제거하는 배출구가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 유출구, 배출구로부터 관통공 중심으로의 연장부분인 관통공의 외주부에 원통형 함몰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 내부에 배치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 상단부의 안착홈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스풀 하단부에 밀착 배치되는 로드에 조립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외부를 감싸고 그 외주면 전체에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 상단면과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요크와, 상기 보빈의 하단부에 외측부가 밀착되고 중앙부가 플런저의 저면에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중공과 로드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코어의 저면, 코일의 외주부 및 홀더의 하단부를 감싸는 케이스와, 상대 커넥터와 연결되는 터미널단자가 마련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된 상기 홀더의 유입구의 하단면과 배출구의 상단면은 기준치수에 맞도록 후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외형적 손상 없이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날개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고 유연한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의 관통공 하단 모서리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관통공의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taper)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빈의 상단면에는 상기 로드를 축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쐐기형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주를 이루는 상기 쐐기형 요철의 일부가 단속됨으로써 상기 플런저의 원활한 작동 및 내부로의 자동변속기오일(ATF)의 원활한 주입을 위한 유로용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드의 상부 측면과 요크 사이 및 상기 로드의 하부 측면과 코어 사이 각각에는 내측면이 테프론(Teflon) 코팅된 원통 형상의 부싱이 압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의 돌출부가 걸릴 수 있도록 양측부와 하단부에 각각 관통된 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터미널단자와 상기 코일은 절연불량을 예방할 수 있도록 퓨징 방식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흐름을 안내하는 유입구(10b)와 유출구(10c), 배출구(10d)가 형성된 홀더(10)와, 상기 홀더(10) 내부에 배치되는 스풀(spool)(16)과, 이 스풀(16) 상단부의 안착홈에 배치되는 플레이트(plate)(12)와, 하단부에 밀착 배치되는 로드(rod)(18)에 조립된 플런저 (plunger)(20)와, 이 플런저(20)의 외부를 감싸고 그 외주면 전체에 코일(coil)(28)이 권선되는 보빈(bobbin)(26)과, 이 보빈(26)의 상단면과 홀더(10)의 하단면 사이에 배치되는 요크(yoke)(22)와, 상기 보빈(26)의 하단부에 외측부가 밀착되고 중앙부가 플런저(20)의 저면에 배치되는 코어(32)와, 이 코어(32)의 중공(32a)과 로드 (18)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36)과 상기 코어(32)의 중공(32a)에 체결되는 조정스크류(38) 및 상기 코어(32)의 저면, 코일(28)의 외주부 및 홀더(10)의 하단부를 감싸는 케이스(case)(3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10)는 내부에 축방향으로 작동되는 스풀(16)이 배치되도록 축 방향으로 관통공(10f)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 관통공(10f)과 직각을 이루는 홀더의 측방으로는 유체흐름을 안내하는 유입구(10b)와 제어압을 유출시키는 유출구(10c) 및 잔압을 제거하는 배출구(10d)가 서로 평행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10)의 유입구(10b), 유출구(10c) 및 배출구(10d)에서 관통공(10f)으로 연장되는 이 관통공(10f)의 외주부에는 유체가 선회류를 일으키도록 하는 원통형의 함몰부(10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풀(16)은 홀더(10)의 내부에서 유입구(10b)와 배출구(10d)의 유로면적을 제어하는 3단 원기둥 형상으로, 그 하단부는 플런저(20)에 의해 작동되는 로드(18) 상단면과 밀착되어 있다.
상기 로드(18)는 플런저(20)에 의해 축방향으로 작동되어 상단부의 스풀(16)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그 상단부가 스풀(16)의 저면에 밀착 배치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 플런저(20)가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부 내부에는 스프링(36)이 삽입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로드(18)는 플런저(20)의 중간부에 삽입 고정되고 그 하부가 스프링 (36)의 상단부에 안착되며, 상하 왕복시 밀폐 압력의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 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관통홀(1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20)는 스풀(16)의 하단부에 밀착 배치되어 있는 로드(18)에 조립되어 상기 스풀(16)을 홀더(10)의 유입구(10b), 배출구(10d)사이에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시켜주는 원통 형상으로, 그 중앙에는 로드(18)가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빈(26)의 상단면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두 개의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쐐기형 요철(29a)을 두어 조립시 공차가 줄어드는 한편, 외부로부터 플런저 작동부 내로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된다.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안쪽 원을 이루는 쐐기형 요철(29a)의 한 군데와 바깥쪽 원을 이루는 쐐기형 요철(29a)의 한 군데 총 두 군데에는 각각 쐐기형 요철(29a)이 없음으로 인해서 형성되는 유로용 홈(29b)이 있다. 유로용 홈(29b)은 플런저의 원활한 작동 및 내부로의 자동변속기오일(Automatic Transmission Fluid; ATF)의 원활한 주입을 위한 것이다.
상기 요크(22)는 보빈(26) 상부와 홀더(10) 사이에 배치되어 코일(28)에서 발생한 자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상단부가 넓게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 넓게 형성된 상단부는 보빈(26)의 상면 쐐기형 요철과 케이스(34) 안쪽단에 얹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의 상부 측면와 요크 사이 및 상기 로드의 하부 측면과 코어 사이에는 상기 요크(22), 코어(32) 및 플런저(20)의 가공정도에 따른 간섭을 배제하여 상기 플런저(20)가 원활하게 상하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플런저(20)가 좌우유동 및 기울어짐 없이 작동되도록 하는 원통 형상의 부싱(24)이 압입되어 있다. 부싱(24)의 내측면에는 테프론(Teflon) 코팅이 되어 있는데, 테프론 코팅이란 불소수지를 도료화하여 페인트처럼 표면에 적당향 스프레이한 후, 일정한 온도에서 가열, 소성을 거쳐서 비활성의 단단한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을 말하며, 테프론 코팅은 특유의 이형성 뿐만 아니라 비점착성, 내화학성, 내열성, 절연 안정성 및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고 있어 부싱(24)과 로드(18)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 가능한 문제점이 최소화된다. 테프론 코팅에 대한 자세한 기술적 사항은 종래에 알려진 것이므로 생략한다.
상기 코어(32)는 보빈(26)의 하단부에 그 하단의 외측부가 밀착되고 코일(28)에 전류 인가시 플런저(20)를 끌어 당길 수 있도록 코일(28)에서 발생된 자기력이 집중되는 중앙부가 플런저(20)의 저면에 배치되는 중공(32a)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그 중앙부의 상면은 플런저(20)의 하단부가 수용됨으로써 전류의 크기에 따라 선형적으로 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패이고, 이 코어(32)의 오목하게 패인 중심부 테두리는 코일(28)의 자기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그 외측부가 절삭된 원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36)은 코어(32)의 중공(32a)과 로드(18)의 중공 사이에 배치되어 코일(28)에 전류 차단시 로드(18)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36)의 중앙으로는 조정스크류(38)의 상부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조정스크류(38)는 코어(32)의 중공(32a)에 삽입되고 로드(18)의 내면을 통과할 수 있도록 2단 원통 형상으로, 상기 스프링(36)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하로 조이고 풀면서 스프링(36)을 압축 또는 이완시켜 이 스프링(36)의 하중을 조절함으로써 특성 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코어(32) 저면으로부터 나사 체결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4)는 코어(32)의 저면, 코일(28)의 외주부 및 홀더 하단을 덮어 씌우는 원통 형상으로, 홀더(10)를 요크(22) 위에 놓아두고 케이스의 상단을 안쪽으로 말아서 상기 홀더(10)의 하단부가 케이스(34)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코어(32)와 별도로 분리 조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4)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해 주며 케이스의 외주면에 사출성형을 하여 하부본체 성형부를 형성한다. 또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유입구, 유출구에 필터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홀더(10)를 나타낸 것으로서, 홀더(10)는 다이캐스팅에 의하여 형성되고, 유입구, 유출구 및 배출구의 성형시 기준치수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금형을 설계한다. 홀더를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한 다음에는 유입구의 하단면과 배출구의 상단면을 바이트 툴로 한번 다듬어준다. 이는 다이캐스팅에 의한 홀더(10) 형성시 치수상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유입구(10b)의 하단면과 배출구(10d)의 상단면 사이의 치수의 정확도가 밸브의 성능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특별히 후가공 처리해준다.
또한, 홀더의 관통공 하단 모서리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관통공의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taper) 가공 처리된다.
도 3은 홀더(10)의 상단부 안착홈에 설치되어 스풀(16)의 이탈을 막아주는 플레이트(12)의 평면도이다. 플레이트(12)의 중심부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구멍(12a)이 형성되고, 바깥 둘레 쪽의 네 군데에 홈(12b)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날개부가 형성된다.
종래에는 플레이트(12)를 홀더(10)의 안착홈에 놓은 다음 가공 툴로 홀더의 상단을 찌그러뜨려 고정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플레이트(12)의 날개부에 휨력을 가하여 홀더의 안착홈에 위치시키고 나서 휨력을 제거하면 장착이 되며, 탈착시도 동일한 방법을 통해 가능하다.
도 4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하단에는 커넥터(40)가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40)는 상대 커넥터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동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상대커넥터의 돌출부(미도시)가 걸릴 수 있도록 양측부와 하단부에 각각 관통된 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40)의 터미널단자(41)와 코일(28)은 연결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퓨징(fusing) 방식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홀더의 효율적인 형성으로 시간과 노력을 줄이면서 요구되는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으며, 플레이트가 장착 및 탈착 가능하므로 스풀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고, 홀더의 관통공 하단부에 모서리부가공을 함으로써 이물질이 스풀 외면과 홀더 내면 사이에 유입 및 적층되어 스풀이 멈추게 되는 것이 방지되며, 보빈의 상단면과 요크 사이의 조립시 공차를 줄이면서 외부로부터 유입 가능한 이물질의 유입이 억제되고, 부싱에 의하여 플런저의 원활한 상하 왕복운동을 가능하고 플런저의 좌우유동 및 기울어짐을 억제되며,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커넥터의 터미널단자와 보빈의 코일 연결작업을 개선시켜 절연불량 등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구체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스풀이 작동되도록 내부에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과 직각을 이루는 측방으로 위쪽부터 아래쪽까지 유체흐름을 안내하는 유입구, 제어압을 유출시키는 유출구 및 잔압을 제거하는 배출구가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 유출구, 배출구로부터 관통공 중심으로의 연장부분인 관통공의 외주부에 원통형 함몰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 내부에 배치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 상단부의 안착홈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스풀 하단부에 밀착 배치되는 로드에 조립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외부를 감싸고 그 외주면 전체에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 상단면과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요크와, 상기 보빈의 하단부에 외측부가 밀착되고 중앙부가 플런저의 저면에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중공과 로드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코어의 저면, 코일의 외주부 및 홀더의 하단부를 감싸는 케이스와, 상대 커넥터와 연결되는 터미널단자가 마련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된 상기 홀더의 유입구의 하단면과 배출구의 상단면은 기준치수에 맞도록 후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외형적 손상 없이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날개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고 유연한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관통공 하단 모서리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관통공이 커지도록 테이퍼(taper)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단면에는 상기 로드를 축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쐐기형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원주를 이루는 상기 쐐기형 요철의 일부가 단속됨으로써 상기 플런저의 원활한 작동 및 내부로의 자동변속기오일(ATF)의 원활한 주입을 위한 유로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부 측면과 요크 사이 및 상기 로드의 하부 측면과 코어 사이 각각에 는 내측면이 테프론(Teflon) 코팅된 원통 형상의 부싱이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의 돌출부가 걸릴 수 있도록 양측부와 하단부에 각각 관통된 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터미널단자와 상기 코일은 절연불량을 예방할 수 있도록 퓨징 방식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KR2020050034065U 2005-12-02 2005-12-02 솔레노이드 밸브 KR200409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065U KR200409006Y1 (ko) 2005-12-02 2005-12-02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065U KR200409006Y1 (ko) 2005-12-02 2005-12-02 솔레노이드 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856A Division KR100567737B1 (ko) 2005-12-02 2005-12-02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006Y1 true KR200409006Y1 (ko) 2006-02-20

Family

ID=4175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065U KR200409006Y1 (ko) 2005-12-02 2005-12-02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0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40B1 (ko) 2011-06-02 2011-10-14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40B1 (ko) 2011-06-02 2011-10-14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737B1 (ko) 솔레노이드 밸브
US20070062588A1 (en) Electromagnetic hydraulic valve, in particular a 3/2-way directional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a variable drive trai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1990006464A1 (en) Electromagnet for solenoid valve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US20100155638A1 (en) Electromagnetic valve, as well as a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magnetic valve
US2002000754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apparatus
US20170108138A1 (en) Solenoid valve
US20140318649A1 (en) Solenoid valve with magnet filter
KR20170009983A (ko) 폴 피스와 플럭스 슬리브의 정렬불량에 강한 솔레노이드
US8480055B2 (en) Solenoid arrangement and valve arrangement
KR200409006Y1 (ko) 솔레노이드 밸브
US4677327A (en) Electromagnetic actuator with concentric coil resin fill
KR100694637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2006234004A (ja) 電磁弁及びその製造方法
EP4036443A1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KR102069532B1 (ko)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 제조방법
KR100656892B1 (ko) 인테이크 타이밍 밸브
JP4734763B2 (ja) ソレノイド
KR101183038B1 (ko) 솔레노이드 밸브
US20220333713A1 (en) Water inlet solenoid valve capable of improving electromagnetic attraction and implementing method therefor
JP2010025217A (ja) 電磁弁
KR100752686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4998315B2 (ja) 電磁弁
JPH04290406A (ja) ソレノイドの組立方法
US11022231B2 (en) Solenoid valve
JPH10299932A (ja) ソレノイド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