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840B1 -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840B1
KR101073840B1 KR1020110053416A KR20110053416A KR101073840B1 KR 101073840 B1 KR101073840 B1 KR 101073840B1 KR 1020110053416 A KR1020110053416 A KR 1020110053416A KR 20110053416 A KR20110053416 A KR 20110053416A KR 101073840 B1 KR101073840 B1 KR 101073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lunger
bobbin
solenoid valv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문국찬
김철호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110053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63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multiple 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성 및 응답성이 우수한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제1포트 및 제2포트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포트와 연결된 챔버가 내부에 마련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제3포트가 형성된 코어와, 상기 제2포트가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3포트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와,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감겨 전원 인가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플런저와 상기 보빈 사이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의 외경이 상기 챔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가 이동하여 제1포트를 폐쇄할 경우 제2포트가 제3포트와 연결되고, 제3포트를 폐쇄할 경우 제2포트가 제1포트와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제1포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와 상기 보빈 사이로 유체가 이동하여 상기 제2포트와 상기 제3포트를 연결한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압 라인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성 및 응답성이 우수한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배기가스(emission)는 연료를 연소할 때 발생하는 가스로서,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등의 많은 유해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해물질들은 대기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유해하므로 관계 법률을 통해 배출량을 규제하고 있다.
그런데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들은 서로 다른 조건에서 생성된다. 예를 들어, 질소산화물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등과 달리 연료가 완전히 연소되는 시점(즉,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등이 가장 적게 배출되는 시점)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Exhaust Gas Recirculation; EGR)은,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최고연소온도를 낮춰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질소(N2)에 비해 열용량이 큰 이산화탄소(CO2)를 함유한 배기가스를 혼합기에 적절한 비율로 혼입할 경우 엔진의 최고연소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에는 배기가스를 흐름을 제어하는 이지알밸브 또는/및 바이패스밸브가 설치된다. 이러한 이지알밸브 또는/및 바이패스밸브는 구동방식에 따라 엔진의 부압에 의해 작동하는 기계식과 ECU 등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식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기계식의 경우에는 이지알밸브 또는/및 바이패스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엔진의 부압이 전달되는 공압 라인 상에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의 부압이 전달되는 공압 라인 상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성 및 응답성이 우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1포트 및 제2포트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포트와 연결된 챔버가 내부에 마련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제3포트가 형성된 코어와, 상기 제2포트가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3포트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와,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감겨 전원 인가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플런저와 상기 보빈 사이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의 외경이 상기 챔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가 이동하여 제1포트를 폐쇄할 경우 제2포트가 제3포트와 연결되고, 제3포트를 폐쇄할 경우 제2포트가 제1포트와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제1포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와 상기 보빈 사이로 유체가 이동하여 상기 제2포트와 상기 제3포트를 연결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코어와 상기 플런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포트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의 양 단부 및 측면을 감싸는 요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빈, 상기 코어 및 상기 요크를 감싸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적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작동성 및 응답성이 우수하여 엔진에서 발생한 부압에 의해 작동하는 장치를 제어하는데 사용할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상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과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보빈(110)과, 보빈(110)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120)과, 보빈(110)의 하단을 통해 삽입, 결합된 코어(130)와, 보빈(110)의 내부에 설치된 플런저(140)와, 코어(130)와 플런저(140)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150)와, 보빈(110)의 상부, 하부 및 측면을 요크(160)와,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110~17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빈(110)은 외부에 코일(120)이 감길 수 있도록, 그리고 내부에 플런저(1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의 스풀(spool)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빈(110)의 상부에는 제1포트(112)와 제2포트(114)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1포트(112)와 제2포트(114)를 연결하는 챔버(116)가 형성된다. 이때, 제1포트(112)와 제2포트(114)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보빈(110)의 상부와 측면으로 각각 연장되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형상의 보빈(110)은 전기적으로 절연체이고 자기적으로 비자성체인 물질로 제작되어 코일(120)과 코어(130) 사이, 그리고 코일(120)과 요크(160) 사이의 전기적인 소통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보빈(110)은 전기적인 소통을 방지하는 역할 이외에 제1 및 제2포트(112,114)와 챔버(116)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압력을 전달하는 이송통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1포트(112)와 제2포트(114)가 엔진의 부압 발생부(미도시)와 부압에 의해 작동하는 장치(이지알밸브, 바이패스밸브 등)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제1포트(112)를 개방하면, 엔진의 부압 발생부(미도시)에서 발생한 부압이 제1포트(112), 챔버(116) 및 제2포트(114)를 거쳐 이지알밸브, 바이패스밸브 등의 장치로 전달된다.
코일(120)은 보빈(110)의 외주면에 감겨 전원 인가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전원 인가시 코일(120)을 따라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부재(150)에 의해 제1포트(112) 측으로 탄성 편의되었던 플런저(140)를 제3포트(132) 측으로 이동시킨다.
코어(130)는 소정의 길이를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보빈(110)의 챔버(116)와 연결된 제3포트(132)가 형성되며, 보빈(110)의 하단을 통해 삽입, 결합된다. 이때, 코어(130)는 보빈(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단이 플런저(14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그리고 하단이 보빈(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다단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코어(130)의 내부에 형성된 제3포트(132)는 그 하단에 필터(134)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형상의 코어(130)는 요크(160)와 함께 코일(120)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통로 역할을 한다. 즉, 코어(130)와 요크(160)는 전원 인가시 코일(120)을 따라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을 효과적으로 유도함으로써 플런저(14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코어(130)는 자기장을 유도하는 역할 이외에 제2포트(114)와 챔버(116)의 압력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1포트(112)와 제2포트(114)가 엔진의 부압 발생부(미도시)와 부압에 의해 작동하는 장치(이지알밸브, 바이패스밸브 등)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제1포트(112)를 폐쇄하면, 외부의 대기압을 제3포트(132)를 통해 제2포트(114)와 챔버(116)로 유입되어 부압에 의한 진공상태를 해소한다. 이때, 제3포트(132)에 설치된 필터(134)는 외부의 대기압이 제3포트(132)를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런저(140)는 제1포트(112)와 제3포트(132) 사이에 위치되어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제1포트(112)와 제3포트(13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플런저(140)는 상단이 밀폐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하단을 통해 코어(130)의 상단이 삽입된다. 또한, 플런저(140)의 내부에 위치된 코어(130)의 상단과 플런저(140) 사이에는 플런저(140)를 제1포트(112)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50)가 설치된다. 따라서 플런저(140)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부재(150)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 편의되어 제1포트(112)를 폐쇄함으로써 제2포트(114)를 제3포트(132)와 연결하고,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120)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하여 제3포트(132)를 폐쇄함으로써 제2포트(114)를 제1포트(112)와 연결한다.
한편, 플런저(140)에는 제1포트(112) 또는 제3포트(132) 폐쇄시 밀봉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1포트(112) 또는 제3포트(132)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쿠션(142a,142b)이 설치된다. 이 탄성쿠션(142a,142b)은 플런저(140)의 밀폐된 상단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위치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플런저(140)의 밀폐된 상단을 관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이때, 제1포트(112)의 하단과 제3포트(132)의 상단은 챔버(116)로 돌출되는데, 이는 탄성쿠션(142a,142b)에 의한 밀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요크(160)는 전원 인가시 코일(120)을 따라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을 효과적으로 유도함으로써 플런저(14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요크(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의 상부, 하부 및 측면을 감싸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코일(120)의 주변에 형성된 자기장이 효과적으로 유도되어 플런저(140)를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케이스(170)는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110~16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보빈(110), 코어(130) 및 요크(160)를 감싸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70)의 하부에는 코어(130)의 하단을 감싸는 관형 개구(172)가 형성되고, 개구(172)에는 대기압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슬릿(174s)이 형성된 캡(174)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케이스(170)의 일측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176)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00) 설치용 고정 브라켓(178)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의 케이스(170)는 플런저(140)가 제3포트(132)를 개방할 경우 외부의 대기압이 제3포트(13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외부의 대기압이 캡(174)에 형성된 슬릿(174s)과 개구(172)를 통해 제3포트(132)로 유입되어, 부압에 의한 제2포트(114)와 챔버(116)의 진공상태를 해소한다. 이때, 상술한 것처럼 제3포트(132)에 필터(134)가 설치되므로 외부의 대기압이 제3포트(132)를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케이스(170)는 코일(120), 코어(130), 플런저(140), 탄성부재(150) 및 요크(160)가 보빈(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출성형을 통해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코어(130) 및 요크(160)를 보빈(1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작이 용이하고 작업속도가 빨라 제품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상태도로,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런저(140)가 탄성부재(150)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 편의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플런저(140)에 의해 제1포트(112)가 폐쇄되어 제2포트(114)가 제3포트(132)와 연결된다.
상술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120)을 따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코일(120)의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하고, 발생된 자기장은 코어(130)와 요크(160)에 의해 유도되어 플런저(140)를 이동시킨다. 즉, 플런저(140)가 제1포트(112)에서 이격되어 제3포트(132)에 접촉함으로써 제1포트(112)를 개방함과 동시에 제3포트(132)를 폐쇄한다. 따라서 제2포트(114)가 제1포트(112)와 연결되어 제1포트(112)를 통해 인가된 압력을 제2포트(114)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00)가 엔진의 부압이 전달되는 공압 라인에 설치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면, 제1포트(112)는 엔진의 부압 발생부(미도시)와 연결되고, 제2포트(114)는 부압에 의해 작동하는 장치(이지알밸브, 바이패스밸브 등)에 연결된다. 또한, 제3포트(132)는 대기압이 유입될 수 있도록 외부와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제1포트(112)가 개방되고 제3포트(132)가 폐쇄되면, 엔진의 부압 발생부(미도시)에서 발생한 부압이 제1포트(112), 챔버(116) 및 제2포트(114)를 거쳐 이지알밸브, 바이패스밸브 등의 장치로 전달되어 장치를 작동시킨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는 실제 유체가 이동하는 이동과정을 표시한 것으로, 부압이 인가되는 제1포트(112)로 유체가 배출되고, 부압이 배출되는 제2포트(114)로 유체가 유입된다.
반면, 솔레노이드 밸브(100)로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면 코일(120) 주변의 자기장이 소멸하므로 플런저(140)가 탄성부재(150)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하며 제1포트(112)를 폐쇄함과 동시에 제3포트(132)를 개방한다. 따라서 제2포트(114)가 제3포트(132)와 연결되어 제2포트(114)와 챔버(116)의 잔압을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00)가 엔진의 부압이 전달되는 공압 라인에 설치된 경우를 다시 적용하면, 제1포트(112)가 폐쇄되고 제3포트(132)가 개방되므로 부압에 의해 진공상태였던 제2포트(114) 및 챔버(116)에 대기압이 공급되어 이지알밸브, 바이패스밸브 등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또한 실제 유체가 이동하는 이동과정을 표시한 것으로, 제3포트(132)로 유체가 유입되어 챔버(116)의 진공상태를 해소하고, 제2포트(114)를 통해 배출되어 이지알밸브, 바이패스밸브 등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솔레노이드 밸브 110: 보빈
112: 제1포트 114: 제2포트
116: 챔버 120: 코일
130: 코어 132: 제3포트
134: 필터 140: 플런저
142a,142b: 탄성쿠션 150: 탄성부재
160: 요크 170: 케이스
172: 개구 174: 캡
174s: 슬릿 176: 터미널
178: 고정 브라켓

Claims (12)

  1. 내부에 챔버가 형성된 보빈;
    상기 보빈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챔버와 연결된 제1포트;
    상기 보빈에 형성되되 상기 제1포트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챔버와 연결된 제2포트;
    상기 보빈의 타단에 결합되는 코어;
    상기 코어에 형성되고, 상기 챔버와 연결된 제3포트;
    상기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챔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 플런저; 및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감겨 전원 인가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가 상기 보빈의 일단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포트를 폐쇄하여 상기 제2포트와 상기 제3포트가 연결되며, 상기 플런저가 상기 보빈의 타단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3포트를 폐쇄하여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상기 플런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포트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양 단부 및 측면을 감싸는 요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빈, 상기 코일, 상기 코어 및 상기 요크를 감싸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3포트와 연결된 관형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타단이 상기 관형 개구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코어의 타단 내부에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체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슬릿이 형성된 캡을 더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보빈, 상기 코어 및 상기 요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이동시 상기 제1포트 또는 상기 제3포트를 밀봉하는 탄성쿠션을 더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탄성쿠션은 상기 플런저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플런저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3포트의 상기 플런저 측 일단이 상기 챔버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일단이 밀폐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타단을 통해 상기 코어의 일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일단은 상기 플런저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110053416A 2011-06-02 2011-06-02 솔레노이드 밸브 KR101073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416A KR101073840B1 (ko) 2011-06-02 2011-06-02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416A KR101073840B1 (ko) 2011-06-02 2011-06-02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840B1 true KR101073840B1 (ko) 2011-10-14

Family

ID=4503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416A KR101073840B1 (ko) 2011-06-02 2011-06-02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068A (ko)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세 바 냉각 기능이 구비된 안마기용 솔레노이드 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805Y1 (ko) 2004-12-30 2005-04-25 주식회사 효신전기 플랜지형 밸브 어셈블리
KR200409006Y1 (ko) 2005-12-02 2006-02-20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KR200416106Y1 (ko) 2006-02-27 2006-05-11 주식회사 피코그램 동축 유동형 솔레노이드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805Y1 (ko) 2004-12-30 2005-04-25 주식회사 효신전기 플랜지형 밸브 어셈블리
KR200409006Y1 (ko) 2005-12-02 2006-02-20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KR200416106Y1 (ko) 2006-02-27 2006-05-11 주식회사 피코그램 동축 유동형 솔레노이드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068A (ko)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세 바 냉각 기능이 구비된 안마기용 솔레노이드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8461B2 (ja) 排気浄化装置
KR970702426A (ko) 고속으로 작동하는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를 갖는 배기 가스 재순환 장치(egr system having fast-acting egr valve)
US9599246B2 (en) Magnetically actuated shut-off valve
JP6671391B2 (ja) バルブコアアッセンブリおよび圧縮ガスバイパスバルブ
CN106948971B (zh) 燃料喷射器
KR101073840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4351390B2 (ja) ガス状流体用電磁弁
WO2014156426A1 (ja) 排気浄化装置
CN116940756A (zh) 用于喷入气体的喷射器
JP2017504962A (ja) 磁気作動型シャットオフバルブ
CN102128299A (zh) 自保持型电磁阀
JP2011226513A (ja) 電磁弁装置
KR100775337B1 (ko)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CN112424890A (zh) 包括布置在中间壳体中的蒸气出口导管的电磁装置
KR101011643B1 (ko) 차량용 이지알 밸브
JP6733701B2 (ja) インジェクタ
KR101396739B1 (ko)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KR102394842B1 (ko) 에어 댐핑형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 및 차량 연료 시스템
KR100731873B1 (ko) 차량용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JP2015007455A (ja) 流量制御用電磁弁
KR200255764Y1 (ko) 차량의 배기 가스 재순환 솔레노이드 밸브
EP2800893B1 (en) Anti-pollution economiser device for fluid fuels
JP7169916B2 (ja) 燃料噴射弁
KR100474197B1 (ko) 휘발유차 엔진용 전자제어식 이지알밸브
KR100373229B1 (ko) 가스 분사용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