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337B1 -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337B1
KR100775337B1 KR1020070020159A KR20070020159A KR100775337B1 KR 100775337 B1 KR100775337 B1 KR 100775337B1 KR 1020070020159 A KR1020070020159 A KR 1020070020159A KR 20070020159 A KR20070020159 A KR 20070020159A KR 100775337 B1 KR100775337 B1 KR 10077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magnetic force
plunger
solenoid valve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석
김남규
공기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피코
Priority to KR1020070020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54Details of the absorption canis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025/0845Electromagnetic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PCSV(6) Purge Control Solenoid Valve)는 구성 요소들을 아마추어(14,Armature)와 더불어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듈(MA)과, 증발 가스의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니플 모듈(MB)로 제조한 후, 서로 조립함에 따라 아마추어(14,Armature)의 스트로크(Stroke) 결정이 구동 모듈(MA)과 니플 모듈(MB)의 상호 조립을 통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PCSV(6)의 전체에 대한 공차 관리가 극히 간단해 짐은 물론, 아마추어(14,Armature)에 작용하는 코어(11)의 자기력을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작용시켜, 아마추어(14,Armature)의 스트로크 증가 시 자기력의 급격한 증가 현상을 차단 해, PCSV(6)에서 서로 상반되는 유량 성능과 소음 성능도 함께 만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Stopperless typed Purge Control Solenoid Val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연료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성하는 아마추어 부위에 대한 결합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마추어 스트로크(Stroke)에 따른 접촉부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마추어 스트로크(Stroke) 작동 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탱크 2 : 캐니스터
3 : 증발가스라인 5 : ECU
6 : PCSV(Purge Control Solenoid Valve)
7 : 구동 모듈 바디 7a : 커넥터
7b : 댐퍼 8 : 보빈
8a : 중앙 홀 8b : 동심유지 판
9 : 플레이트 10 : 코일
11 : 코어 11a : 스프링 수용홈
12 : 자기력 분산 플랜지 13 : 인너 하우징
14 : 아마추어 15 : 플런저
15a : 중공 바디 15b : 동심 플랜지
15c : 외곽 홀 15d : 중앙 홀
16 : 완충부재 16a : 중앙 걸림 보스
16b : 완충 엠보 16c : 기밀 유지 엠보
17 : 스프링 18 : 커버
18a : 챔버 19 : 증발가스 유입관
20 : 증발가스 배출관 21 : 이물질 차단 필터
A : 에어 필터 a : 이동스트로크
b : 유입스트로크 c : 형성각
e : 동심유지직경
E : 엔진 M : 흡기다기관
MA : 구동 모듈 MB : 니플(Nipple) 모듈
MV : 자기력 벡터
SU : 제1 조립 기준면 SD : 제2 조립 기준면
t : 미 접촉 갭
본 발명은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별도의 스토퍼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강화된 성능을 구현하는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료시스템은 모든 운전 조건 하에서 엔진에 필요한 혼합기를 가장 연소하기 쉬운 상태로 공급하는 장치를 말하며 엔진의 성능, 특히 출력이나 경제성을 크게 좌우하는 중요한 장치로서 연료와 공기를 적절히 혼합시켜 엔진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게된다.
이때 연료로 사용되는 가솔린은 주위 온도 증가와 연료 계통내의 부압의 작용 등의 영향으로 연료 탱크 내에서 필연적으로 증발 가스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증발 가스는 대기로 방출 시 대기를 오염시킴에 따라 한층 강화되는 자동차의 유해배출물질 규제 즉, 연료로부터 증발되는 탄화수소에 대한 산규제법(New Regulation For Evaporation Gas)과 같은 법률이 북미지역을 시발점으로 하여, 자동차의 연료계통누출검사는 물론 연료 증발량 자체에 대한 규제뿐 아니라, 연료 증발량을 제어하기 위한 연료증발억제 시스템 등에 대한 규정 만족을 요구하고 있고 더 한층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법규를 만족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연료계통에서 발생되는 가솔린 증발 가스의 대기 방출 대신, 연료탱크와 엔진 사이를 연결하여 연료 탱 크에서 발생된 증발 가스를 포집 한 후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해 연소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게 되며, 이때 연료탱크와 엔진으로 혼합기를 공급하는 흡기다기관으로 연결되어진 증발가스라인으로 PCSV(Purge Control Solenoid Valve)가 장착되어져,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 가스의 소모가 필요할 때 ECU를 통해 그 통로가 열리면서 증발 가스를 엔진으로 공급해 연소시켜주게 된다.
일례로, ECU는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약 65℃ 이상)에 달할 때 냉각수 순환용 서모 밸브가 닫히고 PCSV를 열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부 공기와 연료의 혼합기내에 증발가스가 함께 섞여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되어 소모되어진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PCSV는 한 예로서, 전원을 공급받는 코일이 여자화 됨에 따라 이에 감싸 인 코어(Core)가 플런저(Plunger)를 당기게 되면, 상기 플런저의 당김에 따른 간격 형성을 통해 증발 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코어와 플런저사이에는 반복적으로 서로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일정한 갭(Gab, 이는 플런저 스트로크(Stroke)임)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PCSV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0-0000699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PCSV는 개폐 작동 과정에서 여자 및 비 여자화 되는 코어가 플런저를 잡아 당겼다 해제하는 반복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때, 플런저의 스트로크(Stroke)를 구속하는 스토퍼(Stopper) 기능을 위해 별도의 스토퍼를 구비하지 않고, 코어의 끝단 부위를 이용해 스토퍼 기능을 부여하게 되며, 이때 상기 코어의 끝단부는 플런저를 잡아당기기 위한 자기력을 가하도록 즉, 플런저를 잡아당기기 위한 코어의 자기력이 충분하게 작용하도록 코어의 끝단을 편평하게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PCSV는 설계 시 충족시켜야 하는 기본적인 주요 인자(Factor)로는,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될 때(증발 가스 흐름 통로 열림) 설계된 유량 성능 특성을 정확히 구현함과 더불어,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때(증발 가스 흐름 통로 닫힘) 증발가스가 누설되지 않는 기밀 성 유지는 물론, PCSV 작동 시 흐름 통로를 개폐를 위해 코어의 자기력을 통한 플런저의 왕복 운동 시 발생되는 소음의 저감이다.
이에 더해 현재 강화되고 있는 자동차의 유해배출물질 규제 법규에 맞추어 PCSV의 요구 성능도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야 만 되는 즉, 유량 성능 면에서는 최대 유량을 증대하면서도 저 듀티(Low Duty) 제어 구간에서 유량의 선형성도 유지하여야 함은 물론, 기밀 성능의 경우에도 반복적인 작동에 따른 마모 진행 시에도 기밀 성이 항상 유지되어야 하며, 또한 소음 성능 측면에서는 엔진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따른 소음과 PCSV 작동 시 자체 소음도 최대한 줄이는 정숙한 작동 구현 등과 같이, PCSV의 설계 및 개발 요구 사항이 더욱 까다로워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강화된 성능을 구현하기 위한 PCSV는 그 기능 상 유량 성능과 소음 성능은 서로 상반되는 설계 인자로 작용하는데, 즉 PCSV의 유량 성능을 증대하는 경우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플런저 크기도 증대시켜야 함에 따라, 작동 시 왕복 운동되는 플런저의 접촉 소음과 더불어 방사 소음이 크게 증가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게 된다.
특히, 자화되는 코어의 자기력이 플런저에 강하게 작용하도록 코어의 끝단부위가 편평하게 이루어진 전술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0-0000699에 개시된 PCSV의 경우는, 현 개발 추세에 따른 강화된 성능 구현이 거의 불가능한 단점이 있는데 즉, 코어의 편평한 형상으로 인해 플런저의 저면 부위로 자기력이 강하게 집중 작용함에 따라, 강한 자기력으로 잡아당겨지고 해제되는 플런저의 반복 과정에서 접촉 소음이 크게 형성되므로, 만약 PCSV의 유량 성능을 증대하도록 플런저의 크기를 증대하게 되면 소음도 더욱 크게 증가되는 근본적인 취약성이 있게 된다.
이어 더해 통상적으로, PCSV를 이루면서 서로 상호 작용하도록 결합되는 많은 부품이 갖는 필연적인 제조 공차는 소음을 증대시키는 작용 즉, 엔진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따른 소음과 PCSV 작동에 따른 접촉 및 방사 소음이 크게 증가되므로, 현 개발 추세에 따른 강화된 성능을 구현하기 위한 PCSV는 이에 대한 설계 측면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대두되어진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작동 시 저 듀티(Low Duty) 제어 구간에서 유량의 선형 성을 유지하면서 최대 유량을 증대함과 동시에, 아마추어(Armature)의 스트로크(Stroke) 증가에 따른 자기력 증가도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아마추어의 급격한 접촉으로 인한 접촉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PCSV의 설계 시 서로 상반된 성능인 유량 증가와 소음 감소 성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CSV는 가스 흐름 통로를 개폐하는 아마추어(Armature)가 코어의 자기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대쪽 부위(통상, 보빈(Bobbin)을 이루는 부위 임)를 이용하여 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어와 직접적인 자기력 영향을 받는 아마추어사이에 별도의 스토퍼(Stopper)부재가 사용되지 않음은 물론, 코어와 아마추어사이에서 이들을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의 탄성력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CSV는 내부로 수용된 코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보빈에 끼워진 아마추어의 동심 상태 유지가, 아마추어의 바디 둘레를 다 방향에서 접촉 지지하는 보빈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보빈과 결합된 아마추어 및 이들간에 결합되는 별도의 튜브(Tube)나 링 가이드(Ring Guide)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아마추어의 동심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CSV는 코어의 자기력을 통해 잡아 당겨져 이동되는 아마추어(Armature)에 구비된 완충 구조가, 아마추어의 왕복 운동에 따른 접촉 충격을 흡수함과 더불어 가스 흐름 통로에 대한 밀폐 성능을 확립시켜 기밀 유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생된 자기력을 통해 왕복 운동되어 가스 흐름 통로를 개폐시키는 아마추어를 내장한 구동 모듈과, 캐니스터(Canister)에서 흡기다기관 쪽으로 이어진 증발가스라인에 장착되어져 증발 가스 흐름를 형성하는 니플 모듈로 PCSV를 이원화해, PCSV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갖는 제조 공차에 따른 조립 공차 증 가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구동 모듈과 니플 모듈의 조립 밀착 면을 기준 위치로 이용해 아마추어의 스트로크(Stroke)가 결정됨에 따라, 아마추어 작동에 관련된 각 구성 부품들이 아마추어 스트로크에 끼치는 영향을 거의 없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흡기다기관과, 연료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증발가스라인상에 장착되는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PCSV)가,
자기력 형성 여부에 따라 왕복 운동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어 접촉 및 이격 됨에 따라 내부의 흐름 통로를 열거나 차단시키는 완충 부재로 이루어진 아마추어와;
상기 아마추어가 조립되는 부위로 아마추어의 스트로크(Stroke)형성을 위한 끝단 면인 제1조립 기준면을 형성하는 구동 모듈 바디와, ECU의 제어에 따라 공급된 전류를 통해 여자되는 코일을 통해 상기 아마추어를 잡아당기는 수직한 직선 방향의 자기력을 작용시키는 코어 및 상기 아마추어를 잡아당기는 방사상 방향의 자기력을 작용시키도록 상기 코어의 끝단에서 안쪽으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돌출된 자기력 분산 플랜지를 구비한 구동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을 이루는 구동 모듈 바디의 제1조립 기준면에 밀착되는 끝단 면인 제2조립 기준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아마추어의 왕복 운동에 따른 접촉여부로 흐름 통로가 개폐되는 챔버를 형성한 커버로 이루어진 니플 모듈;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듈은 ECU가 연결되는 커넥터의 반대 부위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를 내장한 구동 모듈 바디의 안쪽 공간으로 결합된 인너하우징과, 상기 인너하우징을 이용해 위치를 잡으면서 ECU의 제어에 따라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이 권취된 보빈, 상기 코일이 권취된 보빈의 중앙 홀에서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을 매개로 떨어진 아마추어를 잡아당기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어 및 코어의 끝단에서 스프링이 안착되도록 안쪽으로 깊게 파여진 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코어의 끝단에 대해 안쪽에서 동심원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방사상으로 자기력을 형성하는 자기력 분산 플랜지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빈은 코일이 권취된 중앙으로 코어가 삽입되는 중앙 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홀의 끝단을 이루면서 아마추어의 최대 스트로크 이동 시 접촉되는 동심 유지 판이 형성되며, 상기 동심 유지 판의 안쪽으로는 플레이트가 삽입되어진 구조를 이루며, 이때 상기 플레이트는 보빈과 달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보빈의 중앙 홀의 직경과 일치하는 동심 유지 판의 직경에 대해 소정의 미 접촉 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미 접촉 갭만큼 보빈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마추어는 플런저가 보빈으로 삽입되어 자기력을 직접 받으면서 그 내부로 스프링이 수용되는 중공의 중공 바디와, 상기 중공 바디에 대해 동심원으로 큰 직경을 형성하면서 보빈의 외부에 위치되는 동심 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 부재는 플런저의 동심 플랜지에 끼워져 그 저면 부위로 돌출되는 부위가, 그 중심에서는 상기 플런저에 대한 고정력을 형성하고 그 테두리를 이루는 외곽 부위는 상기 플런저의 최대 스트로크 이동 시 동심 플랜지보다 먼저 접촉되는 반면, 상기 동심 플랜지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부위는 증발 가스 흐름 통로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니플 모듈은 구동 모듈을 이루는 구동 모듈 바디의 제1조립 기준면에 밀착되는 제2조립 기준면을 형성하면서, 그 내부로 증발가스가 충진되는 챔버를 형성한 커버와, 상기 챔버쪽으로 증발 가스를 유입하는 증발가스 유입관, 상기 챔버내 증발 가스를 배출하는 증발가스 배출관 및 상기 증발가스 유입관에서 유입되는 증발 가스를 정화하도록 챔버 공간 내에 설치된 이물질 차단 필터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연료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에어 필터(A)를 거친 외부 공기를 엔진(E)으로 공급하는 흡기다기관(M)쪽으로 연료탱크(1)에서 증발가스를 포집한 캐니스터(2)쪽이 서로 연결되도록 이어주는 증발가스라인(3)에 장착된 PCSV(6, Purge Control Solenoid Valve)가,
엔진(E)운전 상태와 냉각수 온도 등을 고려해 차량을 제어하는 ECU(5)에 의해 작동될 때, 상기 증발가스라인(3)의 통로를 열어 캐니스터(2)에 포집된 증발가 스를 흡기다기관(M)쪽으로 공급해 엔진(E)에서 소모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된다.
이러한 작용을 하는 PCSV(6)는 크게 2부분으로 이원화한 모듈(Module)단위로 구성되는데 즉, 내장되어져 가스 흐름 통로를 개폐시키는 아마추어(14)를 자기력을 통해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 모듈(MA)과, 캐니스터(2,Canister)에서 흡기다기관 쪽으로 이어진 증발가스라인(3)에 장착되어져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니플 모듈(MB)로 이원화되어진다.
이에 따라 PCSV(6)는 구동 모듈(MA)과 니플 모듈(MB)이 조립됨에 따라 아마추어(14)의 스트로크(Stroke)가 결정 즉, 상기 구동 모듈(MA)의 제1조립 기준면(SU)과 니플 모듈(MB)의 제2조립 기준면(SD)이 조립에 따라 서로 밀착 면을 이루게 되고, 이와 같이 서로 밀착되는 제1조립 기준면(SU)와 제2조립 기준면(SD)은 구동 모듈(MA)과 니플 모듈(MB)내부로 위치된 아마추어(14)의 최대 스트로크(Stroke)이동 시 초기 접촉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PCSV(6)의 모듈(Module)단위인 구동 모듈(MA)은, 일측으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7b)와 ECU(5)에 연결되는 커넥터(7a)를 구비해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구동 모듈 바디(7)와, 상기 구동 모듈 바디(7)의 중앙에 형성된 빈 공간에 삽입된 인너하우징(13)을 이용해 조립되는 보빈(8), 상기 보빈(8)에 권치되어 공급된 전류를 통해 여자되는 코일(10), 상기 코일(10)이 권취된 플라스틱(Plastic)재질의 보빈(8)의 중앙 홀(8a)에 끼워져 코일(10)의 여자 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어(11), 상기 코어(11)의 끝단에서 안쪽으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돌출되어져 코어(11)의 끝단 면에 형성되는 수직한 자기력과 더불어 방사상으로 자기력 을 형성하는 자기력 분산 플랜지(12) 및 상기 구동 모듈 바디(7)의 제1조립 기준면(SU)에 일치하는 보빈(8)의 최 외곽 면인 동심 유지 판(8b)의 안 쪽으로 삽입된 금속재질의 플레이트(9)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 모듈(MA)을 이루는 보빈(8)에 삽입되어 왕복 운동하는 아마추어(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듈(MA)을 이루는 보빈(8)의 중앙 홀(8a)로 코어(11)에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코어(11)의 자기력을 통해 잡아 당겨지는 플런저(15)와, 상기 플런저(15)에 끼워져 PCSV(6) 미 작동 시 가스 흐름 통로를 밀폐함과 더불어, PCSV(6) 작동 시 코어(11)쪽으로 이동되는 플런저(15)보다 먼저 접촉되어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16)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15)는 보빈(8)의 중앙 홀(8a)로 삽입되는 중공의 중공 바디(15a)와, 상기 중공 바디(15a)에 대해 동심원으로 큰 직경을 형성하면서 조립 상태에서 보빈(8)의 최 외곽 면에 대해 이동 스트로크(a)간격을 형성하는 동심 플랜지(15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완충 부재(16)는 그 하면으로 플런저(15)의 동심 플랜지(15b)에 형성된 중앙 홀(15d)에 걸려 고정되는 중앙 걸림 보스(16a)와, 상기 중앙 걸림 보스(16a)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동심 플랜지(15b)의 외곽에 형성된 외곽 홀(15c)로 걸려 고정되는 완충 엠보(16b) 및 상면에서 동심원을 이루도록 돌출된 테두리를 형성해 밀폐되는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기밀유지 엠보(16c)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완충 부재(16)의 기밀유지 엠보(16c)가 갖는 직경은 증발가스가 배출되는 흐름 통로가 갖는 직경을 충분히 가릴 수 있는 크기이며, 이는 PCSV(6)의 사양에 따라 맞추어 설정되어진다.
또한, 상기 완충 부재(16)는 탄성재질 특히, 고무(Rubber)재질로 이루어지고 테두리 부위 쪽으로 돌출 형성된 완충 엠보(16b)가 플런저(15)보다 먼저 접촉됨에 따라, 작동에 따른 접촉 소음의 대 부분을 차지하는 플런저(15)가 코어(11)이외의 부위에는 전혀 접촉되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5)를 이루는 중공 바디(15a)의 내경은 끼워진 상태에서 코어(11)의 자기력 분산 플랜지(12)가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이는 상기 자기력 분산 플랜지(12)에서 형성되는 방사상 자기력이 플런저(15)에 충분히 작용하도록 해, 상기 코어(11)에 의해 잡아 당겨지는 플런저(15)가 일 방향으로 만 작용하는 강한 자기력에 따른 급격한 거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아마추어(14)는 코어(11)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갖고 조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들을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17)이 더 구비되는데, 즉 상기 스프링(17)은 그 일단이 코어(11)의 끝단에서 돌출된 자기력 분산 플랜지(12)의 안쪽으로 깊게 파여진 스프링 수용홈(11a)에 위치되고, 그 반대쪽은 플런저(15)의 중공 바디(15a)안쪽으로 수용되어 동심 플랜지(15b) 저면을 통해 지지되어진다.
또한, 상기 스프링(17)은 탄성력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는데, 이는 코어(11)의 자기력이 아마추어(14)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작용함과 더불어 코어(11)에 대한 아마추어(14)의 이동 거리 축소에 따라, 코어(11)와 아마추어(14)사이에 별도의 스토퍼 부재가 개재될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스프링 탄성력을 보다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5)가 끼워진 보빈(8)은 플런저(15)의 동심을 잡고 유지하도록 중앙 홀(8a)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동심 유지 판(8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듈 바디(7)와 그 중앙으로 삽입된 인너하우징(13)쪽에 결합되어 보빈(8)을 고정하도록 삽입된 플레이트(9)의 상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진다.
일례로, 상기 동심 유지 판(8b)은 서로간의 간격이 180°를 갖는 형성각(c)으로 3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런저(15)가 보빈(8)의 중앙 홀(8a)부위를 통해 그 하부부위가 접촉 지지되고, 상기 보빈(8)의 끝단 면을 이루는 동심 유지 판(8b)을 통해 그 상부부위가 접촉 지지되면, 플런저(15)가 보빈(8)의 중앙홀(8a)에 충분히 접촉 지지되지 않더라도 동심 유지 판(8b)쪽을 통해 충분한 접촉 지지가 이루어짐에 따라, 보빈(8)에 대한 아마추어(14)의 동심 유지를 위해 아마추어(14)를 잡아주는 별도의 링 가이드(Ring Guide)나 또는, 튜브(Tube)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8)의 사출 성형 시 일체로 성형되는 플레이트(9)의 직경은 보빈(8)의 중앙 홀(8a)과 동심 유지 판(8b)이 형성하는 직경인 동심유지직경(e, 플런저(15)의 중공 바디(15a) 직경과 동일 함)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는데, 이는 상기 플런저(15)가 금속재질의 플레이트(9)에 일정한 미 접촉 갭(t)이 형성되도록 해 자기력을 받아 이동될 때, 상기 플런저(15)와 플레이트(9)간에 발생될 수 있는 저항이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9)와 플런저(15)간에 형성되는 미 접촉 갭(t)의 크기는 PCSV(6)의 사양에 따라 맞추어 설정되어진다.
한편, PCSV(6)를 이루는 구동 모듈(MA)에 조립 결합되어져 흡기다기관(M)쪽으로 이어진 증발가스라인(3)에 장착되어져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니플 모듈(M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듈(MA)의 제1조립 기준면(SU)을 형성하는 구동 모듈 바디(7)에 밀착되어 제2조립 기준면(SD)을 형성하는 커버(18)와, 상기 커버(18)에 형성된 챔버(18a)내로 캐니스터(2)로부터 증발 가스를 유입하도록 증발 가스 라인(3)에 연결된 증발가스 유입관(19), 흐름 통로 형성 시 상기 챔버(18a)에 충진된 증발 가스를 흡기다기관(M)쪽으로 배출하는 증발가스 배출관(20) 및 상기 증발가스 유입관(19)에서 유입되는 증발 가스를 정화하도록 챔버(18a) 공간 내에 설치된 이물질 차단 필터(21)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증발가스 배출관(20)은 PCSV(6) 미 작동 시 아마추어(14)가 증발가스 배출관(20)의 끝단 부에 접촉되어 흐름 통로를 밀폐시키도록, 즉 상기 아마추어(14)를 이루는 플런저(15)와 결합된 완충 부재(16)의 기밀유지 엠보(16c)가 상기 증발가스 배출관(20)의 끝단 부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서, 커버(18)의 챔버(18a) 공간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가스 배출관(20)의 끝단 부가 갖는 챔버(18a) 공간으로의 돌출 길이는, PCSV(6)의 작동 시 아마추어(14)가 갖는 이동 스트로크(a)와 동일한 간격을 갖는 유입 스트로크(b)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는 PCSV(6)의 스트로 크가 PCSV(6)의 유량 성능을 결정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 스트로크(a)와 유입 스트로크(b)가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가스 배출관(20)은 흐름 통로가 개폐되도록 아마추어(14)의 설치 위치로 형성됨에 따라, 증발가스 유입관(19)에 대해 직각인 90°를 이루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Purge Control Solenoid Valve)인 PCSV(6)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모듈(Module)단위로 구분, 즉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듈(MA)과, 증발 가스의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니플 모듈(MB)로 이원화시켜 제조됨에 따라, 상기 구동 모듈(MA)에서 발생된 자기력을 통해 왕복 운동되어 니플 모듈(MB)의 흐름 통로를 개폐하는 아마추어(14)의 스트로크(Stroke)도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아마추어(14)의 스트로크(Stroke) 결정이 조립 시 서로 밀착되는 상기 구동 모듈(MA)의 제1조립 기준면(SU)과 니플 모듈(MB)의 제2조립 기준면(SD)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PCSV(6)를 이루는 각 구성 요소들의 제조 공차에 대해 여유를 둔 상태에서 이들이 모두 결합된 구동 모듈(MA)과 니플 모듈(MB)에 대한 공차 관리, 즉 상기 구동 모듈(MA)과 니플 모듈(MB)이 갖는 제1·2조립 기준면(SU,SD)에 대한 공차 만을 관리하더라도 PCSV(6)의 전체에 대한 공차 관리가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러한 모듈(Module)단위로 이루어진 PCSV(6)는 그 작동 시 여러 특징들을 갖게 되는데, 일례로 서로 상반되는 유량 성능과 소음 성능도 함께 만족할 수 있는 즉, 아마추어(14,Armature)에 가해지는 코어(11)의 자기력이 스트로크 증가 시에도 급격한 자기력 증가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수직 방향과 더불어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작용함에 따라, 저 듀티(Low Duty) 제어 구간의 선형성을 유지하면서 최대 유량을 증대함과 동시에, 아마추어(14)의 급격한 스트로크(Stroke) 진행에 따른 코어(11)와의 강한 접촉도 방지되어 접촉 소음 발생 자체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원 발명의 주요 특징적인 작용은 PCSV(6)의 구조적인 측면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구동 모듈 바디(7)에 구비된 인너하우징(13)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10)이 권취된 보빈(8)을 결합하면서, 상기 보빈(8)의 중앙 홀(8a)안으로 코일(11)을 삽입해 구동 모듈(MA)을 조립한 후, 상기 구동 모듈(MA)에 조립된 보빈(8)에 끼워진 코일(11)에 스프링(17)과 아마추어(14)를 순차적으로 조립한 다음, 증발가스 유입관(19)과 증발가스 배출관(20)을 형성한 커버(18)의 내부에 형성된 챔버(18a)로 이물질 차단 필터(21)를 결합해 조립된 니플 모듈(MB)을 상기 구동 모듈(MA)과 결합하게 되면, 전체적인 PCSV(6)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 모듈(MA)의 구동 모듈 바디(7)에는 엔진(E)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댐퍼(11b)가 내장되어진다.
또한, 상기 보빈(8)의 최 외곽 면인 동심 유지 판(8b)의 안 쪽으로 삽입된 금속재질의 플레이트(9)는, 보빈(8)의 사출 성형 시 일체로 성형되는 금속재질로서 구동 모듈 바디(7)와 인너하우징(13)에 고정되어 보빈(8)의 조립 위치를 잡아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11)과 아마추어(14)사이에 삽입된 스프링(17)은 그 일단이 코어(11)의 끝단에서 돌출된 자기력 분산 플랜지(12)의 안쪽으로 깊게 파여진 스프링 수용홈(11a)에 위치되고, 그 반대쪽은 플런저(15)의 중공 바디(15a)안쪽으로 수용되어 동심 플랜지(15b) 저면을 통해 지지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동 모듈(MA)과 니플 모듈(MB)을 조립하게 되면, 상기 구동 모듈(MA)의 보빈(8)에 결합된 아마추어(14)의 스트로크(Stroke)는 자동적으로 결정되는데, 이는 상기 구동 모듈(MA)을 이루는 구동 모듈 바디(7)의 끝단 면인 제1조립 기준면(SU)에 상기 니플 모듈(MB)을 이루는 커버(18)의 끝단 면인 제2조립 기준면(SD)이 서로 밀착되도록 접촉되고, 상기 구동 모듈(MA)에 조립된 보빈(8)의 끝단 면을 이루는 동심유지 판(8b)이 상기 제1·2조립 기준면(SU,SD)과 일치됨에 따라, 상기 동심유지 판(8b)으로 최대 스트로크 이동 시 아마추어(14)가 접촉되는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이 조립된 PCSV(6)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추어(14)를 이루는 플런저(15)의 동심을 자동적으로 유지시켜주는데, 이는 상기 플런저(15)의 중공 바디(15a)가 보빈(8)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중으로 지지 즉, 상기 중공 바디(15a)의 하부부위가 보빈(8)의 중앙 홀(8a)을 통해 접촉 지지됨과 더불어 그 상부부위는 보빈(8)의 끝단 면을 이루는 동심 유지 판(8b)을 통해 접촉 지지되 는 이중지지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이중지지 구조는 특히, 상기 플런저(15)가 보빈(8)의 중앙 홀(8a)에 대해 정확히 일치하는 동심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라도, 상기 보빈(8)의 중앙 홀(8a)에 대해 플레이트(9)를 매개로 간격을 둔 동심 유지 판(8b)이 플런저(15)의 상부부위에 접촉 지지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15)가 보빈(8)에 대해 동심을 유지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는 아마추어(14)의 구조를 보다 간략화 시키는데 일례로, 보빈(8)에 대한 아마추어(14)의 동심 유지를 위해 아마추어(14, 정확히는 플런저(15))를 잡아주는 별도의 링 가이드(Ring Guide)나 또는, 튜브(Tube)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지속적인 동심 유지를 달성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마추어(14)를 이루는 플런저(15)에는 완충 부재(16)가 결합되는데, 이는 상기 플런저(15)의 중공 바디(15a)에 대해 큰 직경의 동심원으로 형성된 동심 플랜지(15b)의 중앙 홀(15d)과 외곽으로 형성된 외곽 홀(15c)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부재(16)의 중앙 걸림 보스(16a)와 완충 엠보(16b)를 끼워줌에 따라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 부재(16)의 상면에서 동심원을 이루면서 돌출된 기밀유지 엠보(16c)는 니플 모듈(MB)의 증발가스 배출관(20)의 끝단에 밀착되어, 니플 모듈(MB)에 형성된 흐름 통로를 밀폐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어, 조립 완료된 PCSV(6)를 에어 필터(A)를 거친 외부 공기를 엔진(E)으로 공급하는 흡기다기관(M)과, 연료탱크(1)에서 증발가스를 포집한 캐니스터(2)쪽을 서로 연결하는 증발가스라인(3)으로 장착 즉, 상기 PCSV(6)를 이루는 니플 모듈(MB)의 증발가스 유입관(19)을 캐니스터(2)쪽으로 연결하고, 증발가스 배출관(20)을 흡기다기관(M)쪽으로 연결한 다음, 상기 니플 모듈(MB)이 조립된 구동 모듈(MA)의 커넥터(7a)에 단자를 꼽아 ECU(5)로 연결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흡기계와 연료계 사이에 PCSV(6)가 장착되어져, 연료 탱크(1)에서 발생된 증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엔진(E)을 통해 소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PCSV(6)의 작용은 엔진(E)과 더불어 주행 차량을 제어하는 ECU(5)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즉 상기 ECU(5)가 증발가스 라인(3)의 통로를 열도록 PCSV(6)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PCSV(6)를 이루는 구동 모듈(MA)의 내부에서 보빈(8)에 권취된 코일(10)이 여자됨에 따라 코어(11)에서 자기력이 생성되고, 상기 코어(11)는 자기력을 통해 스프링(17)을 매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된 아마추어(14)를 잡아 당겨주게 된다.
즉, 상기 코어(11)를 통해 자기력을 받는 아마추어(14)의 플런저(15)가 스프링(17)을 압축하면서 코어(11)쪽에 밀착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스트로크(a) 이동 시 상기 플런저(15)에 결합된 완충 부재(16)의 완충 엠보(16b)가 보빈(8)의 동심 유지 판(8b)에 접촉되고, 이로 인해 상기 완충 부재(16)의 기밀유지 엠보(16c)가 니플 모듈(MB)의 증발가스 배출관(20)으로부터 떨어져 유입 스트로크(b)만큼의 간격이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아마추어(14)에 작용하는 코어(11)의 자기력은 아마추어(14)의 스트로크가 증가되더라도 급격한 증가가 일어나지 않는데, 이는 코어(11)의 끝단에 돌출 형성된 자기력 분산 플랜지(12)가 플런저(15)의 중공 바디(15a)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15)에는 코어(11)의 끝단을 통해 형성되는 수직한 방향의 자기력 벡터(MV)와 더불어, 자기력 분산 플랜지(12)를 통해 형성되는 방사상 방향의 자기력 벡터(MV)가 동시에 작용해 잡아 당겨주게 된다.
이러한 자기력 벡터(MV)형성은 코어(11)쪽으로 접근하는 아마추어(14)에 대한 급격한 자기력 증가 현상을 크게 완화시키는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추어(14)의 스트로크가 초기(흐름 통로 밀폐)에서 최대(흐름 통로가 최대로 열리는 이동스트로크(a)까지)로 증가하더라도, 코어(11)로부터 가해지는 자기력 크기가 거의 균일하게 작용하게 되고, 이와 같은 작용은 PCSV(6) 작동 시 반복적인 왕복 운동에 따라 아마추어(14)에 코어(11)가 접촉되더라도, 코어(11)와 아마추어(14)간 접촉 소음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아마추어(14)를 이루는 플런저(15)의 이동 시 상기 플런저(15)에 결합된 완충 부재(16)가 보빈(8)에 먼저 접촉되는 특성상, 즉 상기 완충 부재(16)의 고무(Rubber)재질 완충 엠보(16b)가 보빈(8)의 동심 유지 판(8b)에 플런저(15)보다 먼저 접촉됨에 따라, PCSV(6) 작동에 따른 접촉 소음의 대 부분을 차지하는 플런저(15)가 코어(11)이외의 부위에는 전혀 접촉되지 않도록 작용해, 아마추어(14)에 의한 접촉 소음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코어(11)의 자기력을 통해 아마추어(14)가 이동됨에 따라 형성된 유입 스트로크(b)는, 상기 아마추어(14)와 니플 모듈(MB)의 증발가스 배출관(20)간에 흐름 통로를 형성하게 되고,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가스 유입 관(19)을 통해 커버(18)의 챔버(18a)내로 공급된 증발 가스는 증발가스 배출관(20)을 통해 배출되어져, 증발가스라인(3)이 연결된 흡기다기관(M)쪽으로 배출되어진다.
이때, 상기 챔버(18a)에 구비된 이물질 차단 필터(21)는 증발가스 유입관(19)을 통해 유입되는 증발 가스 내 불필요한 이물질을 걸러주게 된다.
한편 여러 요인에 따라 ECU(5)가 PCSV(6)를 오프(Off, 전원 차단)시키게 되면, 코어(11)의 자기력이 더 이상 작용하지 않는 아마추어(14)는 압축되었던 스프링(17)의 탄발력으로 통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PCSV(6)가 설치된 증발가스라인(3)이 폐쇄되어진다.
이때 PCSV(6)의 오프(Off) 전환에 따라 초기 위치로 복귀된 아마추어(14)의 플런저(15)에 결합된 완충 부재(1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 모듈(MB)의 증발가스 배출관(20)끝단에 밀착 즉, 상기 완충 부재(16)의 기밀 유지 엠보(16c)가 증발가스 배출관(20)끝단에 접촉되면서 밀착되어 챔버(18a)공간을 폐쇄하고, 이어 ECU(5)가 다시 PCSV(6)를 구동하게 되면 다시 전술한 니플 모듈(MB)의 흐름 통로 형성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PCSV, Purge Control Solenoid Valve)가 흐름 통로를 개폐하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아마추어를 잡아당기는 자기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듈을 하나의 모듈(Module)단 위로 제작함과 더불어, 아마추어의 이동 시 증발 가스의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니플 모듈도 하나의 모듈(Module)단위로 제작한 후, 구동 모듈과 니플 모듈이 서로 조립할 때 내부로 조립된 아마추어의 스트로크(Stroke)가 자동적으로 결정되도록 해, PCSV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각각의 공차 관리 없이 구동 모듈과 니플 모듈에 대한 공차 관리만으로도 PCSV의 전체에 대한 공차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PCSV는 아마추어 끝단부위를 둘러싸면서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코어 자기력을 형성시켜 스트로크 증가 시에도, 자기력이 급격하게 증가되지 않도록 해 PCSV의 전 작동 구간을 통해 안정적인 유량 성능 구현과 더불어, 아마추어에 탄성 재질의 완충 부재를 결합해 흐름 통로 밀폐 작용과 함께 초기 접촉에 따른 충격을 흡수시켜 접촉 소음도 크게 줄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PCSV는 최대 스트로크로 이동된 아마추어가 보빈 밖에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해, 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어와 이에 직접 영향을 받는 아마추어사이로 별도의 스토퍼(Stopper)부재를 사용하지 않음은 물론, 보빈에 삽입된 아마추어를 접촉 지지하는 보빈의 끝단 부위가 아마추어의 동심을 잡아줌에 따라, 보빈과 결합된 아마추어 및 이들간에 결합되는 별도의 튜브(Tube)나 링 가이드(Ring Guide)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아마추어의 동심을 유지 할 수 있어, PCSV를 이루는 일부 구성 요소를 제거하여 전체적인 구성도 단순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PCSV는 코어 자기력이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작용하는 아마추어의 스트로크 최소화하면서도 최적의 유량 성능을 구현함에 따라, 코어와 아 마추어사이에서 이들을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의 탄성력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1)

  1. 자기력 형성 여부에 따라 왕복 운동되는 플런저(15)와, 상기 플런저(15)에 결합되어 접촉 및 이격 됨에 따라 내부의 흐름 통로를 열거나 차단시키는 완충 부재(16)로 이루어진 아마추어(14)와;
    상기 아마추어(14)가 조립되는 부위로 아마추어(14)의 스트로크(Stroke)형성을 위한 끝단 면인 제1조립 기준면(SU)을 형성하는 구동 모듈 바디(7)와, ECU(5)의 제어에 따라 공급된 전류를 통해 여자되는 코일(10)을 통해 상기 아마추어(14)를 잡아당기는 수직한 직선 방향의 자기력을 작용시키는 코어(11) 및 상기 아마추어(14)를 잡아당기는 방사상 방향의 자기력을 작용시키도록 상기 코어(11)의 끝단에서 안쪽으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돌출된 자기력 분산 플랜지(12)를 구비한 구동 모듈(MA) 및;
    상기 구동 모듈(MA)을 이루는 구동 모듈 바디(7)의 제1조립 기준면(SU)에 밀착되는 끝단 면인 제2조립 기준면(SD)을 형성하면서, 상기 아마추어(14)의 왕복 운동에 따른 접촉여부로 흐름 통로가 개폐되는 챔버(18a)를 형성한 커버(18)로 이루어진 니플 모듈(MB);로 구성된 PCSV(6)가,
    외부 공기를 엔진(E)으로 공급하는 흡기다기관(M)과, 연료탱크(1)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2)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증발가스라인(3)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MA)은 ECU(5)가 연결되는 커넥터(7a)의 반대 부위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7b)를 내장한 구동 모듈 바디(7)의 안쪽 공간으로 결합된 인너하우징(13)과,
    상기 인너하우징(13)을 이용해 위치를 잡으면서 ECU(5)의 제어에 따라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10)이 권취된 보빈(8),
    상기 코일(10)이 권취된 보빈(8)의 중앙 홀(8a)에서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17)을 매개로 떨어진 아마추어(14)를 잡아당기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어(11) 및
    코어(11)의 끝단에서 스프링(17)이 안착되도록 안쪽으로 깊게 파여진 스프링 수용홈(11a)이 형성되면서, 상기 코어(11)의 끝단에 대해 안쪽에서 동심원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방사상으로 자기력을 형성하는 자기력 분산 플랜지(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빈(8)은 코일(10)이 권취된 중앙으로 코어(11)가 삽입되는 중앙 홀(8a)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홀(8a)의 끝단을 이루면서 아마추어(14)의 최대 스트로크 이동 시 접촉되는 동심 유지 판(8b)이 형성되며, 상기 동심 유지 판(8b)의 안쪽으로는 플레이트(9)가 삽입되어진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심 유지 판(8b)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9)는 보빈(8)과 달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보빈(8)의 중앙 홀(8a)의 직경과 일치하는 동심 유지 판(8b)의 직경에 대해 소정의 미 접촉 갭(t)을 형성하도록, 상기 미 접촉 갭(t)만큼 보빈(8)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14)는 플런저(15)가 보빈(8)으로 삽입되어 자기력을 직접 받으면서 그 내부로 스프링(17)이 수용되는 중공의 중공 바디(15a)와, 상기 중공 바디(15a)에 대해 동심원으로 큰 직경을 형성하면서 보빈(8)의 외부에 위치되는 동심 플랜지(15b)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 부재(16)는 플런저(15)의 동심 플랜지(15b)에 끼워져 그 저면 부위로 돌출되는 부위가, 그 중심에서는 상기 플런저(15)에 대한 고정력을 형성하고 그 테두리를 이루는 외곽 부위는 상기 플런저(15)의 최대 스트로크 이동 시 동심 플랜지(15b)보다 먼저 접촉되는 반면, 상기 동심 플랜지(15b)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부위는 증발 가스 흐름 통로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리 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16)는 그 하면으로 플런저(15)의 동심 플랜지(15b)에 형성된 중앙 홀(15d)에 걸려 고정되는 중앙 걸림 보스(16a)와, 상기 중앙 걸림 보스(16a)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동심 플랜지(15b)의 외곽에 형성된 외곽 홀(15c)로 걸려 고정되는 완충 엠보(16b) 및 상면에서 동심원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접촉 시 흐름 통로를 밀폐하는 기밀유지 엠보(16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 엠보(16c)는 테두리 부위만이 돌출되도록 그 중앙부위는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16)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니플 모듈(MB)은 구동 모듈(MA)을 이루는 구동 모듈 바디(7)의 제1조립 기준면(SU)에 밀착되는 제2조립 기준면(SD)을 형성하면서, 그 내부로 증발가스가 충진되는 챔버(18a)를 형성한 커버(18)와,
    상기 챔버(18a)쪽으로 증발 가스를 유입하는 증발가스 유입관(19), 상기 챔버(18a)내 증발 가스를 배출하는 증발가스 배출관(20) 및
    상기 증발가스 유입관(19)에서 유입되는 증발 가스를 정화하도록 챔버(18a) 공간 내에 설치된 이물질 차단 필터(2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배출관(20)은 증발가스 유입관(19)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커버(18)내 챔버(18a) 공간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070020159A 2007-02-28 2007-02-28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KR10077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159A KR100775337B1 (ko) 2007-02-28 2007-02-28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159A KR100775337B1 (ko) 2007-02-28 2007-02-28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337B1 true KR100775337B1 (ko) 2007-11-08

Family

ID=3906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159A KR100775337B1 (ko) 2007-02-28 2007-02-28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3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298B1 (ko) 2010-12-29 2011-03-29 주식회사 대신엔스코 기밀성을 향상시킨 캐니스터 클로즈 솔레노이드밸브
KR101174207B1 (ko) 2010-05-27 2012-08-14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유로 개폐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348570B1 (ko) * 2011-10-28 2014-01-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작동성능이 향상되는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791A (ja) * 1989-05-11 1991-05-20 Siemens Ag キヤニスタパージ電磁弁
JPH0539882A (ja) * 1991-08-02 1993-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弁
US6216673B1 (en) 1998-12-03 2001-04-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olenoid valve incorporating a chamber
KR20070018523A (ko) * 2005-08-10 2007-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소음 저감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791A (ja) * 1989-05-11 1991-05-20 Siemens Ag キヤニスタパージ電磁弁
JPH0539882A (ja) * 1991-08-02 1993-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弁
US6216673B1 (en) 1998-12-03 2001-04-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olenoid valve incorporating a chamber
KR20070018523A (ko) * 2005-08-10 2007-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소음 저감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207B1 (ko) 2010-05-27 2012-08-14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유로 개폐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024298B1 (ko) 2010-12-29 2011-03-29 주식회사 대신엔스코 기밀성을 향상시킨 캐니스터 클로즈 솔레노이드밸브
KR101348570B1 (ko) * 2011-10-28 2014-01-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작동성능이 향상되는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1076B1 (en) Bipolar valve having permanent magnet
US9068667B2 (en) Electromagnetic valve
JP4735468B2 (ja) バルブユニット
KR100704135B1 (ko) 휘발성 연료를 도우징하여 유입하기 위한 밸브
US20080000456A1 (en) Cost-optimized canister purge valve
KR100775337B1 (ko) 스토퍼리스 타입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US10495232B2 (en) Dual path dual purge valve system and valve assembly for turbo boosted engine
US9346351B2 (en) Valve device
JP5689983B2 (ja) 電磁弁
JP2011226513A (ja) 電磁弁装置
CN110030122B (zh) 净化控制电磁阀
JP2012087884A (ja) 電磁弁
KR102394842B1 (ko) 에어 댐핑형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 및 차량 연료 시스템
KR101348570B1 (ko) 작동성능이 향상되는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US11821391B2 (en) Noise reduction type purge control solenoid valve
CN111108291B (zh) 用于发动机系统的电磁激活真空泵和具有该泵的系统
KR101073840B1 (ko) 솔레노이드 밸브
US20200271062A1 (en) Acoustically dampened dual path dual purge valve assembly
CN220910478U (zh) 一种碳罐电磁阀和车辆
CN219432585U (zh) 电磁阀及燃油蒸发系统
US11156189B2 (en) Metering valve for a gaseous medium
CN211203060U (zh) 碳罐电磁阀
US11022084B2 (en) Vehicle fuel injector
KR101876496B1 (ko) 밸브 내장형 액츄에이터
CN116398329A (zh) 一种非整体式燃油排放控制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12